KR100833750B1 -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3750B1
KR100833750B1 KR1020070026595A KR20070026595A KR100833750B1 KR 100833750 B1 KR100833750 B1 KR 100833750B1 KR 1020070026595 A KR1020070026595 A KR 1020070026595A KR 20070026595 A KR20070026595 A KR 20070026595A KR 100833750 B1 KR100833750 B1 KR 100833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master
bridge
ring
adjus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0351A (ko
Inventor
나병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026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3750B1/ko
Publication of KR20070040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3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3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높이 조절수단(50)의 마스터 인너부재(32)의 상단에 다수의 체결부재(62)로 연결되어 마스터 인너부재(32)를 회전시킴에 따라 마스터 아우터부재(31)가 회전하여 아우터붐(51)과 인너붐(52)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스윙기어(61)와; 상기 스윙기어(61)의 하부면에 원주방향으로 고정부재(63)로 고정된 링형상으로 된 아우터링(64)과; 상기 아우터링(64)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형홈 내에 삽입된 볼(65)과; 상기 볼(6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아우터링(64)의 내주면에서 볼(65)을 매개로 구름접촉하며, 상기 상판 프레임(2)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부재(66)의 상면에 고정부재(63)를 매개로 고정된 링형상의 인너링(6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직붐대와 수평붐대의 연결부를 견고하게 구성하였고, 수직붐대가 상하 작동되도록 하고, 수평붐대와 회전하도록 하여 작업차의 이동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여 공기를 단축시킴과 동시에 시공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며,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Rotating apparatus of vehicle for working of bridge slab}
도1은 종래의 교량 슬래브 작업차를 도시한 측면도,
도2a 및 도2b는 종래의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인장응력 발생으로 연결부가 파괴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슬래브 작업차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슬래브 작업차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수직 및 수평 조절 수단의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수직 높이 조절수단을 상세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슬래브 작업차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를 상세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데크 11 : 양측면 게이트 부재
1 : 새들 2 : 상판 프레임
5 : 밸런스 웨이트 6 : 발전기
30 : 수직높이조절수단 31 : 마스터 아우터부재
32 : 마스터 인너부재 33 : 유압실린더
40 : 작업리프터 50 : 수평길이 조절수단
51 : 아우터붐 52 : 인너붐
60 : 회전수단 61 : 스윙기어
62 : 체결부재 63 : 고정부재
64 : 아우터링 65 : 볼
66 : 지지부재 67 : 인너링
본 발명은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붐대와 수평붐대의 연결부를 견고하게 구성하였고, 수직붐대가 상하 작동되도록 하고, 수평붐대와 회전하도록 하여 작업차의 이동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여 공기를 단축시킴과 동시에 시공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며, 특히 수직붐대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견고하게 구성한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건물 가설에 따른 교량 상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거푸집을 설치하는 데, 교각 상단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교량 거더 하부 플랜지의 돌출 부위에 목재 브레싱 동바리공을 설치한 후, 종방향으로 목재빔을 깔고, 바 닥판 거푸집을 설치하며, 상기 거푸집의 목재빔 상단부에 합판을 교량 거더 높이와 일치되게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교량 거더와 거푸집 상부에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차는 도1, 도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상판 바닥면에 바퀴(1a)가 설치된 새들(1)과, 상기 새들(1)의 상면에 안착되어 작업자가 그 위에 서서 작동 조절하는 크레인 등이 상면에 설치된 상판 프레임(2)과, 상기 상판 프레임(2)의 일단에 수직 하방인 교량의 측면으로 연결되어 수직붐대(3)와, 상기 수직붐대(3)의 하단에 수평으로 인장볼트(4a)를 수직으로 체결하여 연결하고, 그 위에 작업자가 교량 하단의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을 하도록 하는 수평붐대(4)와, 상기 상판 프레임(2)의 타측 상면인 교량의 상측에는 상기 수직 및 수평붐대(3, 4)의 하중에 대응하여 유지되도록 밸런스 웨이트(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교량 슬래브 작업차는 수직붐대(3)와 수평붐대(4)의 연결부가 하중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수평붐대(4)를 회전시키는 장치가 없어 수직붐대(3)와 수평붐대(4)가 일체로 붐대를 설치하는 데,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 작업차를 이동설치시 교각에 걸려 작업차의 붐대를 해체후 다시 설치해야 하는 등 작업이 어렵고 공사 기간이 많이 소요되어 교량의 시공 기간이 길어져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수직붐대(3)에서 수평붐대(4)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의 구성이 견고하지 못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붐대와 수평붐대의 연결부를 견고하게 구성하였고, 수직붐대가 상하 작동되도록 하고, 수평붐대와 회전하도록 하여 작업차의 이동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여 공기를 단축시킴과 동시에 시공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며, 특히 수직붐대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견고하게 구성한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는, 수직높이 조절수단(30)의 마스터 인너부재(32)의 상단에 다수의 체결부재(62)로 연결되어 마스터 인너부재(32)를 회전시킴에 따라 마스터 아우터부재(31)가 회전하여 아우터붐(51)과 인너붐(52)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스윙기어(61)와; 상기 스윙기어(61)의 하부면에 원주방향으로 고정부재(63)로 고정된 링형상으로 된 아우터링(64)과; 상기 아우터링(64)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형홈 내에 삽입된 볼(65)과; 상기 볼(6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아우터링(64)의 내주면에서 볼(65)을 매개로 구름접촉하며, 상기 상판 프레임(2)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부재(66)의 상면에 고정부재(63)를 매개로 고정된 링형상의 인너링(6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슬래브 작업차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슬래브 작업차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교량 슬래 브 작업차의 수직 및 수평 조절 수단의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6은 본 발명의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수직 높이 조절수단을 상세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슬래브 작업차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를 상세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교량 슬래브 작업차는, 도3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상판 바닥면에 바퀴(1a)가 설치된 새들(1)과, 상기 새들(1)의 상면에 안착되어 작업자가 그 위에 서서 작동 조절하는 크레인 등이 상면에 설치된 상판 프레임(2)과, 상기 상판 프레임(2)의 일단에 수직 하방인 교량의 측면으로 높이 조절가능하도록 연결된 수직높이조절수단(30)과, 상기 수직높이조절수단(30)의 하단에 다수의 인장볼트(4a)를 수평으로 체결하여 연결하고, 그 위에 작업자가 교량 하단의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을 하도록 작업자의 작업리프터(40)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수평길이 조절수단(50)과, 상기 수평길이 조절수단(50)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60)과, 상기 상판 프레임(2)의 타측 상면에는 설치된 밸런스 웨이트(5)와, 상기 밸런스 웨이트(5)의 상면에 설치되어 수직높이 조절수단(30) 및 수평길이 조절수단(5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발전기(6)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높이 조절수단(30)은 마스터 아우터부재(31)와, 상기 마스터 아우터부재(31)의 내측에 설치된 마스터 인너부재(32)와, 상기 마스터 인너부재(33)의 외주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마스터 아우터부재(31)에 고정되어 유압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마스터 인너부재(32)를 상하 작동시키는 유압실린더(33)로 이루어 진다.
상기 수평길이 조절수단(50)은 상기 마스터 아우터부재(31)의 하단에 수평으로 연결 고정된 아우터붐(51)과, 상기 아우터붐(51) 내에 설치되어 서로 와이어로 연결되어 와이어를 잡아당김에 따라 교량의 하부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인너붐(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수단(60)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높이 조절수단(30)의 상기 마스터 인너부재(32)의 상단에 다수의 체결부재(62)로 연결되어 마스터 인너부재(32)를 회전시킴에 따라 마스터 아우터부재(31)가 회전하여 아우터붐(51)과 인너붐(52)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스윙기어(61)와; 상기 스윙기어(61)의 하부면에 원주방향으로 고정부재(63)로 고정된 링형상으로 된 아우터링(64)과; 상기 아우터링(64)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형홈 내에 삽입된 볼(65)과; 상기 볼(6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아우터링(64)의 내주면에서 볼(65)을 매개로 구름접촉하며, 상기 상판 프레임(2)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부재(66)의 상면에 고정부재(63)를 매개로 고정된 링형상의 인너링(6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 프레임(2)에는 상기 작업리프터(4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상태를 CCD카메라(71)로 감시한 것을 디스플레이하는 LCD모니터(7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CCD카메라(71)는 마스터 아우터부재(31)의 하측면에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교량 슬래브 작업차는, 한 쌍의 새들(1)의 하단에 바퀴(1a)가 설치되어 교량 상판 위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좌우조향 시스템에 의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작업차는 수직높이 조 절수단(30)의 상단에 설치된 회전수단(60)의 스윙기어(61)에 의해 교량의 측면으로 내려진 수평 길이 조절 수단(50)을 작업하고자 하는 교량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킨다.
상기 수평길이 조절수단(50)의 아우터붐(51) 내의 인너붐(52)은 서로 와이어로 연결되어 와이어를 잡아당김에 따라 교량의 하부에서 좌우로 이동한다. 상기 인너붐(52)의 상면에는 자체 상하 작동하는 작업리프터(40)가 작업자가 작업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편리하고, 교량의 하부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마스터 아우터부재(31)의 하측면에는 CCD카메라(71)가 설치되어 상기 작업리프터(40)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상태를 LCD모니터(70)에서 디스플레이하여 작업자의 위치에 따른 안전 상태를 감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교량 슬래브 작업차에 의하면, 수직붐대와 수평붐대의 연결부를 견고하게 구성하였고, 수직붐대가 상하 작동되도록 하고, 수평붐대와 회전하도록 하여 작업차의 이동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여 공기를 단축시킴과 동시에 시공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며, 특히 상기 수직붐대와 수평붐대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의 구성을 인너링과 아웃터링이 그들사이에서 구름접촉하는 다수의 볼을 매개로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그 회전장치의 연결 구성이 견고하여 작업차의 파손에 의한 인명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1)

  1. 교량의 상판 바닥면에 바퀴(1a)가 설치된 새들(1)과, 상기 새들(1)의 상면에 안착되어 작업자가 그 위에 서서 작동 조절하는 크레인 등이 상면에 설치된 상판 프레임(2)과, 상기 상판 프레임(2)의 일단에 수직 하방인 교량의 측면으로 높이 조절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마스터 아우터부재(31)와, 상기 마스터 아우터부재(31)의 내측에 설치된 마스터 인너부재(32)로 이루어진 수직높이조절수단(30)과, 상기 수직높이조절수단(30)의 하단에 다수의 인장볼트(4a)를 수평으로 체결하여 연결하고, 그 위에 작업자가 교량 하단의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을 하도록 작업자의 작업리프터(40)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수평길이 조절수단(50)과, 상기 수평길이 조절수단(50)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60)과, 상기 상판 프레임(2)의 타측 상면에는 설치된 밸런스 웨이트(5) 및, 상기 밸런스 웨이트(5)의 상면에 설치되어 수직높이 조절수단(30) 및 수평길이 조절수단(5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된 발전기(6)로 구성된 교량 슬래브 작업차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60)은 상기 수직높이 조절수단(30)의 상기 마스터 인너부재(32)의 상단에 다수의 체결부재(62)로 연결되어 마스터 인너부재(32)를 회전시킴에 따라 마스터 아우터부재(31)가 회전하여 아우터붐(51)과 인너붐(52)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스윙기어(61)와;
    상기 스윙기어(61)의 하부면에 원주방향으로 고정부재(63)로 고정된 링형상으로 된 아우터링(64)과;
    상기 아우터링(64)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원형홈 내에 삽입된 볼(65) 및;
    상기 볼(6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아우터링(64)의 내주면에서 볼(65)을 매개로 구름접촉하며, 상기 상판 프레임(2)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부재(66)의 상면에 고정부재(63)를 매개로 고정된 링형상의 인너링(6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
KR1020070026595A 2007-03-19 2007-03-19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 KR100833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595A KR100833750B1 (ko) 2007-03-19 2007-03-19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595A KR100833750B1 (ko) 2007-03-19 2007-03-19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351A KR20070040351A (ko) 2007-04-16
KR100833750B1 true KR100833750B1 (ko) 2008-05-29

Family

ID=3817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595A KR100833750B1 (ko) 2007-03-19 2007-03-19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3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48034A (zh) * 2022-01-21 2022-04-15 西南大学 一种自动调节运梁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360Y1 (ko) * 2000-05-04 2000-09-15 영신기공주식회사 상.하 이동용 수평붐을 갖는 교량 점검 및 보수용 이동장치
KR20010070666A (ko) * 2001-05-30 2001-07-27 유춘종 이동식 작업용 활차
KR200245277Y1 (ko) * 2001-05-30 2001-10-29 영신기술(주) 이동식 작업용 활차
KR100784429B1 (ko) * 2007-02-14 2007-12-11 우신기계(주) 슬래브 거푸집 해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360Y1 (ko) * 2000-05-04 2000-09-15 영신기공주식회사 상.하 이동용 수평붐을 갖는 교량 점검 및 보수용 이동장치
KR20010070666A (ko) * 2001-05-30 2001-07-27 유춘종 이동식 작업용 활차
KR200245277Y1 (ko) * 2001-05-30 2001-10-29 영신기술(주) 이동식 작업용 활차
KR100784429B1 (ko) * 2007-02-14 2007-12-11 우신기계(주) 슬래브 거푸집 해체장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7844290000 (등록번호)
1020010070666 (공개번호)
2001973600000 (등록번호)
2002452770000 (등록번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351A (ko) 2007-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39070B (zh) 用钢柱对钢筋混凝土结构梁进行临时支撑加固的施工方法
KR101223614B1 (ko)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JP4966977B2 (ja) 改良された建設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AU2019409113B2 (en) Building site device having a climbing formwork and an elevator system
CN109610330B (zh) 一种架桥机过孔方法
CN102777030A (zh) 一种电梯井道模板施工平台搭设方法
CN105692470A (zh) 内爬式塔吊及其操作方法
EP2638210A1 (en) Scaffolding attachment arrangement
CN108002244B (zh) 用于高墩柱钢筋模板的吊装系统及其方法
KR100833751B1 (ko)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이동 지지장치
KR20070040345A (ko) 교량 슬래브 작업차
CN107575018A (zh) 一种异形烟囱液压提模装置
CN104480863A (zh) 斜拉桥主塔施工的钢锚梁安装定位方法
KR100833750B1 (ko)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
JP6712501B2 (ja) 高層建物の解体システム及び解体方法
JPH09317183A (ja) 建造物構築方法
KR101922047B1 (ko) 크레인 브레싱 해체 장치
KR100753694B1 (ko)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작업리프트 접이장치
JP5356091B2 (ja) 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方法および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装置
KR20120117363A (ko) 교량 가설용 메인 거더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0554395B1 (ko) 교각 코핑용 가시설 구조
KR100427751B1 (ko) 타워크레인 외벽 설치빔
KR100293687B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JP2019196593A (ja) 梁工事用吊り足場
CN209161252U (zh) 一种集成电梯底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928

Effective date: 200803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