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486B1 -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486B1
KR100829486B1 KR1020070008198A KR20070008198A KR100829486B1 KR 100829486 B1 KR100829486 B1 KR 100829486B1 KR 1020070008198 A KR1020070008198 A KR 1020070008198A KR 20070008198 A KR20070008198 A KR 20070008198A KR 100829486 B1 KR100829486 B1 KR 100829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jig
ray tube
cathode ray
wel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Priority to KR1020070008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 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36Joining connectors to internal electrode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 H01J2209/2363Coils
    • H01J2209/2366Machines therefor, e.g. winding, forming, welding,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는 메인블록의 내부에서 마그네틱 부재를 전면부재 쪽으로 전후방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상기 전면부재의 제1 V홈에 전극부재를 장착 및 장착 해제하는 전극부재 척킹 조립체; 상기 메인 블록의 전방에 장착되어 승하강하고, 상기 전극부재를 밀어 올려 전극부재의 높이 위치를 설정하는 승강블록; 및 상기 메인블록의 상측에 장착되어 승하강하고, 상기 전극부재의 상측에 컵 부재가 위치되도록 컵 부재를 장착 및 장착 해제하는 컵 부재 척킹 조립체를 포함한다.
지그, 음극선관, CCFL, 레이저 빔 용접

Description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Jig for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welding machine}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저면사시도 및 평면도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음극선관 용접장치에 장착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에서 메인블록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에서 상부블록 파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그 10: 전극부재 척킹 조립체
10a: 메인 블록 11: 제1 슬라이드 구멍
13: 마그네틱 슬라이드 15: 마그네틱 부재
18: 제1 스프링 19: 제1 작동 부재
20: 전후방 구동 캠 롤러 22a, 22b: 제1, 제2 승강 구멍
30: 전면부재 32: 제1 V 홈
40: 승강 블록 42: 상면 페이스
43: 승강 구동 캠 롤러 44a, 44b: 제3, 제4 부싱
45: 제2 스프링 50: 브래킷
52a, 52b: 제1, 제2 가이드 봉 60a, 60b: 제5, 제6 부싱
70: 받침블록 72a, 72b: 제1, 제2 장착구멍
75: 완충부재 76: 제3 스프링
80: 컵 부재 척킹 조립체 81: 베이스 블록
82: 전후방향 가이드 홈 83a, 83b: 좌우방향 가이드 홈
90: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 91a, 91b: 제1, 제2 캠 구멍
92: 제5 장착구멍 93a, 93b: 제1, 제2 스프링 가이드
94a, 94b: 제4, 제5 스프링 95a, 95b: 제1, 제2 캠 롤러
96a, 96b: 제3, 제4 캠 롤러 97a, 97b: 제1, 제2 고정 핀
100: LM 블록 101a, 101b: 제1, 제2 슬라이드 부재
102a, 102b: 제1, 제2 가동블록 104a, 104b: 제1, 제2 그리퍼
106: 제6 스프링 110a, 110b: 제1, 제2 그리퍼 팁
111a, 111b: 제2, 제3 V홈 120: 커버 블록
121: 제3 슬라이드 구멍 122a, 122b: 제1, 제2 스프링 장착 홈
123: 수직변 124: 인상 캠 롤러
125: 제2 작동 부재 126: 개폐 캠 롤러
200: 냉음극선관(CCFL)
201: 컵 부재 202: 전극 부재
300: 인덱스 테이블 400: 인덱스 구동부
본 발명은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을 구성하는 컵 부재와 전극 부재를 용접하도록 하는 용접장치용에 장착되어 컵 부재와 전극 부재를 붙잡아 이동시키는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장치에 냉음극선관(CCFL :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이하 "CCFL"로 약칭한다)이 이용된다.
상술한 냉음극선관(200)은 첨부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자를 방출하는 컵 형상의 컵 부재(201)와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극(electrode)부재(202)로 구성된다.
CCFL(200)의 전체길이가 대략 19~25mm 내외이며, 컵 부재(201)의 길이 3~5mm 직경이 2~3mm 내외로서, 전극부재(202)의 길이는 16~20mm 직경 0.6mm 내외로 무척 가늘고 작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LCD에 사용되는 CCFL(200)은 17인지 LCD를 기준으로 대략 40개 정도가 소요된다.
즉 크기가 무척 작은 두 개의 부속품을 정확한 동심원으로 붙여 일체로 형성할 때에 레이저 용접을 하게 되는데, 용접이 진행되는 동안 작은 부속품을 흔들림 없이 붙잡는 기술은 무척 난해한 기술로 알려져 있다.
특히 크기가 아주 작은 부품임에도 수요량은 수십만 개를 짧은 시간에 대량생산의 체제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CCFL(200)를 대량생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기술로서 컵 부재(201)와 전극부재(202)를 투입 받아 용접 과정을 거친 후에 완성된 CCFL(200)를 꺼낼 수 있도록 지그가 제안되었다.
상술한 종래의 지그는 하나의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88078호 "씨씨에프엘 전극 용접용 지그"가 있다.
상술한 종래의 지그는 LCD용 CCFL 전극을 구성하는 컵(cup)과 유리(glass)가 상부에 고정된 리드(lead)를 레이저 빔 용접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구성하되, 언더-베이스(under base)의 상측에는 언더-지그베이스(under jig base)와 함께 언더-조(under jaw)를 구비하는 언더-척(under chuck)을 설치한 것이다.
상술한 언더-조는 평면상에서 볼 때 120ㅀ 각도로 등분 형성된 3개의 언더-조가 중심방향으로 진퇴하면서 리드를 척킹(chucking)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술한 언더-베이스의 상단부에는 어퍼-베이스(upper base)와 함께 어퍼-조(upper jaw)를 구비하는 어퍼-척(upper chuck)을 설치한 것이다.
상술한 어퍼-조는 평면상에서 볼 때 120ㅀ각도로 등분 설치된 3개의 어퍼-조가 중심방향으로 진퇴하면서 컵 부재를 척킹(chucking)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술한 종래의 지그는 지그의 한 중앙에 CCFL의 소재가 장착되고 용접이 된 후에 완성된 CCFL이 취출 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지그는 CCFL의 소재가 지그의 한 중앙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소재(컵 부재와 전극부재)를 장착하거나 취출 하는 데 있어서, 더욱 정밀하고 복잡한 주변기기(취출 로봇 등)가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지그는 원반 형상의 인덱스 테이블에 대략 8개가 등간격으로 장착되어 각각의 스텝(공정)마다 간헐적으로 멈추고 진행하는 것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종래의 지그는 중심의 반경만큼 인덱스 테이블의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게 장착되므로 더 넓은 공간을 점유하게 되고, 결국 종래의 지그가 장착되는 CCFL 용접장치는 더욱 크고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CCFL은 크기가 다른 여러 종류의 제품이 있는데, 다른 크기의 제품을 생산할 때에는 제품의 크기(지름과 길이)에 맞도록 일부의 부속품을 교체 장착하여야 한다.
즉 종래의 지그는 부속품(컵 부재와 전극 부재)에 직접 닿는 핵심 부속품인 언더-조와 어퍼-조를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부속품은 조의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지그 전체를 분해하고 재조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크기가 무척 작은 부속품을 다루는 지그로서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므로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로 하여 작업자의 피로는 더욱 가중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를 공급받아 척킹(chucking)하고, 용접이 완료된 후에 배출하는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CCFL을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속품(컵 부재와 전극 부재)을 더욱 쉽게 장착할 수 있고, 더욱 쉽게 CCFL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CCFL의 사양이 변경되어 부속품(컵 부재와 전극 부재)의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그 변경에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는, 메인블록의 내부에서 마그네틱 부재를 전면부재 쪽으로 전후방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상기 전면부재의 제1 V홈에 전극부재를 장착 및 장착 해제하는 전극부재 척킹 조립체; 상기 메인 블록의 전방에 장착되어 승하강하고, 상기 전극부재를 밀어 올려 전극부재의 높이 위치를 설정하는 승강블록; 및 상기 메인블록의 상측에 장착되어 승하강하고, 상기 전극부재의 상측에 컵 부재가 위치되도록 컵 부재를 장착 및 장착 해제하는 컵 부재 척킹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극부재 척킹 조립체와 상기 컵 부재 척킹 조립체 사이에 제3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컵 부재 척킹 조립체가 하강할 때 완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상기 전극부재 척킹 조립체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제1 슬라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구멍과 직교되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제1, 제2 승강구멍이 형성되는 메인 블록; 상기 제1 슬라이드 구멍에 끼워져 이동되고, 전방에 마그네틱 부재가 내장되는 마그네틱 슬라이드; 상기 메인 블록의 전방에 장착되고, 전면에 제1 V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배면에 상기 마그네틱 부재가 입출 하는 자석 삽입 홈이 형성되는 전면부재; 상기 마그네틱 슬라이드에 끼워지고 상기 제1 슬라이드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틱 슬라이드를 전방 쪽으로 힘을 가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마그네틱 슬라이드에 고정 장착되고 메인 블록의 외측 으로 돌출되는 전후방 구동 캠 롤러;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재는, 전면에 전면페이스가 형성되고, 그 전면페이스에 상기 제1 V홈이 형성되며, 표면은 검은 색으로 도장처리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블록은, 승강블록 몸체; 상기 승강블록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 페이스; 상기 승강 블록 몸체의 측면에 장착되는 승강 구동 캠 롤러; 및 상기 승강블록 몸체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3, 제4 부싱;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블록의 저면에 고정 장착되고,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1, 제2 가이드 봉이 장착되며 상기 제1, 제2 가이드 봉은 상기 제3, 제4 부싱에 각각 끼워지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사이에 제2 스프링;이 더 포함되어 승강블록이 승강하였을 때에 완충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부재 척킹 조립체는, 전후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에서 전후 방향으로 직선이동 되는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 상기 베이스 블록에서 좌우 방향으로 장착되는 LM 블록; 상기 LM 블록에 장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직선이동 되고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와 복수개의 제1, 제2 캠 롤러와 상호작용에 간격이 벌려지거나 좁혀지게 이동되는 복수 개의 제1, 제2 가동블록; 상기 제1, 제2 가동블록에 장착되어 컵 부재를 척킹 하는 제1, 제2 그리퍼 팁;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에 장착되어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를 가동시키는 개패 캠 롤러;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를 덮는 덮개 블록; 및 상기 덮개 블록의 측면에 장착되는 인상 캠 롤 러;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블록은, 저면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제3, 제4 가이드 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제4 가이드 봉은 상기 메인블록의 제1, 제2 승강 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제4 가이드 봉은, 상기 메인 블록의 저면 방향에서 장착되는 받침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 블록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제3 스프링;에 의해 완충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블록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후방향 가이드 홈;과 상기 전후방향 가이드 홈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좌우방향 가이드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홈의 바닥 면과 전후방향 가이드 홈의 바닥면의 높이는 차이는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의 두께와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에 좌우 대칭인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제2 캠 구멍; 및 상면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5 장착구멍;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에 좌우 대칭인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캠 구멍과 제2 캠 구멍을 형성하되, 제1 캠 구멍과 제2 캠 구멍은 전방 쪽은 좁고 후방 쪽은 넓은 형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에 좌우 대칭인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캠 구멍과 제2 캠 구멍을 형성하되, 제1 캠 구멍과 제2 캠 구멍은 전방 쪽은 넓고 후방 쪽은 좁은 형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블록은, 저면에 제1, 제2 스프링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는, 상면의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제2 스프링 가이드;와 상기 제1, 제2 스프링 가이드의 한쪽에는 각각 제4, 제5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제5 스프링은 상기 커버 블록의 제1, 제2 스프링 장착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부재를 후방 쪽으로 힘을 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동블록과 상기 제2 가동블록은, 양쪽에 제6 스프링;의 양 단부가 장착되고, 상기 제6 스프링은 상기 제1 가동블록과 상기 제2 가동블록의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을 힘을 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스프링은, 복수 개가 병렬로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저면사시도 및 평면도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음극선관 용접장치에 장착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1)는 전극부재(202)를 척킹하는 전극부재 척킹 조립체(10)와, 컵 부재(201)를 장착 및 장착해제를 하는 컵 부재 척킹 조립체(80)로 구성된다.
상술한 전극부재 척킹 조립체(10)는 메인 블록(10a)의 전방에 전극 부재(202)를 장착 및 장착해제를 하는 전면부재(30)가 장착되고, 메인 블록(10a)의 하측에는 전극 부재(202)의 위치를 보정 및 설정하는 승강 블록(40)이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1)는 첨부도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텍스 테이블(300)에 여러 개가 등간격으로장착되고, 인덱스 테이블(300)의 저면에는 인덱스 테이블(300)을 구동하는 인덱스 구동부(400)가 장착된다.
상술한 인덱스 테이블(300)은 인덱스 구동부(400)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구동을 반복한다.
또한, 인덱스 테이블(300)에 장착된 여러 개의 지그(1)는 CCFL(200)을 제조 생산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단계(step)의 개수만큼 장착된다.
상술한 단계는 CCFL 용접장치에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 전극 부재(202)를 지그(1)에 장착하는 전극 장착 단계.
제2 단계: 장착된 전극 부재(202)를 체크하는 전극 체크 단계.
제3 단계: 컵 부재(201)를 지그(1)에 장착하는 컵 부재 장착 단계.
제4 단계: 장착된 컵 부재(201)를 체크하는 컵 부재 체크 단계.
제5 단계: 컵 부재(201)와 전극 부재(202)를 용접하는 용접 단계.
제6 단계: CCFL(200)의 양부를 판단하고 지그(1)를 세팅하는 세팅 단계.
제7 단계: CCFL(200)이 양품일 경우 양품을 취출하는 양품 취출 단계.
제8 단계: CCFL(200)이 불량품일 경우 불량품을 취출하는 불량품 취출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지그(1)는 CCFL 용접장치의 각 단계마다 컵 부재(201) 또는 전극 부재(202)를 붙잡거나 놓아주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컵 부재(201)와 전극 부재(202)를 척킹(chucking)하는 것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5는 지그(1)를 크게 2파트로 분해하여 보인 예시 도면이다.
즉 인덱스 테이블(300)에 고정 장착되어 기준이 되는 전극부재 척킹 조립체(10)와, 전극부재 척킹 조립체(10)에 장착되어 승하강 구동되면서 컵 부재(201)를 척킹 하는 컵 부재 척킹 조립체(80)로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전극부재 척킹 조립체(10)의 저면에는 상술한 컵 부재 척킹 조립체(80)가 승강하여 승강한계까지 도달하였을 때에 완충작용을 하도록 받침 블록(70)을 장착한 것이다.
상술한 전극부재 척킹 조립체(10)는 첨부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인블록(10a)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제1 슬라이드 구멍(11)이 형성되고, 그 제1 슬라이드 구멍(1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제2 슬라이드 구멍(12)이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 제1 승강구멍(22a)과 제2 승강 구멍(22b)이 관통되어 형성 되고, 상면의 한쪽에는 제1 스프링 자리 홈(21)이 형성된다.
상술한 제1 슬라이드 구멍(11)의 내경에는 마그네틱 슬라이드(13)가 장착되고, 그 마그네틱 슬라이드(13)의 전방에는 헤드(14)가 형성되며, 헤드(14)의 전방에는 마그네틱 부재(15)가 내장된다.
또한, 마그네틱 슬라이드(13)에는 헤드(14)의 후방에 헤드를 바깥쪽 방향으로 항상 밀어내도록 힘을 작용하는 제1 스프링(18)이 장착되고, 상술한 제1 슬라이드 구멍(11)의 한쪽에는 상술한 제1 스프링(18)의 이탈을 방지하고 마그네틱 슬라이드(13)의 원활한 직선이동을 위하여 제1 부싱(16)이 장착된다.
또한, 상술한 제1 슬라이드 구멍(11)의 다른 끝 부분에는 마그네틱 슬라이드(13)의 흔들림과 진동을 방지하고 원활한 직선이동을 위하여 제2 부싱(17)을 추가로 장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마그네틱 슬라이드(13)는 제1 작동부재(19)에 고정되고, 제1 작동 부재(19)의 끝부분은 상술한 제2 슬라이드 구멍(12)을 관통하여 메인 블록(10a)의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장착된다.
특히, 상술한 제1 작동부재(19)는 메인 블록(10a)의 저면을 향하도록 장착하였지만, 좌우측 방향 중 어느 한쪽을 향하도록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제1 작동부재(19)는 핀(19a)과 같은 체결 요소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이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나사못 또는 용접 등의 다른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술한 제1 작동부재(19)에는 전후방 구동 캠 롤러(2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 된다.
또한, 상술한 메인 블록(10a)의 상면에 형성된 제1스프링 자리 홈(21)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21a)이 삽입되고, 스프링(21a)의 상단은 컵 부재 척킹 조립체(80)의 저면에 닿도록 하여 스프링(21a)은 컵 부재 척킹 조립체(80)가 하강할 때에 완충작용을 한다.
상술한 스프링(21a)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승강구멍(22a)과 제2 승강 구멍(22b)에는 첨부도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부싱(60a)과 제6 부싱(60b)이 각각 삽입 장착된다.
상술한 전면부재(30)는 첨부도면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전면부재(30)는 전면에 전면페이스(31)가 형성되고, 전면페이스(31)의 한 중심에는 수직방향으로 제1 V홈(32)이 형성되며, 배면에 자석 삽입 홈(33)이 형성된다.
상술한 자석 삽입 홈(33)은 상술한 마그네틱 슬라이드(13)의 헤드(14)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면부재(30)의 상면에는 돌출부(34)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전면부재(30)는 복수개의 가이드 핀 구멍이 관통 형성되고, 메인 블록(10a)의 전방에도 가이드 핀 구멍이 형성되고 양쪽의 가이드 핀 구멍에 가이드 핀을 삽입할 수 있고, 가이드 핀을 삽입시켜서 메인 블록(10a)과 전면부재(30)의 위치관계를 한정하는 기술적 사상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전면 페이스(31)와 제1 V홈(32)은 검은 색으로 도장처리 되는 것이 좋고 이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용접할 때에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상술한 승강 블록(40)은 첨부도면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승강블록(40)은 승강블록 몸체(41)의 상면에 상면 페이스(42)가 형성되고, 승강 블록 몸체(41)의 측면에 승강 구동 캠 롤러(43)가 장착되며, 승강블록 몸체(41)에는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3, 제4 부싱(44a)(44b)이 장착된다.
상술한 상면 페이스(42)는 평면에서 볼 때에 상술한 전면 부재(30)의 제1 V홈(32)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승강블록 몸체(41)의 상면에는 스프링 자리 홈(도면 부호 미부여)이 형성되고, 그 스프링 자리 홈에는 제2 스프링(45)이 삽입되며, 제2 스프링(45)의 상단은 상술한 메인 블록(10a)의 저면에 닿아 승강 블록(40)이 승강하여 승강한계에 닿았을 때에 완충작용을 한다.
또한, 메인 블록(10a)의 저면에는 브래킷(50)이 장착되고, 브래킷(50)에서 상술한 승강블록(40)이 승하강 된다.
상술한 브래킷(50)은 첨부도면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브래킷(50)은 몸체(51)에 수직방향으로 체결 구멍(53)이 형성되고, 전방에는 복수 개의 제1, 제2 가이드 봉(52a)(52b)이 장착된다.
상술한 제1 가이드 봉(52a)은 상술한 제3 부싱(44a)과 결합되고, 제2 가이드 봉(52b)은 제4 부싱(44b)과 결합되어 결국 승강 블록(40)은 좌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고 수직방향으로 곧게 직선 이동된다.
상술한 브래킷(50)은 메인 블록(10a)에 장착될 때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되고, 핀(pin)으로 고정하거나 용접과 같은 영구 결합이 가능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장착할 수 있다.
상술한 받침 블록(70)은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받침 블록(70)은 받침 블록 몸체(71)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복 수개의 제1, 제2 장착구멍(72a)(72b)이 형성되고, 받침 블록 몸체(71)의 한쪽에는 틈새(73)가 형성되며, 그 틈새(73)와 직교하는 방향에서는 체결 구멍(74)이 형성되어 틈새(73)가 임의로 벌려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체결된다.
또한, 상술한 틈새(73)에는 수직방향으로 완충부재(75)를 제3 스프링(76)에 의해 탄발되도록 장착한다.
또한, 상술한 컵 부재 척킹 조립체(80)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제3, 제4 가이 드 봉(85a)(85b)이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제3, 제4 가이드 봉(85a)(85b)은 상술한 메인 블록(10a)에 장착된 제5, 제6 부싱(60a)(60b)에 관통 체결되며, 제3, 제4 가이드 봉(85a)(85b)의 하단은 상술한 받침 블록(70)의 제1, 제2 장착구멍(72a)(72b)에 고정 장착된다.
상술한 완층부재(75)의 상면은 컵 부재 척킹 조립체(80)가 승강하였을 때에 메인 블록(10a)의 저면에 닿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컵 부재 척킹 조립체(80)는 첨부도면 도 1, 도 2, 도 3, 도5,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컵 부재 척킹 조립체(80)는 전후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베이스 블록(81)과, 베이스 블록(81)에서 전후 방향으로 직선이동 되는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90)와, 베이스 블록(81)에서 좌우 방향으로 직선이동 되는 복수 개의 제1, 제2 가동블록(102a)(102b)과 제1, 제2 가동블록(102a)(102b)에 장착되어 컵 부재(201)를 척킹 하는 제1, 제2 그리퍼 팁(110a)(110b)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베이스 블록(81)은 전후 방향으로 전후방향 가이드 홈(82)이 형성되고, 전후방향 가이드 홈(82)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좌우방향 가이드 홈(83a)(83b)이 형성된다.
특히 좌우방향 가이드 홈(83a)(83b)의 바닥 면은 전후방향 가이드 홈(82)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그 높이 차이는 상술한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90)의 두께와 상응한다.
또한, 베이스 블록(81)의 한쪽에는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3, 제4 장착구멍(84a)(84b)이 형성되고, 그 제3, 제4 장착구멍(84a)(84b)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제3, 제4 가이드 봉(85a)(85b)이 각각 장착된다.
상술한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90)는 첨부도면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90)는 평면에서 볼 때에 좌우 대칭형상으로 복수 개의 제1, 제2 캠 구멍(91a)(91b)이 형성되고, 상면의 후방에는 복수 개의 제1, 제2 스프링 가이드(93a)(93b)가 형성되며, 상면의 중앙에 제5 장착구멍(9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복수 개의 제1, 제2 캠 구멍(91a)(91b)은 평면에서 볼 때에 V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전방 쪽은 좁고 후방 쪽은 넓은 형태이고, 이 경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90)가 전방 쪽으로 이동되면 상술한 제1 그리퍼 팁(110a)과 제2 그리퍼 팁(110b)이 벌려진다.
또한 상술한 복수 개의 제1, 제2 캠 구멍(91a)(91b)은 평면에서 볼 때에 V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전방 쪽은 넓고 후방 쪽은 좁은 형태일 수 있고, 이 경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90)가 전방 쪽으로 이동되면 상술한 제1 그리퍼 팁(110a)과 제2 그리퍼 팁(110b)이 좁혀진다.
상술한 복수 개의 제1, 제2 캠 구멍(91a)(91b)에는 각각 제1, 제2 캠 롤러(95a)(95b)가 삽입되어 구름 접촉을 한다.
상술한 복수 개의 제1, 제2 스프링 가이드(93a)(93b)의 전방에는 각각 제4, 제5 스프링(94a)(94b)이 배치된다.
상술한 제4, 제5 스프링(94a)(94b)은 압축 스프링의 한 종류로서 항상 확장되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또한, 상술한 베이스 블록(81)의 상면에는 커버 블록(120)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전후방향 슬라이드 부재(90)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커버 블록(120)은 중앙에 전후 방향으로 긴 제3 슬라이드 구멍(121)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술한 제4, 제5 스프링(94a)(94b)을 수용하는 제1, 제2 스프링 장착 홈(122a)(122b)이 형성되며, 측면의 한쪽에는 수직변(123)이 형성되고, 수직변(123)에는 인상 캠 롤러(124)가 장착된다.
상술한 커버 블록(120)의 제3 슬라이드 구멍(121)에는 제2 작동 부재(125)가 관통되고, 제2 작동 부재(125)의 하단은 상술한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90)의 제5 장착구멍(92)에 장착된다.
또한, 상술한 제2 작동 부재(125)의 상단에 개패 캠 롤러(126)가 장착된다.
상술한 베이스 블록(81)의 좌우방향 가이드 홈(83a)(83b)에는 LM블록(100)이 고정 장착된다.
상술한 LM블록(100)은 좌우 방향으로 부드럽게 직선 이동되는 복수 개의 제1, 제2 슬라이드 부재(101a)(101b)가 장착되고, LM블록(100)의 바닥에는 가이드구멍(100a)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제1, 제2 슬라이드 부재(101a)(101b)의 저면은 제1, 제2 고정 핀(97a)(97b)이 삽입 장착되고, 제1, 제2 고정 핀(97a)(97b)의 하단에는 각각 제3, 제4 캠 롤러(96a)(96b)가 장착된다.
또한, 제3 캠 롤러(96a)의 저면에는 제1 고정 핀(97a)에 상술한 제1 캠 롤러(95a)가 장착되고, 제4 캠 롤러(96b)의 저면에는 제2 고정 핀(97b)에 상술한 제 2 캠 롤러(95b)가 장착된다.
상술한 제3, 제4 캠 롤러(96a)(96b)는 상술한 LM 블록(100)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100a)내에서 구름 접촉된다.
상술한 제1 슬라이드 부재(101a)의 상측에는 제1 가동블록(102a)이 장착되고, 상술한 제 2 슬라이드 부재(101b)의 상측에는 제2 가동블록(102b)이 장착된다.
도한 상술한 제1, 제2 가동블록(102a)(102b)의 상측에는 각각 제3 스프링 가이드(103a)와 제4 스프링 가이드(103b)가 장착되고, 양쪽의 제3 스프링 가이드(103a)와 제4 스프링 가이드(103b)에는 제6 스프링(106)의 양단이 장착된다.
상술한 제6 스프링(106)은 인장 스프링의 일종으로서 양쪽의 제1 가동블록(102a)과 제2 가동블록(102b)이 서로 닿는 방향으로 항상 힘을 가한다.
또한 상술한 제1, 제2 가동블록(102a)(102b)의 상측에 복수 개의 제6 스프 링(106)을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가동블록(102a)과 제2 가동블록(102b)의 한쪽에는 각각 제1 그리퍼(104a)와 제2 그리퍼(104b)가 장착된다.
상술한 제1 그리퍼(104a)와 제2 그리퍼(104b)는 측면에 각각 제1 요홈(105a)과 제2 요홈(105b)이 형성되고, 제1 요홈(105a)과 제2 요홈(105b)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장착된다.
또한, 상술한 제1 요홈(105a)과 제2 요홈(105b)은 상술한 전면부재(30)의 돌출 부(34)가 삽입되는 것이고, 상호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제1 그리퍼(104a)와 제2 그리퍼(104b)의 상면에는 제1 그리퍼 팁(110a)과 제2 그리퍼 팁(110b)이 장착된다.
상술한 제1 그리퍼 팁(110a)의 측면에 제2 V홈(111a)이 형성되고, 제2 그리 퍼 팁(110b)은 제1 그리퍼 팁(110a)과 대칭되는 형상으로 제3 V홈(111b)이 형성된다.
즉 상술한 제1 그리퍼 팁(110a)과 제2 그리퍼 팁(110b)이 맞닿아 모아지면 제2, 제3 V홈(111a)(111b)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름모꼴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술한 전후방 구동 캠 롤러(20), 승강 구동 캠 롤러(43), 인상 캠 롤러(124) 및 개폐 캠 롤러(126)는 CCFL 용접 장치에 장착되는 캠 가이드에 의해 구 동되고, 이러한 캠 가이드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하고 작동시키는 것이다.
예컨대, 캠 가이드의 경사면의 굴곡 변위에 따라 전후방 구동 캠 롤러(20), 승강 구동 캠 롤러(43), 인상 캠 롤러(124) 및 개폐 캠 롤러(126)가 위상이 변화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특정한 CCFL 용접 장치에 별도의 액추에이터를 장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공압 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캠을 전자적인 제어신호에 따라 가동시킬 수 있고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CCFL 용접 장치의 각 단계 별로 필요한 요소요소에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전후방 구동 캠 롤러(20), 승강 구동 캠 롤러(43), 인상 캠 롤러(124) 및 개폐 캠 롤러(126)를 가동시키는 기술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더라도 당업자라면 쉽게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는 기술 사상이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1)의 작용을 설명한다.
특히 지그(1)의 작용은 CCFL 용접장치에서 CCFL을 제조하는 각 단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단계: 전극 부재(202)를 지그(1)에 장착하는 전극 장착 단계.
상술한 제1 단계에서는 전극 부재(202)가 전극 부재 공급 유닛에 의해 공급된다.
이때 컵 부재 척킹 조립체(80)는 첨부도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그리퍼 팁(110a)과 제2 그리퍼 팁(110b)은 벌려진 상태가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그리퍼 팁(110a)과 제2 그리퍼 팁(110b)은 벌려진 상태는 개폐 캠 롤러(126)가 전방으로 전진된 상태이고 특히 개폐 캠 롤러(126)는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90)와 연동되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90)는 제4, 제5 스프링(94a)(94b)을 압축시킨 상로 유지된다.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90)가 전진된 상태이므로 제1, 제2 캠 롤러(95a)(95b)는 제1, 제2 캠 구멍(91a)(91b)과 구름 접촉되어 제1 캠 롤러(95a)와 제2 캠 롤러(95b)가 서로 벌려진다.
아울러 제1 캠 롤러(95a)와 제2 캠 롤러(95b)는 각각 제1 가동블록(102a)과 제2 가동블록(102b)에 직결되므로 제1 가동블록(102a)과 제2 가동블록(102b)은 벌려진 상태가 된다.
다른 한편으로 전면부재(30)의 전면 페이스(31)와 제1 V홈(32)에는 자력이 발생되고, 자력이 발생되는 원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블록(10a)의 내부에서 마그네틱 슬라이드(13)가 제1 스프링(18)의 복원력에 의해 전진된 상태이고, 마그네틱 슬라이드(13)가 전진된 상태이므로 마그네틱 부재(15)의 자력은 전면부재(30)에 자력이 미친다.
따라서 제1 단계에서는 전면부재(30)의 전방에 형성된 제1 V홈(32)에 전극 부재(202)가 자력에 의해 달라붙게 된다.
제2 단계: 장착된 전극 부재(202)를 체크하는 전극 체크 단계.
전극부재(202)가 제1 V홈(32)에 달라붙은 상태에서 전극 부재(202)의 높이는 임의의 높이에 장착된 상태이므로 일정한 높이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때 승강 구동 캠 롤러(43)가 작동되어 승강블록(40)을 승강시키고 이때 승강블록(40)은 복수 개의 제3, 제4 부싱(44a)(44b)에 의해 부드럽게 직선 승강 운동한다.
또한 제2 스프링(45)에 의해 승강된 후 승강한계에 다다를 때에 완충작용이 된다.
즉 상술한 승강블록(40)은 승강하면서 상면 페이스(42)는 전극부재(202)의 저면을 이미 설정된 소정의 거리만큼 밀어 올리고 하강하면 전극부재(202)는 밀려 올라간 상태를 유지된다.
제3 단계: 컵 부재(201)를 지그(1)에 장착하는 컵 부재 장착 단계.
컵 부재(201)는 별도의 컵 부재 자동 공급 유닛에 의해 공급된다.
컵 부재(201)는 평면에서 볼 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전극부재(202)와 동심원을 이루는 위치에 얹힌다.
제4 단계: 장착된 컵 부재(201)를 체크하는 컵 부재 체크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지그(1)에 전극부재(202)가 먼저 장착되고, 전극부재(202)의 상면에는 컵 부재(201)가 얹혀 장착된 상태에서 제1 그리퍼 팁(110a)과 제2 그리퍼 팁(110b)은 서로 근접한 위치로 이동되어 컵 부재(201)를 붙잡게 된다.
즉, 개폐 캠 롤러(126)에 가하던 힘이 제거되고, 제4, 제5 스프링(94a)(94b)에 의해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90)는 후방으로 밀려나며, 이때 제1, 제2 캠 구멍(91a)(91b)과 제1, 제2 캠 롤러(95a)(95b)는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캠 롤러(95a)와 제2 캠 롤러(95b)가 상호 간격이 좁아진다.
또한, 제1 캠 롤러(95a)와 제2 캠 롤러(95b)가 서로 좁아지는 위치로 변형되면서 제1 그리퍼 팁(110a)과 제2 그리퍼 팁(110b)이 상호 간격이 좁아져 상술한 컵 부재(201)를 붙잡게 된다.
특히 제6 스프링(106)에 의해 더욱 신속하게 제1, 제2 가동블록(102a)(102b)이 서로 좁혀지도록 힘을 가한다.
즉, 컵 부재(201)는 첨부도면 도 3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 그리퍼 팁(110a)(110b)에 형성된 제2, 제3 V홈(111a)(111b)에 장착된다.
제5 단계: 컵 부재(201)와 전극 부재(202)를 용접하는 용접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 부재(202)에 컵 부재(201)가 동심원을 이루어 얹힌 상태에서 레이저 빔 용접이 이루어진다.
제6 단계: CCFL(200)의 양부를 판단하고 지그(1)를 세팅하는 세팅 단계.
컵 부재(201)와 전극 부재(202)가 일체로 형성되어 CCFL(200)이 구성되면, 완성된 CCFL(200)의 양부를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은 소정의 프로그램 연산에 의해 양부가 판단된다.
또한 제6 단계에서는 CCFL 용접장치를 가동하지 않고 정비를 할 때에 지그(1)를 재설정하거나 유지 보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유지 보수라 함은 예컨대 CCFL의 사양이 변경되었을 때를 대비하는 것이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7 단계: CCFL(200)이 양품일 경우 양품을 취출 하는 양품 취출 단계.
상술한 제6 단계에서 양품으로 판단된 CCFL(200)을 양품만 모아두는 곳으로 취출 된다.
인상 캠 롤러(124)가 작동되어 컵 부재 척킹 조립체(80)를 인상시킴과 아울러 전후방 구동 캠 롤러(20)가 작동되어 마그네틱 부재(15)를 후퇴시켜 전면 부재(30)에서 자장을 제거한다.
즉 전면부재(30)의 제1 V홈(32)에 장착되어 있던 전극부재(202)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이때 개폐 캠 롤러(126)가 작동되어 제1, 제2 가동블록(102a)(102b)을 벌려서 컵 부재(201)의 장착상태를 장착 해제하여 지그(1)에서 CCFL(200)을 완전 분리시킨다.
만약 제6 단계에서 CCFL(200)이 불량품으로 판단되면 제7단계에서는 곧바로 지그(1)에서는 아무런 작동하지 않고 제8단계로 넘어간다.
제8 단계: CCFL(200)이 불량품일 경우 불량품을 취출 하는 불량품 취출 단계.
상술한 제6 단계에서에서 불량품으로 판단된 CCFL(200)은 불량품만 모아두는 곳으로 배출된다.
또한 배출된 직후에 지그(1)에 CCFL(200), 컵 부재(201), 전극부재(202) 중에 어느 하나라도 있는지 감지하고, 감지된 CCFL(200), 컵 부재(201), 전극부재(202) 중에 어느 하나는 강력한 공압(Air)에 의해 제거된다.
전후방 구동 캠 롤러(20)와 개폐 캠 롤러(126)가 작동 되어 컵 부재(201)와 전극부재(202)의 장착상태를 장착 해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8 단계를 거친 지그(1)는 재차 제1 단계로 되돌아가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CCFL(200)의 제품 사양이 변경되거나 마모되었을 때에 소정의 구성요소를 교체장착하게 된다.
예컨대 컵 부재(201)의 바깥지름이 변경되었을 때에는 제1, 제2 그리퍼 팁(110a)(110b)을 교체하여 변경된 크기에 대응하도록 한다.
또한 전면부재(30)로 반복 사용으로 인하여 마모되었을 때에 교체하여 사용 한다.
또한 전극부재(202)의 길이가 변경되었을 때에는 승강블록(40)이 최대한 승강하였을 때의 승강한계를 재설정하고, 이때에는 승강 구동 캠 롤러(43)를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 또는 캠 가이드의 높이를 변경설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1)는 CCFL(200)의 사양이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사양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면부재(30)는 지그(1)의 측면으로 드러나는 형태이므로 쉽게 유지보수 할 수 있고, 지그(1)는 종래의 지그에 비교하여 인덱스 테이블(300)에서 바깥 쪽으로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공간점유를 적게 차지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는 규격에 맞는 컵 부재와 전극 부재를 동심에 맞도록 이미 설정된 상태에서 컵 부재와 전극 부재를 장착 및 장착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지그의 바깥쪽에 CCFL이 위치됨으로서 CCFL의 장착유무, 품질의 양부 여부를 더욱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컵 부재와 전극 부재를 지그에 공급함에 있어서, 측면과 외측 상부에서 쉽게 부품 소재(컵 부재와 전극 부재)를 공급할 수 있어 접근성이 쉬우므로 컵 부재 자동 공급 유닛과 전극 부재 자동공급 유닛을 CCFL 용접장치에 쉽게 설계하고 설치할 수 있다.

Claims (16)

  1. 메인블록의 내부에서 마그네틱 부재를 전면부재 쪽으로 전후방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상기 전면부재의 제1 V홈에 전극부재를 장착 및 장착 해제하는 전극부재 척킹 조립체;
    상기 메인 블록의 전방에 장착되어 승하강하고, 상기 전극부재를 밀어 올려 전극부재의 높이 위치를 설정하는 승강블록; 및
    상기 메인블록의 상측에 장착되어 승하강하고, 상기 전극부재의 상측에 컵 부재가 위치되도록 컵 부재를 장착 및 장착 해제하는 컵 부재 척킹 조립체;
    를 포함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 척킹 조립체와 상기 컵 부재 척킹 조립체 사이에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상기 컵 부재 척킹 조립체가 하강할 때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재 척킹 조립체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제1 슬라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슬라이드 구멍과 직교되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제1, 제2 승강구멍이 형성되는 메인 블록;
    상기 제1 슬라이드 구멍에 끼워져 이동되고, 전방에 마그네틱 부재가 내장되는 마그네틱 슬라이드;
    상기 메인 블록의 전방에 장착되고, 전면에 제1 V홈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배면에 상기 마그네틱 부재가 입출 하는 자석 삽입 홈이 형성되는 전면부재;
    상기 마그네틱 슬라이드에 끼워지고 상기 제1 슬라이드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마그네틱 슬라이드를 전방 쪽으로 힘을 가하는 제1 스프링; 및
    상기 마그네틱 슬라이드에 고정 장착되고 메인 블록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전후방 구동 캠 롤러;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재는,
    전면에 전면페이스가 형성되고, 그 전면페이스에 상기 제1 V홈이 형성되며, 표면은 검은 색으로 도장처리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록은, 승강블록 몸체; 상기 승강블록 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 페이스; 상기 승강 블록 몸체의 측면에 장착되는 승강 구동 캠 롤러; 및 상기 승강블록 몸체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제3, 제4 부싱;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블록의 저면에 고정 장착되고,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제1, 제2 가이드 봉이 장착되며 상기 제1, 제2 가이드 봉은 상기 제3, 제4 부싱에 각각 끼워지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사이에 제2 스프링;이 더 포함되어
    승강블록이 승강하였을 때에 완충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 부재 척킹 조립체는,
    전후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베이스 블록;
    상기 베이스 블록에서 전후 방향으로 직선이동 되는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
    상기 베이스 블록에서 좌우 방향으로 장착되는 LM 블록;
    상기 LM 블록에 장착되어 좌우 방향으로 직선이동 되고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와 복수개의 제1, 제2 캠 롤러와 상호작용에 간격이 벌려지거나 좁혀지게 이동되는 복수 개의 제1, 제2 가동블록;
    상기 제1, 제2 가동블록에 장착되어 컵 부재를 척킹 하는 제1, 제2 그리퍼 팁;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에 장착되어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를 가동시키는 개패 캠 롤러;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를 덮는 덮개 블록; 및
    상기 덮개 블록의 측면에 장착되는 인상 캠 롤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은, 저면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복수 개의 제3, 제4 가이드 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제4 가이드 봉은 상기 메인블록의 제1, 제2 승강 구멍에 각각 삽입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제4 가이드 봉은,
    상기 메인 블록의 저면 방향에서 장착되는 받침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 블록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고 제3 스프링;에 의해 완충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전후방향 가이드 홈;과 상기 전후방향 가이드 홈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좌우방향 가이드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우방향 가이드 홈의 바닥 면과 전후방향 가이드 홈의 바닥면의 높이는 차이는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의 두께와 상응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11.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에 좌우 대칭인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제2 캠 구멍; 및
    상면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5 장착구멍;
    으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에 좌우 대칭인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캠 구멍과 제2 캠 구멍을 형성하되,
    제1 캠 구멍과 제2 캠 구멍은 전방 쪽은 좁고 후방 쪽은 넓은 형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에 좌우 대칭인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캠 구 멍과 제2 캠 구멍을 형성하되,
    제1 캠 구멍과 제2 캠 구멍은 전방 쪽은 넓고 후방 쪽은 좁은 형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블록의 상면에는 커버 블록;이 장착되며,
    상기 커버 블록은, 저면에 제1, 제2 스프링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 부재는, 상면의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제2 스프링 가이드;와 상기 제1, 제2 스프링 가이드의 한쪽에는 각각 제4, 제5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제5 스프링은 상기 커버 블록의 제1, 제2 스프링 장착 홈에 삽입되어 상기 전후방 슬라이드부재를 후방 쪽으로 힘을 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블록과 상기 제2 가동블록은,
    양쪽에 제6 스프링;의 양 단부가 장착되고, 상기 제6 스프링은 상기 제1 가동블록과 상기 제2 가동블록의 간격이 좁혀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스프링은, 복수 개가 병렬로 장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KR1020070008198A 2007-01-26 2007-01-26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KR10082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198A KR100829486B1 (ko) 2007-01-26 2007-01-26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198A KR100829486B1 (ko) 2007-01-26 2007-01-26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486B1 true KR100829486B1 (ko) 2008-05-16

Family

ID=3966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198A KR100829486B1 (ko) 2007-01-26 2007-01-26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4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8046A (zh) * 2014-09-15 2015-01-28 赵伟明 一种灯丝夹丝机构及用于单端卤素灯灯芯焊接的点焊机
CN105945746A (zh) * 2016-05-11 2016-09-21 成都市东方电力线路构件厂 钢管铁塔的塔柱支承座
CN112975240A (zh) * 2021-02-04 2021-06-18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内饰部件生产用焊接预定位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1264U (ko) * 1993-12-28 1995-07-28 오리온전기주식회사 컨버전스컵의 벌브스페이서 용접용지그
JP2001108786A (ja) 1999-10-14 2001-04-20 Nuclear Fuel Ind Ltd 燃料棒溶接装置
KR100483757B1 (ko) 2003-03-31 2005-04-19 지이티 주식회사 용접물 클램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1264U (ko) * 1993-12-28 1995-07-28 오리온전기주식회사 컨버전스컵의 벌브스페이서 용접용지그
JP2001108786A (ja) 1999-10-14 2001-04-20 Nuclear Fuel Ind Ltd 燃料棒溶接装置
KR100483757B1 (ko) 2003-03-31 2005-04-19 지이티 주식회사 용접물 클램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8046A (zh) * 2014-09-15 2015-01-28 赵伟明 一种灯丝夹丝机构及用于单端卤素灯灯芯焊接的点焊机
CN105945746A (zh) * 2016-05-11 2016-09-21 成都市东方电力线路构件厂 钢管铁塔的塔柱支承座
CN112975240A (zh) * 2021-02-04 2021-06-18 机械工业第九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内饰部件生产用焊接预定位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486B1 (ko) 음극선관 용접장치용 지그
JP2000044255A (ja) 光学ガラス素材の移載装置
CN111843427B (zh) 用于连接多个堆叠的平面物体的系统和方法
JP3641594B2 (ja) 多軸穿孔装置
CN109759736B (zh) 压缩机同心定位装置及具有该装置的压缩机焊接系统
CN109773362B (zh) 压缩机焊接系统
CN117428455B (zh) 折叠屏铰链弹性零件压装设备
CN210379109U (zh) 一种发光元件及压合治具
JPH07205081A (ja) 物品装着装置
CN214988703U (zh) 收料装置
CN210449946U (zh) 一种晶圆测试机
CN210121734U (zh) 压缩机同心定位装置及具有该装置的压缩机焊接系统
CN216028895U (zh) 多功能电池焊接抓手装置
CN109731998B (zh) 一种断路器底片的加工设备
KR101877356B1 (ko) 도어록 레버모듈 조립시스템용 스냅링 조립장치
JP4096633B2 (ja) チップ状電子部品の取扱装置および取扱方法
CN218753405U (zh) 物料转移装置
CN218639431U (zh) 一种用于换板设备的定位机构
CN218766558U (zh) 磁性吸附测试装置
CN220392322U (zh) 一种可控振幅的振动盘
CN218518020U (zh) 一种机器人工作站夹具快换装置
CN218639432U (zh) 一种用于换板设备的换板机构
CN213996530U (zh) 一种定子滴漆室
CN220584801U (zh) 一种工业机器人操作实训设备
CN217192077U (zh) 一种折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