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349B1 -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349B1
KR100828349B1 KR1020010075673A KR20010075673A KR100828349B1 KR 100828349 B1 KR100828349 B1 KR 100828349B1 KR 1020010075673 A KR1020010075673 A KR 1020010075673A KR 20010075673 A KR20010075673 A KR 20010075673A KR 100828349 B1 KR100828349 B1 KR 100828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tray
locking lever
lever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260A (ko
Inventor
배병영
최언진
홍순교
허영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349B1/ko
Priority to JP2002289120A priority patent/JP3841736B2/ja
Priority to US10/307,502 priority patent/US6848112B2/en
Publication of KR20030045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4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7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Abstract

개시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본체 내에 마련된 로킹핀과, 트레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트레이가 본체로 진입됨에 따라 로킹핀에 걸리게 되는 후크부가 마련된 로킹레버와, 로킹레버를 후크부가 로킹핀에 걸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와, 트레이 인출 시 로킹레버를 후크부가 로킹핀에 걸리는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회전시키는 구동기구 및, 로킹레버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그 로킹레버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려는 모멘트를 가지고 있어서 충격에 의해 로킹레버가 언로킹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려 할 때 그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로킹레버와 충돌하도록 된 카운터임팩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외부 충격이 아무리 가해져도 트레이 로킹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A tray locking apparatus for disk drive}
도 1은 종래의 트레이 로킹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 도시된 트레이 로킹장치에 의한 로킹 및 언로킹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로킹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로킹상태에서 언로킹상태까지의 변화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트레이 로킹장치를 수동으로 언로킹시키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트레이 로킹장치 중 자성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자력이 작용하는 두 물체간의 거리와 자력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자성체의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자성체의 또 다른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디스크 드라이브 본체 100...트레이
110...로킹레버 111...후크부
112...수동푸쉬부 120...카운터임팩트레버
121...스토퍼 130...구동기구
131...플런저 132...영구자석
133...코일 134...보빈
135...FPC 137...자성체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 안에 삽입된 트레이를 견고하게 로킹시켰다가 빼낼 때 다시 언로킹시키는 트레이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를 기록매체로서 로딩하여 사용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에는 사용할 디스크를 적재하여 드라이브의 안으로 운반하는 트레이가 구비되어 있다. 즉, 트레이에 디스크를 적재하여 드라이브 안으로 인입시키면, 디스크가 드라이브 내의 장착위치로 로딩되며, 이후 드라이브 내에서 디스크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작업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드라이브 내에서 디스크에 대한 기록 및/또는 재생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에,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트레이가 다시 밖으로 튀어나오면 안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드라이브 안으로 인입된 트레이를 로킹시키는 트레이 로킹장치도 구비된다.
도 1은 이러한 트레이 로킹장치로서, 일본 공개특허 2000-11513호를 통해 제시된 종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트레이 로킹장치는, 드라이브 본체(13) 내에 마련된 로 킹핀(35)과, 이 로킹핀(35)에 선택적으로 로킹되도록 트레이(14) 하면에 설치된 로킹레버(50)와, 이 로킹레버(50)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60)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로킹레버(50)는 상기 로킹핀(35)에 결합되는 후크부(51a)를 가지며 트레이(14) 하면에 마련된 회전축(5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아암(51)과, 이 아암(51)과 동축(53)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레버(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암(51)은 제1스프링(55)에 의해 레버(52)에 대해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으며, 레버(52)는 제2스프링(56)에 의해 트레이(14)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따라서, 이 로킹레버(50) 전체는 도면과 같이 상기 후크부(51a)가 상기 로킹핀(35)에 결합될 수 있는 위치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을 받고 있다.
또한, 상기 구동기구(60)는, 일측이 상기 레버(52)의 결합핀(52e)에 결합되도록 요오크(62)에 지지된 플런저(63)와, 이 플런저(63)의 타측에 흡인력을 가하는 영구자석(64) 및, 상기 요오크(62)에 권회되어 상기 플런저(63)에 전자기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코일(61)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로킹장치를 구비한 트레이(14)를 드라이브 본체(13) 내로 진입시키면, 일단 아암(51)의 후크부(51a)가 로킹핀(35)에 간섭되어 밀리면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계속해서 트레이(14)가 진입되어 드라이브 본체(13) 내의 장착위치에 완전히 로딩되면 도 2b와 같이 아암(51)이 상기 제1스프링(55)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후크부(51a)가 로킹핀(35)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후에는 트레이(14)를 본체(13)로부터 빼내려고 해도 후크부(51a)가 로킹핀(35)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코일(61)에는 상기 영구자석(64)에 의한 흡인력과 반대방향의 전자기력이 플런저(63)에 작용되도록 전류가 흐르고 있어서, 두 힘이 상쇄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반대로 트레이(14)를 본체(13)로부터 인출해낼 때에는, 상기 코일(61)에 상기 영구자석(64)에 의한 흡인력과 같은 방향으로 전자기력이 플런저(63)에 작용되도록 전류의 통전방향을 제어한다. 이렇게 되면 플런저(63)가 영구자석(64)의 흡인력과 코일(61)에 통전된 전류에 의해 형성된 전자기력을 받아서, 도 2c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64)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플런저(63)가 결합핀(52e)을 잡아당기면서 로킹레버(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부(51a)와 로킹핀(35)의 로킹이 해제되며, 이 상태에서 트레이(14)를 인출하면 본체(13)로부터 부드럽게 빠져나온다. 통상적으로 본체(13) 내부에는 상기 트레이(14)에 본체(13) 바깥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있는 푸쉬유닛(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로킹이 해제되는 순간에 이 푸쉬유닛이 트레이(14)를 본체(13) 밖으로 약간 밀어내게 된다. 이후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트레이(14)를 잡아당겨서 빼내면 된다. 그리고 로킹이 해제되어 트레이(14)가 인출되면 상기 구동기구(60)의 코일(61)에 다시 영구자석(64)의 흡인력과 반대방향의 전자기력이 플런저(63)에 작용되도록 통전한다. 그러면, 두 힘이 상쇄되어 플런저(63)가 자유상태가 되며, 이때 상기 제1,2스프링(55)(56)의 탄성력에 의해 로킹레버(50)가 도 2d와 같이 원래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의 트레이 로킹장치에 있어서는, 외부로부터 디스크 드라이브에 강한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로킹핀(35)에 걸려있던 로킹레버(50)의 후크부(51a)가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움직이면서 순간적으로 로킹이 풀릴 수가 있다. 만일 그 충격이 트레이(14)를 본체(13) 밖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면, 로킹이 풀림과 동시에 트레이(14)가 바로 본체(13) 밖으로 튀어나올 수도 있어서, 기록재생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로킹장치에서는 로킹레버(50)의 후크부(51a)와 로킹핀(35)이 결합된 로킹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코일(61)에 계속 전류를 흘려서 영구자석(64)에 의한 흡인력을 상쇄시키는 전자기력을 발생시켜야 하므로, 전력의 소모가 많아지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외부 충격에 대해서도 트레이의 로킹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크를 적재하여 디스크 드라이브의 본체 내로 진입되는 트레이를 로킹시키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된 로킹핀; 상기 트레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트레이가 본체로 진입됨에 따라 상기 로킹핀에 걸리게 되는 후크부가 마련된 로킹레버; 상기 로킹레버를 상기 후크부가 상기 로킹핀에 걸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트레이 인출 시 상기 로킹레버를 상기 후크부가 상기 로킹핀에 걸리는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회전시키는 구동기구; 및, 상기 로킹레버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그 로킹레버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려는 모멘트를 가지고 있어서, 충격에 의해 상기 로킹레버가 언로킹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려 할 때 그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로킹레버와 충돌하도록 된 카운터임팩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카운터임팩트수단은, 상기 로킹레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킹핀과 대향되는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카운터임팩트레버와, 상기 카운터임팩트레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킹레버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카운터임팩트레버의 일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기구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마련되며 중공이 형성된 보빈과, 일측이 상기 중공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측은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로킹레버와 결합된 플런저와, 상기 보빈에 권회된 코일과, 상기 플런저의 타측과 자력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가 설치된 트레이의 하면 일측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 드라이브 본체(200) 내에는 트레이(100) 로킹을 위 한 로킹핀(20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트레이(100) 하면에는 체결부재(151)에 의해 브라켓(150)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200) 내로의 진입 시 상기 로킹핀(201)에 걸리는 로킹레버(110)가 상기 브라켓(150) 상에서 회전축(11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로킹레버(110)는 그 일측에 상기 로킹핀(201)에 걸리는 후크부(111)가 마련되어 있고, 타측에는 이하에 설명될 플런저(131)에 결합되는 결합핀(114) 및 사용자가 수동으로 로킹레버(110)를 돌릴 수 있도록 연장된 수동푸쉬부(1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스프링(115)에 의해 상기 후크부(111)가 로킹핀(201)에 걸리는 방향 즉, 도면의 시계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다.
또한, 이 로킹레버(110)를 스프링(115)의 탄성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구(1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기구(130)는 상기 후크부(111)와 로킹핀(201)의 결합을 풀어줄 때 즉, 언로킹 시에 작동되는 것으로, 중공(134a)이 형성된 보빈(134)과, 상기 중공(134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플런저(131)와, 상기 보빈(134)에 권회된 통전용 코일(133)과, 상기 보빈(134)의 출구측에 설치된 자성체(137) 및, 상기 플런저(131)에 부착된 영구자석(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131)는 일단측이 상기 중공(134a)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단측은 상기 로킹레버(110)의 결합핀(114)과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 플런저(131)가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로킹레버(110)가 회전축(11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영구자석(132)은 그 자력에 의해 상기 자성체(137) 측으로 움직이려는 경향을 가진다. 따라서, 이 영구자석(132) 자체는 상기 로킹레버(110)가 로킹핀(201)에 로킹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플런저(131)를 움직이게 하므로, 상기 스프링(115)과 함께 로킹레버(110)의 로킹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보빈(134)에 감긴 코일(133)은, 필요 시 상기 보빈(134)의 선단부 측에 상기 영구자석(132)과 반대의 극성이 형성되도록 전류를 흘려서 그때 발생되는 척력으로 결합핀(114)을 밀어줌으로써 로킹레버(110)를 언로킹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영구자석(132)과 상기 보빈(134)의 선단부 사이에는 약간의 갭(G)을 두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물체간의 자력은 그 사이 갭이 벌어질수록 감소하지만, 갭이 없이 달라붙어 있으면 자력이 상당히 세지게 된다. 따라서, 영구자석(132)과 보빈(134)의 선단이 붙어있으면, 로킹레버(110)를 언로킹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플런저(131)를 움직이기가 그만큼 힘들어진다. 이 때문에 자력이 너무 강하지도 않고 너무 약하지도 않도록 적정한 범위의 갭(Ga∼Gb)을 두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C"형 링부재(137)로 구성하여서 그 개방부(137a)를 통해 상기 보빈(134)의 외주면에 끼워 넣도록 할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 부재(137')로 구성하여서 보빈(134) 선단의 결합홈(134b)에 끼워 넣게 할 수도 있다. 참조부호 135는 상기 코일(133)의 단자부(133a)와 접속되는 FPC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36은 절연테이프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로킹레버(110)에 인접하여 소정 스토퍼(121)에 의해 회전범위가 규제된 카운터임팩트레버(1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카운터임팩트레버(120)는 도면과 같이 그 무게중심이 반시계방향 쪽 즉, 상기 스토퍼(121) 쪽으로 치우치게 구성되어 있어서,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스토퍼(121)에 부딪히는 방향으로 일단 회전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 로킹레버(110)가 스프링(115)에 의해 시계방향 즉, 로킹핀(201) 쪽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는 것과 대칭되게 카운터임팩트레버(120)의 모멘트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로킹레버(110)는 바이어스된 방향으로 일단 움직여서 상기 로킹핀(201)에 부딪힌 후 그 반력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튕겨나오게 되며, 상기 카운터임팩트레버(120)는 그와 대칭되게 상기 스토퍼(121)에 일단 부딪힌 후 그 반력으로 시계방향으로 튕겨나오게 된다. 그러면, 로킹레버(110)와 카운터임팩트레버(120)가 중간에서 충돌하게 되어 상호 더 이상의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 카운터임팩트레버(120)가 로킹레버(110)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방해하여 상기 후크부(111)와 로킹핀(201)의 로킹이 충격에 의해 풀리는 현상을 막도록 한 것이다.
상기 구성의 로킹장치를 구비한 트레이(100)를 드라이브 본체(200) 내로 진입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15)에 의해 탄성바이어스된 로킹레버(110)의 후크부(111)가 로킹핀(201)에 탄력적으로 걸려서 견고한 로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플런저(131)의 상기 결합핀(114)이 결합된 측은 영구자석(132)과 자성체(137) 간에 인력이 작용되는 상태이며, 코일(133)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로킹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플런저(131)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전력은 소모되지 않는다.
이후, 이 로킹상태에서 기록과 재생작업이 진행되는데, 만일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카운터임팩트레버(120)가 로킹레버(110)의 언로킹방향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즉, 로킹레버(110)는 상기 로킹핀(201)에 부딪힌 후 반시계방향으로 튕겨나오고, 상기 카운터임팩트레버(120)는 스토퍼(121)에 부딪힌 후 시계방향으로 튕겨나오게 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지점에서 충돌하며 상호 더 이상의 회전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기록 재생 작업 중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카운터임팩트레버(120)가 로킹레버(110)의 언로킹방향 움직임을 방해하기 때문에, 트레이(100)가 갑자기 본체(200) 밖으로 튀어나가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트레이(100)를 본체(200)로부터 인출해내기 위해 사용자가 디스크 드라이브의 이젝트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상기 영구자석(132)의 극성과 반대방향의 극성이 상기 보빈(134)의 선단부 측에 형성되도록 상기 FPC(135)를 통해 코일(133)에 전류가 공급된다. 이렇게 되면 보빈(134)의 선단부 측과 상기 영구자석(132) 간에 척력이 발생하게 되어, 도 5와 같이 플런저(131)가 이동하며 로킹레버(1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부(111)와 로킹핀(201)의 로킹이 해제되며, 동시에 본체(200) 내부에서 상기 트레이(100)에 본체(200) 바깥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있는 푸쉬유닛(미도시)이 트레이(100)를 도 6과 같이 본체(200) 밖으로 약간 밀어내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트레이(100)가 본체(200) 밖으로 튀어나오면 상기 코일(133)에 공급되던 전류를 바로 끊어버린다. 그러면, 상기 스프링(115)의 탄성력및 영구자석(132)과 자성체(137)간의 흡인력에 의해 플런저(131) 및 로킹레버(110)가 도면과 같이 바로 원래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코일(133)에 전류를 공급하는 시기는 언로킹 동작이 수행되는 잠깐의 순간뿐이고 그 외에는 전류를 공급하지 않으므로, 로킹과 언로킹 조작에 소모되는 전력은 극히 적은 량에 불과하다. 이후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트레이(100)를 잡아당겨 도 7과 같이 완전히 본체(200)로부터 빼내면 된다.
한편, 트레이(100)가 본체(200) 내에 로킹된 상태에서 전원의 공급없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트레이(100)를 빼내고자 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00) 전면 측에서 핀(140)과 같은 물체를 이용하여 로킹레버(110)의 수동푸쉬부(112)를 누른다. 그러면 수동푸쉬부(112)가 도면의 우측으로 밀리면서 로킹레버(1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후크부(111)와 로킹핀(201)의 로킹이 해제되면서 트레이(100)가 본체(200) 밖으로 나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트레이 로킹장치는 종래에 비해 극히 적은 량의 전력으로도 로킹과 언로킹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 로킹레버의 언로킹방향 회전을 저지하여 트레이 로킹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자성체(137,137')를 보빈(134)에 설치하여 영구자석(132)과 인력이 작용하도록 구성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아예 생략하고 보빈(134) 자체를 자성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보빈(134) 자체와 영구자석(132) 간의 인력이 바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영구자석(132)과의 인력의 세기를 감안하여 보빈(134) 전체를 자성체로 할 수도 있지만, 일부분만을 자성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공정 상의 편의를 위해 로킹레버(110), 카운터임 팩트레버(120), 구동기구(130) 등의 로킹장치 구성요소들을 모두 브라켓(150)에 설치하여 한 유닛으로 준비한 후, 이 브라켓(150)을 체결부재(151)로 트레이(100)에 고정시키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브라켓(150)을 생략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을 트레이(100)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는,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로킹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로킹과 언로킹 동작에 소모되는 전력도 종래에 비해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7)

  1. 디스크를 적재하여 디스크 드라이브의 본체 내로 진입되는 트레이를 로킹시키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된 로킹핀; 상기 트레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트레이가 본체로 진입됨에 따라 상기 로킹핀에 걸리게 되는 후크부가 마련된 로킹레버; 상기 로킹레버를 상기 후크부가 상기 로킹핀에 걸리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트레이 인출 시 상기 로킹레버를 상기 후크부가 상기 로킹핀에 걸리는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회전시키는 구동기구; 및, 상기 로킹레버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그 로킹레버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려는 모멘트를 가지고 있어서, 충격에 의해 상기 로킹레버가 언로킹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려 할 때 그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로킹레버와 충돌하도록 된 카운터임팩트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구는, 중공이 형성된 보빈과, 일측이 상기 중공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측은 상기 로킹레버와 결합된 플런저와, 상기 보빈에 권회된 코일과, 상기 플런저의 상기 로킹레버와 결합되는 측에 설치된 자석 및, 자석과 인력이 작용되도록 상기 보빈에 설치된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임팩트수단은,
    상기 로킹레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킹핀과 대향되는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카운터임팩트레버와,
    상기 카운터임팩트레버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킹레버와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카운터임팩트레버의 일방향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보빈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C형 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보빈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지는 T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보빈과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레버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눌러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몸체로부터 연장된 수동푸쉬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KR1020010075673A 2001-12-01 2001-12-01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KR100828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673A KR100828349B1 (ko) 2001-12-01 2001-12-01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JP2002289120A JP3841736B2 (ja) 2001-12-01 2002-10-01 ディスクドライブのトレイロック装置
US10/307,502 US6848112B2 (en) 2001-12-01 2002-12-02 Tray locking apparatus used with a disc dr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673A KR100828349B1 (ko) 2001-12-01 2001-12-01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260A KR20030045260A (ko) 2003-06-11
KR100828349B1 true KR100828349B1 (ko) 2008-05-08

Family

ID=1971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673A KR100828349B1 (ko) 2001-12-01 2001-12-01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848112B2 (ko)
JP (1) JP3841736B2 (ko)
KR (1) KR100828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744B1 (ko) * 2002-07-06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및 이를 재용한광디스크드라이브
KR100505654B1 (ko) * 2002-12-03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및 이를 채용한광디스크 드라이브
TW577617U (en) * 2003-04-25 2004-02-21 Hon Hai Prec Ind Co Ltd Button structure assembly for optical disk drive
CN2636363Y (zh) * 2003-05-30 2004-08-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盘驱动器托盘
US7318230B2 (en) * 2004-06-04 2008-01-08 Bose Corporation Media player tray bezel compliance coupling
KR100621040B1 (ko) * 2005-03-16 2006-09-14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장치
JP2007012227A (ja) * 2005-07-04 2007-01-18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
KR100708522B1 (ko) * 2006-07-28 2007-04-16 주식회사 사이버알닷컴 서랍장용 절전형 잠금장치
CN102168702B (zh) * 2011-01-26 2012-11-14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锁扣连接装置、led箱体及led显示屏
CN103366774B (zh) * 2012-03-26 2015-11-25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光驱及其托盘锁定装置
CN103366772B (zh) * 2012-04-10 2015-09-30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光驱的托盘锁定装置
KR101330819B1 (ko) * 2012-05-11 2013-11-15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US20210230913A1 (en) * 2020-01-27 2021-07-29 Tiffin Metal Products Co. Compartment locking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1651A (ja) * 1996-02-28 1997-09-05 Sony Corp スライドトレーのイジェクト機構
JPH10177760A (ja) * 1996-12-17 1998-06-30 Sharp Corp ディスク排出機構
JP2000076766A (ja) * 1998-08-27 2000-03-14 Funai Electric Co Ltd トレイロック機構
JP2001006926A (ja) * 1999-06-25 2001-01-12 Mamiya Op Co Ltd ソレノイドの誤作動防止装置
KR20010076491A (ko) * 2000-01-26 2001-08-16 윤종용 광디스크 드라이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27474U (en) * 1997-01-09 1998-02-21 Lite On Technology Corp Compact disk supporting device
US6603723B2 (en) * 2000-07-28 2003-08-05 Tea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loading device
US20020163871A1 (en) * 2000-10-20 2002-11-07 Mitsunobu Yoshida Disk cartridge and optical disk read/write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1651A (ja) * 1996-02-28 1997-09-05 Sony Corp スライドトレーのイジェクト機構
JPH10177760A (ja) * 1996-12-17 1998-06-30 Sharp Corp ディスク排出機構
JP2000076766A (ja) * 1998-08-27 2000-03-14 Funai Electric Co Ltd トレイロック機構
JP2001006926A (ja) * 1999-06-25 2001-01-12 Mamiya Op Co Ltd ソレノイドの誤作動防止装置
KR20010076491A (ko) * 2000-01-26 2001-08-16 윤종용 광디스크 드라이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특허청 경과정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260A (ko) 2003-06-11
JP3841736B2 (ja) 2006-11-01
US20030117929A1 (en) 2003-06-26
US6848112B2 (en) 2005-01-25
JP2003173603A (ja) 200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8349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US7073183B2 (en) Locking mechanism of disk device
KR100828348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로킹장치
WO1997024721A1 (fr) Lecteur de disques
US6709032B2 (en) Cover-locking device for optical disk drive
JP4298734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3514123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トレイのロック機構
CN109505097B (zh) 一种洗衣机锁定装置以及洗衣机
JP2007032118A (ja) ソレノイド式係合解除装置
JP2004303289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609828B2 (ja) ドアのロック装置
JP3109494B2 (ja) Icカードリーダライタのインターロック機構
JPH11149748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576844B2 (ja) ドアのロック装置
JP2002517874A (ja) 圧電ディスクラッチ
KR100825950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이젝트장치
JPH08303093A (ja) ドアのロック装置
KR200283228Y1 (ko) 래치장치
JPH044138Y2 (ko)
JP3799781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0237159Y2 (ko)
JP3546701B2 (ja) ディスク装置のディスクトレイロック機構
JP3744394B2 (ja) ディスク装置
JPH07116884B2 (ja) 扉用ロツク装置
JPH0991808A (ja) 電子機器における扉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