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728B1 -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728B1
KR102591728B1 KR1020230066752A KR20230066752A KR102591728B1 KR 102591728 B1 KR102591728 B1 KR 102591728B1 KR 1020230066752 A KR1020230066752 A KR 1020230066752A KR 20230066752 A KR20230066752 A KR 20230066752A KR 102591728 B1 KR102591728 B1 KR 102591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ice
opening
winding
conduct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종훈
전동수
Original Assignee
전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훈 filed Critical 전종훈
Priority to KR102023006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구동모터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동시에 회전하도록 한 쌍의 와이어드럼이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드럼에 한 쌍의 와이어로프를 서로 다른 위치에 권취시켜, 상기 구동모터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전도수문을 승강시켜 수로를 개방시키고,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전도수문을 바닥면측으로 당김시키면서 하강시켜 수로를 폐쇄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도수문이 바닥면으로부터 들뜨거나 편심됨 없이 닫힐 수 있어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작은 직경을 갖는 와이어드럼으로도 가능하므로 개폐장치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conduction water gate using wire rope}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구동모터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동시에 회전하도록 한 쌍의 와이어드럼이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드럼에 한 쌍의 와이어로프를 서로 다른 위치에 권취시켜, 상기 구동모터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전도수문을 승강시켜 수로를 개방시키고,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전도수문을 바닥면측으로 당김시키면서 하강시켜 수로를 폐쇄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도수문이 바닥면으로부터 들뜨거나 편심됨 없이 닫힐 수 있어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작은 직경을 갖는 와이어드럼으로도 가능하므로 개폐장치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도수문은, 관개용수로, 저수지, 하천 등의 수로에 설치되어 상류측에서 유입되는 우수를 일정 수위까지 저수[貯水]시키고, 폭우 발생시 급격히 상류측의 수위가 상승할 경우, 전도수문이 자동으로 전도되도록 제어하여 방류되는 물을 조절함으로써, 하류지역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이를 지연시키는 방식으로 수해를 방지하는 수문에 해당한다.
이러한 전도수문은, 물관리를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뭄 시에는 물을 저장해두었다가 필요시에 적절히 사용하고, 비가 많아와서 저수된 물의 양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지게 되면, 하류 쪽으로 방류하는 형태로 조절하고 다시 수문을 닫는 형태로 물을 채우게 된다.
전도수문은, 수문을 전도시키는 방식에 따라 유압식과 로프식으로 나뉠 수 있는데, 로프식은 수문을 전도시킬 때,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상류측 수압과 수문의 자체 무게로 전도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전도된 수문은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드럼을 회전시켜 로프를 감아서 다시 인양하게 된다.
상기 로프식 전도수문은, 수문을 전도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부유체(Floater)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유체는 하천의 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상승하게 되고 부유체와 연결된 전도장치에 의해 수문이 자동으로 개방되게 된다.
종래의 전도수문에 적용되는 전도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 제10-0826292호(전도수문용 전도장치)에는 수로 바닥에 힌지를 통해 전도되도록 전도수문이 설치되고, 상기 전도수문의 일측으로 와이어드럼에 감긴 와이어가 연결 고정되어 수압에 의해 와이어가 풀리도록 견인부가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드럼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변속기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변속기어부를 가변적으로 제동하기 위해 가변제동부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드럼 일측에 설치되어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기는 속도를 조절하는 감속부가 설치되고, 전자클러치로 단속되는 구동모터의 동력이 감속부에 전달되도록 구동부가 설치되며, 저수량의 수위 변화에 따라 가변제동부를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플로우트로 구성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플로우트가 체인을 통해 제1스프라켓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체인 이탈에 따른 고장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무게추와 체인의 무게균형을 통해 작동되기 때문에, 체인의 무게에 따른 균형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오작동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21-0110022호에 로프식 전도수문용 전도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로프식 전도수문용 전도장치는, 전도수문과, 상기 전도수문에 와이어로프의 일측이 연결되고 나머지 와이어로프가 감겨있는 권취드럼과, 수위에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부유체와 부유체의 상하운동에 따라 제1회전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거나 해제하는 제동제어장치와, 상기 제동제어장치와 권취드럼 사이에 설치되어 전도수문 전도시 제동력이 해제된 제1회전축과 연결되어 권취드럼이 풀리도록 제어하거나, 인양시 인양모터에 의해 강제로 권취드럼이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동력전달장치로 구성되되, 상기 제동제어장치는, 함체와, 상기 함체에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부유체의 상부에 연결된 강봉과 상기 강봉의 상단부에는 작동블록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작동부와, 상기 수직작동부의 작동블록 일측에 설치되어 수직작동에 따라 수평운동으로 전환되어 이동하는 수평작동부와, 상기 수평작동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평작동부의 수평이동에 따라 띠부재가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제1회전축의 제동제어가 이루어지는 밴드브레이크로 구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제1회전축과 스프라켓을 통해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의 외측에 맞물리는 다수의 유성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의 외측에 맞물리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내측에 기어부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인양모터의 웜기어가 맞물려 회전되도록 기어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링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와 결합되어 유성기어가 링기어 내주면을 따라 회전할 때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에 결합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는 제3회전축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로프식 전도수문용 전도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장치의 인양모터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와이어로프가 권취드럼에 김김되고, 그로 인해 전도수문이 수로를 폐쇄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인양모터가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상기 권취드럼에 감김된 와이어로프가 플림되므로 인해 전도수문이 자중에 의해 전도되면서 수로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전도수문과 수로 사이에 이물질 예를 들어 나뭇가지 또는 비닐 등이 낄 경우, 자중에 의해 전도되는 전도수문이 이물질로 인해 수로를 완전하게 개방시키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로프식 전도수문용 전도장치는, 전도수문의 개도 만큼의 와이어로프를 하나의 권취드럼에 권취시켜야 하므로 큰 직경의 와이어드럼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21-0110022호, 출원일; 2021년08월20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구동모터가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동시에 회전하도록 한 쌍의 와이어드럼이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드럼에 한 쌍의 와이어로프를 서로 다른 위치에 권취시켜, 상기 구동모터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전도수문을 승강시켜 수로를 개방시키고,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전도수문을 바닥면측으로 당김시키면서 하강시켜 수로를 폐쇄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전도수문이 바닥면으로부터 들뜨거나 편심됨 없이 닫힐 수 있어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작은 직경을 갖는 와이어드럼으로도 가능하므로 개폐장치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에 물을 가두거나 방류하기 위해 배출홀(11a)을 형성되게 베이스부재(A)의 상면에 설치된 전도수문틀(11)에 전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도수문(12)을 전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배출홀(11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로서, 상기 수문틀(1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인가에 따른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대응되게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가능하게 구동축(111)을 갖추어 구비되는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와,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의 구동축(111)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와,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틀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고정프레임(130)과,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상면 좌,우측 전,후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회전하는 제1,2권취드럼회전축(142,142')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1,2권취드럼지지부재(140,140')와, 상기 제1,2권취드럼지지부재(140,140')의 제1,2권취드럼회전축(142,142') 상에 각각 고정 설치되되, 각각의 외주면은 중간부를 기준으로 제1,2전방권취구간부(151,151')와 제1,2후방권취구간부(152,152')로 구획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과,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의 제1,2전방권취구간부(151,151')에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12) 전방 일측에 고정된 제1전도용 와이어(168)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1전도수단(160)과,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의 제1,2후방권취구간부(152,152')에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12) 전방 타측에 고정된 제2전도용 와이어(178)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2전도수단(17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2전방권취구간부(151,151')와 제1,2후방권취구간부(152,152')에 제1전도용 와이어(168)와 제2전도용 와이어(178)가 권취되는 것에 의해 전도수문(12)을 강제적으로 전도시켜 배출홀(11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에 물을 가두거나 방류하기 위해 배출홀(11a)을 형성되게 베이스부재(A)의 상면에 설치된 전도수문틀(11)에 전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도수문(12)을 전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배출홀(11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로서, 상기 수문틀(1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인가에 따른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대응되게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가능하게 구동축(211)을 갖추어 구비되는 구동모터(210)와,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축(211)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력전달부(220)와, 상기 구동력전달부(220)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문틀(11)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프레임(230)과, 상기 프레임(230)의 상면 좌,우측 전,후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력전달부(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회전하는 제1,2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242')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1,2권취드럼 설치부재(240,240')와, 상기 제1,2권취드럼 설치부재(240,240')의 제1,2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242') 상에 각각 고정 설치되되, 각각의 외주면은 중간부를 기준으로 제1,2전방권취구간(251,251')과 제1,2후방권취구간(252,252')으로 구획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권취드럼(250,250')과, 상기 제1권취드럼(250)의 제1전,후방권취구간(251,252)에 서로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 전방 일측에 고정된 제1와이어(268)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1개폐수단(260)과, 상기 제2권취드럼(250')의 제2전,후방권취구간(251',252')에 서로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 전방 타측에 고정된 제2와이어(278)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2개폐수단(27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2권취드럼(250,25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전,후방권취구간(251,252)과 제2전,후방권취구간(251',252')에 제1와이어(268)와 제2와이어(278)가 권취되는 것에 의해 전도수문(12)을 강제적으로 전도시켜 배출홀(11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에 따르면, 구동모터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전도수문을 승강시켜 수로를 개방시키고,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전도수문을 바닥면측으로 당김시키면서 하강시켜 수로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전도수문이 바닥면으로부터 들뜨거나 편심됨 없이 닫힐 수 있어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에 물을 가두거나 방류하기 위해 배출홀(11a)을 형성되게 베이스부재(A)의 상면에 설치된 전도수문틀(11)에 전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도수문(12)을 전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배출홀(11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100)로서, 상기 수문틀(1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인가에 따른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대응되게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가능하게 구동축(111)을 갖추어 구비되는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와,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의 구동축(111)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와,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틀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고정프레임(130)과,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상면 좌,우측 전,후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회전하는 제1,2권취드럼회전축(142,142')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1,2권취드럼지지부재(140,140')와, 상기 제1,2권취드럼지지부재(140,140')의 제1,2권취드럼회전축(142,142') 상에 각각 고정 설치되되, 각각의 외주면은 중간부를 기준으로 제1,2전방권취구간부(151,151')와 제1,2후방권취구간부(152,152')로 구획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과,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의 제1,2전방권취구간부(151,151')에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12) 전방 일측에 고정된 제1전도용 와이어(168)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1전도수단(160)과,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의 제1,2후방권취구간부(152,152')에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12) 전방 타측에 고정된 제2전도용 와이어(178)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2전도수단(17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2전방권취구간부(151,151')와 제1,2후방권취구간부(152,152')에 제1전도용 와이어(168)와 제2전도용 와이어(178)가 권취되는 것에 의해 전도수문(12)을 강제적으로 전도시켜 배출홀(11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에는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의 작동불능 상태에서도 전도수문(12)을 수동으로 전도시켜 전도수문틀(11)에 형성된 배출홀(11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수동용 핸들(181)이 설치된 수동용 전도수문개폐수단(180)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2승하강용 와이어가 항상 일정하게 텐션을 유지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 일측 전,후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권취드럼지지체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타원형상의 텐션용 홀과, 상기 고정프레임 상면 전,후단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 사이에 위치되어 설치되어 상기 제2권취드럼지지체를 항상 일방향으로 가압시킬 수 있도록 텐션용가압스프링을 포함한 텐션용가압체로 구성된 텐션유지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의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00)는, 전도수문틀(1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인가에 따른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대응되게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하는 것에 의해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를 통하여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40,140')을 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는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의 구동축(111)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측(140,140')으로 전달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는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의 구동축(111)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을 입력받아 출력시킬 수 있도록 제1입력부와 제1출력부를 갖추어 구비되는 제1구동력전달부(121)와, 상기 제1구동력전달부(121)의 출력부에 수동용 전도수문개폐수단(18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클러치(122)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측(140,140')측으로 동력을 출력시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입력부와 제2출력부를 갖추어 구비되는 제2구동력전달부(1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1구동력전달부(121)는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의 구동축(111)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되, 외주면에는 제1웜기어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1동력전달용 구동회전부재(121a)와, 상기 제1동력전달용 구동회전부재(121a)의 제1웜기어부와 기어물림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헬리컬 기어(121b)와, 상기 제1헬리컬 기어(121b)의 중앙부를 일단이 관통하여 고정되되, 양단은 전도수문틀(11)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동력전달용 종동회전부재(121c)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제2구동력전달부(123)는 클러치(122)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수동용 전도수문개폐수단(180)이 연결되되, 외주면에는 제2웜기어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제2동력전달용 구동회전부재(123a)와, 상기 제2동력전달용 구동회전부재(123a)의 제2웜기어부와 기어물림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헬리컬 기어(123b)로 구성된다.
상기한 고정프레임(130)은,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틀(11)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고정프레임(130)은, 상면에 상기 제1,2권취드럼지지부재(140,14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전도수문틀(11)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제1,2권취드럼지지부재(140,140')는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상면 좌,우측 전,후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회전하는 제1,2권취드럼회전축을 갖추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제1,2권취드럼지지부재(140,140')는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상면 좌,우측 전,후단에 베어링을 각각 개재시켜 구비되는 제1,2권취드럼지지체(141,141')와, 상기 제1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을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동력을 받아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권취드럼지지체(141)를 일단이 관통하는 것에 의해 제2헬리컬 기어(123b)의 중앙부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권취드럼지지체(141)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권취드럼회전축(142)과, 상기 제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을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권취드럼지지체(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권취드럼회전축(142')과, 상기 제1권취드럼회전축(142)의 타단과 제2권취드럼회전축(142')의 일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권취드럼회전축(142)과 제2권취드럼회전축(142')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2스프라킷 휠(143,143')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은, 상기 제1,2권취드럼회전축 (142,142')상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의 구동에 대응되게 상기 제1,2권취드럼회전축(142,142')과 함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1,2전방권취구간부(151,151')와 제1,2후방권취구간부(152,152')에 권취된 제1전도수단(160)의 제1전도용 와이어(168)와 제2전도수단(170)의 제2전도용 와이어(178)를 감김 및 풀림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의 제1,2전방권취구간부(151,151')와 제1,2후방권취구간부(152,152')는 제1,2승하강용 와이어가 감김 및 풀림시 제1,2승하강용 와이어가 서로 포개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1,2승하강용 와이어가 감김되는 않는 여유부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제1전도수단(160)은,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의 제1,2전방권취구간부(151,151')에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 전방 일측에 고정된 제1전도용 와이어(168)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제1전도수단(160)은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도수문개방용 로울러(161) 및 제1전도수문폐쇄용 로울러(162)와, 상기 전도수문틀(11)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도수문폐쇄용 안내로울러(163)와, 상기 전도수문(12)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도수문개방용 지지로울러(164) 및 제1전도수문폐쇄용 지지로울러(165)와, 상기 제1전도수문개방용 로울러(161) 및 제1전도수문폐쇄용 로울러(162) 전방에 일측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도수문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166)와, 상기 전도수문(12) 전방에 일측 위치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도수문개방용 가이드로울러(167)와,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의 제1,2전방권취구간부(151,151')에 권취되면서 일단은 상기 제1전도수문폐쇄용 로울러(162)와 제1전도수문폐쇄용 안내로울러(163) 그리고 제1전도수문폐쇄용 지지로울러(165)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전도수문틀(11)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전도수문개방용 로울러(161)와 제1전도수문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166) 그리고 제1전도수문개방용 가이드로울러(167) 및 제1전도수문개방용 지지로울러(164)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제1전도수문개방용 가이드로울러(167) 일측 베이부재(A)의 바닥면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도용 와이어(168)로 구성된다.
상기 제2전도수단(170)은,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의 제1,2후방권취구간부(152,152')에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차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 전방 타측에 고정된 제2전도용 와이어(178)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제2전도수단(170)은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도수문개방용 로울러(171) 및 제1전도수문폐쇄용 로울러(172)와, 상기 전도수문틀(11) 상면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도수문폐쇄용 안내로울러(173)와, 상기 전도수문(12) 상면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도수문개방용 지지로울러(174) 및 제1전도수문폐쇄용 지지로울러(175)와, 상기 제1전도수문개방용 로울러(171) 및 제1전도수문폐쇄용 로울러(172) 전방에 타측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도수문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176)와, 상기 전도수문(12) 전방에 타측 위치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도수문개방용 가이드로울러(177)와,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의 제1,2전방권취구간부(152,152')에 권취되면서 일단은 상기 제1전도수문폐쇄용 로울러(172)와 제1전도수문폐쇄용 안내로울러(173) 그리고 제1전도수문폐쇄용 지지로울러(175)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전도수문틀(11)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전도수문개방용 로울러(171)와 제1전도수문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176) 그리고 제1전도수문개방용 가이드로울러(177) 및 제1전도수문개방용 지지로울러(174)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제1전도수문개방용 가이드로울러(177) 일측 베이부재(A)의 바닥면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도용 와이어(178)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전도수단의 제1전도용 와이어(168)와 제2전도수단(170)의 제2전도용 와이어(178)가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의 제1,2전방권취구간부(151,151')와 제1,2후방권취구간부(152,152')에 동시에 권취되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전도수문용 권취드럼 하나에 전도용 와이어를 하나씩 각각 권취시켜 전도수문을 전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에 물을 가두거나 방류하기 위해 배출홀(11a)을 형성되게 베이스부재(A)의 상면에 설치된 전도수문틀(11)에 전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도수문(12)을 전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배출홀(11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200)로서, 상기 수문틀(1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인가에 따른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대응되게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가능하게 구동축(211)을 갖추어 구비되는 구동모터(210)와,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축(211)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력전달부(220)와, 상기 구동력전달부(220)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문틀(11)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프레임(230)과, 상기 프레임(230)의 상면 좌,우측 전,후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력전달부(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회전하는 제1,2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242')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1,2권취드럼 설치부재(240,240')와, 상기 제1,2권취드럼 설치부재(240,240')의 제1,2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242') 상에 각각 고정 설치되되, 각각의 외주면은 중간부를 기준으로 제1,2전방권취구간(251,251')과 제1,2후방권취구간(252,252')으로 구획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권취드럼(250,250')과, 상기 제1권취드럼(250)의 제1전,후방권취구간(251,252)에 서로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 전방 일측에 고정된 제1와이어(268)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1개폐수단(260)과, 상기 제2권취드럼(250')의 제2전,후방권취구간(251',252')에 서로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 전방 타측에 고정된 제2와이어(278)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2개폐수단(27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2권취드럼(250,25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전,후방권취구간(251,252)과 제2전,후방권취구간(251',252')에 제1와이어(268)와 제2와이어(278)가 권취되는 것에 의해 전도수문(12)을 강제적으로 전도시켜 배출홀(11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구동력전달부(220)에는 상기 구동모터(210)의 작동불능 상태에서도 전도수문(12)을 수동으로 전도시켜 전도수문틀(11)에 형성된 배출홀(11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핸들(281)이 설치된 전도수문수동용 개폐수단(280)이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를 보다 상세하세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한 구동모터(210)와, 구동력전달부(220) 그리고 프레임(230)에 대한 구성은 상기한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와,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 그리고 고정프레임(13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다른 구성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제1,2권취드럼 설치부재(240,240')는, 상기 프레임(230)의 상면 좌,우측 전,후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력전달부(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회전하는 제1,2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242')을 갖추어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제1,2권취드럼 설치부재(240,240')는 상기 프레임(230)의 상면 좌,우측 전,후단에 베어링을 각각 개재시켜 구비되는 제1,2권취드럼설치용 지지체(241,241')와, 상기 제1권취드럼(250)을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동력을 받아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권취드럼설치용 지지체(241)를 일단이 관통하는 것에 의해 구동력전달부(220)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권취드럼설치용 지지체(241)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과, 상기 제2권취드럼(250')을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권취드럼설치용 지지체(2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과, 상기 제1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의 타단과 제2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의 일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기어부가 물림되어 서로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기어부재(243,243')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1,2권취드럼(250,250')은, 상기 제1,2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 (242,242')상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에 대응되게 상기 제1,2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242')과 함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1전,후방권취구간(251,251')와 제2전,후방권취구간(252,252')에 권취된 제1개폐수단(260)의 제1와이어(268)와 제2개폐수단(270)의 제2와이어(278)를 감김 및 풀림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제1,2권취드럼(250,250')의 각 중간부분에는 제1와이어(268)와 제2와이어(278)의 중간부분을 고정시켜 상기 제1와이어(268)와 제2와이어(278)가 감김 및 풀림시 미끌림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제1,2고정부재(253,253')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제1,2권취드럼(250,250')의 제1전,후방권취구간(251,251')와 제2전,후방권취구간(252,252')는 제1,2와이어(268,278)가 감김 및 풀림시 상기 제1,2와이어(268,278)가가 서로 포개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1,2와이어(268,278)가가 감김되는 않는 여유부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제1개폐수단(260)은, 상기 제1권취드럼(250)의 제1전,후방권취구간(251,252)에 서로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12) 전방 일측에 고정된 제1와이어(268))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제1개폐수단(260)은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방용 로울러(261) 및 제1폐쇄용 로울러(262)와, 상기 전도수문틀(11)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폐쇄용 안내로울러(263)와, 상기 전도수문(12)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방용 지지로울러(264) 및 제1폐쇄용 지지로울러(265)와, 상기 제1개방용 로울러(261) 및 제1폐쇄용 로울러(262) 전방에 일측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266)와, 상기 전도수문(12) 전방에 일측 위치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방용 가이드로울러(267)와, 상기 제1권취드럼(250)의 제1전,후방권취구간(251,252)에 권취되면서 일단은 상기 제1폐쇄용 로울러(262)와 제1폐쇄용 안내로울러(263) 그리고 제1폐쇄용 지지로울러(265)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전도수문틀(12)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개방용 로울러(261)와 제1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266) 그리고 제1개방용 가이드로울러(267) 및 제1개방용 지지로울러(264)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제1개방용 가이드로울러(267) 일측 베이스부재(A)의 바닥면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와이어(268)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2개폐수단(270)은, 상기 제2권취드럼(250')의 제2전,후방권취구간(251',252')에 서로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12) 전방 타측에 고정된 제2와이어(278))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제2개폐수단(270)은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방용 로울러(271) 및 제2폐쇄용 로울러(272)와, 상기 전도수문틀(11) 상면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폐쇄용 안내로울러(273)와, 상기 전도수문(12) 상면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방용 지지로울러(274) 및 제2폐쇄용 지지로울러(275)와, 상기 제2개방용 로울러(271) 및 제2폐쇄용 로울러(272) 전방에 타측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276)와, 상기 전도수문(12) 전방에 타측 위치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방용 가이드로울러(277)와, 상기 제2권취드럼(250')의 제2전,후방권취구간(251',252')에 권취되면서 일단은 상기 제2폐쇄용 로울러(272)와 제2폐쇄용 안내로울러(273) 그리고 제2폐쇄용 지지로울러(275)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전도수문틀(12) 상면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개방용 로울러(271)와 제2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276) 그리고 제2개방용 가이드로울러(277) 및 제2개방용 지지로울러(274)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제2개방용 가이드로울러(277) 타측 베이스부재(A)의 바닥면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와이어(27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강에 설치된 전도수문을 개방시켜 저장된 물을 유출시키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대응되게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가 정방향으로 구동한다.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를 통하여 제1,2권취드럼지지부재(140,140')의 제1권취드럼회전축(142)과, 제2권취드럼회전축(142')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권취드럼회전축(142)과, 제2권취드럼회전축(142') 상에 고정 설치된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1승하강수단(160)의 제1승하강용 와이어(166)와 제2승하강수단(170)의 제2승하강용 와이어(176)의 각 일단은 제1,2전방권취구간(151,151')과 제1,2후방권취구간(152,152')에 권취됨과 동시에 각 타단은 제1,2전방권취구간(151,151')과 제1,2후방권취구간(152,152')로부터 풀림된다.
그로 인해, 수문(12)은 수문틀(11)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상기 수문(12)의 상승으로 인해 배출홀(11a)이 개방된다.
상기한 배출홀(11a)의 개방으로 저장된 물은 하류로 방류된다.
한편, 개방된 배출홀(11a)을 폐쇄시켜 물을 저장시키고자 할 경우, 조작스위치를 조작하고, 상기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대응되게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가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가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를 통하여 제1,2권취드럼지지부재(140,140')의 제1권취드럼회전축(142)과, 제2권취드럼회전축(142')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권취드럼회전축(142)과, 제2권취드럼회전축(142') 상에 고정 설치된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1전도수단(160)의 제1전도용 와이어(166)와 제2전도수단(170)의 제2전도용 와이어(176)의 각 일단은 제1,2전방권취구간(151,151')과 제1,2후방권취구간(152,152')으로부터 풀림됨과 동시에 각 타단은 제1,2전방권취구간(151,151')과 제1,2후방권취구간(152,152')에 권취된다.
그로 인해, 전도수문(12)은 전도수문틀(11)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상기 전도수문(12)의 하강으로 인해 배출홀(11a)이 폐쇄된다.
이상과 같이 전도수문을 바닥면측으로 당김시키면서 하강시켜 배출홀을 폐쇄시키게 되므로, 전도수문이 전도수문틀의 바닥면으로부터 들뜨거나 편심됨 없이 닫힐 수 있어서 물이 누수되지 않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110 ; 전도수문용 구동모터
120 ;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 130 ; 고정프레임
140 ; 제1권취드럼지지부재 140' ; 제2권취드럼지지부재
150 ; 제1전도수문용 권취드럼 150' ; 제2전도수문용 권취드럼
160 ; 제1전도수단 170 ; 제2전도수단
180 ; 수동용 전도수문개폐수단 210 ; 구동모터
220 ; 구동력전달부 230 ; 프레임
240 ; 제1권취드럼 설치부재 240' ; 제2권취드럼 설치부재
250 ; 제1권취드럼 250' ; 제2권취드럼
260 ; 제1개폐수단 270 ; 제2개폐수단

Claims (11)

  1.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에 물을 가두거나 방류하기 위해 배출홀(11a)을 형성되게 베이스부재(A)의 상면에 설치된 전도수문틀(11)에 전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도수문(12)을 전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배출홀(11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문틀(1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인가에 따른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대응되게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가능하게 구동축(111)을 갖추어 구비되는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와;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의 구동축(111)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와;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틀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고정프레임(130)과;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상면 좌,우측 전,후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회전하는 제1,2권취드럼회전축(142,142')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1,2권취드럼지지부재(140,140')와;
    상기 제1,2권취드럼지지부재(140,140')의 제1,2권취드럼회전축(142,142') 상에 각각 고정 설치되되, 각각의 외주면은 중간부를 기준으로 제1,2전방권취구간부(151,151')와 제1,2후방권취구간부(152,152')로 구획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과;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의 제1,2전방권취구간부(151,151')에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12) 전방 일측에 고정된 제1전도용 와이어(168)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1전도수단(160)과;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의 제1,2후방권취구간부(152,152')에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12) 전방 타측에 고정된 제2전도용 와이어(178)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2전도수단(17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2전방권취구간부(151,151')와 제1,2후방권취구간부(152,152')에 제1전도용 와이어(168)와 제2전도용 와이어(178)가 권취되는 것에 의해 전도수문(12)을 강제적으로 전도시켜 배출홀(11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에는,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의 작동불능 상태에서도 전도수문(12)을 수동으로 전도시켜 전도수문틀(11)에 형성된 배출홀(11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수동용 핸들(181)이 설치된 수동용 전도수문개폐수단(18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력전달부(120)는,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의 구동축(111)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상기 전도수문용 구동모터(110)의 구동력을 입력받아 출력시킬 수 있도록 제1입력부와 제1출력부를 갖추어 구비되는 제1구동력전달부(121)와, 상기 제1구동력전달부(121)의 출력부에 수동용 전도수문개폐수단(180)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클러치(122)를 매개로 연결되어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측(140,140')측으로 동력을 출력시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입력부와 제2출력부를 갖추어 구비되는 제2구동력전달부(1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권취드럼지지부재(140,140')는, 상기 고정프레임(130)의 상면 좌,우측 전,후단에 베어링을 각각 개재시켜 구비되는 제1,2권취드럼지지체(141,141')와, 상기 제1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을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동력을 받아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권취드럼지지체(141)를 일단이 관통하는 것에 의해 제2헬리컬 기어(123b)의 중앙부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권취드럼지지체(141)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권취드럼회전축(142)과, 상기 제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을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권취드럼지지체(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권취드럼회전축(142')과, 상기 제1권취드럼회전축(142)의 타단과 제2권취드럼회전축(142')의 일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체인을 매개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권취드럼회전축(142)과 제2권취드럼회전축(142')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2스프라킷 휠(143,1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수단(160)은,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도수문개방용 로울러(161) 및 제1전도수문폐쇄용 로울러(162)와, 상기 전도수문틀(11)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도수문폐쇄용 안내로울러(163)와, 상기 전도수문(12)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도수문개방용 지지로울러(164) 및 제1전도수문폐쇄용 지지로울러(165)와, 상기 제1전도수문개방용 로울러(161) 및 제1전도수문폐쇄용 로울러(162) 전방에 일측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도수문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166)와, 상기 전도수문(12) 전방에 일측 위치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도수문개방용 가이드로울러(167)와,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의 제1,2전방권취구간부(151,151')에 권취되면서 일단은 상기 제1전도수문폐쇄용 로울러(162)와 제1전도수문폐쇄용 안내로울러(163) 그리고 제1전도수문폐쇄용 지지로울러(165)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전도수문틀(11)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전도수문개방용 로울러(161)와 제1전도수문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166) 그리고 제1전도수문개방용 가이드로울러(167) 및 제1전도수문개방용 지지로울러(164)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제1전도수문개방용 가이드로울러(167) 일측 베이부재(A)의 바닥면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도용 와이어(16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도수단(170)은,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도수문개방용 로울러(171) 및 제1전도수문폐쇄용 로울러(172)와, 상기 전도수문틀(11) 상면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도수문폐쇄용 안내로울러(173)와, 상기 전도수문(12) 상면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도수문개방용 지지로울러(174) 및 제1전도수문폐쇄용 지지로울러(175)와, 상기 제1전도수문개방용 로울러(171) 및 제1전도수문폐쇄용 로울러(172) 전방에 타측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도수문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176)와, 상기 전도수문(12) 전방에 타측 위치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전도수문개방용 가이드로울러(177)와, 상기 제1,2전도수문용 권취드럼(150,150')의 제1,2전방권취구간부(152,152')에 권취되면서 일단은 상기 제1전도수문폐쇄용 로울러(172)와 제1전도수문폐쇄용 안내로울러(173) 그리고 제1전도수문폐쇄용 지지로울러(175)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전도수문틀(11)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전도수문개방용 로울러(171)와 제1전도수문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176) 그리고 제1전도수문개방용 가이드로울러(177) 및 제1전도수문개방용 지지로울러(174)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제1전도수문개방용 가이드로울러(177) 일측 베이부재(A)의 바닥면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전도용 와이어(17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7. 강이나 하천 또는 저수지에 물을 가두거나 방류하기 위해 배출홀(11a)을 형성되게 베이스부재(A)의 상면에 설치된 전도수문틀(11)에 전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도수문(12)을 전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배출홀(11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문틀(1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인가에 따른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대응되게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가능하게 구동축(211)을 갖추어 구비되는 구동모터(210)와;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축(211)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력전달부(220)와;
    상기 구동력전달부(220)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수문틀(11)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프레임(230)과;
    상기 프레임(230)의 상면 좌,우측 전,후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력전달부(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동시에 회전하는 제1,2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242')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1,2권취드럼 설치부재(240,240')와;
    상기 제1,2권취드럼 설치부재(240,240')의 제1,2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242') 상에 각각 고정 설치되되, 각각의 외주면은 중간부를 기준으로 제1,2전방권취구간(251,251')과 제1,2후방권취구간(252,252')으로 구획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권취드럼(250,250')과;
    상기 제1권취드럼(250)의 제1전,후방권취구간(251,252)에 서로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일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 전방 일측에 고정된 제1와이어(268)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1개폐수단(260)과;
    상기 제2권취드럼(250')의 제2전,후방권취구간(251',252')에 서로 포개어지지 않게 권취되면서 일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전도수문틀(11)의 상면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도수문(12)의 상단 타측을 권회하면서 베이스부재(A)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도수문 전방 타측에 고정된 제2와이어(278)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제2개폐수단(27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2권취드럼(250,25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전,후방권취구간(251,252)과 제2전,후방권취구간(251',252')에 제1와이어(268)와 제2와이어(278)가 권취되는 것에 의해 전도수문(12)을 강제적으로 전도시켜 배출홀(11a)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권취드럼 설치부재(240,240')는, 상기 프레임(230)의 상면 좌,우측 전,후단에 베어링을 각각 개재시켜 구비되는 제1,2권취드럼설치용 지지체(241,241')와, 상기 제1권취드럼(250)을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동력을 받아 회전가능하게 상기 제1권취드럼설치용 지지체(241)를 일단이 관통하는 것에 의해 구동력전달부(220)에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권취드럼설치용 지지체(241)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제1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과, 상기 제2권취드럼(250')을 고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권취드럼설치용 지지체(2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의해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2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과, 상기 제1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의 타단과 제2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의 일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것에 의해 기어부가 물림되어 서로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2기어부재(243,24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권취드럼(250,250')은, 상기 제1,2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 (242,242')상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에 대응되게 상기 제1,2권취드럼설치용 회전축(242,242')과 함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제1전,후방권취구간(251,251')와 제2전,후방권취구간(252,252')에 권취된 제1개폐수단(260)의 제1와이어(268)와 제2개폐수단(270)의 제2와이어(278)를 감김 및 풀림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2권취드럼(250,250')의 각 중간부분에는 제1와이어(268)와 제2와이어(278)의 중간부분을 고정시켜 상기 제1와이어(268)와 제2와이어(278)가 감김 및 풀림시 미끌림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도록 제1,2고정부재(253,25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수단(260)은,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방용 로울러(261) 및 제1폐쇄용 로울러(262)와, 상기 전도수문틀(11)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폐쇄용 안내로울러(263)와, 상기 전도수문(12) 상면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방용 지지로울러(264) 및 제1폐쇄용 지지로울러(265)와, 상기 제1개방용 로울러(261) 및 제1폐쇄용 로울러(262) 전방에 일측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266)와, 상기 전도수문(12) 전방에 일측 위치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개방용 가이드로울러(267)와, 상기 제1권취드럼(250)의 제1전,후방권취구간(251,252)에 권취되면서 일단은 상기 제1폐쇄용 로울러(262)와 제1폐쇄용 안내로울러(263) 그리고 제1폐쇄용 지지로울러(265)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전도수문틀(12)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개방용 로울러(261)와 제1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266) 그리고 제1개방용 가이드로울러(267) 및 제1개방용 지지로울러(264)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제1개방용 가이드로울러(267) 일측 베이스부재(A)의 바닥면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와이어(26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폐수단(270)은,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방용 로울러(271) 및 제2폐쇄용 로울러(272)와, 상기 전도수문틀(11) 상면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폐쇄용 안내로울러(273)와, 상기 전도수문(12) 상면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방용 지지로울러(274) 및 제2폐쇄용 지지로울러(275)와, 상기 제2개방용 로울러(271) 및 제2폐쇄용 로울러(272) 전방에 타측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276)와, 상기 전도수문(12) 전방에 타측 위치되는 것에 의해 베이스부재(A)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개방용 가이드로울러(277)와, 상기 제2권취드럼(250')의 제2전,후방권취구간(251',252')에 권취되면서 일단은 상기 제2폐쇄용 로울러(272)와 제2폐쇄용 안내로울러(273) 그리고 제2폐쇄용 지지로울러(275)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전도수문틀(12) 상면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개방용 로울러(271)와 제2개방용 지지안내로울러(276) 그리고 제2개방용 가이드로울러(277) 및 제2개방용 지지로울러(274)를 순차적으로 권회하면서 상기 제2개방용 가이드로울러(277) 타측 베이스부재(A)의 바닥면에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와이어(27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KR1020230066752A 2023-05-24 2023-05-24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KR102591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752A KR102591728B1 (ko) 2023-05-24 2023-05-24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6752A KR102591728B1 (ko) 2023-05-24 2023-05-24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728B1 true KR102591728B1 (ko) 2023-10-19

Family

ID=88507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6752A KR102591728B1 (ko) 2023-05-24 2023-05-24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7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292B1 (ko) * 2007-03-08 2008-04-30 광 훈 전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KR101659059B1 (ko) * 2016-03-18 2016-09-22 주식회사 동인 전도 게이트
KR20200082155A (ko) * 2018-12-28 2020-07-08 청원메가텍(주)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엔진블록 터닝장치
KR20210110022A (ko) 2020-02-28 2021-09-07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기판 가장자리 또는 에지링의 식각 상태를 실시간 진단할 수 있는 플라즈마 기판 식각 장치
KR102326220B1 (ko) * 2021-03-12 2021-11-16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일체형 전도수문 권양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292B1 (ko) * 2007-03-08 2008-04-30 광 훈 전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KR101659059B1 (ko) * 2016-03-18 2016-09-22 주식회사 동인 전도 게이트
KR20200082155A (ko) * 2018-12-28 2020-07-08 청원메가텍(주)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엔진블록 터닝장치
KR20210110022A (ko) 2020-02-28 2021-09-07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기판 가장자리 또는 에지링의 식각 상태를 실시간 진단할 수 있는 플라즈마 기판 식각 장치
KR102326220B1 (ko) * 2021-03-12 2021-11-16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일체형 전도수문 권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577B1 (ko) 상,하 분리되어 힌지로 결합된 이중 구조의 롤러 게이트
KR100826292B1 (ko)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KR102591728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전도수문의 개폐장치
KR100479226B1 (ko) 어도가 구비된 자동 수중보
KR100885968B1 (ko) 수동수문 및 자동수문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수문권양장치
KR200426008Y1 (ko) 양방향 와이어드럼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JP5718792B2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KR102179578B1 (ko) 클러치권양장치
KR200442618Y1 (ko) 부력을 이용한 자동수문
KR102328012B1 (ko) 로프식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KR100982528B1 (ko) 전도 게이트용 권양장치
CN207633308U (zh) 一种液控翻板闸门
KR100832126B1 (ko) 이중 수문의 권양장치
KR101701346B1 (ko) Compact형 수문 권양장치
JP5495161B2 (ja) 浮体式起伏型ゲートの扉体起立・倒伏作動装置
CN215252703U (zh) 一种控制水流量的水利工程用闸板
CN111455941A (zh) 双向正向力伺服驱动启闭机结构
KR20100038509A (ko) 인양 수문
JPH11256555A (ja) 水力利用装置
KR101646220B1 (ko) 수문 개폐용 윈치
CN216892299U (zh) 一种水力翻板门缓冲装置
KR20050094732A (ko) 회전식 수문장치
JP7450477B2 (ja) 保安ゲートの強制動作機構
JPH0437883B2 (ko)
KR200286182Y1 (ko) 와이어로프식 수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