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395B1 -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 - Google Patents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395B1
KR100828395B1 KR1020060125481A KR20060125481A KR100828395B1 KR 100828395 B1 KR100828395 B1 KR 100828395B1 KR 1020060125481 A KR1020060125481 A KR 1020060125481A KR 20060125481 A KR20060125481 A KR 20060125481A KR 100828395 B1 KR100828395 B1 KR 100828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knob
rotor
locking unit
overr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형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5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를 개선하여 스타트 오버런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ACC단자(111), IG1단자(112), IG2단자(113)가 나란하게 마련된 ON단(110)과 IG1단자(121), ST단자(122)가 나란하게 마련된 START단(120)이 각 단자가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며, 일면에 랙(130)이 성형된 노브로킹부(100)와; 노브(6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ON단(110)과 START단(120) 사이에서 일체로 회동하는 회전자(200)와; 상기 노브로킹부(100)의 랙(130)에 치합한 피니언을 정역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300)와; 상기 회전자(200)의 회동각 및 시동 온 여부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30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400)로 구성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차량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스타트 오버런, 이그니션, PIC, MSCL, 노브

Description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Apparatus for anti start over run}
도 1은 본 발명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을 도시하는 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에 대한 노브로킹부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에 있어서 노브의 회전에 따른
회전자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에 있어서 노브의 회전에 따른
노브로킹부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노브로킹부 110 : ON단
111 : ACC단자 112 : IG1단자
113 : IG2단자 120 : START단
121 : IG1단자 122 : ST단자
130 : 랙 200 : 회전자
300 : 액츄에이터 400 : 제어부
500 : 연결부 600 : 노브
610 : 로킹홀
본 발명은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를 개선하여 스타트 오버런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차량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타트 오버런(start over run)이란 운전자가 이그니션 스위치의 노브를 START 위치에 시동 온 이후 일정 시간 이상 위치시키거나, 또는 시동 온 상태에서 ON 위치의 노브를 다시 START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을 지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타트 오버런은 운전 미숙자에게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현상으로, 스타트 오버런 발생 시 시동모터를 포함한 각종 부품에 무리를 주게 되어, 결국 수명 단축이나 손상을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스타트 오버런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anti start over run) 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안티 스타트 오버런 기구는 크게 시동모터에 유성기어나 원웨이클러치 등을 부가하는 형태와, 시동모터의 전기회로 상에 릴레이를 부가하는 형태로 구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시동모터에 유성기어나 원웨이클러치 등을 부가하는 종래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 기구는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별도의 부품 추가에 따른 생산원가가 증대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시동모터의 전기회로 상에 릴레이를 부가하는 종래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 기구 또한 릴레이가 추가되어야 할 뿐 아니라 엔진 컨트롤 유닛의 리셋 시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를 개선하여 간단한 구조로 스타트 오버런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음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차량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ACC단자, IG1단자, IG2단자가 나란하게 마련된 ON단과 IG1단자, ST단자가 나란하게 마련된 START단이 각 단자가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며, 일면에 랙이 성형된 노브로킹부와; 노브의 회전에 따라 상기 ON단과 START단 사이에서 일체로 회동하는 회전자와; 상기 노브로킹부의 랙에 치합한 피니언을 정역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회전자의 회동각 및 시동 온 여부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에 대한 노브로킹부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에 있어서 노브의 회전에 따른 회전자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에 있어서 노브의 회전에 따른 노브로킹부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여기에서, 도 4는 노브(600) 측에서 바라본 회전자(200) 및 노브로킹부(100)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IC(personal identification card) 사양의 MSCL(mechatronic steering column lock)에 적용되는 것으로, 노브(600)의 위치에 따라 액츄에이터(300)를 통해 노브로킹부(100)를 이동시킴으로써, 노브(600)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자(200)가 상기 노브로킹부(100)에 마련된 ON단(110) 또는 START단(120)에 선택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스타트 오버런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각 구성요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PIC 사양의 MSCL이 마련된 이그니션 스위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그니션 스위치에는 그 일 측에 노브(600)가 마련되며, 이 노브(600)는 회전에 따라 LOCK, ACC, ON, 그리고 START 가운데 하나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PIC 사양의 MSCL이 마련된 차량의 경우 차실 내에 스마트키를 소지한 사람이 탑승하거나, 상기 노브(600)에 스마트키를 삽입할 경우 상기 노브(600)가 LOCK 위치로부터 ACC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START 위치에 노브(600)가 위치할 경우 시동 온이 이루어지며, 노브(600)로부터 손을 떼면 상기 노브(600)는 ON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이그니션 스위치 상부에 도 1 및 도 2와 같이 대략 F자 형상의 노브로킹부(100)가 마련되며, 이 노브로킹부(100)의 상측 면에는 소정 구간 랙(130)이 성형되어 있고, 그 단부에는 ON단(110)과 START단(120)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ON단(110)의 내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ACC단자(111), IG1단자(112), IG2단자(113)가 상호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START단(120)의 내면에는 IG1단자(121), ST단자(122)가 상호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어, ON단(110)에 마련된 ACC단자(111), IG1단자(112), IG2단자(113)와 START단(120)에 마련된 IG1단자(121), ST단자(122)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이때, 상기 ON단(110)과 START단(120)의 간격은 그 사이에 이후에 설명할 회전자(200)가 위치하여 상기 ON단(110) 또는 START단(120)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자(200)의 직경보다 다소 넓게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노브로킹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도면상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노브(600)와 회전자(200) 사이에는 상기 노브로킹부(100)를 일 방향으로 안내하는 연결부(500)가 마 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부(500)는 노브(600)의 안쪽(도면상 우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노브로킹부(10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가이드레일이 그 상부에 음각 성형되어 상기 노브로킹부(100)를 길이방향(도면상 좌우방향)으로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노브(600)의 일 측에는 상기 노브로킹부(10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로킹홀(610)이 형성되어, 상기 노브로킹부(100)가 상기 로킹홀(610) 내에 삽입되어 노브(600)의 회전을 제한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노브(600)가 LOCK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노브로킹부(100)의 좌측 단부가 로킹홀(610)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노브로킹부(100)의 회전을 제한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00)의 안쪽(도면상 우측)으로는 대략 바(bar) 형상의 회전자(200)가 위치하게 되며, 이 회전자(200)는 상기 노브(600)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동하게 된다.
즉, 상기 노브(600)의 회전 시 상기 회전자(200)는 상기 노브로킹부(100)의 ON단(110)과 START단(120) 사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노브로킹부(100)의 좌우 위치에 따라 ON단(110)에 마련된 ACC단자(111), IG1단자(112), IG2단자(113)와 접속하거나, 또는 상기 START단(120)에 마련된 IG1단자(121), ST단자(122)와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그니션 스위치의 상부에 마련된 액츄에이터(300)는 예를 들어 스탭모터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회전축에 미도시한 피니언이 마련되어 이 피니언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상기 피니언은 상기 노브로킹부(100)의 랙(130)과 치합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300)의 구동 시, 상기 노브로킹부(100)가 도면상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액츄에이터(30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400)는 상기 액츄에이터(300) 일 측에 마련된 것으로, 상기 회전자(200)의 회동각 및 시동 온 여부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300)를 정역 방향으로 구동시켜, 결과적으로 상기 노브로킹부(10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에 있어서, 운전자가 시동 오프한 상태에서는 회전자(200)가 도 4와 같이 LOCK에 위치하며,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브로킹부(100)는 도면상 좌측으로 최대 이동한 상태로서, 이때, 노브로킹부(100)는 노브(600)에 형성된 로킹홀(610) 내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노브(60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PIC 사양의 MSCL 시동 온 판단조건, 예를 들어,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가지고 탑승하거나, 혹은 스마트키를 상기 노브(600)에 삽입한 상태이면서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고 있는 등의 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제어부(400)가 이를 검출하여 액츄에이터(300)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자(200)는 도 4에 있어서 LOCK 위치에 그대로 있지만, 노브로킹부(100)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노브로킹부(100)가 노브(600)의 로킹홀(610)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어, 상기 노브(600)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회전자(200)의 회전 시 ON단(110)과 START단(120) 사이로 회전자(200)가 들어 올 수 있도록 상기 노브로킹부(100)가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자(200)의 회전 시 노브로킹부(100)의 ON단(110)에 접속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후, 운전자가 노브(600)를 회전시키면 회전자(200)는 도 4에 있어서 ACC 또는 ON 위치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노브로킹부(100)의 ON단(110)에 마련된 ACC단자(111), IG1단자(112), IG2단자(113)에 동시에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ON단(110)에 마련된 단자들 가운데 ACC단자(11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IG1단자(112)나 IG2단자(113)에 비해 그 길이가 길기 때문에 상기 노브(600)가 ACC 위치에 놓일 경우, 상기 회전자(200)는 오직 노브로킹부(100)의 ON단(110)에 마련된 ACC단자(111)에만 접속하게 되며, 상기 노브(600)가 더 회전하여 ON 위치에 놓일 경우 상기 회전자(200)가 노브로킹부(100)의 ON단(110)에 마련된 ACC단자(111), IG1단자(112), IG2단자(113) 모두에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운전자가 노브(600)를 더 회전시켜 시동 온을 시킬 때에는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00)가 회전자(200)의 위치를 검출하여 액츄 에이터(300)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노브로킹부(100)를 도면상 우측으로 더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노브(60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자(200)는 상기 노브로킹부(100)의 START단(120)에 마련된 IG1단자(121), ST단자(122)와 접속하게 됨으로써, 시동모터가 구동하여 시동 온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시동 온을 검출하면, 즉시 상기 액츄에이터(300)를 역구동 시켜 상기 노브로킹부(100)를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회전자(200)는 노브로킹부(100)의 ON단(110)에 마련된 ACC단자(111), IG1단자(112), IG2단자(113)에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노브(600)를 START 위치로 돌려 시동 온 시킨 이후에도 노브(600)를 START 위치에 계속 위치시키더라도 스타트 오버런 현상은 발생치 않게 되는 것이다.
이뿐 아니라, 시동 온 이후 운전자가 노브(600)를 놓으면 상기 노브(600)는 ON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데, 만약 운전자가 시동 온 상태에서 노브(600)를 다시 START 위치로 돌린다 할지라도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400)가 시동 온을 인지하여 액츄에이터(300)를 구동시키지 않기 때문에, 회전자(200)가 회전하여도 노브로킹부(100)의 START단(120)에 마련된 IG1단자(121), ST단자(122)와는 접속 불가능하며, 오직 ON단(110)에 마련된 ACC단자(111), IG1단자(112), IG2단자(113)와만 접속할 수 있음으로써, 스타트 오버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시동 오프 시에는 운전자가 노브(600)를 LOCK 위치로 돌리면, 상기 제 어부(400)에 의하여 액츄에이터(300)가 역구동하여 노브로킹부(100)를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켜 노브(600)에 형성된 로킹홀(610) 내에 삽입함으로써, 노브(600)의 회전이 다시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스타트 오버런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은 물론, 각종 부품의 손상 예방을 통한 차량 내구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이그니션 스위치를 개선하여 간단한 구조로 스타트 오버런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음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차량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ACC단자, IG1단자, IG2단자가 나란하게 마련된 ON단과 IG1단자, ST단자가 나란하게 마련된 START단이 각 단자가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며, 일면에 랙이 성형된 노브로킹부와;
    노브의 회전에 따라 상기 ON단과 START단 사이에서 일체로 회동하는 회전자와;
    상기 노브로킹부의 랙에 치합한 피니언을 정역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회전자의 회동각 및 시동 온 여부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와 회전자 사이에는 상기 노브로킹부를 일 방향으로 안내하는 연결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일 측에는 상기 노브로킹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로킹홀이 형성되어, 상기 노브로킹부가 상기 로킹홀 내에 삽입되어 노브의 회전을 제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
KR1020060125481A 2006-12-11 2006-12-11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 KR100828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481A KR100828395B1 (ko) 2006-12-11 2006-12-11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481A KR100828395B1 (ko) 2006-12-11 2006-12-11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395B1 true KR100828395B1 (ko) 2008-05-08

Family

ID=3965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481A KR100828395B1 (ko) 2006-12-11 2006-12-11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3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506U (ko) * 1998-06-11 2000-01-15 홍종만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 장치
JP2002106449A (ja) 2000-09-29 2002-04-10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KR20050117230A (ko) * 2004-06-10 2005-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재시동 방지 장치
KR20060036609A (ko) * 2004-10-26 2006-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재시동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60084234A (ko) * 2005-01-19 2006-07-24 주식회사 신창전기 전자 키를 사용하는 시동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506U (ko) * 1998-06-11 2000-01-15 홍종만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 장치
JP2002106449A (ja) 2000-09-29 2002-04-10 Tokai Rika Co Ltd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KR20050117230A (ko) * 2004-06-10 2005-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재시동 방지 장치
KR20060036609A (ko) * 2004-10-26 2006-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재시동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60084234A (ko) * 2005-01-19 2006-07-24 주식회사 신창전기 전자 키를 사용하는 시동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7231B2 (en) Steering lock antitheft device for motor vehicle
KR920005481B1 (ko) 차량용 셀렉터 레버 장치
JP5121000B2 (ja) プッシュリリース機能を有するステアリングコラムロック装置
US6233986B1 (en) Steering lock apparatus
US7412858B2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JP2004231123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4671762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EP1783015A1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KR20100087318A (ko) 게이트 샤프트를 구비한 작동 장치
US4716748A (en) Steering lock device
KR100828395B1 (ko) 안티 스타트 오버런 장치
JP3174006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986462B1 (ko) 자동차의 키 인터록
US7673483B2 (en) Anti-theft device for a motor vehicle, such as an electronic anti-theft device
JP4680056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システム
US20020050437A1 (en) Driving device
JP3657137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4099017B2 (ja) 押しボタン式イグニッ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6423255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890130B1 (ko) 스티어링 컬럼 록킹장치
KR101241502B1 (ko)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 장치
KR100534339B1 (ko) 자동차의 키 인터록 시스템
JPH01249527A (ja) 自動変速機のセレクトレバーロック装置
JP5442548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100428189B1 (ko) 차량의 시동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