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791B1 -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791B1
KR100828791B1 KR1020060082117A KR20060082117A KR100828791B1 KR 100828791 B1 KR100828791 B1 KR 100828791B1 KR 1020060082117 A KR1020060082117 A KR 1020060082117A KR 20060082117 A KR20060082117 A KR 20060082117A KR 100828791 B1 KR100828791 B1 KR 100828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ft
vehicle
wake
stolen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9785A (ko
Inventor
김동옥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2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791B1/ko
Publication of KR2008001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9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고가 부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도난 방지 기술들은 차량 자체가 도난 당한 경우에만 유효할 뿐이고 차량 내부에 장착된 고가의 부품이나 타이어가 도난당한 경우 이를 확인하거나 통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도난이 예상되는 각 부품의 ECU와 타이어공기압력감지시스템(TPMS)의 RF 수신부를 CAN으로 차량 정보단말기와 연결하고, 부품 탈거와 동시에 MCU가 인터럽트로 웨이크 업되어 해당 부품의 탈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탈거확인회로를 통해 부품 탈거가 확인되면 경찰 등 관계기관에 도난을 통보하고 차주에게 도난을 알리도록 한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내장된 고가의 부품 및 타이어가 도난 당한 시점에 관련기관과 차주에게 도난 사실을 통지할 수 있게 되므로 신속하게 도난에 대처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도둑을 검거하거나 도난 부품을 회수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부품 탈거 시점에 도난 경보를 울리게 되는 경우 도난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난, CAN, ECU, 탈거확인회로, 타이어압력감지시스템(TPMS)

Description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시스템 및 방법 {a stolen device confirming/notify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품 탈거확인회로도
도 3은 일반적인 타이어압력감지시스템(TPMS) 타이어의 압력감지/전송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 흐름도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고가 부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도난 예상 부품의 ECU와 타이어공기압력감지시스템(TPMS)을 CAN으로 차량 정보단말기와 연결하고, 부품 탈거와 동시에 MCU가 인터럽트로 웨이크 업되어 해당 부품의 탈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탈거확인회로를 통해 부품 탈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 다.
최근 차량의 기능의 고급화가 진행됨에 따라 고가의 AV 장치나 네비게이션 장치, DMB 장치, 타이어 등 차량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에 대한 도난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난 방지기술은 조향장치의 잠금, 엔진구동의 정지, 미션 혹은 브레이크 작동, 신호 장치의 작동, 그리고 상기의 기술들을 혼합한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도난 방지 기술은 대부분 차량의 도난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신호장치의 작동에 의한 도난 방지 기술은 도난 감지 센서가 도난임을 감지하여 도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라든지 도난 발생 시 무선통신으로 차주, 정보센터, 경찰 등에게 알리는 것 등이 제안되었다.
즉, 도난 방지를 위해 신호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중 한가지의 예를 들면 차량의 도난 감시장치와 연동하여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에 발신설정이 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에 SMS 또는 음성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차량에 설치되는 무선 이동 단말인 차량단말기와, 상기 차량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SMS 또는 음성콜 데이터에서 도난사실을 인식하여 상기 SMS 또는 음성콜 데이터 및 도난경보 데이터를 차주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주는 무선통신망과, 상기 무선통신망으로부터 전송된 SMS 또는 음성콜 데이터 및 도난경보 데이터를 받아 차주에게 표시하고 도난사실을 경보하는 차주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 경보 시스템 및 차주로부터 차량 도난감지시에 연락할 차주의 연락번호 및 그 차주에게 전송할 SMS 또는 음성콜 메시지를 선택하게 하여 경보환경을 설정하는 단계와, 차량 도난감지시 그 설정된 경보환경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SMS 또는 음성콜 메시지를 무선통신망에 전송하는 단계와, 무선통신망상에서 SMS 또는 음성콜 데이터신호로부터 도난방지 프로그램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차량단말기의 발신번호 및 회신번호를 인식하는 경우 그 SMS 또는 음성콜 데이터신호 및 도난경보 데이터를 해당 차주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은 SMS 또는 음성콜 메시지 및 도난경보 데이터를 차주에게 표시하여 주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한 도난 경보 시스템의 경보방법이 제안(특허공개 제2002-56130호)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면 차량에 설치된 차량단말기를 통해 차량도난이 일어날 경우 미리 설정된 차주단말기로 설정된 SMS 또는 음성콜을 알려주어 차주가 차량도난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예를 비롯한 종래의 도난 방지 기술들은 차량 자체가 도난 당한 경우에만 유효할 뿐이고 차량 내부에 장착된 고가의 부품이나 타이어가 도난당한 경우 이를 확인하거나 통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차량 내부에 장착된 고가의 부품 및 타이어의 도난이 발생되었을 때에 즉각적으로 확인하여 관계기관과 차주에게 통지해줄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난이 예상되는 각 부품의 ECU와 타이어공기압력감지시스템(TPMS)의 RF 수신부를 CAN으로 차량 정보단말기와 연결하고, 부품 탈거와 동시에 MCU가 인터럽트로 웨이크 업되어 해당 부품의 탈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탈거확인회로를 통해 부품 탈거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부품 탈거확인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시스템은 도난이 예상되는 각 부품의 ECU와 타이어공기압력감지시스템(TPMS)의 RF 수신부를 CAN으로 차량 정보단말기와 연결하고, 부품 탈거와 동시에 MCU가 인터럽트로 웨이크 업되어 해당 부품의 탈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탈거확인회로를 통해 부품 탈거가 확인되면 경찰 등 관계기관에 도난을 통보하고 차주에게 도난을 알리도록 하여서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은 현재 차량에 가장 많이 사용 적용되고 있는 통신 방식으로, 일반의 통신방식과 다르게 제어기와 트랜스시버(transceiver)가 슬립(sleep) 상태에서도 외부 웨이크 업(wake-up) 신호를 갖고 제어기와 트랜스시버를 웨이크 업할 수 있으며, 여러개의 ECU를 병렬로 연결하 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방식이다.
상기 CAN은 각각의 ECU는 자기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계속해서 다른 ECU 들에게 보내고, 또한 상대편 ECU에서 보내주는 데이터를 우선순위에 따라 받아 처리하는 방식으로 다량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AN 통신에 있어서 통신선은 2개인데, 흔히 BUS A 와 BUS B라고 부르며, 통신선 상에 데이터를 띄워놓고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다 사용한다.
CAN 통신은 BUS A와 BUS B 의 전압 차이로 데이터를 읽기 때문에 2개선중에서 1개라도 단선이 되면 통신이 불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난 예상 부품의 ECU를 CAN으로 웨이크(Wake-up)할 수 있는 바, 리모트 플레임(Remote Frame)을 이용한다면 어떤 ECU가 장착되었는지 확인 가능하다.
하지만 CAN 슬립(Sleep) 되었을 때 CANH, CANL는 지정된 값으로 플로팅되게 되어 있으며, 어떤 ECU가 탈거된다고 해도 여기에는 변화가 없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탈거확인회로는 탈거와 동시에 MCU가 인터럽트(Interrupt)로 웨이크 업(Wake-up)되어지고 이후에 CAN을 통하여 어떤 장치가 탈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난이 예상되는 차량내의 모든 전장품은 차량 정보 단말기와 CAN으로 연결되고, 진동 등의 조건에 의하여 웨이크 업(Wake-up)할 수 있게 되며, 이들 차량 내의 모든 전장품은 고유의 ID를 갖고 있기 때문에 특정 부품이 이탈된 경우 해당 부품의 도난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어의 공기압을 모니터링하며 규정 공기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 운전자에게 이를 경고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시스템인 타이어압력감지시스템(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은 타이어에 부착된 전파식별(RF ID)센서로 타이어의 압력과 온도를 감지한 뒤 이 정보를 운전석으로 보내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타이어의 압력 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타이어압력감지시스템(TPMS)의 수신부와 송신부사이의 거리가 차체 거리이상으로 떨어진 경우 이상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하며, 수신측에 진동센서를 추가하여 진동이 있을 경우에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시동스위치의 IGN OFF 시 진동이 있을 경우는 타이어 수리/교체와 훔치는 것으로 구분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어압력감지시스템(TPMS)의 경우는 RF의 수신감도의 변동을 인터럽트(Interrupt)로 받아 웨이크 업(Wake-up)한다.
도 3에는 일반적인 타이어압력감지시스템(TPMS)에서 타이어의 압력을 감지하고 RF또는 LF로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정지하여 있거나 일정속도(예를 들면 20km/h) 이하인 경우에는 타이어압력감지시스템(TPMS)는 아이들(Idle) 상태로 동작한다.
타이어를 탈거하는 상황은 차속 0km/h의 경우이며, 이 경우에도 RF 송신기(Transmitter)는 도 3과 같이 주기적으로 타이어 압력 값을 전송한다.
타이어의 탈거가 일어난 상황(수신측의 MCU도 idle상황)에서 수신측에서 더 이상 RF 신호가 없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 상황을 타이어의 도난으로 파악한다.
도 3에 있어서 기호로 표시되는 센싱 주기는 각 반도체 메이커가 제공하는 MCU와 타이어압력감지시스템(TPMS)의 솔루션(Soultion)에 의존한다.
거의 모든 반도체 메이커는 상기와 유사 또는 동일하게 주차(Parking) 상태에서도 타이어압력감지시스템(TPMS)이 아이들(Idle) 모드로 동작하도록 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작동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방법은
각 부품의 ECU와 타이어공기압력감지시스템(TPMS)의 RF 수신부를 CAN으로 차량 정보단말기와 연결한 차량에 있어서,
차량 전장품이 웨이크 업(Wake up)된 경우 웨이크 업 이유가 본넷트 열림인가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본넷트 열림이 아닌 경우 키가 꽂혀 있는가, 리모트 스위치에 의한 웨이크 업인가, 키가 꽂혀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 탈거 시도는 없나를 확인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모든 조건이 충족된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고 이탈한 전장품이 있는가 또는 타이어압력감지시스템 동작은 문제있는가를 확인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조건 중에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는 경우 차량 실내온도와 워터 센서 값은 DATC로부터 확인하고 차량이 정지 후 시간경과가 오래되었는 지를 확인한 후 워터 센서 온도와 인카 센서(Incar sensor) 차이가 작은가를 확인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워터 센서 온도와 인카 센서(Incar sensor) 차이가 큰 경우 경찰 등 관계기관에 도난을 통보하고 차주에게 도난을 알리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방법은 차량 도난 확인/통지 방법은 상기 제 1단계에서 본넷트의 열림인 경우 키 인/리모트 스위치에 의한 웨이크 업인가를 확인하는 제1-2단계;
제1-2단계에서 키 인/리모트 스위치에 의한 웨이크 업이 아닌 경우 배터리 전원이 삭제되었나를 확인하는 제1-3단계;
상기 제1-3단계에서 배터리 전원이 삭제된 경우 상기 제5단계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타이어 도난 확인/통지를 위한 본 발명의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방법은
타이어압력감지시스템(TPMS)이 웨이크 업(Wake up)된 경우 웨이크 업 이유가 진동센서 동작인가, 타이어 송신부와 차량내의 수신부의 거리 이격에 의한 웨이크 업인가를 확인하는 제2-1단계;
상기 제2-1단계의 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진동이 계속되는가를 확인하는 제2-2단계;
상기 제2-2단계에서 진동이 계속되는 경우 상기 제2단계를 진입하도록 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타이어 도난 확인/통지를 위한 본 발명의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방 법은 상기 제2-1단계의 모든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이격거리가 규정값을 넘는가를 확인하는 제3-1단계;
상기 제3-1단계에서 이격거리가 규정값을 넘는 경우 상기 제4단계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도둑이 차량 내부의 전장품 및 고가 물품을 훔치기 위해서는 파워 액츄에이터(Power actuator)/락 로드(Lock rod)/래치 레버(Latch lever)를 해체하거나 락 실린더(Lock cylinder) 탈거 또는 파손, 락(Lock)의 강제 해제, 윈도우 글라스(Window glass) 파손 등을 통한 무단 침입과정을 거쳐 차량 내부로 진입한 후에 고가의 AV, Navi System을 차량에서 탈취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고, 타이어의 경우 차량 내부로 진입하지 않고 장비를 이용하여 차량에서 분리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난이 예상되는 차량내의 모든 전장품이 차량 정보 단말기와 CAN으로 연결되어 있고, 진동 등의 조건에 의하여 웨이크 업(Wake-up)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들 차량 내의 모든 전장품은 고유의 ID를 갖고 있기 때문에 특정 부품이 제자리에서 이탈된 경우 즉각적으로 해당 부품의 도난을 파악하여 경찰 등의 관계기관과 차주에게 통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난이 예상되는 각 부품의 ECU와 타이어공기압력감지시스템(TPMS)의 RF 수신부를 CAN으로 차량 정보단말기와 연결하고, 부품 탈 거와 동시에 MCU가 인터럽트로 웨이크 업되어 해당 부품의 탈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탈거확인회로를 통해 부품 탈거가 확인하여 경찰 등의 관련기관과 차주에게 신속하게 통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내장된 고가의 부품 및 타이어가 도난 당한 시점에 관련기관과 차주에게 도난 사실을 통지할 수 있게 되므로 신속하게 도난에 대처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도둑을 검거하거나 도난 부품을 회수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되며, 부품 탈거 시점에 도난 경보를 울리게 되는 경우 도난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삭제
  2. 각 부품의 ECU와 타이어공기압력감지시스템(TPMS)의 RF 수신부를 CAN으로 차량 정보단말기와 연결한 차량의 부품 도난 확인/통지 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차량 전장품이 웨이크 업(Wake up)된 경우 웨이크 업 이유가 본넷트 열림인가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본넷트 열림이 아닌 경우 키가 꽂혀 있는가, 리모트 스위치에 의한 웨이크 업인가, 키가 꽂혀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 탈거 시도는 없나를 확인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모든 조건이 충족된 경우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고 이탈한 전장품이 있는가 또는 타이어압력감지시스템 동작은 문제있는가를 확인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조건 중에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는 경우 차량 실내온도와 워터 센서 값은 DATC로부터 확인하고 차량이 정지 후 시간경과가 오래되었는 지를 확인한 후 워터 센서 온도와 인카 센서(Incar sensor) 차이가 작은가를 확인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워터 센서 온도와 인카 센서(Incar sensor) 차이가 큰 경우 도난을 통보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본넷트의 열림인 경우 키 인/리모트 스위치에 의한 웨이크 업인가를 확인하는 제1-2단계;
    제1-2단계에서 키 인/리모트 스위치에 의한 웨이크 업이 아닌 경우 배터리 전원이 삭제되었나를 확인하는 제1-3단계;
    상기 제1-3단계에서 배터리 전원이 삭제된 경우 상기 제5단계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타이어압력감지시스템(TPMS)이 웨이크 업(Wake up)된 경우 웨이크 업 이유가 진동센서 동작인가, 타이어 송신부와 차량내의 수신부의 거리 이격에 의한 웨이크 업인가를 확인하는 제2-1단계;
    상기 제2-1단계의 조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진동이 계속되는 가를 확인하는 제2-2단계;
    상기 제2-2단계에서 진동이 계속되는 경우 상기 제2단계를 진입하도록 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1단계의 모든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이격거리가 규정값을 넘는가를 확인하는 제3-1단계;
    상기 제3-1단계에서 이격거리가 규정값을 넘는 경우 상기 제4단계로 진입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방법.
KR1020060082117A 2006-08-29 2006-08-29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시스템 및 방법 KR100828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117A KR100828791B1 (ko) 2006-08-29 2006-08-29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117A KR100828791B1 (ko) 2006-08-29 2006-08-29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785A KR20080019785A (ko) 2008-03-05
KR100828791B1 true KR100828791B1 (ko) 2008-05-09

Family

ID=3939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117A KR100828791B1 (ko) 2006-08-29 2006-08-29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7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109A (ko) * 2001-12-20 2003-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타이어 도난 방지 장치
KR20050042319A (ko) * 2003-11-01 2005-05-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티피엠에스를 이용한 차량도난 및 견인 통보 방법 및 시스템
JP2005297709A (ja) 2004-04-09 2005-10-27 Denso Corp 車両用タイヤ盗難防止装置
KR20060003207A (ko) * 2004-07-05 2006-01-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텔레메틱스를 이용한 차량 도난 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109A (ko) * 2001-12-20 2003-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타이어 도난 방지 장치
KR20050042319A (ko) * 2003-11-01 2005-05-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티피엠에스를 이용한 차량도난 및 견인 통보 방법 및 시스템
JP2005297709A (ja) 2004-04-09 2005-10-27 Denso Corp 車両用タイヤ盗難防止装置
KR20060003207A (ko) * 2004-07-05 2006-01-10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텔레메틱스를 이용한 차량 도난 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9785A (ko)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1445B2 (ja) 車両盗難通報システム
US6873252B2 (en) Antitheft apparatus and antitheft auxiliary device
CN105751830B (zh) 一种轮胎监测系统和汽车
WO2014091692A1 (ja) タイヤ盗難警報システム
JP4136649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JP2003212093A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3448676B (zh) 汽车防盗系统及方法
CN104842942A (zh) 一种车辆防盗方法、装置及系统
WO2000058136A1 (en) Vehicle alarm remote paging system
CN104401183B (zh) 一种车辆轮胎防盗装置
CN102350980A (zh) 一种分布式汽车电子防盗器及其防盗方法
KR100828791B1 (ko) 차량 부품 도난 확인/통지 시스템 및 방법
JP3967257B2 (ja) 乗物の盗難防止装置
CN105438123A (zh) 一种汽车防盗装置
CN102079290A (zh) 一种汽车防盗报警装置
CN205554123U (zh) 一种手机控制多功能的汽车定位防盗系统
CN201646646U (zh) 汽车防盗报警装置
CN108583510A (zh) 一种便于寻车的双向汽车防盗器
CN208947091U (zh) 一种重型汽车燃油箱防盗报警装置
JP2005199803A (ja) 自動車のタイヤ盗難防止システム
JP3459806B2 (ja) 盗難検知装置
CN212386445U (zh) 一种汽车防盗系统
CN208344166U (zh) 一种便于寻车的双向汽车防盗器
CN207972612U (zh) 车轮防盗系统及车辆
KR101673697B1 (ko) 차량용 통합 루프 안테나 모듈을 통한 보안 침입 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