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196B1 -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196B1
KR100826196B1 KR1020060073842A KR20060073842A KR100826196B1 KR 100826196 B1 KR100826196 B1 KR 100826196B1 KR 1020060073842 A KR1020060073842 A KR 1020060073842A KR 20060073842 A KR20060073842 A KR 20060073842A KR 100826196 B1 KR100826196 B1 KR 100826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isplay unit
base
wall
cab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2663A (ko
Inventor
박종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3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196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유닛을 벽에 고정시킬 경우,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구성품을 이용하여 케이블커버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대, 그리고 상기 지지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바닥에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이 벽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지지대는 전선을 안내하는 케이블커버 역할을 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커버를 별도로 구매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통일감 있는 외관을 구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 케이블커버, 지지대, 베이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의 케이블커버의 조립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케이블커버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Ⅲ-Ⅲ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유닛이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유닛이 벽에 고정되는 경우 베이스가 케이블커버 역할을 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유닛이 벽에 고정되는 경우 지지대가 케이블커버 역할을 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지지대를 아래 방향으로 내린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지지대의 후면에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하여 벽걸이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되는 구조물을 재사용하도록 하여 경비를 절감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사용하게 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표시장치는 티브이, 컴퓨터 등에 사용되어 영상을 재현하는 장치이며, CRT, LCD, PDP 등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CRT의 수요는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며, 박막형 영상표시장치인 LCD 또는 PDP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박막형 영상표시장치는 바닥에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 월마운트를 이용하여 벽에 고정시켜 사용하기도 한다.
사용자가 월마운트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를 벽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경우, 전원선/신호선 등의 각종 전선 연결작업이 필요하며, 이러한 여러 전선이 얽히어 벽에 걸리게 되므로 미관을 해칠뿐 아니라, 어린이들의 손에 닿게 되어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블커버를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 전선을 상기 케이블커버 뒤쪽으로 배열하여 은폐함과 동시에 전선들을 정렬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벽걸이형 영상표시장치의 설치구조를 설명한다.
케이블커버를 포함한 벽걸이형 영상표시장치는 각종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10),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을 벽에 고정시키는 브라켓(12),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의 하부에 구비되어 각종 전선을 은폐하며 안내하는 케이블커버(20), 상기 케이블커버(20)를 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커버(20)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과는 별도로 구매 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도 2는 벽걸이형 영상표시장치에서 케이블커버(20)가 설치된 외관을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도 2에서 Ⅲ-Ⅲ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며, 상기 케이블커버(20) 후면으로 전선(30)이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케이블커버를 포함한 벽걸이형 영상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의 케이블커버는 디스플레이유닛과는 별도로 구매해야 하므로 비용이 추가된다.
둘째, 디스플레이유닛을 벽에 고정시키려면 기본으로 제공되는 지지대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낭비적인 요소가 있다.
세째, 디스플레이유닛과 케이블커버는 유기적인 관계가 없이 별도의 제작자에 의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미관상 잘 어울리는 조합을 찾기가 힘들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기 편리하고 경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케이블커버를 포함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이 벽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연결되는 전선을 은폐하는 케이블커버 역할을 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바닥에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이 벽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지지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하부의 벽에 설치되며, 상기 전선은 상기 베이스와 벽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이 벽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는 분리되고, 상기 지지대와 벽 사이의 공간에 상기 전선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지지대는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지지대는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디스플레이유닛(10)을 바닥에 설치하였을 경우를 나타내고, 도 5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을 벽에 고정시켰을 경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각종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10),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을 지지하는 지지대(200), 상기 지지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을 바닥에 지지하는 베이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은 CRT, LCD, PDP 등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면 한정이 없으나, 벽에 거는 용도로는 두께가 얇은 박막형 영상표시장치인 LCD 또는 PDP가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에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을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경우를 대비하여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이 바닥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지지대(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을 바닥에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이 벽에 고정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지지대(20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의 하부의 벽에 고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에 연결된 각종 전선들은 베이스(300)와 벽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은폐된다.
이 경우, 미관을 위하여 상기 지지대(200)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300)는 상기 지지대(200)와 분리, 결합되어야 하므로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300)가 벽에 고정되는 경우, 미관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300)는 인테리어볼트(미도시)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테리어볼트는 주로 간판이나 액자에 많이 사용되는 연결부재로서, 외관을 고급스럽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상기 베이스(300)는 각종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벽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에 연결되는 각종 전선은 상기 베이스(300)의 후면으로 통과되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으며, 어린이들의 손에 닿을 염려가 없어 안전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커버 역할은 상기 지지대(200)가 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에는 상기 지지대(200)가 삽입되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홈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220)에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유닛(10)을 벽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상기 베이스(300,도4참조) 를 지지대(200)로부터 분리시키고, 도 7과 같이 상기 지지대(200)를 아래쪽 방향으로 내린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대(200)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이 바닥에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에는 상기 지지대(200)가 소정 길이 이상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걸림턱(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200)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의 내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걸림턱(14)에 의해 상기 지지대(200)의 말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의 외부로 소정 길이 만큼 돌출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200)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을 좀 더 견고하게 지지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200)와 상기 걸림턱(14)은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22)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테리어볼트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좋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10)이 벽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200)를 아래로 내려 디스플레이유닛(10)에 연결되는 상기 전선(30)을 은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200)는 탄성부재(220)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20)는 상기 지지대(20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변위에 관계없이 일정한 탄성력이 작용하는 정하중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하중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200)의 무게와 상기 정하중 스프 링의 일정한 탄성력이 평형상태를 이루어 상기 지지대(20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대(200)를 좀 더 견고하게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200)를 벽에 인테리어 볼트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밖에도 슬라이딩 방식 등 여러가지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전선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케이블커버 역할을 하는 베이스(300) 또는 지지대(200)에는 상기 전선(3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대(200)의 후면에 돌출되어 서로를 향해 절곡된 형상의 한 쌍의 고정부재(240)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전선(30)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24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며, 고정부재(240)의 절곡된 부위에 의해 안내되어 서로 얽히지 않고 정리된다.
하지만, 상기 고정부재(24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부재(240)는 상기 베이스(300)에도 구비될 수 있다.
미관상 상기 고정부재(240)는 상기 지지대(200)와 결합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200)와 결합되는 경우에 외부에서 상기 고정부재(240)가 보이지 않도 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도, 상기 고정부재(240)의 위치나 형상은 설계조건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디스플레이유닛을 벽에 걸고자 할 때, 별도로 케이블커버를 구매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지지대 또는 베이스를 이용하여 케이블커버 역할을 하므로 사용자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디스플레이유닛을 벽에 고정시킬 때, 지지대 또는 베이스를 재활용하므로,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세째, 디스플레이유닛과 지지대, 그리고 베이스는 동일한 제작자에 의하여 제작되므로 통일감 있는 외관을 만들 수 있어 상기 지지대 또는 베이스를 케이블커버로 사용하여도 미관을 살릴 수 있다.

Claims (9)

  1. 각종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을 바닥에 지지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와 분리가능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디스플레이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는 상기 지지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탄성부재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지지대는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소정 길이 이상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소정 길이 이상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060073842A 2006-08-04 2006-08-04 영상표시장치 KR100826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842A KR100826196B1 (ko) 2006-08-04 2006-08-04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842A KR100826196B1 (ko) 2006-08-04 2006-08-04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663A KR20080012663A (ko) 2008-02-12
KR100826196B1 true KR100826196B1 (ko) 2008-04-30

Family

ID=3934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842A KR100826196B1 (ko) 2006-08-04 2006-08-04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172B1 (ko) * 2010-01-21 2011-05-11 주식회사 태광피엔에스 벽걸이용 평판화상기의 케이블 은폐장치
EP3945234B1 (en) * 2020-07-28 2023-05-31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0496A (ja) * 2001-02-02 2002-10-11 Innovative Office Products Inc 電子デバイスを取り付けるための、ケーブル管理システムを備えたアーム装置
KR200385338Y1 (ko) * 2005-03-16 2005-05-27 이경재 벽걸이형 텔레비전 거치대
KR200399670Y1 (ko) 2005-08-10 2005-10-26 이소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싱글 거치대
KR20050107229A (ko) * 2004-05-08 2005-11-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초박형 텔레비전용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0496A (ja) * 2001-02-02 2002-10-11 Innovative Office Products Inc 電子デバイスを取り付けるための、ケーブル管理システムを備えたアーム装置
KR20050107229A (ko) * 2004-05-08 2005-11-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초박형 텔레비전용 승강장치
KR200385338Y1 (ko) * 2005-03-16 2005-05-27 이경재 벽걸이형 텔레비전 거치대
KR200399670Y1 (ko) 2005-08-10 2005-10-26 이소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싱글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663A (ko) 200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0226B1 (en) Extensible monitor support system
US9518695B2 (en) Flat screen television support system
US7193843B2 (en) Display device with a bracket covering
KR970025328A (ko) 노트북 컴퓨터의 액정 화면부 결합 힌지장치
US20110095143A1 (en) Base Structure for Monitor
US20080117610A1 (en)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US20110297806A1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KR100826196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356510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월마운트시스템
JP2006202817A (ja) コネクタ端子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6337431A (ja) 映像表示装置
TW388191B (en) Apparatus for securing cable and electr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300244B2 (en) Display devices
KR200399669Y1 (ko) 디스플레이장치 더블 거치대
JP6899310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什器
KR200266490Y1 (ko) 책상용 전선덕트
CN117979616A (zh) 显示器边框及显示器装置
CN219453540U (zh) 一种显示设备的支架和显示设备
KR100973417B1 (ko) 모니터 장착용 가변 파티션
CN219565001U (zh) 取电支架
CN100499767C (zh) 装有dvd的平板电视机
KR100925771B1 (ko) 빌트인 화상수신장치
JP2008245807A (ja) トイレ用カウンター
CN220947571U (zh) 汽车组合仪表
JP405909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