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234B1 -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234B1
KR100829234B1 KR20060131894A KR20060131894A KR100829234B1 KR 100829234 B1 KR100829234 B1 KR 100829234B1 KR 20060131894 A KR20060131894 A KR 20060131894A KR 20060131894 A KR20060131894 A KR 20060131894A KR 100829234 B1 KR100829234 B1 KR 100829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emnant
rod
pig iron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31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환
김남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아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아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아이디
Priority to KR20060131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2Opening or sealing the tap holes
    • C21B7/125Refractory plugging m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36Devices for plugging tap holes, e.g. plugs stop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작업에 따른 공정의 개선으로 잔선구 개공 및 시공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장비를 갖추고 관리할 수 있도록 된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은, 대탕도(100)를 구성하는 철제금형(110)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설치된 잔선런너커버(210)와, 상기 잔선런너커버(210)의 일단에 설치된 대차 이동용 실린더(220)와, 상기 대차 이동용 실린더(220)의 로드(221)에 의해 상기 잔선런너커버(210)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된 대차(230)와, 상기 대차(230)의 하부에 평행하게 고정된 플러그 이완용 실린더(240)와, 상기 플러그 이완용 실린더(240)의 로드(241)에 일단이 힌지되고, 상기 대차(230)의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로드(231)에 중간 부분이 회동가능하게 힌지되는 한편, 타단은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111)에 대해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잔선구(111)의 형태를 따른 외형을 갖는 내화물 소재의 플러그 본체(11)에 일부가 심겨져 고정되며 다른 일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11)의 후단부로 노출되어 상기 플러그 본체(11)를 잔선구(111)에 대해 삽입 및 인출하기 위한 외력을 받게 되는 로드(12)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아암(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60131894
용광로, 대탕도, 실린더, 아암,

Description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THE INSTALL DEVICE OF PLUG FOR MAIN IRON RUNNER OF BLAST FURNACE METHOD BESID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 개공작업장치로 잔선구 개공작업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 개공작업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 개공작업방법을 설명하는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러그 11 : 플러그 본체
12 : 로드 100 : 대탕도
200 :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210 : 잔선런너커버 220 : 대차 이동용 실린더
230 : 대차 231 : 로드
232 : 바퀴 240 : 플러그 이완용 실린더
241 : 로드 250 : 아암
260 : 지그 261 : 핀
본 발명은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작업에 따른 공정의 개선으로 잔선구 개공 및 시공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장비를 갖추고 관리할 수 있도록 된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제선공정에 있어서, 용광로 내부에서 생성된 용융물은 출선구를 통해 대탕도(main iron runner)로 배출되며, 배출된 용융물은 대탕도 내에 일정시간 체류 또는 저장된 상태에서 비중차에 의해 용선과 슬래그로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용선은 용선 탕도로 흘러가고, 슬래그는 대탕도에서 용선이 재분리된 뒤 슬래그 탕도를 따라 배출된다.
한편, 대탕도의 외부는 철제 금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부에는 정형 내화물이 축조됨과 아울러 부정형 내화물이 성형됨으로써 고온의 용선이 체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대탕도에 용선이 체류 또는 저장된 상태에서는 1500℃ 전후의 고온과 용선의 유동에 의해 내화물이 화학적 반응과 물리적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손상과 마모가 진행된다. 이 때, 마모 또는 손상된 대탕도의 내벽을 보수하기 위해 서는 일단 대탕도 내의 용선을 외부로 배출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종래에도 잔선구 개공을 위한 작업의 곤란성을 배제하고 필요시 언제든지 단시간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잔선구를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 잔선구 개공시 유발되는 잔선구 주위의 내화물 파손과 그로 인한 대탕도의 수명 단축을 배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선 누설 사고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시 비상 조치의 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안전 확보와 설비보호에 효과적인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를 등록특허 제10-0594823호로 제안하였는바, 대탕도의 잔선구에 대해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잔선구의 형태를 따른 외형을 갖는 내화물 소재의 플러그 본체와; 일부가 상기 플러그 본체에 심겨져 고정되며 다른 일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후단부로 노출되어 상기 플러그 본체를 잔선구에 대해 삽입 및 인출하기 위한 외력을 받게 되는 로드와, 상기 플러그 본체의 후단부에는, 상기 플러그 본체와 상기 잔선구 사이의 틈새에 압입되는 씰링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잔선구의 입구를 차단하는 씰링재 누출 방지판이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는, 대탕도의 구축시 잔선구가 설치된 상태에서 잔선구를 언제든지 임의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대탕도로부터 용선을 배출하고자 할 경우에 종래와 같은 잔선구 개공을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하고, 잔선구 개폐 작업의 신속성과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뿐 아니라, 용선 누설 사고와 같은 긴급 상황 발생시 플러그의 즉각적인 인출을 통해 대탕도 내의 용선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용선의 누설이 최소화됨과 아울러 2차 사고가 미연 에 방지됨으로써, 안전 확보와 설비 보호에 효과적임은 물론, 종래에 잔선구 개공시 유발되던 잔선구 주위의 내화물 파손의 위험이 없으므로, 대탕도의 수명 보전과 비용 절감에 기여하게 되는 한편, 종래의 산소 작업 방식에서 잔선구 개공 작업시 발생하던 분진과 불꽃 비산 현상이 배제되고 오염물질의 발생이 없으므로, 환경적인 측면에서 매유 유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는 수작업에 의해 설치되어 작업성이 나쁘므로 잔선구의 개공 및 시공시간이 많이 필요함은 물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대탕도 잔선구의 저절로 구멍이 형성되거나 균열이 발생하여 파손되므로서 용선이 유출되는 자파(自派)에 따른 사전 예방시스템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작업에 따른 공정의 개선으로 잔선구 개공 및 시공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장비를 갖추고 관리할 수 있도록 된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는, 대탕도를 구성하는 철제금형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설치된 잔선런너커버와, 상기 잔선런너커버의 일단에 설치된 대차 이동용 실린더와, 상기 대차 이동용 실린더의 로드에 의해 상기 잔선런너커버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된 대차와, 상기 대차의 하부에 평행하게 고정된 플러그 이완용 실린더와, 상기 플러그 이완용 실린더의 로드에 일단이 힌지되고, 상기 대차의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로드에 중간 부분이 회동가능하게 힌지되는 한편, 타단은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에 대해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잔선구의 형태를 따른 외형을 갖는 내화물 소재의 플러그 본체에 일부가 심겨져 고정되며 다른 일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후단부로 노출되어 상기 플러그 본체를 잔선구에 대해 삽입 및 인출하기 위한 외력을 받게 되는 로드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는, 상기 아암과 로드를 연결하기 위한 지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그는 일단이 상기 로드와 연결되도록 로드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로드가 지그에 끼워진 상태로 로드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타단에는 상기 아암과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핀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는, 상기 대차는 상기 잔선런너커버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양단과 양측면으로 상기 잔선런너커버에서 구름마찰하는 바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방법은, 대탕도의 잔선구에 시일재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시일재가 충진된 잔선구에 플러그를 강제 압입하는 단계와, 상기 잔선구로 자파감지수단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상 기 플러그의 플러그 본체와 로드 사이에 구비되어 잔선구의 입구에 밀착 설치된 실링플레이드에 의해 밀봉되도록 상기 잔선구의 뒤쪽에서 시일재가 누출되지 않도록 압입재를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방법은, 상기 플러그를 강제 압입하는 단계에서 청구항1 내지 청구항3항중 어느 한 항의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에 의해 가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방법은, 상기 자파감지수단을 실링재쪽으로 삽입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플러그 본체에 형성된 삽입구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 개공작업장치로 잔선구 개공작업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 개공작업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 개공작업방법을 설명하는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대탕도(100)는 철재금형(110)과, 이 철재금형의 내부에 적층된 내화물(120)과, 이 내화물의 내측에 설치된 부정형 내화물(130)과, 이 부정형 내화물의 내측에 수용된 용선(140) 및, 이 용선의 상부에 생성되는 슬래그(150)를 갖는 한편, 상기 철재금형(110)의 하부에는 상기 용선(140)이 남은 것을 배출할 수 있도록 잔선구(111)가 설치되며, 상기 잔선구(111)에는 상기 용선(140)이 수용되는 곳 까지 시일재(160)가 충진된다.
본 발명의 요지에 해당하는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200)는, 대탕도(100)를 구성하는 철제금형(110)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된 잔선런너커버(210)와, 상기 잔선런너커버(210)의 일단에 설치된 대차 이동용 실린더(220)와, 상기 대차 이동용 실린더(220)의 로드(221)에 의해 상기 잔선런너커버(210)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된 대차(230)와, 상기 대차(230)의 하부에 평행하게 고정된 플러그 이완용 실린더(240)와, 상기 플러그 이완용 실린더(240)의 로드(241)에 일단이 힌지되고, 상기 대차(230)의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로드(231)에 중간 부분이 회동가능하게 힌지되는 한편, 타단은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111)에 대해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잔선구(111)의 형태를 따른 외형을 갖는 내화물 소재의 플러그 본체(11)에 일부가 심겨져 고정되며 다른 일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11)의 후단부로 노출되어 상기 플러그 본체(11)를 잔선구(111)에 대해 삽입 및 인출하기 위한 외력을 받게 되는 로드(12)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아암(2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암(250)과 로드(12)는 별도의 연결수단인 지그(260)에 의해 양단이 핀(261)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지그(260)는 일단이 상기 로드(12)와 연결되도록 로드(12)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지그(260)와 로드(12)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타단에는 상기 아암(250)과 연결되도록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차 이동용 실린더(220)의 스트로크는 대탕도 잔선구 시공길이를 참조 하여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대차(230)는 상기 잔선런너커버(21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양단과 양측면으로 상기 잔선런너커버(210)에서 구름마찰하는 바퀴(232)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대차 이동용 실린더(220)가 작동하여 로드(221)가 인출되면 상기 대차(230)가 잔선런너커버(210)의 내부에서 대탕도(100)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대차(230)의 로드(231)에 연결된 아암(250) 또는 지그(260)로 고정된 플러그(10)의 플러그 본체(11)는 시일재(160)가 공급된 잔선구(111)로 삽입되게 되어 잔성공 내부의 기공 형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자파원인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잔선구(111)를 개공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10)를 대탕도(100)에서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플러그 이완용 실린더(240)가 수차려 작동하여 로드(241)가 왕복이동하면 상기 아암(250)이 작동하면서 플러그 본체(11)가 잔선구(111)에서 이완되게 되고, 이후 상기 대차 이동용 실린더(220)가 작동하여 로드(221)가 대차 이동용 실린더(220)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플러그 본체(11)가 잔선구(111)에서 분리되므로 상기 부정형 내화물(130)에 잔존한 용선(140)이 잔선구(111)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10)를 대탕도(100)의 잔선구(111)에 시공하는 것이나 분리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방법은, 대탕도(100) 의 잔선구(111)에 시일재(160)를 충진하는 단계(S1)와, 상기 시일재(160)가 충진된 잔선구(111)에 플러그(10)를 강제 압입하는 단계(S2)와, 상기 잔선구(111)로 자파감지수단(300)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S3)와, 상기 플러그(10)의 플러그 본체(11)와 로드(12) 사이에 구비되어 잔선구(111)의 입구에 밀착 설치된 실링플레이드(13)에 의해 밀봉되도록 상기 잔선구(111)의 뒤쪽에서 시일재(160)가 누출되지 않도록 압입재(400)를 충진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시일재(160)가 충진된 잔선구(111)에 플러그(10)를 강제 압입하고, 상기 플러그 본체(11)의 뒤쪽에 충진되는 압입재(400)에 의해 시일재(160)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하는 것에 의해 용선의 압력에 의한 저절로 구멍이 형성되거나 균열이 발생하여 파손되므로서 용선이 유출되는 자파(自派)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잔선구(111)로 삽입된 자파감지수단(300)에 의해 자파의 원인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10)를 강제 압입하는 단계(2)에서 본 발명의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200)에 의해 가압하게 되면 상기 플러그(10)를 대탕도(100)의 잔선구(111)에 시공하는 것이나 분리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자파감지수단(300)을 실링재(160)쪽으로 삽입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플러그 본체(11)에 형성된 삽입구(11a)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자파감지가 용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 장치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작업에 따른 공정의 개선으로 잔선구 개공 및 시공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적은 비용으로 장비를 갖추고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6)

  1. 대탕도(100)를 구성하는 철제금형(110)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설치된 잔선런너커버(210)와, 상기 잔선런너커버(210)의 일단에 설치된 대차 이동용 실린더(220)와, 상기 대차 이동용 실린더(220)의 로드(221)에 의해 상기 잔선런너커버(210)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하도록 된 대차(230)와, 상기 대차(230)의 하부에 평행하게 고정된 플러그 이완용 실린더(240)와, 상기 플러그 이완용 실린더(240)의 로드(241)에 일단이 힌지되고, 상기 대차(230)의 하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로드(231)에 중간 부분이 회동가능하게 힌지되는 한편, 타단은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111)에 대해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잔선구(111)의 형태를 따른 외형을 갖는 내화물 소재의 플러그 본체(11)에 일부가 심겨져 고정되며 다른 일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11)의 후단부로 노출되어 상기 플러그 본체(11)를 잔선구(111)에 대해 삽입 및 인출하기 위한 외력을 받게 되는 로드(12)에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아암(250)로 구성되고,
    상기 대차(230)는 상기 잔선런너커버(210)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양단과 양측면으로 상기 잔선런너커버(210)에서 구름마찰하는 바퀴(23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250)과 로드(12)를 연결하기 위한 지그(2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그(260)는 일단이 상기 로드(12)와 연결되도록 로드(12)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로드(12)가 지그(260)에 끼워진 상태로 로드(12)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타단에는 상기 아암(250)과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핀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3. 삭제
  4. 대탕도(100)의 잔선구(111)에 시일재(160)를 충진하는 단계(S1)와,
    상기 시일재(160)가 충진된 잔선구(111)에 플러그(10)를 강제 압입하는 단계(S2)와,
    상기 잔선구(111)로 자파감지수단(300)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S3)와,
    상기 플러그(10)의 플러그 본체(11)와 로드(12) 사이에 구비되어 잔선구(111)의 입구에 밀착 설치된 실링플레이드(13)에 의해 밀봉되도록 상기 잔선구(111)의 뒤쪽에서 시일재(160)가 누출되지 않도록 압입재(400)를 충진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를 강제 압입하는 단계(S2)에서 청구항1 내지 청구항3중 어느 한 항의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200)에 의해 가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파감지수단(300)을 실링재(160)쪽으로 삽입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플러그 본체(11)에 형성된 삽입구(11a)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방법.
KR20060131894A 2006-12-21 2006-12-21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 KR100829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31894A KR100829234B1 (ko) 2006-12-21 2006-12-21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31894A KR100829234B1 (ko) 2006-12-21 2006-12-21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234B1 true KR100829234B1 (ko) 2008-05-14

Family

ID=3965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31894A KR100829234B1 (ko) 2006-12-21 2006-12-21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253A (ko) * 2018-10-26 2021-03-31 노벨리스 인크. 테이퍼진 플러그 버너 세척 포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631U (ko) * 1997-10-29 1999-05-25 이구택 개공기 태핑바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태핑소켓
KR20020052853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출강구 밀폐장치
KR20060062739A (ko) * 2004-12-06 2006-06-12 이승환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
KR20060072649A (ko) * 2004-12-23 2006-06-28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대탕도의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631U (ko) * 1997-10-29 1999-05-25 이구택 개공기 태핑바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태핑소켓
KR20020052853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출강구 밀폐장치
KR20060062739A (ko) * 2004-12-06 2006-06-12 이승환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
KR20060072649A (ko) * 2004-12-23 2006-06-28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대탕도의 커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253A (ko) * 2018-10-26 2021-03-31 노벨리스 인크. 테이퍼진 플러그 버너 세척 포트
KR102441411B1 (ko) * 2018-10-26 2022-09-07 노벨리스 인크. 테이퍼진 플러그 버너 세척 포트
US11549683B2 (en) 2018-10-26 2023-01-10 Novelis Inc. Tapered plug burner cleaning ports
US11747015B2 (en) 2018-10-26 2023-09-05 Novelis Inc. Tapered plug burner cleaning por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234B1 (ko)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의 설치장치 및 그 방법
CN209210845U (zh) 一种高炉铁口用氧枪
US46375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taphole in furnaces
KR100712599B1 (ko) 래들 내의 분진 제진장치
CN201212044Y (zh) 炼钢转炉挡渣闸阀用水冷油缸
CN204700296U (zh) 重型燃机排气缸铸件浇口杯氩气保护装置
KR100594823B1 (ko) 용광로의 대탕도 잔선구용 플러그
CN207998619U (zh) 一种节流型高炉主铁沟隔热罩
KR100426672B1 (ko) 직립로의주조장에서액상금속을이송하는장치및이장치의작동방법
CN100376345C (zh) 决定是再使用还是废弃耐火材料板的方法及为此的设备
CN201778038U (zh) 高炉铁口灌浆压头
CN201164904Y (zh) 钢铁浇铸保护水口
KR100829233B1 (ko) 용광로용 송풍관의 유로 폐쇄장치
KR101159964B1 (ko) 전기로 출강구 개폐장치
KR200172513Y1 (ko) 열간 턴디쉬 회수장치
CN220397316U (zh) 一种铁水罐车用的液压油路漏油检测装置
JP2572187B2 (ja) 出銑樋残銑抜き装置およびそのストッパ操作装置
KR20130014801A (ko) 풍구 폐쇄 장치
JPS6028661Y2 (ja) 高炉の連続出銑装置
CN207775273U (zh) 一种高炉主沟和渣铁沟的搭接结构
KR20110003345U (ko) 전기로의 노상 보수재 투입장치
CN102297582A (zh) 一种移动式热风冲天炉
EP1233077A1 (en) System for repairing blast furnace taphole facings
KR101451723B1 (ko) 전극봉 산화 방지 장치
KR101406540B1 (ko) 노의 내부 폭발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