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414B1 -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414B1
KR100832414B1 KR1020060049908A KR20060049908A KR100832414B1 KR 100832414 B1 KR100832414 B1 KR 100832414B1 KR 1020060049908 A KR1020060049908 A KR 1020060049908A KR 20060049908 A KR20060049908 A KR 20060049908A KR 100832414 B1 KR100832414 B1 KR 100832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ire drum
emergency escape
safety devic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344A (ko
Inventor
장은탁
Original Assignee
장은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탁 filed Critical 장은탁
Publication of KR2007004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6Life-saving rope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개시된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는, 사용자 착용을 위한 착용벨트가 마련된 하우징과, 이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하우징 외부로 인출 가능한 와이어가 감겨 있으며, 와이어의 풀림에 따라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 및 자석에 의해 와이어 드럼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에 의하면, 제동수단이 와이어드럼 내부에 있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서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며, 자석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제동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상탈출, 고층, 자석, 증속, 전도성 비자성체

Description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Safety Appartus for Emergency Escape from High-Storied Building}
도 1은 종래의 휴대형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와이어 드럼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증속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제동수단을 각각 나타낸 도면들,
도 7 내지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의 사용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20... 연결고리
200... 와이어 드럼 300... 제동수단
310... 고정자석 315... 삽입홈
320... 이동자석 325... 수용홈
330... 이탈방지커버 400... 증속수단
410... 중심축 420... 고정기어
430... 공전기어 435... 연결축
441, 451, 461... 제1,2,3입력축
442, 452, 462... 제1,2,3전동기어
443, 453, 463... 제1,2,3피동기어
450... 증속기어유닛 490... 출력축
700...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
본 발명은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람을 고층 건물에서 하강시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란, 고층 건물에 화재 등의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비상계단이나 엘리베이터 등이 폐쇄되어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속도가 제어되는 드럼으로부터 풀어지는 케이블이나 와이어에 사람 등의 물체를 매달아 하강시키는 하강장치를 말한다.
통상 완강기라고도 불리는 이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는 건물의 내 벽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고정형과 사람의 몸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휴대형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고정형의 경우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를 건물 내벽에 고정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최초 설정해 놓은 하강속도를 조작하기 위해서 순서를 기다리는 사람이 선 하강자의 하강속도를 살피면서 조절해야만 하고, 하강자가 혼자인 경우 이미 설정해 놓은 속도로만 하강할 수 있어 하강 중 하강 경로에 불길이나 연기가 올라올 경우 멈추거나 이동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정형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가 설치된 곳으로만 하강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부분으로 불길이나 연기가 올라올 경우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 자체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형으로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휴대형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형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60)는 외부 하우징(Case;10) 내부에 형성된 프레임(Frame)에 원동풀리(Pulley;20)와 종동풀리(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원동풀리(20)와 종동풀리(30)의 양측으로 원동기어와 감속기어(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하우징(10) 내부 하측에 로프(Loof;50)가 감겨진 드럼(Drum;40)이 형성되어 있으며, 드럼(40)에서 풀려지는 로프(50)는 원동풀리(20)와 종동풀리(30)에 각각 감겨져 있고, 로프(50)의 단부에는 고정구(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드럼(40)의 일측에는 밴드 브레이크(Band break;4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밴드 브레이크(41)의 일단이 외부 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비상 제동끈(42)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는 기구(미도시)에 수용되어 있으며, 비상시 로프의 고정구를 고정물에 고정시키고, 비상용 하강기가 수용된 기구를 지고 뛰어 내리면 로프(50)에 인장력이 가해지고, 로프(50)는 원동풀리(20)와 종동풀리(30)를 회전시키면서 드럼(40)에서 풀려진다. 이때, 원동풀리(20)와 종동풀리(30)의 양 측으로 결합된 원동기어(21)와 감속기어(31)로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로프(50)의 풀림을 제어하여 로프(50)의 풀림이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하게 지상으로 하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강 중에 밴드 브레이크(41)를 작동시켜 멈추거나 하강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는 기어부의 구조가 원동풀리, 종동풀리, 그리고 감속기 등으로 구성되며, 로프의 풀림을 멈추게 하기 위한 브레이크를 별도로 형성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과체중의 사람이 이용할 경우 밴드 브레이크가 파손될 수 있으며, 특히 높은 곳에서 하강시에 사용자가 안전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제동력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로프 또는 와이어의 풀림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어부와, 로프가 감겨있는 드럼이 각각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의 전체적인 부피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제동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시킨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는, 사용자 착용을 위한 착용벨트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 가능한 와이어가 감겨 있으며, 상기 와이어의 풀림에 따라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 및 자석에 의해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수단을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는, 상기 와이어 드럼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중심축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기어를 이용하여 출력축의 각속도를 증가시키는 증속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속수단은, 상기 와이어 드럼의 중심축과 축연결 된 고정기어와,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하고, 상기 와이어드럼 내측에 고정연결된 연결축에 의해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기어 주위를 공전하는 공전기어와, 상기 공전기어와 축연결된 제n입력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n전동기어와, 상기 제n전동 기어와 치합하고 상기 제n전동기어의 기어수 보다 적은 기어수를 가지는 제n피동기어와, 상기 제n피동기어와 축연결된 제n+1입력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n+1전동기어와, 상기 제n+1전동기어의 기어수 보다 적은 기어수를 가지며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는 제n+1피동기어를 포함하는 증속기어유닛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상기 와이어 드럼은 전도성 비자성체 재질이며,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와이어 드럼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증속수단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회동하며,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삽입홈에 각각 고정삽입되는 고정자석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에는, 그 내부에 이동자석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이동자석이 그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그 깊이가 상기 이동자석의 높이보다 깊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외부를 감싸는 이탈방지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이탈방지커버는 알루미늄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외부의 구조물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결고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나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700)는 사용자 착용을 위한 착용벨트(110)가 마련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서 그 위치가 고정된 중심축(410; 도3참조)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와이어(600)가 감겨있는 원통형의 와이어 드럼(200)과, 이 와이어 드럼(2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 드럼(200)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수단(300; 도3참조)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600)는 상기 와이어 드럼(200)의 외주면을 따라 일단이 고정된 채 감겨있으며, 타단은 상기 하우징(100)의 출수구(130)를 통해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상기 와이어 드럼(200)은 외부로 인출된 상기 와이어(600)가 풀림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 드럼(200)은 서포트 플레이트(24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서포트 플레이트(240)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245)에 의해 하우징(100)에 체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는 인출되는 와이어 드럼(200)과 연결된 보조제동부재(50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제동부재(500)는 한 쌍의 평행판(510)과, 이 한 쌍의 평행판(510)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롤러(520) 및 복수의 고정롤러(520) 사이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자유롤러(53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평행판(51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각각의 평행판(510) 중앙부에 자유롤러(53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자유롤러 가이드 홀(free roller guide hall;540)이 형성되며, 이 자유롤러 가이드 홀(540) 상부 및 하부에는 고정롤러(520)가 체결될 고정롤러 체결홀(550)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고정롤러(520)는 평행판(510) 사이에 삽입되어 각각의 평행판(510)에 형성된 고정롤러 체결홀(550)에 체결된다.
상기 고정롤러(520)는 평행판(510)에 체결되어 그 위치만이 고정되고, 고정롤러(520)의 외주면에서 와이어(600)와 접촉하여, 와이어(600)가 풀리게 되면 고정롤러(520)도 함께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자유롤러(530)는 한 쌍의 평행판(510) 사이에 삽입되며, 자유롤러 가이드 홀(540)에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 자유롤러(530)는 자유롤러(530)의 상하부에 마련된 고정롤러(520) 사이에서 와이어(600)와 자유롤러(530)의 외주면이 접촉하여 와이어(600)가 풀리게 되면 자유롤러(530)도 함께 회전을 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보조제동부재(500)에 의한 와이어(600)의 제동 조절을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와이어 드럼(200)으로부터 풀린 와이어(600)는 보조제동부재(500)를 통과하여 와이어 출수구(130)로 빠져 나간다. 이 때, 보조제동부재(500)를 통과하는 와이어(600)는 복수의 고정롤러(520)와 적어도 하나의 자유롤러(530)를 회전시키며 통과하는데, 먼저 하부 고정롤러(520b)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하부 고정롤러(520b)를 회전시키며 자유롤러(530)의 타측 외주면으로 보내진다.
상기 자유롤러(530)의 타측 외주면에 접촉되어 풀려지는 와이어(600)는 자유롤러(530)를 회전시키며, 자유롤러(530) 상부에 있는 상부 고정롤러(520a)의 일측 외주면을 따라 상부 고정롤러(520a)를 회전시키며 와이어 출수구(130)로 빠져 나간다. 즉, 고정롤러(520)와 자유롤러(530)를 통과하는 와이어(600)는 고정롤러(520) 및 자유롤러(530) 사이를 엇갈려 통과한다.
여기서, 자유롤러(530)는 평행판(510)에 형성된 자유롤러 가이드 홀(540)에서 좌우로 이동하며 와이어(600)의 풀림속도를 제어한다.
즉, 자유롤러(530) 가이드 홀(540) 상에서 자유롤러(530)가 고정롤러(520)와 일자로 되는 위치보다 고정롤러(520)와 일정한 각을 갖도록(즉, 자유롤러(530)와 이 자유롤러(530)의 상하에 위치한 고정롤러(520)가 삼각형 형태를 갖도록) 위치하게 되면 엇갈려 고정롤러(520) 및 자유롤러(530)에 접촉한 와이어(600)는 장력이 크게 작용하여 그 풀림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덧붙여,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는 외부의 구조물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결고리(1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와이어 드럼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증속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제동수단을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700)의 와이어 드럼(200) 내부에는, 상기 중심축(410)과 연결되어 출력축(490)의 각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증속수단(400)과, 상기 출력축(490)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제동수단(3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700)는 상기 증속수단(400)을 지지하는 지지유닛(27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심축(410)은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40)와 고정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 드럼(200)과는 지지 베어링을 구비하여 회전가능하게 관통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동수단(300)의 출력축(490)의 반대편 축인 이동축(390)은 지지 베어링을 구비하여 상기 와이어 드럼(200)과 회전가능하게 관통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240)와는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증속수단(400)은, 기어수가 각각 다른 다수개의 기어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출력축(490)의 각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와이어 드럼(200)의 중심축(410)과 축연결 된 고정기어(420)와, 상기 고정기어(420)와 외부로 치합하면서 공전하는 공전기어(430) 및 이 공전기어(430)와 연결되는 증속기어유닛(45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전기어(430)는 상기 고정기어(420)와 치합하며, 상기 와이어 드럼(200) 내측과 고정연결된 연결축(435)과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공전기어(430)는 상기 와이어 드럼(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기어(420) 주위를 공전하게 된다.
상기한 증속기어유닛(45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증속기어유닛(450)은, 상기 공전기어(430)와 제1입력축(441)을 중심으로 축연결되어 상기 공전기어(430)의 자전하는 각속도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전동기어(442)와, 상기 제1전동기어(442)와 외부로 치합하고 상기 제1전동기어(442)의 각속도보다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전동기어(442)의 기어수 보다 적은 기어수를 가지는 제1피동기어(44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증속기어유닛(450)은, 상기 제1피동기어(443)와 제2입력축(451)을 중심으로 축연결되어 상기 제1피동기어(443)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전동기어(452)와, 상기 제2전동기어(452)와 외부로 치합하고 상기 제2전동기어(452)의 각속도보다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전동기어(452)의 기어수 보다 적은 기어수를 가지는 제2피동기어(453)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하여 상기 증속기어유닛(450)은 제3입력축(461), 제3전동기어(462), 제3피동기어(463)를 더 구비하여 출력축(490)의 각속도를 더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증속기어유닛(450)의 상기한 입력축과 전동기어 및 피동기어의 수는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원하는 출력축(490)의 각속도에 따라 그 갯수를 달리하여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동수단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제동수단(300)은 상기 와이어 드럼(2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증속수단(400)의 출력축(490)과 연결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삽입홈(315)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회전체(350)와, 상기 회전체(350)의 삽입홈(315)에 각각 고정삽입되는 고정자석(31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회전체(350)에는 그 내부에 이동자석(320)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이동자석(320)이 그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그 깊이가 이동자석(320)의 높이보다 깊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수용홈(3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다수개의 수용홈(325)에 삽입되는 이동자석(320)은, 본 발명의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700)의 제동력을 상기 와이어 드럼(200)의 회전속도에 따라 그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회전체(350)의 회전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자석(320)이 외주면 방향으로 원심력에의해 이동을 하게 되면 이에 따라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길어지고 와이어 드럼(200)과의 거리는 짧아지게 되어 상기 회전체(350)의 제동 자기저항력이 더 증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350)의 외부에는 상기 고정자석(310)과 이동자석(320)이 회전체(350)의 회전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체(350)의 외부를 감싸는 이탈방지커버(3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 드럼(200)과 이탈방지커버(330)는 전도성 비자성체로서 그 재질은 알루미늄 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한 제동수단(300)의 제동원리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동수단(300)은 전도성 비자성체인 상기 와이어 드럼(200)의 내부에 고정자석(310)과 이동자석(320)을 구비한 회전체(350)를 장착하여 상기 출력축(490)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킬 때 발생되는 자기장 및 유도전류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것이다.
전도성 비자성체인 상기 와이어 드럼(200) 내부에서 상기 회전체(35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고정자석(310)과 이동자석(320)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드럼(200)과 상기 회전체(350) 사이 및 회전드럼에 자기장 및 유도전류가 형성되고, 이 자기장 및 유도전류에 의해 자기저항이 발생 되어 자기장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체(350)의 회전을 제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자석에 의한 제동원리는 통상적인 발전기의 원리 및 유도전류에 관한 원리를 응용한 것으로서, 상기 제동수단(300)의 자기저항은 상기 전도성 비자성체인 와이어 드럼(200) 내에서 상기 회전체(350)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드럼에서 유도 전류(와전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 유도전류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회전체(350)는 회전이 제동 되어,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 드럼(200)의 와이어(600)의 풀림이 제동된다. 게다가 이러한 상기 제동수단(300)의 제동은 상기 회전체(350)의 각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기장의 변화도 증가하고, 이에 따라 그 제동력이 더 크게 되어, 본 발명의 제동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와이어 드럼(200)과 이탈방지커버(330)가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 드럼(200) 내부에 발생되는 열 등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는 상기 증속수단 없이도 상기 제동수단만으로도 안정적이고 신뢰감있게 제동가능하며, 상기 증속수단을 통해 더 큰 각속도를 얻음으로써 상기 제동수단의 제동능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의 사용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인출된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된 연결부(740)를 구조물에 연결시켜 착용벨트에 의해 사람의 가슴 또는 등에 착용하여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연결고리(120)에 의해 외부구조물에 고정시킨 후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와이어를 통해 하강할 수 있어 비상 상황에 처했을 때 그때의 상황과 주변 구조물 등에 따라 하강방법을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700)에는 인출되는 부분의 와이어(600)에 연결되는 완충부재(710)와, 일단이 상기 완충부재(7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부(740)에 연결되는 강섬유(720)가 마련되어 있으며, 하강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플렉시블 호스나 자바라 등과 같은 보호호스(7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710)는 스프링이나 신축성이 있는 끈 등이 사용되며, 고층 건물에서 비상 탈출시 발생하는 수직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와이어(600)의 끊어짐 현상 등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강섬유(720)는 시멘트 등으로 된 고층 건물의 모서리 부분과 와이어(600)가 접촉하여 탈출자의 흔들림에 의한 마찰력으로 와이어(600)의 끊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고층에서 탈출을 시도하는 사람이 직접 몸에 부착하기 때문에 탈출이 용이한 지점을 선택하여 하강을 시도할 수 있다.
둘째, 와이어 풀림 속도를 조절하는 제동수단이 와이어드럼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전체적인 휴대와 보관이 편리해진다.
셋째, 고정자석과 이동자석을 이용하여 제동의 안정성이 더욱 확보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사용자 착용을 위한 착용벨트가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된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 가능한 와이어가 감겨 있으며, 상기 와이어의 풀림에 따라 회전하는 와이어 드럼; 및
    자석에 의해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수단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드럼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중심축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기어를 이용하여 출력축의 각속도를 증가시키는 증속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속수단은,
    상기 와이어 드럼의 중심축과 축연결 된 고정기어와,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하고, 상기 와이어드럼 내측에 고정연결된 연결축에 의해 상기 와이어 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기어 주위를 공전하는 공전기어와,
    상기 공전기어와 축연결된 제n입력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n전동기어와, 상기 제n전동기어와 치합하고 상기 제n전동기어의 기어수 보다 적은 기어수를 가지는 제n피동기어와, 상기 제n피동기어와 축연결된 제n+1입력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n+1전동기어와, 상기 제n+1전동기어의 기어수 보다 적은 기어수를 가지며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는 제n+1피동기어를 포함하는 증속기어유닛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드럼은 전도성 비자성체 재질이며,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와이어 드럼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증속수단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회동하며,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삽입홈에 각각 고정삽입되는 고정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는,
    그 내부에 이동자석이 삽입되고, 삽입된 상기 이동자석이 그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그 깊이가 상기 이동자석의 높이보다 깊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외부를 감싸는 이탈방지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드럼과 상기 이탈방지커버는 알루미늄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외부의 구조물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연결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
KR1020060049908A 2005-10-24 2006-06-02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 KR100832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0413 2005-10-24
KR20050100413 2005-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344A KR20070044344A (ko) 2007-04-27
KR100832414B1 true KR100832414B1 (ko) 2008-05-26

Family

ID=38178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908A KR100832414B1 (ko) 2005-10-24 2006-06-02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4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463B1 (ko) * 2015-02-25 2016-12-1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완강장치
CN110420399A (zh) * 2019-08-26 2019-11-08 王若凡 高层楼宇逃生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5998A (en) * 1977-01-10 1978-07-28 Mitsubishi Heavy Ind Ltd Apparatus for permitting escapement from high place
JPH03184568A (ja) * 1989-12-14 1991-08-12 Meizu Prod:Kk 緊急時脱出装置
KR910015317A (ko) * 1990-02-21 1991-09-30 김광식 휴대용 안전 하강장치
JPH10127798A (ja) * 1996-11-01 1998-05-19 Yoshiharu Takayanagi 避難用の緩降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5998A (en) * 1977-01-10 1978-07-28 Mitsubishi Heavy Ind Ltd Apparatus for permitting escapement from high place
JPH03184568A (ja) * 1989-12-14 1991-08-12 Meizu Prod:Kk 緊急時脱出装置
KR910015317A (ko) * 1990-02-21 1991-09-30 김광식 휴대용 안전 하강장치
JPH10127798A (ja) * 1996-11-01 1998-05-19 Yoshiharu Takayanagi 避難用の緩降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344A (ko) 200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2570B2 (en) Personal escape device with eddy current braking
US11123580B2 (en) Line dispensing device with Eddy current braking for use with climbing and evacuation
EP2777771B1 (en) Fall Protection Safety Device with a Braking Mechanism
US1126025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nergy using fall protection devices
CN206700524U (zh) 受控下降装置及其所用的离心制动机构以及滚筒装置
WO2005094181A2 (en) Portable apparatus for controlled descent
JP2014140780A (ja) 非常脱出装置
US10981760B2 (en) Centrifugal brake mechanism
KR10043011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138660B2 (ja) 可変速救命装置
KR100832414B1 (ko)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장치
JP2005511214A5 (ko)
JP2005518846A (ja) 個人降下装置
CA2470126C (en) Constant velocity rappelling device with braking device
US20100163343A1 (en) Personal escape device
KR100891451B1 (ko) 비상 탈출 용 완강기
JP2006187503A (ja) 緩降機
KR200384048Y1 (ko)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
KR100599168B1 (ko) 고층 건물 비상 탈출용 안전기구
RU2422173C1 (ru) Спас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334665Y1 (ko) 피난 로프 완강기
JPH0780091A (ja) 緊急避難用降下脱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910

Effective date: 2008041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