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149B1 - 가동식 패널들을 지니는 이동 통신 장치용 소프트 키들 - Google Patents

가동식 패널들을 지니는 이동 통신 장치용 소프트 키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149B1
KR100832149B1 KR1020047012392A KR20047012392A KR100832149B1 KR 100832149 B1 KR100832149 B1 KR 100832149B1 KR 1020047012392 A KR1020047012392 A KR 1020047012392A KR 20047012392 A KR20047012392 A KR 20047012392A KR 100832149 B1 KR100832149 B1 KR 10083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unction
key
electronic device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453A (ko
Inventor
안드레아 핀케-안라우프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65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6Arrangements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integrated keyboard for transport,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장치(1)에는 몸체(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몸체(2)는 스크린(3), 상기 스크린(3)에 고정된 제1 패널(5), 및 상기 제1 패널(5)에 대한 피보트가능한 이동을 위해 상기 몸체(2) 상에 장착된 제2 패널(6)을 지닌다. 상기 제2 패널(6)은 상기 이동 통신 장치의 선택된 기능에 의존하여 열리거나 닫힌다. 감지기는 상기 제2 패널(6)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2 패널(6)의 위치에 의존하여 변형 기능들을 지니는 소프트 키(20-22)들이 제공되어 있다.

Description

가동식 패널들을 지니는 이동 통신 장치용 소프트 키들{Soft keys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moveable panels}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0년 5월 31일자 출원되었으며 현재 2003년 6월 17일자 미국 특허 제6,580,932호로 허여된 출원 제09/584,297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또한, 본 출원은 출원 제09/584,297호의 일부 계속 출원인, 2001년 5월 16일자 출원된 출원 제09/859,067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이동 전화들 및 유사한 통신 장치들의 사용 및 기능이 급속하게 확장되고 있다. 그러한 장치들은 전화 통신 외에도, 인터넷 연결, 개인 정보 관리, 팩시밀리, 메시징 기능들을 곧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이동 장치에 적합한 보다 복잡한 용도들과 겸용될 수 있는 키보드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버튼들 및 키들의 어레이를 타이핑하는 일반적인 쿼티(QWERTY)와 같은 완전 기능 키보드들은 이동 장치에 필요한 소형 크기를 유지 및 제공하기가 곤란하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그같은 장치들은 다루기 어렵고 종종 사용자의 몸에 이동 장치를 휴대하기 위한 별개의 벨트 파우치(belt pouch)를 종종 필요로 한다. 그 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적응을 위해 스크린 디스플레이들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장치에 적합한 신규 용도들을 수용하도록 완전 기능 키보드를 제공하는 간단하고 값싼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동 통신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신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가시 스크린(viewing screen)이 내부에 장착된 몸체를 지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패널은 상기 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완전 기능 키보드의 제1 절반 및 백 커버(back cover)를 포함한다. 제2 패널은 2가지 위치들, 즉, 닫힌 위치 및 열린 위치 간의 회전을 위해 상기 몸체 상에 피보트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 패널은 내측 면 및 외측 면이 상기 패널의 양측 면 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패널의 양측 면은 상기 내측 면이 상기 제1 패널의 키보드에 대면하고 상기 외측 면이 닫힌 위치에서 노출되도록 위치되어 있다. 열린 위치에서, 상기 제2 패널은 상기 외측면이 이동 전화의 사용자와는 반대 방향으로 대면하지만 상기 내측면이 노출되도록 대략 180°로 피보드된다.
상기 장치가 통신 장치로서 동작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통신 키패드는 상기 제2 패널의 외측 면에 형성된다. 완전 기능 키보드의 제2 절반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 면은 열린 위치에서 상기 제1 패널의 키보드와 동작적인 면에서 연결되는 키보드를 포함한다. 스크린은 상기 제2 패널의 각각의 위치에서 노출된 상태에 있다. 상기 스크린 상에 나타나 있는 디스플레이는 패널들의 위치와 일치하는 방식으로 배향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동식 제2 패널과 동작적인 면에서 연결된 스위치는 상기 제2 패널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장치의 마이크로프로 세서 제어기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기에 의해, 이러한 정보는, 상기 제2 패널이 위치되게 하는 용도와 일치하도록 키들의 기능을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소프트 키들의 어레이는 편리한 사용을 위해 디스플레이의 몸체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소프트 키들은 상기 제2 패널의 위치에 의존하여 서로 다른 기능들을 지닌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3개의 소프트 키들의 어레이는 디스플레이의 하부에서 이용가능한 2개의 키들 및 디스플레이의 상부에서 이용가능한 제3 키가 항상 존재하도록 사용자의 주변에 위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키 패턴은 상기 장치의 배향과는 무관하게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배향은 상기 제2 패널의 위치에 의존하여 수평 또는 수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 동작 모드 모두에서 특정의 상대적인 위치에 있는 키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키 기능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좌측 또는 우측 상부 키는 전원 키이며 하부 우측 및 좌측 키들은 각각 신속한 선택 프로파일들을 열기 위한 소프트 키로서 동작한다. 각각의 키에는 서로 다른 키 기능들에 대하여 서로 다른 메뉴가 할당될 수 있다.
먼저, 제2 패널이 닫힌 경우, 예를 들면, 이동 전화로서의 상기 장치의 사용을 고려하면, 소프트 키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부 좌측, 하부 우측 및 상부 좌측에 배열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부 좌측 키는 전원 온/오프 키로서 동작한다. 하부 우측 및 좌측 키들은 신속한 선택 프로파일들 및 메뉴들을 열기 위한 소프트 키로서 동작한다. 예를 들면, 선택될 수 있는 하부 키들의 한가지 기능은 상하 및 좌우 스크롤 키들로서의 기능이다. 다른 변형 기능들은 제공되는 용도들에 의존하여 창안될 수 있다.
제2 패널이 열린 경우, 상기 하부 소프트 키들의 할당된 기능은 상기 제2 패널이 열린 경우의 상기 장치의 사용 배향에 의존하여 상기 제어기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새롭게 위치된 하부 좌측 및 우측 키들에 할당된 기능들은 닫힌 위치에서의 이들 위치에 배치된 키들과 동일한 기능들이다. 상부 키는 상부 우측으로 이동하여 전원 키가 된다. 장치 제어기는 닫힌 위치에서와 같이, 제2 패널의 열린 위치에서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대적인 키 위치에서 유사한 집합의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소프트 키에서 이용가능한 키 기능들의 할당을 조정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닫힌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통신 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열린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통신 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a는 닫힌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통신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b는 닫힌 위치에서의 디스플레이 배향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c는 열린 위치에서의 디스플레이 배향을 개략적으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바와 같은 통신 장치의 제어 시스템에 대한 블록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제2 패널이 닫힌 상태에서 소프트 키들의 어레이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제2 패널이 열린 상태에서 도 6의 실시예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이동 통신 장치에는 완전 기능 키보드가 구비되어 있다. 예시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 전화를 참조하여 설명되겠지만, 페이저들, 게임 유닛들 따위와 같은 다른 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전화(1)는 몸체(2)를 지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는 스크린(3)을 에워싸고 있으며, 상기 스크린(3)은 사용자에 의한 동작들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관련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디스플레이(4)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 전화(1)는 2개의 패널(5,6)들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패널(5,6)들은 상기 몸체(2)에 장착되어 있다. 도 3에서, 패널(5)은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몸체(2)에 고정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또한 상기 몸체(2)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패널(6)은 상기 몸체(2)를 축으로 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x-x 축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닫힌 위치로서 언급되는 제1 위치에서, 패널(6)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5)과의 겹침 정렬(overlapping alignment) 상태로 회전된다. 회전하는 패널(6)은 2개의 대항하는 평탄한 면(7,8)들을 지닌다. 상기 면(7)은 상기 패널(6)이 닫힌 위치에 있을 때 내측 면이고 상기 면(8)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외측 면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8)은 상기 이동 전화(1)가 엄밀히 말하면 통신 모드로 동작할 경우에 사용하기 위한 일반 전화 키패드(9)를 포함한다. 닫힌 위치에서, 상기 장치는 스크린(3)의 디스플레이(4)가 키패드(9)와의 정렬 관계로 배향된 일반 동작 이동 전화로서 동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완전 기능 키보드를 제공하기 위하여, 특정 용도에 사용되는 키 및 버튼 어레이(12)는 절반으로 분할되어 좌우측의 키보드 부분(10,11)들 상에 배치된다. 상기 키보드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키보드는 양손의 엄지 손가락 작동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양손으로 상기 소형 장치를 잡고 키보드 부분(10,11)들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편리하게 한다.
도 3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키보드 부분(10)은 전화 키패드(9)의 반대측 상의 회전하는 패널(6)의 면(7) 상에 형성된다. 우측의 키보드 부분(11)은 패널(5)의 상부 면(13) 상에 형성된다. 상기 패널(5)의 면(14) 상에는 백 커버(back cover)가 조립된다. 닫힌 위치에서의 패널(5,6)들의 압착 맞물림(compact engagement)을 보장하기 위하여, 대항하는 패널 면(7,13)들 상의 키 어레이(12)의 부분들이 닫힌 위치에서의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을 회피하기 위해 오프셋되어 있다.
키보드 어레이(12)를 동작시키기 위해, 패널(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3)에 의해 분리된 좌우측의 키보드 부분들을 지니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유닛을 형성하도록 열린 위치에 대하여 대략 180°회전된다. 좌우측의 부분들을 양손으로 잡음으로써, 키보드, 결과적으로는 확장된 키보드는 엄지 손가락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동작될 수 있다. 열린 위치에서, 상기 패널(6)의 외측 면(8)은 사용자와는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스크린(3)의 디스플레이(4)는 사용 모드에 의존하는 2가지 위치들로의 배향 을 위해 제어된다. 닫힌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4)는 키패드(9)와의 정렬 관계로 배향되며, 열린 위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4)는 기능 키 어레이(12)와 정렬된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배향은 패널(6)이 닫힌 위치에 있게 하는 이동 전화 모드 및 패널(6)이 열린 위치에 있을 때의 완전 기능 모드 간에 90°회전된다. 이는 패널 위치 표시자(15)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패널 위치 표시자(15)는 상기 패널(6)이 열리거나 닫힐 경우 제어 유닛(16)에 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어 유닛(16)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또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다른 수단일 수 있다. 이는 자동적일 수도 있고 수동 버튼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 유닛(16)은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배향하도록 디스플레이 제어기(17)에 신호를 보낸다. 그 외에도, 열린 위치에서, 상기 키패드(9)는 전화 키패드 로크(telephone keypad lock; 18)에 의해 비동작 모드로 잠겨진다.
도 5에 도시된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키보드 대신에, 게임 제어기 키패드가 제공된다. 상기 게임 키보드는 패널(5,6)들 각각에 형성된 동작 버튼(19)들 및 이동 패드(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화 키패드(9)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패널(6)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통신 기능 없이 설계되어 단지 게임 유닛으로서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순하고 압착된 키보드는 동작적인 면에서 이동 통신 장치와 관련된다. 여기서 유념해야 할 점은 프랑스의 아제르티(AZERTY) 또는 독일의 퀘르츠(QWERTZ)(U)와 같은 다른 키 어레이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장 치는 또한 게임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게임 유닛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있어서, 패널 위치 표시자(15)는 상기 장치의 기능 면에서 추가적인 유연성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패널 표시자(15)는 제2 패널의 위치들 중 한 위치에서 맞물려지는 일련의 접점들일 수도 있고, 상기 위치들 중 한 위치에서 닫히거나 열리는 스위치일 수도 있다. 어떠한 작동 방식이 사용된다 하더라도, 패널 표시자(15)는 가동식 패널(6)의 위치를 표시하는 신호를 장치 제어 유닛(16)에 전송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 키(20-22)들은 스크린(3) 주변의 몸체(2)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소프트 키들이 변형적으로는 제2 패널(6)의 위치에 의존하여 서로 다른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할당되어 있다. 상기 소프트 키들의 기능들의 할당은 상기 패널 위치 표시자(15)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장치 제어 유닛(16)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프트 키(20,21,22)들의 어레이가 제공되는 데, 패널(6)이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소프트 키(20)는 스크린(3)의 상부 좌측에 있으며, 소프트 키(21)는 스크린(3)의 하부 좌측에 있고, 소프트 키(22)는 하부 우측에 있다. 이러한 위치,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가 이동 전화로서 사용되게 하는 위치에서, 사용 배향은 수직으로서 언급된다. 하부 키(21,22)들에 할당된 기능들은 선택 기능들 및 서비스들의 특정 집합들을 선택하도록 프로파일들 및 메뉴들을 통해 스크롤링하기 위한 것이 바람직하다. 키 기능들의 다른 집합은 하부 키들 각각에 할당될 수 있다. 전원 온/오프 기능은 상부 키(20)에 할당된다. 그러므로, 상기 장치의 사용자는 이러한 사용 위치에 있어서 기능들의 위치에 친숙해질 것이다.
열린 위치에서, 장치 제어 유닛(16)은 상부 좌측 키의 기능이 상부 우측으로 이동되는 동안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하부 키들의 한 집합의 기능들을 이동시키도록 소프트 키들의 기능들을 재할당한다. 도시된 장치에서, 하부 키들의 기능들은 닫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패널(6)을 이동시킬 경우 시계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장치의 동작 모드에 있는 키 기능들의 집합들 및 특정 기능의 위치에 친숙해지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열린 위치(수평 위치)에서, 키들의 어레이는 물리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부 소프트 키(수직 위치에서의 키(20))는 상부 우측에 있는 키(22)가 되지만, 하부 소프트 키들(수직 위치에서의 키(21,22)들)은 현재 키(20,21)들이다. 그러므로, 소프트 키(20)에는 하부 좌측 키의 기능들이 재할당되고 소프트 키(21)에는 하부 우측 키의 기능들이 재할당된다. 전원 온/오프 기능은 키(22)에 재할당된다.
패널(6)의 닫히고 열린 위치들에서의 변형 실시예들은 제공되는 용도들에 의존하는 다양한 조합들 및 순열들로 할당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예들은 이중 모드 장치에서 상당한 편리성을 초래하지만, 제공될 수 있는 조합들을 전부 열거하는 임의의 수단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Claims (12)

  1. 다용도로의 동작을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사용에 대해 상부 면 및 하부 면을 지니는 몸체 요소;
    사용자에게 정보를 가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몸체 요소의 상부 면에 형성된 스크린;
    상기 몸체 요소에 고정된 제1 패널;
    열린 위치 및 닫힌 위치 간의 이동을 위해 상기 몸체 요소 상에 장착된 제2 패널로서, 제1 면 및 제2 면을 지니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닫힌 위치에서 사용자가 접근하기 쉽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열린 위치에서 사용자가 접근하기 쉬운 제2 패널;
    상기 제2 패널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기; 및
    상기 제2 패널의 열린 위치 및 닫힌 위치에서 노출되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 요소의 상부 면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제2 패널의 위치에 의존하여 변형 기능들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로의 동작을 위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패널의 닫힌 위치에서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기능 및 상기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제2 패널의 위치에 따른 변형 기능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기능을 조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로의 동작을 위한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는 소프트 키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키들 각각에는 한 집합의 키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할당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의 상기 제2 패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어레이 내의 다른 소프트 키에 재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로의 동작을 위한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상기 스크린의 주변에 위치된 3개의 소프트 키들로 구성되며, 상기 한 집합의 기능들이 상기 키들 사이에서 분할되고, 상기 한 집합의 키 기능들은,
    제1 메뉴에 접근하여 상기 제1 메뉴를 통해 스크롤링하는 제1 키 기능으로서, 상기 제1 메뉴는 제1 집합의 옵션들을 지니는 제1 키 기능;
    제2 메뉴에 접근하여 상기 제2 메뉴를 통해 스크롤링하는 제2 키 기능으로서, 상기 제2 메뉴는 제2 집합의 옵션들을 지니는 제2 키 기능; 및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3 키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로의 동작을 위한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뉴에 대한 기능 키들은 상기 스크린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온/오프 동작을 위한 기능 키는 상기 스크린의 상부 주변에 인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로의 동작을 위한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키 기능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게끔 상기 한 집합의 키 기능들을 재할당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로의 동작을 위한 전자 장치.
  7. 다용도로의 동작을 위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사용에 대해 상부 면 및 하부 면을 지니는 몸체 요소;
    사용자에게 정보를 가시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몸체 요소의 상부 면에 형성된 스크린;
    상기 몸체 요소에 고정된 제1 패널;
    열린 위치 및 닫힌 위치 간의 이동을 위해 상기 몸체 요소 상에 장착된 제2 패널로서, 제1 면 및 제2 면을 지니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닫힌 위치에서 사용자가 접근하기 쉽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열린 위치에서 사용자가 접근하기 쉬운 제2 패널;
    상기 제2 패널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기;
    상기 제2 패널의 열린 위치 및 닫힌 위치에서 노출되는 위치에서 상기 몸체 요소의 상부 면 상에 장착되는 소프트 키들의 어레이로서, 소프트 키들 각각에는 한 집합의 키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할당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기능이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의 상기 제2 패널의 이동에 따라 상기 어레이 내의 다른 소프트 키에 재할당되는 소프트 키들의 어레이; 및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으로서, 상기 감지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패널의 위치들 중 어느 한 위치에서 상기 스크린에 대한 상기 키 기능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게끔 상기 한 집합의 키 기능들을 재할당하도록 동작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로의 동작을 위한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는 상기 스크린의 주변에 위치된 3개의 소프트 키들로 구성되며, 상기 한 집합의 키 기능들이 상기 키들 사이에서 분할되고, 상기 한 집합의 키 기능들은,
    제1 메뉴에 접근하여 상기 제1 메뉴를 통해 스크롤링하는 제1 키 기능으로서, 상기 제1 메뉴는 제1 집합의 옵션들을 지니는 제1 키 기능;
    제2 메뉴에 접근하여 상기 제2 메뉴를 통해 스크롤링하는 제2 키 기능으로서, 상기 제2 메뉴는 제2 집합의 옵션들을 지니는 제2 키 기능; 및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3 키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로의 동작을 위한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뉴에 대한 기능 키들은 상기 스크린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온/오프 동작을 위한 기능 키는 상기 스크린의 상부 주변에 인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로의 동작을 위한 전자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보드는 2개의 섹션(section)들로 분할되고, 상기 섹션들 중 한 섹션은 상기 제1 패널의 상부 면 상에 장착되며, 상기 섹션들 중 나머지 섹션은 상기 제2 패널의 제2 면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적어도 제1 및 제2 소프트 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소프트 키들이 상기 몸체 요소 상에 위치되어 온/오프 기능이 상기 전자 장치의 배향 변화에 불구하고 상기 스크린에 대한 동일한 상대적인 위치에 있는 소프트 키에 할당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보드는 2개의 섹션(section)들로 분할되고, 상기 섹션들 중 한 섹션은 상기 제1 패널의 상부 면 상에 장착되며 상기 섹션들 중 나머지 섹션은 상기 제2 패널의 제2 면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047012392A 2002-11-01 2003-10-31 가동식 패널들을 지니는 이동 통신 장치용 소프트 키들 KR100832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85,947 2002-11-01
US10/285,947 US6801796B2 (en) 2000-05-31 2002-11-01 Soft keys for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moveable pane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453A KR20050065453A (ko) 2005-06-29
KR100832149B1 true KR100832149B1 (ko) 2008-05-27

Family

ID=32228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392A KR100832149B1 (ko) 2002-11-01 2003-10-31 가동식 패널들을 지니는 이동 통신 장치용 소프트 키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801796B2 (ko)
EP (1) EP1556960B1 (ko)
JP (1) JP2006505840A (ko)
KR (1) KR100832149B1 (ko)
CN (1) CN100429871C (ko)
AT (1) ATE444597T1 (ko)
AU (1) AU2003278425A1 (ko)
BR (1) BR0307296A (ko)
CA (1) CA2474008C (ko)
DE (1) DE60329517D1 (ko)
TW (1) TWI322611B (ko)
WO (1) WO20040407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8300B1 (en) * 2000-11-09 2005-08-09 Palmsour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flexible configuring of notifications and activation
US6795304B1 (en) * 2001-04-27 2004-09-21 Palmone, Inc. Keyboard sled with rotating screen
US7159194B2 (en) * 2001-11-30 2007-01-02 Palm, Inc. Orientation dependent functionality of an electronic device
US6888532B2 (en) * 2001-11-30 2005-05-03 Palmone, Inc. Automatic orientation-based user interface for an ambiguous handheld device
US7257430B2 (en) * 2002-05-11 2007-08-14 Motorola, Inc.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221330B2 (en) * 2002-12-09 2007-05-22 Nokia Corporation Folding terminal with slider to fix terminal in a flat unfolded configuration
US8019388B2 (en) * 2003-02-06 2011-09-13 Flextronics Ap, Llc Main menu navigation principle for mobile phone user
WO2004075428A2 (en) * 2003-02-19 2004-09-02 Flextronics Sales & Marketing (A-P) Ltd. Personal entertainment device (ped) with double-opening flap
WO2005043506A1 (en) * 2003-10-30 2005-05-12 Pepper Computer, Inc. Pad computer
JP2005260858A (ja) * 2004-03-15 2005-09-22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US7774029B2 (en) * 2004-07-10 2010-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a wireless terminal
KR200367293Y1 (ko) * 2004-08-05 2004-11-09 백남용 상, 하 양 방향구동의 슬라이드 휴대단말기
KR20060099982A (ko) * 2005-03-15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복합기 및 그 정보표시방법
US7983723B2 (en) 2005-06-15 2011-07-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losed mode user interfa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7409236B1 (en) 2005-08-25 2008-08-05 Kyocera Wireless Corp.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extendable visual display
US9378343B1 (en) 2006-06-16 2016-06-28 Nokia Corporation Automatic detection of required network key type
US8005518B1 (en) * 2006-12-21 2011-08-23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nfigurable multi-dimensional media device
US20080287157A1 (en) * 2007-05-15 2008-11-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and methods using the same
US8384671B2 (en) * 2008-01-07 2013-02-26 Mark Shkolnikov Split QWERTY keyboard with reduced number of keys
KR101420801B1 (ko) * 2008-01-17 2014-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TWI424307B (zh) * 2009-04-29 2014-01-21 E Ink Holdings Inc 具可動式輸入裝置之電子產品
USD766241S1 (en) * 2014-10-31 2016-09-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Keypad with illuminated reg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5474B1 (en) 1998-07-27 2001-04-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with mode change softkey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5776C (fi) 1990-08-20 1992-05-25 Nokia Oy Ab Transportabel personlig arbetsstation.
US5644338A (en) 1993-05-26 1997-07-01 Bowen; James H. Ergonomic laptop computer and ergonomic keyboard
JP2833964B2 (ja) * 1993-06-28 1998-12-0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畳型携帯電話機
US5584054A (en) * 1994-07-18 1996-1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able front cover for expo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US5715524A (en) 1995-02-06 1998-02-03 Motorola, Inc. Radio communication device with movable housing element control
KR0144390B1 (ko) * 1995-08-16 1998-08-01 김광호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통화키를 이용한 다기능 구현방법
EP1853051B1 (en) * 1996-02-26 2009-12-16 Nokia Corporation Radio telephone
GB9622349D0 (en) 1996-10-28 1997-01-08 Therefore Limited Hand held computer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WO1998019434A1 (en) 1996-10-29 1998-05-07 Ericsson Inc. Tele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dual keypads
FI114267B (fi) 1998-01-29 2004-09-15 Nokia Corp Elektroninen laite ja menetelmä tietojen näyttämiseksi
FR2775857A1 (fr) 1998-03-03 1999-09-03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 electronique a clavier variable
JP3437806B2 (ja) 1998-10-26 2003-08-1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携帯用電子機器、電源アダプタ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6542721B2 (en) 1999-10-11 2003-04-01 Peter V. Boesen Cellular tele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pager unit
AU2001247930A1 (en) * 2000-04-04 2001-10-15 Nokia Mobile Phones Limited A method and apparatus for a dynamic keypad display
US20020006815A1 (en) 2000-05-31 2002-01-17 Andrea Finke-Anlauff Foldable keyboard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6580932B1 (en) * 2000-05-31 2003-06-17 Nokia Mobile Phones Limited Foldable keyboard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FI20010681A (fi) * 2001-04-02 2002-10-03 Nokia Corp Kokoontaitettava elektroniikkalai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5474B1 (en) 1998-07-27 2001-04-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with mode change softke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78425A1 (en) 2004-05-25
ATE444597T1 (de) 2009-10-15
CA2474008A1 (en) 2004-05-13
EP1556960B1 (en) 2009-09-30
US20030087663A1 (en) 2003-05-08
TWI322611B (en) 2010-03-21
CN100429871C (zh) 2008-10-29
BR0307296A (pt) 2004-12-21
TW200414743A (en) 2004-08-01
JP2006505840A (ja) 2006-02-16
EP1556960A4 (en) 2006-03-15
WO2004040786A1 (en) 2004-05-13
KR20050065453A (ko) 2005-06-29
CA2474008C (en) 2012-04-10
CN1692564A (zh) 2005-11-02
US6801796B2 (en) 2004-10-05
DE60329517D1 (de) 2009-11-12
EP1556960A1 (en) 200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149B1 (ko) 가동식 패널들을 지니는 이동 통신 장치용 소프트 키들
EP1161062B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JP3123490B2 (ja) 携帯通信装置および表示情報選択方法
EP1583330B1 (en) Mobile electronic equipment
US20050124387A1 (en) Portable apparatus user interface
EP1263192A2 (en) Foldable keyboard for a mobile telephone
JP2004070654A (ja) 携帯用電子機器
SE522842C2 (sv) Bärbar kommunikationsanordning med beröringskänslig skärm
KR20030051665A (ko) 핸드헬드 기능장치의 수단
US20040185922A1 (en) Smartphone with novel opening mechanism
GB2389477A (en) Portable telephone with rotatable display screen
EP2273764B1 (en)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moveable display/cover member
KR20010091856A (ko)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JP2003005905A (ja) 電子機器
JP2006067532A (ja) 携帯端末装置
KR100632114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방향입력장치
KR101161695B1 (ko) 회전 메커니즘을 통해 각 기능 인터페이스 요소에 대한액세스를 제공하는, 셀룰러 폰, 디지털 카메라 및 pda를통합한 디바이스
JPH1065786A (ja) 携帯無線装置
WO2005114965A1 (en) Smartphone with novel opening mechanism
KR100718258B1 (ko) 게임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휴대용 통신장치
KR101351488B1 (ko) 이동통신단말기
JP2004312319A (ja) 携帯端末装置
KR2008010877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KR20080110299A (ko)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