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5666B1 - 알파하이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투명액상타입의 모발 영양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파하이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투명액상타입의 모발 영양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5666B1
KR100825666B1 KR1020060052569A KR20060052569A KR100825666B1 KR 100825666 B1 KR100825666 B1 KR 100825666B1 KR 1020060052569 A KR1020060052569 A KR 1020060052569A KR 20060052569 A KR20060052569 A KR 20060052569A KR 100825666 B1 KR100825666 B1 KR 10082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alcium
weight
acid
hydrox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2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8431A (ko
Inventor
신병모
유재호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5666B1/ko
Publication of KR20070118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4Preparations used to protect coloured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파하이드록시산을 포함하는 투명한 액상 제형의 모발 영양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파하이드록시산, 글리콜릭산, 모발영양, 화장료

Description

알파하이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투명액상타입의 모발 영양 화장료 조성물{Hair nutriiton Composition of transparent liquid type Containing α-Hydroxy acid}
본 발명은 손상모발, 염색모발에 보습 및 영양을 주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알파하이드록시산과 4급암모늄염 및 지방알코올을 함유하는 투명한 액상의 모발 보습영양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이 손상되는 물리적인 요인과 화학적인 요인에 의해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태양의 자외선, 자동차 매연, 열기구의 사용, 빗질, 염색, 펌 등의 외부 스트레스 요인들에 의해 모발은 손상을 받고 이로 인해 유연성이나 탄력성을 잃게 된다. 또한 수분의 손실로 인하여 빗질을 하게 되면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되어 축적되고 이것으로 인해 머리가 뜨고 먼지가 붙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 빗질도 나빠지기 때문에 모발의 손상은 극에 달한다. 모발 영양제는 여러 가지 제형으로 염색 모발이나 손상된 모발에 적용되어 모발을 건강하게 회복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품의 종류로서 윤기있고 매끄러운 머릿결로 가꿔준다. 모발 보습영양제의 사용 목적상 크림이나 로션보다는 액상타입이 즉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원료 자체가 효과적으로 모발에 흡착 내치 반응을 할 수 있도록 즉, 시술로 즉각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액상 타입의 제형이 선택된다. 지금까지 양이온성 고분자와 실리콘 등의 마무리 성능부여제를 이용한 제제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프로테인류들의 다량 함유로 모발에 흡착시켜 모발을 매끄럽고, 건강하게 만드는 제제들은 많이 나와있다. 하지만 이들은 단순히 원료들을 모발에 흡착시키는 방식으로 단순하게 물리흡착에 의한 메카니즘으로 접근하였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모발에 악영향을 주는 원인을 잡아주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모발표면에서 칼슘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글리콜릭산등 알파하이드록시산을 배합한 모발용 액상영양제를 개발해 모발의 푸석푸석함과 뻣뻣함을 경감시켜 건강한 모발로 가꿔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손상모와 염색모등 손상이 극에 달한 모발 특히, 모발의 최외각층에 위치한 F-Layer(모발의 가장 외각에 위치한 에피큐티클과 모발표면사이에 존재하는 소수성이 높은 층으로, 18-메칠-에이코사노익산과 에피큐티클의 단백질이 에스테르결합 또는 치오에스테르결합을 한 것으로 모발에 부드러움과 손으로 정발할 때 좋은감촉을 부여하는 층임)를 재생하는데 있다. 특히 염색모의 경우 칼슘과 마그네슘의 존재량이 많다. 이와 같은 2가 금속이온들은 불용성염을 만들어 샴푸에 의해서도 잘 씻기지 않는다. 이들은 특히 보통 세발에 사용되는 수돗물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금속이온으로 세발시 모발에 축적하게 된다. 칼슘과 같은 경우는 연수로 분류되는 우리나라의 수돗물 중에서 약 5~30mg/L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것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금속이온이다. 이런한 칼슘은 모선으로 갈수록 많 아 모발의 손상도가 급격할수록 칼슘의 흡착량이 많다라고 추측할 수가 있다. 그 이유는 염색이나 펌에 의한 화학반응에 의해서 F-Layer가 박리되고 모발의 설폰산기와 카르복실산기 등의 친수성부위가 많이 노출되어 있어 수돗물에 의한 세정이 되풀이 되면 수돗물 중의 칼슘이온과 모발의 친수성부위가 이온결합함으로써 칼슘의 모발로의 흡착이 진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손상이 심한 모발일수록 칼슘이 많이 흡착된다고 말할 수 있다.
칼슘을 제거하여 모발을 손상으로부터 회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몇가지 방법이 있다. 킬레이트제로 수돗물 중의 칼슘이온을 없애는 방법과 산으로 모발위의 칼슘이온을 없애는 방법, 마지막으로 염기를 모발에 흡착시켜 칼슘이온의 재흡착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자는 이중에서 모발영양제로 가장 적합한 타입이면서 효과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 두 번째 방법을 선택하였고, 특히 칼슘이온과 불용성염을 형성하지 않고, 냄새 등 화장품원료로서 적합한 것을 고려하여 알파하이드록시산(AHA)을 중심으로 실험하였다.
본 발명은 손상모발, 염색모발에 보습 영양을 주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알파하이드록시산, 4급암모늄염 및 지방알코올을 함유하는 투명한 액상타입의 모발 보습영양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파하이드록시산에는 글리콜릭산, 락틱산, 사과산, 글루콘산, 시트릭산, 타르타르산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콜릭산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4급암모늄염에는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의 구조를 한 것중에서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 베헨트리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르트리모늄클로라이드와 같이 중심 원자 질소에 1개의 알킬그룹을 포함하는 것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아트리모늄클로라이드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콜시화된 4급암모늄염에는 PEG-2 코코벤조늄클로라이드, PEG-2 코코모늄클로라이드, PEG-2 올레암모늄클로라이드, PEG-2 스테아르모늄클로라이드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EG-2 올레암모늄클로라이드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방알코올에는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등이 있으며,바람직하게는 미리스틸알코올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에 잔존하는 칼슘이온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알파하이드록시산은 화장료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10.0중량%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1~3.0중량%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 유연성 개선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4급암모늄염은 화장료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 유연성 개선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알콕시화 4급암모늄염은 화장료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매끄러운감 개선 목적으로 사용되는 지방알코올은 화장료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중량%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중량% 사용한다.
글리콜릭산의 경우 칼슘의 제거효과 뿐만 아니라, pH조절의 목적도 가지고 있다. 0.05% 중량이하 함유하는 경우 칼슘제거의 효과가 떨어지며, 3%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pH가 매우 낮아져서 칼슘 제거 효과는 좋아질 수 있지만, 두피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며, 모발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변형을 가져 올 수도 있다.
4급암모늄염은 계면활성제로서 물과 반응시 겔링을 만드는 목적과 함께 모발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원료이므로 0.1%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게되면 유연성을 부여하는데 모자람이 있고, 10%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제의 투명도에 영향을 주어 투명도가 떨어지게 된다.
지방알코올은 0.5% 중량 미만의 경우 겔링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10%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제의 투명도를 떨어지게 만들며, 저온안정도도 떨어진다.
실험예 1. 모발의 칼슘흡착량의 감소 효과 측정
본 발명의 특징인 알파하이드록시산을 이용하여 모발에 잔존하는 칼슘을 감소시켰는데, 표 1의 결과에 의하면 그 가운데 글리콜릭산이 가장 효과가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위 중량%
분류 성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A 1,3-부틸렌글라이콜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Alfol 14 alcohol(1) 5.1 5.1 5.1 5.1 5.1
Miconium STAC 80(2) 2.5 2.5 2.5 2.5 2.5
Dipropylene glycol 5.0 5.0 5.0 5.0 5.0
Ethoquad O/12 PG(3) 2 2 2 2 2
난수(4) 0.5 0.5 0.5 0.5 0.5
B 글리콜릭산 - 0.35 - - -
락틱산 - - 0.4 - -
사과산 - - - 0.45 -
글루콘산 - - - - 0.4
C Ethanol 28 28 28 28 28
Perfume 0.6 0.6 0.6 0.6 0.6
(1) Sasol North America에서 제조한 미리스틸알코올의 상품명임
(2) Propylene glycol과 Steartrimonium chloride의 미원상사에서 제조한 상품명임
(3) Propylene glycol과 PEG-2 Oleammonium chloride의 Mixture로 Akzo Nobel에서 제조한 상품명임
(4) 바이오랜드에서 제조한 BLETILLA STRIATA ROOT EXTRACT의 상품명임
또한, 표 1 처방의 알파하이드록시산들이 모발의 칼슘이온의 잔유물 제거에 어느것이 더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모발의 등전점부근의 pH를 맞추기 위해서 각각의 사용한 산을 적당량 사용하여 pH 4.5~5.5 부근으로 조절하였다. 각 샘플을 모발에 3회 처리후에 바로 사용된 모발(모발의 양은 10g)을 퍼머 1회, 브릿지 2회 처리하였다. 위의 실험을 통해 모발의 칼슘이온이 얼마나 잔존하는지를 측정하였다. 그 측정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의 처방에 따라 각각의 산을 이용하여 모발의 등전점 부근으로 pH를 맞추고, 위의 실험방법에 따라 진행하였다. 실험후 모발에 흡착된 칼슘의 량을 측정하였다.
위의 방법으로 처리한 모발을 100ml 클로로포름(CHCl3 )에 20분 동안 2번 추출한다. 그리고 클로로포름을 증발관을 통해서 제거한 후 다시 100ml의 Methyl isobutyl ketone에 담근다. 이 용액을 ICP-AES(유도결합플라즈마 발광광도기)에 투입하여 칼슘이온의 양을 측정하였다.
칼슘이온 제거 능력 비교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칼슘흡착량 (ppm) 8800 5500 6200 7200 6100
칼슘흡착량(ppm) : ICP-AES로 측정
표 2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알파하이드록시산이 없는 비교예1(미처리모)에서는 8800ppm의 칼슘흡착량을 보였으나 알파하이드록시산이 함유되어 있는 나머지 4가지의 실시예에서는 칼슘흡착량이 줄어든 것을 알 수가 있다.
실험예 2. 모발 윤기 및 부드러움
위의 실시예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다량의 지방알코올을 함유하고 있다.
이는 모발에 적용시 모발의 발림성을 좋게 할뿐만 아니라, 젖은 모발에 사용할 때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이 열반응에 의해서 칼슘이온의 제거가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모발의 유연감을 증대시킨다. 또한 미리스틸알코올의 함유로 모발의 윤기를 증대시키며, 지방알코올인 미리스틸알코올과 4급암모늄염이 물과 만나 겔링(Gelling)이 되어 더 효과적으로 모발에 보습과 부드러움을 부여한다.
이는 실직적으로 20명의 피험자를 통해 결과를 쉽게 얻을 수 있다.
피험자들은 남, 녀 각각 10명으로 어떠한 모발 상태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알아봄과 동시에 제품의 사용감과 윤기 부여, 부드러움 부여등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실험은 글리콜릭산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의 처방으로 하였다. 손상모에 적용하는 제품이므로 1주일에 2번을 기준으로 실험하였으며, 1주간 모발의 상태를 관찰하였다. 한번 시술시 시술전에 린스 기능이 없는 샴푸를 사용하여 모발을 세척하고 타올드라이를 한 후에 실시예 1로 3분정도 마사지하고 미온수로 1분간 헹구어 낸 후 드라이어로 건조시켜 물기를 제거하였다. 즉각적인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시술직후에 모발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06040999674-pat00001
(모발상태 : 매우좋음--- 좋 음 --- 보 통 --- 나 쁨 --- 매우나쁨 )
점 수 : 5 4 3 2 1
표 3에서 보듯이 시술전의 모발상태에서 시술직후 상당히 모발 상태가 좋아진 것을 알 수 있으며, 2~3일정도까지 그 효과가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제제의 투명도
본 발명의 화장료조성물은 무색의 투명한 액상으로 실온 및 고온에서 매우 높은 투명도를 유지하고, 3개월 동안 투명도를 유지한다.
또한, 저온에서는 뿌옇게 변했다가 실온으로 나오면 깨끗하게 다시 높은 투명도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영양제 조성물은 모발내 칼슘의 잔존량을 줄이고 제거함으로써 모발의 보수와 모발의 상태를 개선하고 모발을 부드럽게 만들어 준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글리콜릭산 0.1~3.0중량%, 피이지-2 올레암모늄클로라이드 0.5~5.0 중량%, 미리스틸알코올 5~10중량%, 1,3-부틸렌글리콜 40~60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 2~20 중량%을 함유하는 투명한 액상 제형의 모발 영양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52569A 2006-06-12 2006-06-12 알파하이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투명액상타입의 모발 영양화장료 조성물 KR100825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569A KR100825666B1 (ko) 2006-06-12 2006-06-12 알파하이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투명액상타입의 모발 영양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569A KR100825666B1 (ko) 2006-06-12 2006-06-12 알파하이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투명액상타입의 모발 영양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431A KR20070118431A (ko) 2007-12-17
KR100825666B1 true KR100825666B1 (ko) 2008-04-29

Family

ID=3913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569A KR100825666B1 (ko) 2006-06-12 2006-06-12 알파하이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투명액상타입의 모발 영양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56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3517A (en) * 1992-12-09 1995-04-04 Kao Corporation Hair care composition containing aromatic alcohol and glycolic acid
KR20030095849A (ko) * 2002-06-15 2003-12-24 (주) 아름다운 화장품 액상의 모발 보습영양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3517A (en) * 1992-12-09 1995-04-04 Kao Corporation Hair care composition containing aromatic alcohol and glycolic acid
KR20030095849A (ko) * 2002-06-15 2003-12-24 (주) 아름다운 화장품 액상의 모발 보습영양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431A (ko) 2007-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6298B1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JP3208381B2 (ja) 毛髪化粧料
JP4601057B2 (ja) 非水系毛髪処理剤
KR102052262B1 (ko) 헤어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P1547574B1 (en) Hair cosmetic compositions
KR101048777B1 (ko) 모발 처리 방법
EP0507310B1 (en) Two-pack hair treatment composition and process for treating hair
KR100655216B1 (ko) 폴리알코올을 함유하는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
KR100825666B1 (ko) 알파하이드록시산을 함유하는 투명액상타입의 모발 영양화장료 조성물
KR101624364B1 (ko) 모발용 컨디셔닝 조성물
TW201701864A (zh) 增強毛髮的蓬鬆感的毛髮清洗用組合物及其應用
JP2010077092A (ja) 毛髪変形用第2剤、毛髪変形剤および毛髪変形処理方法
WO2001082881A1 (fr) Compositions de frisage et methode de frisage utilisant ces compositions
JP4881818B2 (ja) パーマネントウェーブ処理方法
JP2005022978A (ja) 毛髪化粧料
JP2003300843A (ja) 毛髪処理剤及び毛髪処理方法
JP2009161519A (ja) 化粧品基材および毛髪化粧料
KR102152614B1 (ko) 반투명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
JP5760436B2 (ja) 毛髪化粧料
KR101823988B1 (ko) 투명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7439069B2 (ja) ヘアトリートメント組成物
JP7277913B2 (ja) 毛髪変形剤第1剤、および毛髪変形方法
KR102622105B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JP2004196733A (ja) 毛髪処理剤
JP2004231517A (ja) 毛髪処理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