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409B1 - 윈도우의 습윤 검출용 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의 습윤 검출용 센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409B1
KR100829409B1 KR1020027000646A KR20027000646A KR100829409B1 KR 100829409 B1 KR100829409 B1 KR 100829409B1 KR 1020027000646 A KR1020027000646 A KR 1020027000646A KR 20027000646 A KR20027000646 A KR 20027000646A KR 100829409 B1 KR100829409 B1 KR 100829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element
light receiv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000A (ko
Inventor
슈미트파트릭
호크노르베르트
질레안트레아스
호다프브루노
미헨펠더게프하르트
핀트카라이너
마이어한스
블리츠케헨리
부르카르트만프레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16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8Inspecting transparent materials or objects, e.g.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60S1/0833Optical rain sensor
    • B60S1/0837Optical rain sensor with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1Atmospheric conditions
    • B60Q2300/314Ambient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3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vehicle environment
    • B60Q2300/33Driving situation
    • B60Q2300/337Tunnels or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2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oncom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60S1/087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characteriz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on the windshield
    • B60S1/0881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characteriz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on the windshield characterized by the attachment means on the windshi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13)의 습윤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4)와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선(17)을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15)를 포함하고, 발광 소자(14)와 수광 소자(15)는 가상의 사다리꼴의 에지점 상에 배열된다. 센서의 외부 크기가 감소됨으로써, 센서의 감지면(19)과 베이스면(18)의 비율이 개선되고 관련된 감지면이 생기며, 자동 라이트 제어 시스템(ALS)를 위한 수광 소자를 위한 공간이 제공된다.
센서 장치, 윈도우, 발광 소자, 수광 소자, 감지면

Description

윈도우의 습윤 검출용 센서 장치{Sensing device for detecting wetness on a window}
본 발명은 독립항의 전제부에 따라 자동차의 윈도우의 습윤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 197 01 258 A1호에는 자동차 윈도우용 세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센서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는 광전자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상기 센서 장치는 다수의 발광 소자 및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를 포함하여, 일정한 광선이 커플링 수단을 거쳐 윈도우에 결합 및 분리됨으로써, 윈도우의 습도 또는 오염물에 의한 습윤이 측정된다. 발광 소자는 수광 소자 둘레에 동심으로 커플링 수단 상에 배열되거나 부분적으로 동심으로 배열되고, 커플링 수단은 원형 또는 링형으로 설계된다. 상기 발광 소자, 수광 소자 및 커플링 수단은 원형의 베이스면에 고정된다. 이런 이유로 발광 소자 또는 센서 하우징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독립항의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장치에서는 센서 장치의 반응 특성이 실질적으로 개선된 것이 장점이며, 상기의 개선은 지지면 대 감지면의 비율이 높아짐으로써 나타난다. 이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의 사다리꼴 배치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그 이유는 길게 연결된 감지면이 생기기 때문이고, 이로써 윈도우에 있는 빗방울이 주행풍으로 인해 감지면으로 쓸려갈(drift) 확률이 높아진다. 이는 반응 특성을 현전히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종속항의 특징들에 나타난다.
발광 소자에 대해 다수의 수광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측정 경로의 수가 많아지고 이로써 감지면의 수가 많아지고 이는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다수의 발광 소자와 단지 하나의 수광 소자가 사용될 때도 동일한 효과가 발생한다. 2 개의 발광 소자와 2 개의 수광 소자가 사용되면, 4 개의 측정 경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4 개의 감지면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2 개의 발광 소자의 간격이 2 개의 수광 소자의 간격의 거의 두 배가 되면, 감지면의 균일한 배치가 발생한다.
또한 발광 소자가 조립 위치에서 사다리꼴의 하부 평행선 상에 배열되고, 수광 소자는 상기 사다리꼴의 상부 평행선 상에 배열되도록 상기 센서 장치를 윈도우에 고정하는 것은 특히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주로 위쪽 방향에서 오며, 방해 외부 광을 의미하는 일사(solar radiation)는 수광 소자에서 최소화될 수 있다.
개선된 특성에 의해, 특히 감지면과 지지면 사이의 개선된 비율에 의해 센서의 지지면이 축소될 수 있으므로 윈도우에 대한 센서 장치의 외부 크기는 감소된다.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의 사다리꼴 배치에 의해, 센서 하우징의 외부 크기가 직사각형으로 선택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면은 광학체의 지지면을 최적으로 이용하면서 상기 지지면에 배열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사각형의 지지면 또는 하우징은 제조시에 비용이 적게 든다. 또한 광학체의 작은 지지면은 조립시의 장점을 이루는데, 그 이유는 압착력이 일정할 때 압착압이 증가하고 이로써 커플링 매체와 윈도우 사이에 방해가 되는 기포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각각 2 개의 발광 소자 또는 2 개의 수광 소자가, 대향되고 평행한 면 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개의 측정 경로, 즉 센서의 4 개의 감지면이 단지 각각 2 개의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센서 장치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는 자동 라이트 제어 시스템(ALS; automatic light control system)에 포함되는 것인데, 예를 들면 DE 196 30 216 C2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자동 라이트 제어 시스템(ALS)이 레인 센서 모듈에 통합된다. 자동 라이트 제어 시스템(ALS)의 수광 렌즈(receiving optic)는 방향 센서 및 글로벌 센서 장치에 의해서 자동차의 주변을 넓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터널 진입은 전방을 향해 있는 방향 센서 장치의 원추형 검출 영역을 통해서 진입하기 전 적시에 검출될 수 있다.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가 사다리꼴으로 배치됨으로써, 콤팩트한 구성 형태에도 불구하고 센서 장치의 중심에는 수신 렌즈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생긴다. 이를 위해 상기의 사다리꼴은 하나의 큰 평행선과 작은 평행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신 렌즈가 센서 장치의 전체 크기를 확장시키지 않으면서, 큰 평행선 방향으로 부가적으로 연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장치의 광학적 부분의 실시예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장치의 실시예의 윤곽의 개략도.
도 3은 자동 라이트 제어 시스템을 위한 수광 렌즈를 구비한,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센서 장치의 광학체의 사시도.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윈도우(13)의 습윤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4), 상기 발광 소자(14)로부터 방출된 광선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15), 및 상기 윈도우(13)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14)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15) 사이에 배치된 광학체(10)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14) 및 상기 수광 소자(15)를 상기 윈도우(13) 상에 투영시킬 때, 사다리꼴의 꼭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수광 소자(15)가 배치된 센서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센서 하우징(11)을 구비하며 단면도로 도시된 센서 장치의 광학체(10)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광학체(10)의 지지면은 예를 들어 상기 광학체가 커플링 매체(12), 예컨대 실리콘 쿠션에 의해서 윈도우(13)와 접촉함으로써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광학체(10)의 외부 크기는 대략적으로 센서 장치의 길이 및 폭 치수와 일치하며, 이때 센서 하우징(11)은 광학체(10)의 접촉된 지지면에 의해 윈도우(13) 상에 볼룩하게 돌출할 수 있으며, 그 안에 센서 장치의 다양한 소자들, 특히 발광 소자(14)와 수광 소자(15) 및, 회로기판(24)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치는 예를 들어 윈도우(13)의 내측, 즉, 자동차의 전면 유리의 내측에 고정된다. 센서 하우징(11)과 윈도우(13)와의 고정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광학체(10) 또는 센서 하우징(11)은 압착에 의해 윈도우(13)에 고정되고, 상기 광학체(10)는, 발광 소자(14)로부터 방출된 광선(17)을 윈도우(13)에 결합하며, 상기 윈도우(13)에서 전반사 및 반사됨으로써 방향이 전환된 광선(20)을 지정된 다른 지점 즉, 수광 소자(15)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는 렌즈로서 광학체(10)에 고정된,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형성된 광학 소자(16)에서 일어나는 데, 광학 소자(16)는 광선(17, 20)을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focus, concentrate)시키고 편향(deflect)시킨다.
도시된 단면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광학체(10)의 상부로 광선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4) 및 광선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15)가 센서 하우징(11)의 내부에 고정된다. 발광 소자로는 주로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되고, 수광 소자로는 주로 광 검출 다이오드(LRD)가 사용되며, 광선은 적외선(IR) 또는 가시 범위(VIS) 내, 또는 임의의 다른 주파수 범위일 수 있다. 수광 소자로서 광 다이오드의 구성에 상응하는 다른 수광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발광 소자(14)와 수광 소자(15) 사이의 광학적 주파수는 최적으로 일치될 수 있다. 광학체(10)의 재료로는 발광 다이오드(LED)의 송신 주파수에 대해서 투과적이나 방해가 되는 외부 광에 대해서는 불투명한 재료, 여기서는 플라스틱이 선택된다.
도 2에는 발광 소자(14)와 수광 소자(15)의 구성이 도시된다. 상기 센서 장치의 발광 소자(14) 및 수광 소자(15)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광학 소자(16)의 근처에 위치한다. 발광 소자(14), 수광 소자(15) 및 각각의 해당 광학 소자(16)는 점선으로 도시된 베이스면(18)을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면은 본 발명에 따라 사다리꼴이다.
사다리꼴의 제 1 평행선 상에는 2 개의 광학 소자(16)가 각각의 발광 소자(14) 근처에 배열된다. 상기의 광학 소자(16)는 서로 나란히 배열된 2 개의 렌즈로서 형성됨으로써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2 개의 측정 경로가 두 방향으로 생긴다. 이와 유사하게 수광 소자(15)가 배열된다. 광학 소자(16)는 예를 들어 렌즈 또는 거울로 구성되며, 또한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다리꼴형 베이스면(18)의 a와 b 사이의 간격을 상응하게 선택함으로써 상응하는 에러각이 작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단지 하나의 렌즈로 구성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발광 소자(14)들 및 수광 소자(15)들 사이의 간격(a 또는 b)은 방출된 발광 소자(14)의 광선의 파장, 윈도우(13) 및 광학체(10)의 두께, 윈도우(13)의 굴절율, 발광 소자에서 방출된 광선(17)이 윈도우(13)로 입사하는 각과 입사점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간격은, 윈도우(13)에 결합된 광선(17)이 측정 경로에 따라 윈도우(13)의 외부 표면에 한 번 전반사된 다음 윈도우(13)로부터 분리되어 수광 소자(15)에까지 유도되도록 선택된다.
도시된 감지면(19)은 윈도우(13)에서 젖을 수 있는 면의 영역에 일치하며, 윈도우가 젖지 않을 경우 광선(17)은 상기 영역에서 전반사된다. 윈도우(13), 윈도우(13)의 두께 및 광학 소자(16)의 형태에 대한 상기 발광 소자(14) 및 수광 소자(15)의 배치에 따라, 발광 소자에서 방출된 광선(17)의 반사면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다. 상기 파라미터는 본 발명에 따라, 개별 반사면으로부터 연결된 감지면(19)이 생기도록 하는 정도의 크기여야 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발광 소자(14)의 원추형 광선(20)의 중심축과 윈도우(13)의 젖을 수 있는 면과의 교차점이 하나의 직선, 즉, 평행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교차점이 대략 동일한 간격을 가짐으로써 달성된다.
윈도우(13)의 젖을 수 있는 외측에서 원하는 전반사가 한번 이상 일어날 경우, 발광 소자(14) 및 수광 소자(15) 또는 각각의 해당 광학 소자(16)의 간격(a 또는 b)은 이에 상응하여 더 크게 선택되고, 커플링 매체(12)는 광선이 윈도우(13)에 결합 및 분리되는 영역에만 제공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센서 장치의 광학체(10)가 도시된다. 발광 소자(14)와 수광 소자(16)로 구성된 사다리꼴은 짧고 긴 평행선을 가지는데, 대략 중심으로부터 긴 평행선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자동차의 자동 라이트 제어 시스템을 위한 수광 렌즈(21)가 배열된다. 수광 렌즈는 광학체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광 렌즈(21)는 광투과성 재료로 제조되며, 재료의 투과 범위는 가시 범위에 있다.
상기 광학체(10)와 수광 렌즈(21)는 일부재이며, 예를 들어 다성분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되나 다수의 개별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수광 렌즈(21)는 광학체(10)의 상응된 리세스 내에 삽입된다.
상기 수광 렌즈(21) 자체는 4 개의, 거의 렌즈 형상으로 형성된 소자(22, 23)를 포함한다. 센서 하우징의 근처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또는 다수의 일광 센서가 제공되며, 자동차 주변의 휘도 상태는 상기 일광 센서에 의해 방향 감지식으로 검출될 수 있다. 렌즈 형상 소자(22, 23) 중 제 1 소자(23)는, 자동차 주변의 전체 휘도가 방향 감지 없이 검출되도록 형성된다. 나머지 3 개의 렌즈형 제 2 소자(22)는 예를 들어 특히 어떤 시점에서 주행 방향에 정확히 위치하지 않는 터널에 진입하는 것을 일찍 알 수 있도록 좁은 원추형 광 검출 영역을 가지고 자동차 앞의 다른 세 방향을 향한다.
상기 광학체(10)의 재료로는 주로 플렉시 글라스(PMMA)가 사용되는데, 이는 비용이 적게 들고 가공하기에 양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발광 영역에서만 투과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른 재료들도 고려될 수 있다. 특히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을 통해, 윈도우(13)를 향한 면이 윈도우(13) 반대편에 놓인 면보다 더 유연하고 탄성적인 특성을 갖는 광학체 재료도 적합하며, 이는 커플링 매체(12)가 절약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광학체(10)의 필터링 특성을 얻기 위해, 광학체(10)의 제조 공정 중에 특정 물질, 특히 카본 블랙 입자가 공간적으로 선택적으로 재료에 첨가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을 위해 필요한, 발광 광선(17)만이 투과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이 커플링 매체(12)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 다른 변형예에서, 사다리꼴의 각 꼭지점에는 발광 소자(14) 및 수광 소자(15)가 위치하거나 또는 전체 사다리꼴에 대해서 단지 하나의 발광 소자(14)만이 사용되며, 이때 광학 소자(16)는 사다리꼴의 다수의 꼭지점에서 방출 광선(17)이 윈도우(13)로 결합될 수 있도록 반사 특성을 갖는다.
상기 수광 렌즈(21)는 다수의 소자(22, 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공간적 구조를 고려해서 휘도 분포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파싯(facet) 구조가 가능하다. 이로써 반대편에서 오는 자동차가 인식될 수 있다. 여기서는 물론 광 주파수가 필터링될 수 있다. 정보가 충분하기 때문에, 어퍼 빔(upper beam)과 로우 빔(low beam) 사이에서 자동적 또는 반자동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Claims (14)

  1. 자동차 윈도우(13)의 습윤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4), 상기 발광 소자(14)로부터 방출된 광선을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15), 및 상기 윈도우(13)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14)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15) 사이에 배치된 광학체(10)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소자(14) 및 상기 수광 소자(15)를 상기 윈도우(13) 상에 투영시킬 때, 사다리꼴의 꼭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수광 소자(15)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14) 및 상기 수광 소자(15) 사이에서 상기 광선은 적어도 한 번 상기 윈도우(13)의 면에 반사되고, 상기 발광 소자(14)는 광선을 다양한 방향으로 방출하며, 상기 방출된 광선의 반사면들이 서로 연결되어 감지면(19)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4)는 광선을 2 개의 수광 소자(15)를 향한 두 방향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광 소자(15)는, 2 개의 상기 발광 소자(14)에 의해 방출되어 두 방향으로 오는 광선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14) 및 상기 수광 소자(15)의 수는 각각 2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은 등변 사다리꼴이며, 2 개의 발광 소자(14)의 간격과 2개의 수광 소자(15)의 간격이 서로 상이하되, 어느 하나의 간격이 다른 하나의 간격의 두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치는 4 개의 측정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14)는 조립 위치에서 사다리꼴 하부의 제 1 평행선 상에 배열되며, 상기 수광 소자(15)는 조립 위치에서 사다리꼴 상부의 제 2 평행선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상의 상기 발광 소자(14)의 원추형 광선(20)의 반사면들의 중심들은, 상기 사다리꼴의 양 평행선 사이로 연장되는 하나의 평행선 상에,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체(10), 상기 발광 소자(14), 및 상기 수광 소자(15)는, 상기 발광 소자(14)로부터 방출된 광선이 상기 윈도우(13)에서 단 한번의 전반사가 발생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체(10)에는, 상기 발광소자(14) 및 상기 수광 소자(15) 각각을 위한 광학 소자(16)가 배치되되, 각각의 상기 광학소자는 적어도 2개의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12. 삭제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체(10)에는, 상기 발광 소자(14) 및 상기 수광 소자(15) 각각을 위한 광학 소자(16)가 배치되되, 각각의 상기 광학 소자는 단지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자동 라이트 제어 시스템(ALS)을 위한 수광 렌즈(21)가, 상기 광학체(10)의 중심에 또는 상기 중심에서 상기 사다리꼴의 긴 평행선 쪽으로 치우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장치.
KR1020027000646A 1999-07-17 2000-07-05 윈도우의 습윤 검출용 센서 장치 KR100829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3641.5 1999-07-17
DE19933641A DE19933641A1 (de) 1999-07-17 1999-07-17 Sensoreinrichtung zur Erfassung einer Benetzung auf einer Schei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000A KR20020016000A (ko) 2002-03-02
KR100829409B1 true KR100829409B1 (ko) 2008-05-15

Family

ID=791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646A KR100829409B1 (ko) 1999-07-17 2000-07-05 윈도우의 습윤 검출용 센서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744371B1 (ko)
EP (2) EP1202886B1 (ko)
JP (1) JP2003504631A (ko)
KR (1) KR100829409B1 (ko)
CN (1) CN1170706C (ko)
AU (1) AU6556500A (ko)
BR (1) BR0012550B1 (ko)
DE (3) DE19933641A1 (ko)
ES (2) ES2352806T3 (ko)
MY (1) MY125212A (ko)
WO (1) WO2001005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8085B4 (de) * 2002-03-08 2006-09-07 Leuze Electronic Gmbh & Co Kg Optoelektronische Vorrichtung
DE10212269A1 (de) * 2002-03-20 2003-10-02 Bosch Gmbh Robert Regensensor, insbesondere für Scheiben
EP1382946A1 (en) * 2002-07-15 2004-01-21 Product Innovation Limited Level sensors
JP2004198214A (ja) * 2002-12-18 2004-07-15 Denso Corp 雨滴および光検出装置
DE10326854A1 (de) * 2003-06-14 2004-12-30 Hella Kgaa Hueck & Co. Sensoreinrichtung zur Erfassung der Benetzung einer Scheibe
DE102004003686A1 (de) * 2004-01-24 2005-08-18 Hella Kgaa Hueck & Co. 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zum Messen von Licht
DE102004015699A1 (de) 2004-03-29 2005-10-20 Bosch Gmbh Robert Regensensor
JP4241561B2 (ja) * 2004-09-28 2009-03-18 株式会社デンソー 雨滴検出装置
JP4292413B2 (ja) 2004-10-12 2009-07-08 株式会社デンソー 雨滴検出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ワイパ自動制御装置
DE102006042806A1 (de) * 2006-09-08 2008-03-27 Endress + Hauser Flowtec Ag Opto-elektronische Vorrichtung
DE202006017362U1 (de) * 2006-11-13 2008-03-20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Regensensor
DE102007027071B4 (de) * 2007-06-12 2019-09-12 Bcs Automotive Interface Solutions Gmbh Verfahren und Sensor zur Erfassung von Benetzungsereignissen auf einer Scheibe
JP4770917B2 (ja) * 2008-11-17 2011-09-14 株式会社デンソー 雨滴検出装置
DE102010013837A1 (de) 2010-03-26 2011-09-29 Vr Vision Research Gmbh Sensorsystem zur Ermittlung des Benetzungsgrades auf einer Scheibe
KR101327031B1 (ko) * 2011-10-31 2013-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의 내구성 판단 장치
JP5672583B2 (ja) * 2012-07-13 2015-02-18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付着物検出装置、移動装置用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移動装置
DE102012019621A1 (de) * 2012-10-06 2014-04-10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Regensensor,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Erfassen der Intensität eines Niederschlags
DE102013211738A1 (de) * 2013-06-21 2014-12-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orrichtung zur Feuchtigkeitserkennung
KR20170071891A (ko) * 2015-12-16 2017-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면 측정 레인센서
US11084463B2 (en) * 2018-06-25 2021-08-10 Littelfuse, Inc. Optical rain sensor with dynamic optical configuration control comprising a plurality of photo elements each capable of being selectively activated to emit light and deactivated to receive ligh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1303A (en) 1996-05-24 1997-08-26 Libbey-Owens-Ford Co. Compact moisture sensor with collimator lenses and prismatic coupler
US5898183A (en) 1997-10-16 1999-04-27 Libbey-Owens-Ford Co. Compact moisture sensor with efficient high obliquity optic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9644A (ja) * 1983-07-27 1985-02-15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曇り検出装置
FR2648096B1 (fr) * 1989-06-12 1991-08-23 Valeo Systemes Dessuyage Systeme d'essuie-glace avec detecteur de pluie
DE4134432A1 (de) * 1991-10-18 1993-04-22 Daimler Benz Ag Verfahren zur anpassung der ansprechempfindlichkeit eines niederschlagssensorsystems an umgebungsverhaeltnisse und sensorsystem mit einem niederschlagssensor
DE4318114C2 (de) * 1993-06-01 1998-07-16 Kostal Leopold Gmbh & Co Kg Sensoreinrichtung
DE19701258A1 (de) * 1996-01-18 1997-07-24 Itt Mfg Enterprises Inc Regensensor mit planarer Koppelfolie
DE19718390A1 (de) * 1997-04-30 1998-11-05 Sick Ag Opto-elektronischer Sensor
JPH1134802A (ja) * 1997-07-22 1999-02-09 Nippon Sheet Glass Co Ltd レインセンサを応用した制御装置
DE19815747C1 (de) * 1998-04-08 1999-10-28 Bosch Gmbh Robert Sensoreinrichtung zur Erfassung einer Benetzung auf einer Scheibe
DE19815748C5 (de) * 1998-04-08 2008-02-28 Robert Bosch Gmbh Sensoreinrichtung zur Erfassung einer Benetzung einer Scheibe
DE19815746C1 (de) * 1998-04-08 1999-11-04 Bosch Gmbh Robert Sensoreinrichtung zur Erfassung einer Benetzung auf einer Scheibe
US6232603B1 (en) * 1998-10-29 2001-05-15 Kelsey-Hayes Co. Rain sensor operation on solar reflective glass
EP0999104A3 (en) * 1998-11-02 2003-09-17 Central Glass Company, Limited Water droplet sensor and exposure system for hol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1303A (en) 1996-05-24 1997-08-26 Libbey-Owens-Ford Co. Compact moisture sensor with collimator lenses and prismatic coupler
US5898183A (en) 1997-10-16 1999-04-27 Libbey-Owens-Ford Co. Compact moisture sensor with efficient high obliquity op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0897A2 (de) 2007-07-25
EP1202886A1 (de) 2002-05-08
DE50015997D1 (de) 2010-10-28
MY125212A (en) 2006-07-31
WO2001005637A1 (de) 2001-01-25
ES2300271T3 (es) 2008-06-16
CN1361733A (zh) 2002-07-31
JP2003504631A (ja) 2003-02-04
AU6556500A (en) 2001-02-05
BR0012550A (pt) 2002-04-09
DE50015064D1 (de) 2008-05-08
EP1810897A3 (de) 2008-02-13
DE19933641A1 (de) 2001-03-08
US6744371B1 (en) 2004-06-01
EP1202886B1 (de) 2008-03-26
KR20020016000A (ko) 2002-03-02
BR0012550B1 (pt) 2013-01-22
CN1170706C (zh) 2004-10-13
ES2352806T3 (es) 2011-02-23
EP1810897B1 (de)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409B1 (ko) 윈도우의 습윤 검출용 센서 장치
US6507015B1 (en) Raindrop sensor having plano-convex lens
US6831288B1 (en) Light-sensitive sensor unit, especially for automatic switching of illumination equipment
KR100469605B1 (ko) 콜리메이터렌즈및분광커플러를갖는소형습기감지기
AU735005B2 (en) Compact moisture sensor with efficient, high obliquity optics
US20060043322A1 (en) Raindrop sensor
EP2020348A2 (en) Optical sensor device
JP4473509B2 (ja) 特に自動車に用いられるレインセンサ
US6545285B1 (en) Sensor device for detecting moisture on a window
US20060278815A1 (en) Regressive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witch
US20110242540A1 (en) Rain sensor
US6455866B1 (en) Sensor device for detecting moisture on a window
US6433501B2 (en) Sensor device for detecting moisture on a window
US7019322B2 (en) Optical sensor for detecting moisture on a surface
JP2021056064A (ja) 液滴センサ
KR101916590B1 (ko)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는 레인센서
KR100981215B1 (ko) 레인센서
WO2003012408A1 (en) Optical condensation sensor and controller employing the same
EP3604050B1 (en) Optical moisture sensor for automotive applications
US6735007B2 (en) Optoelectronic device
KR100957421B1 (ko) 실내 감지 겸용 레인센서
KR101942499B1 (ko) 소자 일체형 광차단모듈을 포함하는 레인센서
KR101806776B1 (ko) 다면 측정 레인센서
CA2520651C (en) Compact moisture sensor with efficient, high obliquity optics
CN116080587A (zh) 一种光学式雨量传感器的光学结构及雨量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