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110B1 -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110B1
KR100829110B1 KR1020060116329A KR20060116329A KR100829110B1 KR 100829110 B1 KR100829110 B1 KR 100829110B1 KR 1020060116329 A KR1020060116329 A KR 1020060116329A KR 20060116329 A KR20060116329 A KR 20060116329A KR 100829110 B1 KR100829110 B1 KR 100829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ample
playback
dr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6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echnology Law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콘텐츠에 대해 미리 보기 또는 미리 듣기 기능을 수행하는 샘플 콘텐츠를 결합시킴으로써, DRM 콘텐츠 재생권한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임의의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선택 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임의의 콘텐츠 선택시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재생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명령 입력시 상기 콘텐츠의 헤더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헤더 정보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샘플콘텐츠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샘플콘텐츠 존재시 샘플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재생과정을 포함한다.
이동통신단말기, DRM 콘텐츠, 샘플 콘텐츠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OF CONTENTS IN A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선택 콘텐츠의 재생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샘플 콘텐츠가 결합한 선택 콘텐츠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선택 콘텐츠 구입 여부 선택메시지 표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선택 콘텐츠에 부가된 샘플 콘텐츠에 대한 재생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이하 DRM이라고 칭한다) 콘텐츠에 대해 미리 보기 또는 미리 듣기 기능을 수행하는 샘플 콘텐츠를 결합시킴으로써, DRM 콘텐츠 재생권한이 없는 경우에도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단말기는 고화질 영상 콘텐츠 재생이 가능하도록 멀티미디어 기능이 발달하고 있으며, 또한 대용량의 메모리소자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이동통신 환경도 함께 발전하여 이동통신망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에 접속된 임의의 웹 서버(Web Server)와 이동통신단말기 간에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사용자는 필요한 데이터를 언제든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로 다운로드 받아서 다양한 콘텐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유료 콘텐츠 데이터는 콘텐츠 재생권한 획득을 위해 비용을 지급한 자만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DRM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DRM은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복제를 방지하고, 사용료 부과와 결제대행 등 콘텐츠의 생성에서 유통 및 관리까지 일괄 지원하는 기술이다.
상기 DRM은, 온라인(Online) 또는 오프라인(Offline)을 통해 전달되는 음악, 비디오, 전자문서 및 이미지 등 각종 디지털 형태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호하여 디지털 정보의 창작자, 유통업자, 출판업자, 서비스 제공자, 정부 및 최종 사용자의 권리(저작권, 사용권 등)를 지속적으로 보장하고 관리하는 컴퓨팅 기술이다.
이러한 DRM은 주로 암호화 기법을 사용하여 네트워크(Network) 상에서 실시간으로 안전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판매와 배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DRM을 사용하면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 배포, 사용 및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정보 보호가 가능하고,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상에서 사용자의 권한에 따른 사용과 권리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는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DRM이 설정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동 또는 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 메모리장치 또는 하드디스크장치 등에 저장된 DRM콘텐츠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로 이동 또는 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DRM 콘텐츠를 이동 또는 복제하더라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에 대한 재생권한(DRM 콘텐츠 암호해독 키)이 없을 경우에는, 해당 DRM 콘텐츠를 재생할 수 없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는 임의의 DRM 콘텐츠를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 상에서 재생하기 위해서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한 재생권한 요금 등을 미리 지급하여 상기 DRM 콘텐츠 재생권한(DRM 콘텐츠 암호해독 키)을 획득하여야 한다.
즉, 종래에는 임의의 DRM 콘텐츠 재생권한을 구입하기 전에는 상기 DRM 콘텐츠에 사용자가 희망하는 콘텐츠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임의의 DRM 콘텐츠에 사용자가 희망하는 콘텐츠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DRM 콘텐츠 재생권한 구입자는 불필요한 비용지출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임의의 DRM 콘텐츠 내용을 알지 못한 채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한 재생권한을 구입하도록 하는 DRM 콘텐츠 판매방식은 DRM 콘텐츠 서비스 활성화에 장애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DRM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DRM 콘텐츠 파일 일부 구간을 미리 보기 구간으로 설정한 경우에도 상기 일부 구간에 대한 DRM 암호해독작업을 위해 일정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임의의 DRM 콘텐츠의 내용에 관한 정보를 상기 DRM 콘텐츠 재생권한 구입 전에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의의 DRM 콘텐츠에 대하여 미리 보기 또는 미리 듣기 기능을 수행하는 샘플콘텐츠를 결합시킴으로써, DRM 콘텐츠 재생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해당 DRM 콘텐츠의 내용 중 일부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의의 DRM 콘텐츠에 대하여 DRM설정되지 않은 샘플콘텐츠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DRM 콘텐츠 재생명령 입력시 DRM콘텐츠의 내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은, 임의의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선택 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임의의 콘텐츠 선택시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재생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명령 입력시 상기 콘텐츠의 헤더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헤더 정보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샘플콘텐츠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샘플콘텐츠 존재시 샘플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재생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방법은, 임의의 콘텐츠에 대한 재생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명령 입력시 상기 콘텐츠의 헤더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헤더 정보로부터 상기 콘텐츠 형식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샘플콘텐츠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형식이 DRM콘텐츠로서 샘플콘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샘플콘텐츠만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은, 선택 콘텐츠에 대한 재생명령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재생 명령받은 선택 콘텐츠의 정보 필드를 검사하여 상기 선택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재생 권한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 콘텐츠에 대한 재생 권한을 구비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선택 콘텐츠에 대한 샘플콘텐츠 존재 여부 및 상기 샘플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허용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샘플콘텐츠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샘플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 절차를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샘플콘텐츠가 존재하거나 또는 샘플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샘플콘텐츠에 대한 시작시간(Start Time) 정보 및 종료시간(End Time)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시작시간 정보와 종료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샘플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콘텐츠 의 재생 기능과 관련한 처리를 담당하며 상기 콘텐츠의 형식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하는 형식에 따라 콘텐츠의 재생을 처리하는 콘텐츠 처리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며 소정 콘텐츠의 재생 요청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콘텐츠 처리부와 연동하여 콘텐츠 재생 기능과 관련한 일련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촬영기능, 이동통신기능, 디지털방송 수신기능 또는 정보처리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제어부(101),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이하 'RF'라 칭한다) 처리부(103), 데이터 처리부(105), 오디오 처리부(107), 키입력부(109), 메모리(111), 카메라부(Camera Module)(113), 영상 처리부(115), 디스플레이부(117) 및 콘텐츠 처리부(119)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RF 처리부(103)는 이동통신망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한 콘텐츠(contents)의 송수신 기능 등과 관련한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RF 처리부(10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05)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107)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 또는 상기 키입력부(109)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또는 문자 데이터 등의 처리를 담당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105)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105)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07)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05)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05)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오디오 처리부(107)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에 상응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109)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 문자 및/또는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키입력부(109)는 사용자 설정 및 제어와 관련한 정보 등을 입력받는 장치로서, 키워드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101)로 출력한다.
상기 메모리(111)는 크게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과, 데이터 메모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은 이동통신단말기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이동통신단말기의 기타 옵션(options) 예컨대, 카메라 기능,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 영역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외장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등을 통해서 이동 또는 복제하는 콘텐츠 및 유무선 인터넷 망의 웹 서버 등을 통해 다운로드받는 콘텐츠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 영역은 상기 외부 콘텐츠뿐만 아니라, 기타 다양한 옵션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카메라 기능에 의한 촬영 이미지 또는 동영상 및 오디오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부(113)는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에 상응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광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되는 광 신호를 디지털 신호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카메라 부(215)는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 즉, 아날로그 신호(Analog Signal)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Camera Sensor)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Digital Signal)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센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부(113)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공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영상 처리부(115)는 상기 카메라 부(113)에서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영상 처리부(115)는 상기 카메라 부(115)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프레임(frame) 단위의 영상 신호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단위의 영상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부(117)의 특성 및 규격에 맞추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115)는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사용자 요청에 따른 부가기능들에 대한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부(117)의 특성 및 규격에 맞추어 출력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115)는 영상 코덱(CODEC)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부(117)에 출력하는 영상 신호를 선택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 신호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 신호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및 Wavelet 코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부(117)는 상기 영상 처리부(115)에서 출력되는 화면 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부(117)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한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LC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부(117)는 입력 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처리부(119)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콘텐츠에 대한 재생과 관련한 일련의 처리를 담당한다. 상기 콘텐츠 처리부(119)는 콘텐츠 재생 시 상기 콘텐츠의 형식을 확인하여 DRM 콘텐츠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처리부(119)는 상기 판단하는 콘텐츠가 DRM 콘텐츠인 경우, 상기 DRM 콘텐츠의 헤 더(Headers)를 검사하여 미리 보기 또는 미리 듣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샘플 콘텐츠가 부가되어 있는지를 검색하여 상기 샘플 콘텐츠를 재생한다. 즉, 상기 콘텐츠 처리부(119)는 DRM 콘텐츠 재생명령 입력시, 해당 DRM 콘텐츠에 대한 재생 권한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DRM 콘텐츠에 부가된 샘플 콘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DRM 콘텐츠의 헤더(Headers)는 후술하는 <표 1> 및 <표 2>를 통해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05) 및 콘텐츠 처리부(119)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 처리부(105), 키입력부(109), 메모리(111), 카메라부(113), 영상 처리부(115) 및 콘텐츠 처리부(119) 등의 각 구성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DRM 콘텐츠 재생명령 입력시, 해당 DRM 콘텐츠에 샘플 콘텐츠가 부가되어 있는지 여부 및 해당 DRM 콘텐츠 재생 권한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DRM 콘텐츠에 부가된 샘플콘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일련의 처리를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선택 콘텐츠의 재생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S 201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전원-온(power-ON)되어 있는 대기상태이다.
S 203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임의의 콘텐츠 서버, 외장메모리 또는 이동통신단말기 메모리에 저장된 콘텐츠 중 임의의 콘텐츠에 대한 선택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
S 205단계에서, 제어부(101)는 S 203단계에서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재생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임의의 콘텐츠 서버, 외장메모리는 이동통신망 또는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재생명령은 키 입력 부(109)를 통한 키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 부(117)를 통한 터치스크린 입력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임의의 콘텐츠는 텍스트 파일, 음성파일, 정지영상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등 임의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포함한다.
S 207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재생요청되는 선택 콘텐츠의 헤더 정보를 검색한다. 헤더 정보를 확인하는 이유는 실행명령이 입력된 선택 콘텐츠에 샘플콘텐츠가 결합하여 있는지 여부 및 선택 콘텐츠가 DRM설정된 콘텐츠인지 여부 등을 검색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선택 콘텐츠가 DRM 콘텐츠인 경우 DRM 콘텐츠 파일 헤더의 정보 필드는 다음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필드 항목 파일 형식 필드 목적
Version Unit 8 Version Number
ContentURILen Unit 8 원본콘텐츠의 유일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
ContentURI ContentURILen Octets Content Uniform Resource Identifier 항목의 길이
ContentTypeLen Unit 8 원본콘텐츠의 MIME Media Type
ContentType ContentTypeLen Octets ContentType 항목의 길이
HeadersLen Unit var Header 항목의 길이
DATALen Unit var DATA 항목의 길이
CommonHeaders HeadersLen Octets 원본콘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메타데이터가 정의된 헤더
DATA DATALen Octets 패키징 된 원본콘텐츠 데이터
상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RM 콘텐츠의 정보필드는 <Version> 필드 내지 <HeadersLen> 필드와 같이 DRM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Header) 영역과, <DATA> 필드와 같이 실제 DRM 콘텐츠 데이터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data)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DRM 콘텐츠의 정보필드가 상기 <표 1>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101)는 상기 콘텐츠를 DRM 콘텐츠로 판단한다.
S 209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선택 콘텐츠에 샘플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DRM콘텐츠 데이터 및 그 샘플 콘텐츠가 결합한 선택 콘텐츠 파일의 구조 도이다. 도 3의 선택 콘텐츠 파일(300)은, 특정 DRM 콘텐츠 헤더 데이터(301), 암호화된 DRM 콘텐츠 데이터(302) 및 DRM 설정되지 않은 샘플 콘텐츠 데이터(303)가 결합한 파일이다. 도 3의 선택 콘텐츠 파일(300)은 특정 DRM 콘텐츠(302)에 비하여 전체 파일 데이터 량이 증가하지만, 선택 콘텐츠 파일(300) 실행명령 입력시 DRM콘텐츠 재생권한 여부에 관계없이 샘플콘텐츠(303)만 실행되어 특정 DRM 콘텐츠의 암호해독 시간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미리 보기 또는 미리 듣기를 통하여 DRM콘텐츠의 내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S 211단계에서, 상기 선택 콘텐츠에 샘플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제어부(101)는 상기 샘플 콘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117)로 출력한다. S 213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샘플콘텐츠의 재생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별한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샘플콘텐츠에 대한 재생 종료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상기 샘플콘텐츠 재생은 종료된다. 상기 S 211단계 및 S 213단계는 샘플콘텐츠의 재생종료시까지 반복된다.
한편, 상기 S 211단계의 샘플 콘텐츠 재생은 상기 <표 1>에 나타낸 DRM 콘텐츠 포맷의 <Headers> 필드를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Headers> 필드는 특정 DRM콘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데이터들을 정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필드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Headers> 필드는 선택 콘텐츠에 대해 필요한 특유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필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Headers> 필드에 임의의 DRM 콘텐츠에 대하여 재생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재생을 시도할 경우 해당 DRM 콘텐츠에 결합한 샘플 콘텐츠에 대해서만 재생을 허용하도록 하는 정보를 추가 정의한다.
상기 <표 1>의 <Headers> 필드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새롭게 추가 정의되는 필드항목, 즉, 상기 <표 1>의 <Headers> 필드에 TrailerLength필드, TrailerContentsType필드, TrailerOffset 필드가 추가된 특정 DRM콘텐츠의 파일 헤더 데이터는 다음 <표 2>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필드 항목 파일 형식 필드 목적
Version Unit 8 Version Number
ContentURILen Unit 8 원본콘텐츠의 유일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
ContentURI ContentURILen Octets Content Uniform Resource Identifier 항목의 길이
ContentTypeLen Unit 8 원본콘텐츠의 MIME Media Type
ContentType ContentTypeLen Octets ContentType 항목의 길이
HeadersLen Unit var Header 항목의 길이
DATALen Unit var DATA 항목의 길이
CommonHeaders HeadersLen Octets 원본콘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메타데이터가 정의된 헤더
TrailerLength TrailerLength Octets TrailerDATA의 크기
TrailerContentsType Unit var TrailerDATA의 콘텐츠 타입
TrailerOffset Unit var TrailerDATA가 존재하는 위치
DATA DATALen Octets 패키징 된 원본콘텐츠 데이터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표 2>와 같은 <Headers> 필드에 새롭게 추가 정의된 상기 필드항목을 판독하여 임의의 DRM콘텐츠에 샘플콘텐츠가 결합하여 있다고 판단하여 상기 샘플 콘텐츠의 재생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01)는 DRM콘텐츠의 재생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재생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표 2>와 같은 <Headers> 필드를 참조하여 해당 DRM 콘텐츠에 추가된 샘플콘텐츠를 재생시킨다.
한편, S 209단계에서 상기 선택 콘텐츠에 샘플콘텐츠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별된 경우, S 215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선택 콘텐츠의 유형을 검색한다. 상기 콘텐츠 유형은 텍스트 파일, 음성파일, 정지영상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등 임의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유형은 상기 S 207단계에서의 선택 콘텐츠의 정보필드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S 217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선택 콘텐츠가 DRM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DRM 콘텐츠 여부 판단은 S 207단계에서의 콘텐츠 헤더 포맷(format) 검색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 217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선택 콘텐츠가 DRM설정되지 않은, 재생제한 없는 콘텐츠라면, S 219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S 205단계의 콘텐츠 실행명령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전체 구간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부(117)로 출력한다. 또한, S 221단계에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 종료 여부를 판별하여 콘텐츠 재생 종료 전까지 상기 S 219단계 및 S 221단계가 반복 실행된다. 상기 콘텐츠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 종료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재생종료된다.
한편, 상기 S 217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선택 콘텐츠가 DRM설정되어 재생제한되는 콘텐츠라면, S 223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선택 콘텐츠에 대한 재생권한(DRM 콘텐츠 암호해독 키)을 구비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특히, 상기 <표 1>에 나타낸 헤더 정보 중 DRM 콘텐츠의 유일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를 나타내는 <ContentURI> 필드를 통해 사용자의 재생 권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재생권한을 구비한 것으로 판명되면, 제어부(101)는 S 219단계 내지 S 221단계에 따라 DRM콘텐츠를 재생한다. 그러나 상기 재생권한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01)는 상기 S 205단계의 콘텐츠 재생명령을 실행할 수 없으며, 이하의 S 22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S 223단계에서 상기 선택 콘텐츠에 대한 재생권한을 구비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S 22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해당 DRM 콘텐츠에 대한 재생권한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 즉,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한 구입 방법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예를 들어, 'DRM 콘텐츠를 구매하겠습니까?'라는 안내메시지 및 '예','아니오' 라는 안내메시지) 또는 상기 DRM 콘텐츠에 대응하는 웹 서버로 접속할 수 있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을 디스플레이부(117) 화면상에 표시한다. 도 4는 상기 선택 콘텐츠 구입 여부 선택메시지가 표시된 디스플레이 부(117)의 출력화면이다.
S 227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선택 콘텐츠 구입 명령 입력 여부를 판별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S 211단계에서 획득한 특정 DRM 콘텐츠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S 225단계에서 표시된 DRM콘텐츠 구입방법 안내메시지 등에 따라 상기 DRM 콘텐츠 재생권한(즉, DRM 콘텐츠 암호해독 키) 구입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101)는 상기 DRM 콘텐츠 재생권한 구입 명령 입력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S 227단계에서, 해당 DRM 콘텐츠 재생권한 구입명령이 입력된 경우, 예컨대 'DRM 콘텐츠를 구매하겠습니까?'라는 안내메시지에 대하여 '예'라는 안내메시지를 선택한 경우 또는 소정의 키 입력 등을 통해 상기 URL을 선택하면, S 229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URL에 대응하는 웹 서버에 접속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웹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DRM 콘텐츠 재생권한 구입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DRM 콘텐츠 구입 절차가 종료되면, 사용자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대기 상태(S 201단계)로 진입하거나, 또는 사용자 요청에 의거한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선택 콘텐츠에 부가된 샘플 콘텐츠에 대한 재생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5는 상기 <표 2>와 같은 형식으로 특정 DRM 콘텐츠에 결합한 샘플 콘텐츠에 대한 재생 절차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2의 S 211단계의 세부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S 501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선택 콘텐츠 재생 명령 입력시(S 205단계) 선택 콘텐츠의 헤더 정보를 확인하여(S 207단계) 선택 콘텐츠에 샘플콘텐츠가 결합하여 있는 것으로 판명되면(S 209단계) 샘플콘텐츠의 파일유형을 검색한다. 상기 샘플콘텐츠의 파일유형은 텍스트 파일, 음성파일, 정지영상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 등 임의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포함한다.
S 503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샘플콘텐츠의 파일유형이 데이터 처리 가능한 파일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샘플콘텐츠 파일이 제어부(101)가 처리할 수 있는 파일 확장자로 생성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1)는, S 505단계에서 선택 콘텐츠의 헤더 정보로부터 샘플콘텐츠의 시작구간(Start Time)정보를 확인하고, S 507단계에서 샘플콘텐츠의 종료시간(End Time)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샘플콘텐츠에 대응하는 시작시간 정보 및 종료시간 정보는, 상기 <표 2>에서 샘플콘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TrailerOffset> 필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S 509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샘플콘텐츠의 시작시간 정보 및 종료시간 정보에 따라 샘플콘텐츠 재생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S 511단계에서, 제어부(101)는 상기 S 509단계의 샘플콘텐츠 재생에 따라 상기 샘플콘텐츠의 종료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샘플콘텐츠의 종료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01)는 S 509단계를 계속 실행하고, 상기 샘플콘텐츠의 종료시간에 도달한 것으로 판명되면 S 213단계로 진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DRM 콘텐츠에 대한  미리 보기 또는 미리 듣기 기능을 수행하는 샘플콘텐츠를 상기 DRM 콘텐츠에 결합하여 실행시킴으로써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한 재생 권한이 없어도 DRM 콘텐츠 구입 전에  DRM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DRM 콘텐츠에 대하여 DRM 설정되지 않은 샘플콘텐츠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한 암호해독 절차 없이 DRM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서버에 저장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선택 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선택시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 재생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명령 입력시 상기 콘텐츠의 헤더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헤더 정보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샘플콘텐츠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샘플콘텐츠 존재시 샘플콘텐츠를 재생시키는 재생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콘텐츠 재생 종료시,
    상기 콘텐츠 형식이 DRM 콘텐츠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형식이 DRM콘텐츠인 경우 DRM콘텐츠 재생권한을 구비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DRM콘텐츠 재생권한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상기 DRM콘텐츠의 구입 여부 안내표시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 텐츠 재생 방법.
  3.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에 대한 재생명령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명령 입력시 상기 콘텐츠의 헤더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헤더 정보로부터 상기 콘텐츠 형식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샘플콘텐츠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형식이 DRM콘텐츠로서 샘플콘텐츠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샘플콘텐츠만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콘텐츠의 재생을 완료하면,
    상기 DRM 콘텐츠의 구입 방법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구입 방법 출력 후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한 구입 요청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한 구입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DRM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DRM 콘텐츠 구입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콘텐츠 재생과정은,
    상기 샘플콘텐츠 유형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샘플콘텐츠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실행가능한 유형인 경우 상기 샘플콘텐츠의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샘플콘텐츠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샘플 콘텐츠 재생을 시작하여 상기 샘플콘텐츠의 종료 시점에서 상기 샘플콘텐츠의 재생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콘텐츠 재생과정은,
    상기 DRM 콘텐츠에 대한 재생 권한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샘플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허용하는 DRM 콘텐츠 헤더의 필드 정보에 의거하여 재생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7.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선택 콘텐츠에 대한 재생명령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재생 명령받은 선택 콘텐츠의 정보 필드를 검사하여 상기 선택 콘텐츠에 대한 재생 권한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 콘텐츠에 대한 재생 권한을 구비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면 상기 선택 콘텐츠에 대한 샘플콘텐츠 존재 여부 및 상기 샘플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허용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샘플콘텐츠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샘플콘텐츠가 존재하더라도 상기 샘플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재생 절차를 종료하는 과정과,
    상기 샘플콘텐츠가 존재하고, 상기 샘플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샘플콘텐츠에 대한 시작시간(Start Time) 정보 및 종료시간(End Time)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시작시간 정보와 종료시간 정보에 따라 상기 샘플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필드는, 다음 <표 3>과 같이 정의되는 헤더(Headers) 필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필드 항목 파일 형식 필드 목적 Version Unit 8 Version Number ContentURILen Unit 8 원본콘텐츠의 유일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 ContentURI ContentURILen Octets Content Uniform Resource Identifier 항목의 길이 ContentTypeLen Unit 8 원본콘텐츠의 MIME Media Type ContentType ContentTypeLen Octets ContentType 항목의 길이 HeadersLen Unit var Header 항목의 길이 DATALen Unit var DATA 항목의 길이 CommonHeaders HeadersLen Octets 원본콘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메타데이터가 정의된 헤더 DATA DATALen Octets 패키징 된 원본콘텐츠 데이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필드는, 다음 <표 4>과 같이 정의되는 헤더(Headers) 필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필드 항목 파일 형식 필드 목적 Version Unit 8 Version Number ContentURILen Unit 8 원본콘텐츠의 유일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 ContentURI ContentURILen Octets Content Uniform Resource Identifier 항목의 길이 ContentTypeLen Unit 8 원본콘텐츠의 MIME Media Type ContentType ContentTypeLen Octets ContentType 항목의 길이 HeadersLen Unit var Header 항목의 길이 DATALen Unit var DATA 항목의 길이 CommonHeaders HeadersLen Octets 원본콘텐츠에 대한 추가적인 메타데이터가 정의된 헤더 TrailerLength TrailerLength Octets TrailerDATA의 크기 TrailerContentsType Unit var TrailerDATA의 콘텐츠 타입 TrailerOffset Unit var TrailerDATA가 존재하는 위치 DATA DATALen Octets 패키징 된 원본콘텐츠 데이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재생 권한 존재 여부 판단은,
    상기 콘텐츠의 정보 필드 중 유일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에 의거하여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콘텐츠 존재 여부 및 상기 샘플콘텐츠에 대한 재생 허용 여부 판단은, 상기 선택 콘텐츠의 정보 필드에 샘플콘텐츠 정보의 존재 여부 및 샘플콘텐츠에 대한 재생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에 의거하여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콘텐츠의 시작시간 정보 및 종료시간 정보 획득은, 샘플콘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필드에 의거하여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13.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콘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콘텐츠의 재생 기능과 관련한 처리를 담당하며, 상기 콘텐츠의 형식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하는 형식에 따라 콘텐츠의 재생을 처리하는 콘텐츠 처리부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며, 소정 콘텐츠의 재생 요청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콘텐츠 처리부와 연동하여 콘텐츠 재생 기능과 관련한 일련의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처리부는 콘텐츠 재생명령 입력시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사전 설정된 샘플콘텐츠를 재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장치.
  14. 삭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콘텐츠에 대한 재생은,
    상기 샘플콘텐츠에 대한 시작 시점 및 종료 시점을 검사하고,
    상기 샘플콘텐츠에 대한 시작 시점에서 상기 샘플콘텐츠의 재생을 시작하여 상기 샘플콘텐츠에 대한 종료 시점에서 상기 샘플콘텐츠의 재생을 종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장치.
KR1020060116329A 2006-11-23 2006-11-23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829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329A KR100829110B1 (ko) 2006-11-23 2006-11-23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329A KR100829110B1 (ko) 2006-11-23 2006-11-23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110B1 true KR100829110B1 (ko) 2008-05-19

Family

ID=3966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329A KR100829110B1 (ko) 2006-11-23 2006-11-23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1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3610A (ko) * 2007-01-02 2008-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미리보기를 관리하는 장치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816A (ko) * 2004-01-16 200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미리보기 장치 및 방법
KR100785070B1 (ko) * 2006-07-11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콘텐츠 재생 방법 및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816A (ko) * 2004-01-16 200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미리보기 장치 및 방법
KR100785070B1 (ko) * 2006-07-11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콘텐츠 재생 방법 및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3610A (ko) * 2007-01-02 2008-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미리보기를 관리하는 장치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070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콘텐츠 재생 방법 및장치
KR101018526B1 (ko) 휴대 통신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36371B1 (ko) 콘텐츠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과 콘텐츠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0850576B1 (ko) 휴대 단말기의 drm 파일 공유 방법 및 시스템
CN101682740B (zh) 内容下载系统和内容下载方法、内容供应设备和内容供应方法、内容接收设备和内容接收方法
KR20030079935A (ko) 콘텐츠·데이터를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정보기억매체, 및, 콘텐츠 과금시스템
KR20050118101A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프로그램
JP2006317997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20030065569A (ko) 콘텐츠 과금 및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정보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탑재 장치
JP2005198043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その方法、サーバ、ユーザ端末、暗号化装置、管理装置およびストリーミング装置
KR10071349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컨텐츠 불법 사용 방지 방법
JP2004303108A (ja) ライセンス移動機能付き端末装置
JP2004318448A (ja) コンテンツ保護機能付き端末装置
KR10082911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100002257A (ko) 컨텐츠 사용기기 및 사용 방법
JP2006129095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WO2006068172A1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741482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자막 정보를 개인용정보 처리기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054110A (ko) 휴대단말의 콘텐츠 권리객체 획득 방법 및 장치
KR20090011152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4701644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059732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配信サーバおよびクライアント端末
JP4568537B2 (ja) 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処理装置、コンテンツ処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送出方法、コンテンツ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060010681A (ko) 기간 제한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0409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컨텐츠 제작 및접근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