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292B1 -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 Google Patents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292B1
KR100826292B1 KR1020070022942A KR20070022942A KR100826292B1 KR 100826292 B1 KR100826292 B1 KR 100826292B1 KR 1020070022942 A KR1020070022942 A KR 1020070022942A KR 20070022942 A KR20070022942 A KR 20070022942A KR 100826292 B1 KR100826292 B1 KR 100826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procket
water
wire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광 훈 전
Original Assignee
광 훈 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 훈 전 filed Critical 광 훈 전
Priority to KR1020070022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개용수로, 저수지, 하천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물의 일정량을 저수시키고, 폭우 시 우수의 유입으로 인해 저수된 물이 일정수위로 상승할 경우 전도수문을 자동으로 전도되도록 하여 외부로 방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하류지역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도수문 전도장치의 가변제동부를 도르래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이 단순화되어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공정이 줄어들게 되어 인건비 절약과 함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작동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도수문, 수로, 구동모터, 플로우트

Description

전도수문용 전도장치{UPSET APPARATUS FOR UPSET FLOOD GATE }
도 1은 종래의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의 견인부, 감속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의 변속기어부, 가변제동부, 플로우트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의 가변제동부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수문용 전도장치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10 : 전도수문
10a : 힌지 20 : 견인부
21 : 와이어드럼 22 : 와이어
30 : 변속기어부 31 : 제1체인지기어
32 : 제2체인지기어 40 : 가변제동부
41 : 브레이크 수단 42 : 샤프트
41-1 : 브레이크 드럼 41-2 : 라이닝4
41-3 : 밴드브레이크 41-4 : 라체트 베어링
43 : 연결대 43a : 제1유동힌지
43b :제2유동힌지 43c : 고정힌지
44: 제1스프라켓 45 : 제2스프라켓
46 : 체인이탈방지로울러 47 : 체인
49: 장력스프링 50 : 감속부
51 : 제1감속기어 52 : 제1소기어
53 : 제2감속기어 54 : 제2소기어
55 : 제3감속기어 56 : 원심브레이크
57 : 제3소기어 60 : 구동부
61 : 모터 62 : 제1풀리
63 : 벨트 64 : 제2풀리
65 : 전자클러치 70 : 플로우트
S1 : 작동스위치 S2 : 클러치스위치
본 발명은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개용수로, 저수지, 하천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물의 일정량을 저수시키고, 폭우 시 우수의 유입으로 인해 저수된 물이 일정수위로 상승할 경우 전도수문을 자동으로 전도되도록 하여 외부로 방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하류지역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 또는 지연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도수문 전도장치의 가변제동부를 도르래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이 단순화되어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공정이 줄어들게 되어 인건비 절약과 함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작동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개수로, 하천 및 저수지 등의 물은 농지관리나 관개용수 등에 적절히 활용하기 위하여 일정량을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 방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물의 관리에 있어, 가뭄 시에는 계속해서 물을 저장하였다가 필요시에 사용하게 되고, 특히, 비가 많이 내려 물의 양이 필요 이상의 수위에 도달할 경우에는 제방에 설치된 수문을 개방하여 물을 방출함으로써 홍수피해를 최소화하며, 또한 필요 이상으로 물이 방출됐을 경우에는 상기 수문을 폐쇄하여 다시 물을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문장치는, 통상적으로 관리자가 직접 핸들조작으로 스핀들을 정, 역회전시켜 수문을 승강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물의 저장량이 적은 소 용량에나 활용되고 있으며, 또한, 수문의 승강 작업 시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그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문장치 역시 관리자가 수로의 수위를 일일이 감시하다가 저수량이 위험수위에 도달할 때 권양부를 조작하여 수문을 개방하고, 저수량이 위험수위를 벗어나게 되면 다시 폐쇄하게 되는 것으로, 관리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비가 많이 오는 하절기에는 저장된 물을 적정시기에 방류하지 못하고 한꺼번에 많은 양의 물을 갑자기 하류로 방류하게 되어 하류지역이 홍수 위험에 노출되는 등 수위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가 오지 않는 가뭄기에는 물의 방류가 전혀 없다가 갑자기 쏟아진 폭우로 관리자의 손길이 도달하기 전에 급격히 기준 저수량을 초과하여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우기에 수로 관리가 관리자에 의한 권양부의 조작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항상 필요 인력이 대기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적기에 관리가 이루어지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에 의해 선 출원된 출원번호 10-2006-0102996호의 전도수문용 전도장치를 설명하면,
전도수문용 전도장치(2)는 수로(100) 바닥에 전도되도록 힌지(71)로 설치된 전도수문(70)과; 상기 전도수문(70)에 연결 설치되고, 권선드럼(81)에 감긴 와이어(82)가 수압에 의해 풀리도록 설치된 견인부(80)와; 상기 견인부(80)의 와이 어(82)가 감긴 권선드럼(81)에 회전력이 전달되게 연결 설치된 회전변속기어부(30)와; 상기 회전변속기어부(30)에 전자클러치(42)로 단속되어 구동모터(41)의 동력이 전달되게 설치된 구동부(40)와; 상기 회전변속기어부(30)를 가변적으로 제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가변제동부(50)와; 상기 가변제동부(50)를 저수량의 수위 상승시 간격을 두고 연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부유부재(6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가변제동부는(50)는 브레이크 드럼(51)을 제동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설치된 밴드브레이크(52)와, 스프링(53)으로 탄지되고 상기 밴드브레이크(52)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는 지렛대(54)와, 상기 지렛대(54)의 일측을 회전하여 상승시키게 권선드럼(21)에 연결 설치된 이완 캠(56)과, 상기 이완 캠(56)의 측면에 직선 운동되게 편심 설치된 푸쉬로드(5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렛대(54)는 밴드브레이크(52)의 일단에 연결되고, 시소 작동되도록 제1힌지(54-1)로 설치되는 제1로드(54-5)와, 이 제1로드(54-5)의 타단부에 형성된 스톱퍼(54-2)와 보강대(54-3), 이 스톱퍼(54-2)와 보강대(54-5) 사이에 형성된 제2힌지(54-4)에 연결 설치되는 제2로드(54-6)와, 상기 제1로드(54-5)의 중심에 수직으로 하향되게 돌출 형성된 푸쉬돌기(55)와, 이 푸쉬돌기(55) 상부에 제1로드(54-5)를 눌러 수평이 되도록 설치된 스프링(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완 캠(56)은 제2체인(35)으로 감속기어(32)의 제4스프로킷 기어(32-4)와 연결 설치되는 캠스프로킷 기어(56-2)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게 설치된다. 또, 이완 캠(56)은 외주면에 일측은 수직면이고, 다른 측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멈춤홈(56-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완 캠(56)은 권선드럼(21)의 소 기어(33-1)에 연결 설치되는 캠 기어(56-2)와, 이 캠 기어(56-2)를 일 측면에 설치하고, 타 측면에 전,후진 왕복 운동되게 편심 설치된 푸쉬로드(57)와, 외주면에 수직면과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멈춤홈(56-1)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의 가변제동부는 그 구성과 작동과정이 매우 복잡하여 전도수문이 작동되는 과정에 있어서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므로 작동효율이 그만큼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변제동부의 복잡한 구성은 생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과 함께, 복잡한 단계의 작업공정에 따른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어 인건비 상승과 함께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써, 관개용수로, 저수지, 하천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물의 일정량을 저수시키고, 폭우 시 우수의 유입으로 인해 저수된 물이 일정수위로 상승할 경우 전도수문을 자동으로 전도되도록 하여 외부로 방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하류지역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도록 하는 전도수문용 전도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전도수문의 전도장치 구성중 가변제동부를 도르래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이 단순화되어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공정이 줄어들게 되어 인건비 절약과 함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작동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전도수문용 전도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도수문과, 견인부, 변속기어부, 가변제동부, 감속부, 구동부, 플로우트로 구성된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에 있어서,
가변제동부는 소정거리로 상하유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스프라켓과, 상기 제1스프라켓과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 설치되어 플로우트 상부에 연결된 체인을 통해 제1스프라켓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스프라켓과;
상기 제2스프라켓에서 체인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체인이탈방지로울러와;
브레이크수단에 제1유동힌지를 통해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제2유동힌지를 통해 제1스프라켓에 연결되며, 중간부분에 고정힌지가 설치된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일측을 탄성력으로 잡아주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의 견인부, 감속부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의 변속기어부, 가변제동부, 플로우트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며,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의 가변제동부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 른 전도수문용 전도장치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도수문용 전도장치(1)는 수로 바닥에 힌지(10a)를 통해 전도되도록 전도수문(10)이 설치되고, 상기 전도수문(10)의 일측으로 와이어드럼(21)에 감긴 와이어(22)가 연결·고정되어 수압에 의해 와이어(22)가 풀리도록 견인부(20)가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드럼(21)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변속기어부(30)가 설치되고, 상기 변속기어부(30)를 가변적으로 제동하기 위해 가변제동부(40)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드럼(21) 일측에 설치되어 와이어(22)가 풀리거나 감기는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부(50)가 설치되고, 전자클러치(65)로 단속되는 구동모터(61)의 동력이 감속부(50)에 전달되도록 구동부(60)가 설치되며, 저수량의 수위 변화에 따라 가변제동부(40)를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플로우트(70)로 구성된다.
상기 전도수문(10)은 소정두께의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져 관개용수로, 저수지, 하천 등의 수로 바닥에 설치되고, 전도 작용이 용이하도록 하단부 양측에 힌지(10a)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도수문(10)은 속이 비어있는 상태로 제작되거나, 내부를 특정 소재로 채워 수압에 견디도록 제작된 것으로, 담수된 물의 방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수로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인부(20)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소정 지름의 와이어드럼(21)과, 상기 와이어드럼(21)에 권선되고, 수압이 작용하는 전도수문(10)을 전도 및 세우기 위하여 일단이 전도수문(10)에 연결·고정되는 와이어(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22)는 담수된 물의 수위에 따라 와이어드럼(21)에서 풀려지게 되고, 와이어(22)의 풀림과 권선 정도에 따라 전도수문(10)의 전도 정도가 결정된다.
상기 변속기어부(30)는 와이어드럼(21)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와이어드럼(21)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체인지기어(31)와, 상기 제1체인지기어(31)에 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제1체인지기어(31)에 치합되는 제2체인지기어(32)로 구성된다.
가변제동부(40)는 소정거리로 상하유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스프라켓(44)과, 상기 제1스프라켓(44)과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 즉 제1스프라켓(44)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플로우트(70) 상부에 연결된 체인(47)을 통해 제1스프라켓(44)과 회동가능하게 제2스프라켓(45)이 연결되고, 상기 제2스프라켓(45)에서 체인(47)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스프라켓(45)의 하단부에 체인이탈방지로울러(46)가 설치되며, 브레이크수단(41)에 제1유동힌지(43a)를 통해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제2유동힌지(43b)를 통해 제1스프라켓(44)에 연결되며, 중간부분에 고정힌지(43c)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연결대(43)와, 상기 연결대(43)의 일측을 탄성력으로 잡아주는 탄성부재(49)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대(43)는 밴드브레이크(41-3)의 일측 끝단 양측과, 제1스프라켓(44)의 양측에 제1유동힌지(43a)와 제2유동힌지(43b)를 통해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레이크수단(41)은 브레이크 드럼(41-1)과, 상기 브레이크 드럼(41-1) 의 외면을 따라 설치되는 라이닝(41-2)과, 상기 라이닝(41-2)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밴드브레이크(41-3)와, 상기 브레이크 드럼(41-1)의 내부에 설치되는 라체트 베어링(41-4)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49)는 장력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장력스프링은 일단이 연결대(43)의 일측에 연결·설치되고, 타단은 밴드브레이크(41-3)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체(49-1)에 연결·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체인지기어(32)의 회전축 일측으로 제2스프라켓(45)이 연결·설치된다.
상기 감속부(50)는 와이어드럼(21)의 일측에 설치된 제1감속기어(51)와, 상기 제1감속기어(51)에 치합되는 제1소기어(52)와, 제1소기어(52)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2감속기어(53)와, 상기 제2감속기어(53)에 치합되는 제2소기어(54)와, 상기 제2소기어(54)의 회전축에 차례로 설치되는 제3감속기어(55), 원심브레이크(56)와, 제3감속기어(55)에 치합되는 제3소기어(57)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60)는 작동스위치(S1)의 조작으로 구동하는 구동모터(61)와, 상기 구동모터(61)의 구동축에 제1풀리(62)가 설치되고, 상기 제1풀리(62)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벨트(63)를 통해 연결되는 제2풀리(64)로 구성되되, 상기 구동모터(61)의 동력이 클러치 스위치(S2)의 온(ON) 조작으로 제2풀리(64)의 회전축에 연결·설치된 제3소기어(57)로 전달되는 것을 단속하기 위해 전자클러치(65)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3소기어(57)에 연결된 회전축은 일측단이 전자클러치(65)에 연 결·설치되고, 타측단이 브레이크 드럼(41-1)에 연결·설치된다.
상기 플로우트(70)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 중앙의 연결홈(미도시)에 제1스프라켓(44)에 맞물려진 체인(47)의 일측 끝단이 고정·설치되어 수위의 변화에 따라 부유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도수문용 전도장치(1)는 관개용수로, 저수지, 하천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물의 일정량을 저수시키고, 폭우 시 우수의 유입으로 인해 저수된 물이 일정수위로 상승할 경우 전도수문(10)을 자동으로 전도되도록 하여 외부로 방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하류지역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도수문용 전도장치(1)는 담수를 목적으로 관개용수로, 저수지, 하천 등의 수로에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많은 양의 비(폭우)가 내리게 되면 수위가 높아지게 되고, 높아지는 수위를 따라 플로우트(70)가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플로우트(70)가 상승하게 되면, 플로우트(70)의 상단부 중앙에 고정·설치된 체인(47)도 상승하게 되고, 플로우트(70)의 무게압력으로 체인(47)에 의해 하강되어 있던 제1스프라켓(44)이 첨부도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소정거리 상승됨에 따라, 연결대(43)는 고정힌지(43c)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되어 연결대(43)에 제1유동힌지(43a)를 통해 연결·설치된 밴드브레이크(41-3)를 이 완시켜 브레이크 드럼(41-1)의 홀딩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유동힌지(43a)를 통해 밴드브레이크(41-3)에 연결된 연결대(43)의 일측과, 상기 밴드브레이크(41-3)의 하단부에 구비된 고정체(49-1)에는 탄성부재(49), 즉 장력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어, 밴드브레이크(41-3)와 브레이크 드럼(41-1)을 이완시키려는 힘이 계속해서 작용하고 있으므로, 플로우트(70)가 상승하면서 체인(47)이 조금의 여유가 생기게 되고, 장력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제1스프라켓(44)이 상승됨에 따라, 연결대(43)가 고정힌지(43c)를 중심으로 경사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인(47)이 제1스프라켓(44)에 맞물려 돌아가게 되고, 계속해서 제1스프라켓(44)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 제2스프라켓(45)에 맞물려 돌아가게 되는 것으로써, 상기 플로우트(70)와 체인(47), 제 1, 제2스프라켓(44,45)은 도르래 방식으로 구성·작동되는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작동효율을 극대화 하였다.
이때, 상기 제2스프라켓(45)의 하단부에는 체인이탈방지로울러(46)가 설치되어 체인(47)이 제2스프라켓(4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드럼(41-1)의 홀딩 해제는 제3소기어(57)를 구속상태에서 벗어나게 하여 일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며, 또한, 전도수문(10)은 수압으로 인해 전도되기 시작한다.
즉, 브레이크 드럼(41-1)이 해제되면, 수압에 의해 전도수문(10)이 전도되면서 와이어드럼(21)에 감긴 와이어(22)가 풀리게 되고, 상기 와이어드럼(21)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1감속기어(51)가 회동하면서 제1감속기어(51)에 치합된 제1소기 어(52)가 회동하며, 상기 제1소기어(52)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2감속기어(53)가 회동되고, 상기 제2감속기어(53)에 치합된 제2소기어(54)가 회동되며, 제2소기어(54)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3감속기어(55)가 회동되고, 상기 제3감속기어(55)와 연결·설치된 제3소기어(57)가 회동된다.
이때, 제2풀리(64)에 설치된 전자클러치(65)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43)가 밴드브레이크(41-3)를 누르고 있는 시간 동안 브레이크 드럼(41-1)은 비홀딩 상태이기 때문에 와이어드럼(21)은 계속 회동하여 와이어(22)를 풀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감속기어(51,53,55)와 소기어(52,54,57)를 상호 유기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감속부(50)를 형성함으로써, 전도수문(10)이 급격하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드럼(21)의 일측 회전축, 즉 와이어드럼(21)을 중심으로 제1감속기어(51)의 반대편에는 제1체인지기어(31)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1체인지기어(31)에 제2체인지기어(32)가 치합되며, 제2체인지기어(32)의 회전축에는 제2스프라켓(45)이 연결·설치된 것으로, 와이어드럼(21)이 일측방향으로 회동하면, 제1체인지기어(31)와 제2체인지기어(32)가 맞물려 회동하게 되고, 제2스프라켓(45)도 함께 회동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구성이 유기적으로 작동된다.
이때, 상기 제2체인지기어(32)는 제1체인지기어(31)보다 직경을 더 크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 제2체인지기어(32)를 제1체인지기어(31) 보다 크게 형성할 수록 제1체인지기어(31)의 회전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드럼(21)의 회전수가 줄어들게 되어 전도수문(10)의 전도되는 양도 줄어들게 되고, 제2체인지기어(32)가 제1체인지기어(31)의 직경과 가까워질수록 상기와 반대의 작용이 나타나는 것으로써, 제1, 제2체인지기어(31,32)의 직경을 저수지 또는 수로의 넓이와 그 지역의 평균 강수량에 따라 비례하여 설치·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도수문(10)은 전도량의 조절로 담수와 방류가 이루어져 기준 수위까지 낮춰지고, 상류로부터 많은 우수가 유입되지 않으면, 관리자는 작동스위치(S1)를 온(ON) 조작하여 구동모터(61)를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모터(61)의 구동 상태에서 클러치 스위치(S2)로 전자클러치(65)를 접속시키면, 상기의 전도수문(10)이 개방될 때와 반대방향으로 감속부(50)의 기어가 유기적으로 회동하면서 와이어드럼(21)까지 동력이 전달되고, 상기 와이어드럼(21)은 와이어(22)를 감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드럼(21)의 축에 연결된 제1체인지기어(31)와, 상기 제1체인지기어(31) 맞물려 있는 제2체인지기어(32)가 회동되고, 제1체인지기어(31)의 회전축에 설치된 제2스프라켓(45)이 회동되며, 제 2스프라켓(45)과 체인(47)을 통해 연결된 제1스프라켓(44)도 회동되되, 제1스프라켓(44)과 제2스프라켓(45)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체인(47)이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로우트(70)도 하강된다.
이때, 상승되어 있던 제1스프라켓(44)은 플로우트(70)가 내려가면서 플로우트(70)의 무게압력을 받은 체인(47)을 통해 소정거리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연결대(43)도 첨부도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 드럼(41-1)에 설치되어 있는 라체트 베어링(41-4)의 작동으로 브레이크 드럼(41-1)이 홀딩되어 있더라도 일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기 때문에 전도수문(10)을 세우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와이어(22)가 감김에 따라 전도수문(10)이 세워진다.
상기 전도수문(10)이 세워져 저수량은 기준 수위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안전하고 정확한 저수량의 관리·유지가 이루어지고, 인력절감과 효율적인 관리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 드럼(41-1) 일측에 설치된 샤프트(42)에 통상의 수동조작핸들(미도시)을 연결·설치하여 일측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전도수문(10)을 세우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드럼(41-1)에 설치되어 있는 라체트 베어링(41-4)의 작동으로 브레이크 드럼(41-1)이 홀딩되어 있더라도 일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기 때문에 전도수문(10)을 세우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2풀리(64)에 설치된 전자클러치(65)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도수문용 전도장치는, 관개용수로, 저수지, 하천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물의 일정량을 저수시키고, 폭우 시 우수의 유입으로 인해 저수된 물이 일정수위로 상승할 경우 전도수문을 자동으로 전도되도록 하여 외부로 방류되는 물 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하류지역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 또는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도수문 전도장치의 가변제동부를 도르래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성이 단순화되어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공정이 줄어들게 되어 인건비 절약과 함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작동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도수문과, 견인부, 변속기어부, 가변제동부, 감속부, 구동부, 플로우트로 구성된 전도수문용 전도장치에 있어서,
    가변제동부(40)는 소정거리로 상하유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스프라켓(44)과, 상기 제1스프라켓(44)과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 설치되어 플로우트(70)의 상부에 연결된 체인(47)을 통해 제1스프라켓(44)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스프라켓(45)과;
    제2스프라켓(45)에서 체인(47)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체인이탈방지로울러(46)와;.
    브레이크수단(41)에 제1유동힌지(43a)를 통해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제2유동힌지(43b)를 통해 제1스프라켓(44)에 연결되며, 중간부분에 고정힌지(43c)가 설치된 연결대(43)와;
    연결대(43)의 일측을 탄성력으로 잡아주는 탄성부재(4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수단(41)은 브레이크 드럼(41-1)과, 상기 브레이크 드럼(41-1)의 외면을 따라 설치되는 라이닝(41-2)과, 상기 라이닝(41-2)의 외주면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밴드브레이크(41-3)와, 상기 브레이크 드럼(41-1)의 내부에 설치되는 라 체트 베어링(4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탄성부재(49)는 장력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KR1020070022942A 2007-03-08 2007-03-08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KR100826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942A KR100826292B1 (ko) 2007-03-08 2007-03-08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942A KR100826292B1 (ko) 2007-03-08 2007-03-08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292B1 true KR100826292B1 (ko) 2008-04-30

Family

ID=39572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942A KR100826292B1 (ko) 2007-03-08 2007-03-08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29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671B1 (ko) 2010-04-13 2010-09-07 제이디아이테크주식회사 무게조절이 가능한 보조웨이트 장치를 갖춘 전도 게이트
CN105274972A (zh) * 2015-09-11 2016-01-27 合肥工业大学 一种气浮式水坝闸门
CN107916651A (zh) * 2017-12-06 2018-04-17 江苏众创农业服务有限公司 稻田灌溉自动水闸
CN109354198A (zh) * 2018-11-27 2019-02-19 海南大学 一种应用于富营养化河流入海口的污水净化装置
KR102591728B1 (ko) * 2023-05-24 2023-10-19 전종훈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CN117069244A (zh) * 2023-09-25 2023-11-17 北京市燕京药业有限公司 一种制药厂有机废水处理装置
JP7406380B2 (ja) 2020-01-14 2023-12-27 西部電機株式会社 可動体駆動装置
CN117069244B (zh) * 2023-09-25 2024-06-07 北京市燕京药业有限公司 一种制药厂有机废水处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171A (ko) * 1987-01-30 1988-09-14 후미나오 다니도미 다단땜 문체의 전도정지 장치
JP2000129660A (ja) 1998-10-26 2000-05-09 Fuji Kisetsu Kogyo Kk 水門の扉落下指令装置
KR20020080216A (ko) * 2001-04-10 2002-10-23 가이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도복게이트
JP2002309557A (ja) 2001-04-17 2002-10-23 Mizota Corp ワイヤ式起伏ゲートの起伏装置
KR100480016B1 (ko) 2004-03-27 2005-03-31 (주)금아 다단식 수문용 권양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171A (ko) * 1987-01-30 1988-09-14 후미나오 다니도미 다단땜 문체의 전도정지 장치
JP2000129660A (ja) 1998-10-26 2000-05-09 Fuji Kisetsu Kogyo Kk 水門の扉落下指令装置
KR20020080216A (ko) * 2001-04-10 2002-10-23 가이세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도복게이트
JP2002309557A (ja) 2001-04-17 2002-10-23 Mizota Corp ワイヤ式起伏ゲートの起伏装置
KR100480016B1 (ko) 2004-03-27 2005-03-31 (주)금아 다단식 수문용 권양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671B1 (ko) 2010-04-13 2010-09-07 제이디아이테크주식회사 무게조절이 가능한 보조웨이트 장치를 갖춘 전도 게이트
CN105274972A (zh) * 2015-09-11 2016-01-27 合肥工业大学 一种气浮式水坝闸门
CN107916651A (zh) * 2017-12-06 2018-04-17 江苏众创农业服务有限公司 稻田灌溉自动水闸
CN109354198A (zh) * 2018-11-27 2019-02-19 海南大学 一种应用于富营养化河流入海口的污水净化装置
JP7406380B2 (ja) 2020-01-14 2023-12-27 西部電機株式会社 可動体駆動装置
KR102591728B1 (ko) * 2023-05-24 2023-10-19 전종훈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CN117069244A (zh) * 2023-09-25 2023-11-17 北京市燕京药业有限公司 一种制药厂有机废水处理装置
CN117069244B (zh) * 2023-09-25 2024-06-07 北京市燕京药业有限公司 一种制药厂有机废水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292B1 (ko)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CN208685562U (zh) 一种防止淤积的水闸
KR101908577B1 (ko) 상,하 분리되어 힌지로 결합된 이중 구조의 롤러 게이트
KR100592975B1 (ko) 어도블록
KR101507693B1 (ko) 농업용 수문의 전도장치
JP4497429B1 (ja) 水田用の自動給水装置
JPH0870716A (ja) 給水栓自動開閉装置及び給水堰自動開閉装置
KR102179578B1 (ko) 클러치권양장치
KR101075941B1 (ko) 수문조절장치
KR101710463B1 (ko) 부력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DE102005019738A1 (de) Kraftwerk, insbesondere Meereswellenkraftwerk
KR100943530B1 (ko) 하천보용 슬리핑식 수문
KR100769345B1 (ko)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KR101125835B1 (ko) 수동식 수문개폐장치
CN206521736U (zh) 上翻式闸门
KR200442618Y1 (ko) 부력을 이용한 자동수문
CN104775512A (zh) 一种管道冲洗拦蓄门的棘轮控制机构
WO2005010352A2 (de) Antrieb für eine arbeitsmaschine im unterwassereinsatz
CN212026422U (zh) 一种用于建造海绵城市的雨水弃流装置
KR100596023B1 (ko) 회전식 수문장치
KR20140065993A (ko) 고효율 펌프 게이트 장치
CN113142025A (zh) —种农业灌溉智能装置
CN207512897U (zh) 污水井、雨水井中使用的防蚊虫闸
KR100399744B1 (ko) 자동수문
KR102591728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