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299A -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0299A
KR20080110299A KR1020070058872A KR20070058872A KR20080110299A KR 20080110299 A KR20080110299 A KR 20080110299A KR 1020070058872 A KR1020070058872 A KR 1020070058872A KR 20070058872 A KR20070058872 A KR 20070058872A KR 20080110299 A KR20080110299 A KR 20080110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touch screen
mode
dome switch
scree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혁
임중혁
김태중
김진수
정하율
김남수
황창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8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0299A/ko
Publication of KR20080110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2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홈; 상기 키 홈 내에 설치되는 돔 스위치들; 및 상기 키 홈 내에 수용되는 터치 스크린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돔 스위치들은 상기 키 홈의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의 네 모서리 중 하나가 조작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돔 스위치가 작동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모듈과 돔 스위치들이 적층된 구성으로서, 휴대용 전자 기기의 표면적을 적게 차지하면서 더 많은 입력 장치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전자 기기를 소형화시키면서 그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용이함과 아울러,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전자 기기에 집적되더라도 각각의 기능에 적합한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자 기기,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돔 스위치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INPUT DEVICE FOR PORTABLE ELECTRIC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휴대용 전자 기기 101 : 하우징
113 : 키 홈 102 : 터치 스크린 모듈
123 : 터치 스크린 131 : 돔 스위치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패드 등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해 사용하게 되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각종 정보의 저장, 게임, 동영상 감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하는 전자 기기로서, 통신 기능이 탑재된 전자 기기라면 이동통신 서비스 업자로부터 제공되는 통신 및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는 전자 수첩,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셀룰러 폰(cellular phone), 노트북 PC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최근에는 셀룰러 폰과 같은 이동통신 전자 기기의 기능이 다양하게 확대되면서, 이동통신 전자 기기 하나만으로 음성 통화 등의 통신 기능으로부터 소액 결재와 같은 금융 업무, 게임/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의 콘텐츠(contents) 등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즉, 이동통신 전자 기기는 초기에 음성 통화나 단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쳤으나, 전자기기가 소형화되고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이동통신 전자 기기 자체에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금융 업무를 가능하게 하는 보안 기능, 게임/동영상 등을 즐길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능 등이 탑재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기기에 집적화되면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입력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즉, 통신 모드에서는 상대방 전화번호나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의 검색 및 선택에 이용되는 내비게이션 키가 요구되며, 멀티미디어 모드에서는 멀티미디어 파일 탐 색, 재생/정지, 일시 정지 등의 조작을 위한 키가 요구되고, 무선 인터넷 접속, 카메라 모드 등에서는 마우스 기능이나 줌 키(zoom key) 등이 요구된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 자체의 기본 설정이나 메뉴 호출 등을 위한 기능 키들이 요구된다.
그러나 휴대용 전자 기기의 휴대성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다양한 키들을 전자 기기 자체에 설치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즉, 전자 기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 사용되는 키들을 각각 설치한다면, 휴대용 전자 기기의 외관 대부분은 각종 키들로 뒤덮여 외관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기기를 손에 쥐고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도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소형화에 부합하면서, 작동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손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를 쥘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홈;
상기 키 홈 내에 설치되는 돔 스위치들; 및
상기 키 홈 내에 수용되는 터치 스크린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돔 스위치들은 상기 키 홈의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의 네 모서리 중 하나가 조작됨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돔 스위치가 작동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자 기기(100)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자 기기(100)의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100)의 입력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홈(113)에 돔 스위치(131)들과 터치 스크린 모듈(102)을 적층시킨 구조이며, 상기 돔 스위치(131)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102)의 네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102)을 통해 메뉴 이동 및 선택, 정보의 검색 및 호출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102)의 모서리 부분을 눌러 상기 돔 스위치(131)들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102)과 는 별도로 정보를 입력하거나 메뉴 이동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돔 스위치(131)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102)의 각 변에 설치된 예가 개시되고 있다. 이때,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102)은 사각형이며, 상기 돔 스위치(131)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102) 각 변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다. 즉, 상기 돔 스위치(131)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102)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102)의 모서리 또는 각 변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 돔 스위치(131)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102)의 하부에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나, 다만 어느 하나의 돔 위치가 조작되는 때 다른 돔 스위치들이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간격을 확보해야 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100)는 바형 전자 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숫자, 문자 입력용 키패드 외에, 내비게이션 키와 내비게이션 키 주변에 메뉴 키, 통화 시작/종료 키 등을 배치한 형태의 기능성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라면, 슬라이드형 전자 기기나 폴더형 전자 기기 등 다른 형태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를 설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전자 기기(100)의 하우징(101)은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101a)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 케이스에 상기 키 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는 상기 키 홈(113)의 상측에 위치되는 표시부 케이스(101b)와, 상기 키 홈(113)의 하측에 위치되는 지지부 케이스(101c)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 케이스(101b)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15)가 설치되어 상기 전자 기기(100)의 동작 상태, 수신 메시지, 호출된 문서 정보 등을 화면상으로 출력하게 된다. 결국, 상기 키 홈(113)의 상측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5)가 설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키 홈(113) 상에 구성되는 입력 장치를 조작하는 동안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5)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100)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표시부 케이스(101b)의 상단에는 스피커 장치를 내장한 수화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 케이스(101c)에는 마이크 장치를 내장한 송화부가 설치되어 상기 전자 기기(100)는 음성 통화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키 홈(113)은 상기 돔 스위치(131)들과 터치 스크린 모듈(102)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전자 기기(100)의 외주면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사용의 편의성 등을 고려한다면, 상기 키 홈(113)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5)와 인접하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15)의 하측에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돔 스위치(131)들은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에 실장된 상태로 상기 키 홈(113)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키 홈(113)의 네 모서리에 각각 위치된다. 이때, 상기 키 홈(113)의 바닥면은 상기 하우징(101)의 후면 케이스(101a)에 형성된 지지판(111)에 의해 구성된다. 즉,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103)이 상기 지지판(111)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돔 스위치(131)들은 상기 키 홈(113)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102)은 상기 키 홈(113) 내에서 상기 전자 기기(100)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102)은 모듈 하우징(121)에 터치 스크린(123)을 설치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터치 스크린(123)은 상기 모듈 하우징(121)의 일면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모듈 하우징(121) 일면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터치 스크린(123)이 설치되지 않은 사출물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모듈 하우징(121)의 타면 네 모서리에는 각각 접촉 돌기(125; 도 3에 도시됨)들이 형성되어 상기 돔 스위치(131)와 대면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모듈 하우징(121)의 네 모서리 중 어느 한 부분을 누르게 되면, 상기 모듈 하우징(121) 중 눌러진 부분이 유동하면서 해당 부분에 형성된 접촉 돌기(125)가 상기 돔 스위치(131)들 중 하나를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터치 스크린(123)을 이용한 키 조작 및 상기 모듈 하우징(121)을 눌러 상기 돔 스위치(131)들 중 하나를 조작하여 입력 동작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입력 장치는,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102), 구체적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123)상에는 상기 돔 스위치(131)들과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돔 스위치(131)들에 할당된 기능을 의미하는 아이콘들을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터치 스크린(123)과 돔 스위치(131)들이 조합된 상태로 상기 돔 스위치(131)들에 부여된 기능들이 구현되는 것이며, 상기 전자 기기(100)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123)과 돔 스위치(131)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기기(100)는 폰 모드(phone mode),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 인터넷 모드(internet mode) 및 게임 모드 등으로 각각 동작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기기(100)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102)의 화면에 출력되는 아이콘들과 그에 상응하는 상기 돔 스위치(131)들의 기능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 기기(100)가 일반적인 이동통신 모드에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돔 스위치(131)들에는 메뉴 호출, 통화 시작/종료, 선택된 메뉴를 활성화시키는 확인 키의 기능이 부여된다면, 상기 터치 스크린(123)에는 메뉴의 이동, 화면 스크롤 등의 탐색 기능이 부여되거나, 메시지 송수신 메뉴, 전화번호부 호출, 무선 인터넷 접속 등의 핫 키(hot key)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100)가 방송 시청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돔 스위치(131)들에는 채널 조정, 음량 조절의 기능이 부여된다면, 상기 터치 스크린(123)에는 상기 돔 스위치(131)들에 각각 부여된 기능을 의미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방송 시청 중 전화가 걸려 오거나, 메시지 수신 등의 통신 요청이 있을 경우, 방송 시청 모드에서 이동통신 모드로 직접 전환할 수 있는 핫 키 기능이 상기 터치 스크린(123)의 일부 영역에 부여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자 기기(100)가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 재생 등의 멀티미디어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123)에는 재생/일시 정지, 이전 파일, 다음 파일 재생 기능이 부여됨과 아울러 해당 기능을 의미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터치 스크린(123)에 표시된 아이콘들을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감상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돔 스위치(131)들은 출력 음량을 조절하거나, 동영상 파일 재생시에는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기능이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방송 시청 모드에서와 마찬가지로, 멀티미디어 모드에서 상기 전자 기기(100)가 동작하는 동안에도 통신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드로 직접 전환할 수 있는 핫 키 기능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부여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 모드에 따른 입력 장치의 기능 설정은 실제 제품에 적용함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제품의 디자인, 동작 모드의 전환 방식, 상기 터치 스크린과 돔 스위치들 각각의 배치에 적합한 형태로 설정해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모듈 하부에 돔 스위치들을 배치시킴으로써, 전자 기기의 작동 모드, 예를 들 면 통신 모드나 멀티미디어 모드에 따라 각 작동 모드에 적합한 입력 기능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과 돔 스위치를 적층시킴으로써 휴대용 전자 기기의 표면적을 적게 차지하면서 더 많은 입력 장치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전자 기기를 소형화시키면서 그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쥘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통신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금융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전자 기기에 집적되더라도 각각의 기능에 적합한 입력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전자 기기의 사용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일면에 형성되는 키 홈;
    상기 키 홈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돔 스위치; 및
    상기 돔 스위치 상에 설치되는 터치 스크린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은 사각형이며,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사각형의 각 변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은 사각형이며,
    상기 돔 스위치는 상기 사각형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은 상기 돔 스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아이콘들을 화면으로 출력하며, 상기 아이콘들은 각각 그에 상응하게 위치된 돔 스위치의 기능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5.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폰 모드(phone mode), 멀티미디어 모드(multimedia mode), 인터넷 모드(internet mode) 및 게임 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전자 기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의 화면에 출력되는 아이콘 및 그에 상응하는 상기 돔 스위치의 기능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6.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모듈은,
    상기 키 홈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 기기 일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유동하는 모듈 하우징;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일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7.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하우징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돔 스위치들과 각각 대면하는 접촉 돌기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KR1020070058872A 2007-06-15 2007-06-15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KR20080110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872A KR20080110299A (ko) 2007-06-15 2007-06-15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872A KR20080110299A (ko) 2007-06-15 2007-06-15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299A true KR20080110299A (ko) 2008-12-18

Family

ID=40369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872A KR20080110299A (ko) 2007-06-15 2007-06-15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02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5596B1 (en) Keypad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EP2035910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TWI410824B (zh) 具有整合顯示元件與輸入元件之模組的電子裝置
US801383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80007641A (ko) 다용도로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130025979A (ko) 광학식 터치 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방법
KR20120059866A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US8320953B2 (en) Mobile terminal device
JP2011049805A (ja) 携帯端末
WO2003077098A1 (fr) Appareil de communication mobile, commande d&#39;afficheur, methode et programme relatifs a cet appareil de communication mobile
US8013266B2 (en) Key button and key assembly using the key butt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keypad assembly
US8442601B2 (en) Mobile phone apparatus
EP2266298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slider hinge assembly
JP2008131454A (ja) 携帯電子機器
KR20080110299A (ko)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KR101161695B1 (ko) 회전 메커니즘을 통해 각 기능 인터페이스 요소에 대한액세스를 제공하는, 셀룰러 폰, 디지털 카메라 및 pda를통합한 디바이스
KR100711755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US2008006833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keypad assembly
US20080303582A1 (en) Input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20040028200A (ko) 휴대폰의 키패드 변환 장치
KR10065276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GB2384132A (en) Multi-screen mobile telephone
WO2010004373A1 (en) Navigation key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JP2005250595A (ja) 携帯端末
KR20050031335A (ko) 캐릭터의 다방 이동 제어가 가능한 휴대폰 및 이를 이용한방향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