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647B1 - 피톤치드와 필로카핀을 함유한 치아세정용 거품가글 - Google Patents

피톤치드와 필로카핀을 함유한 치아세정용 거품가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647B1
KR100822647B1 KR1020060073925A KR20060073925A KR100822647B1 KR 100822647 B1 KR100822647 B1 KR 100822647B1 KR 1020060073925 A KR1020060073925 A KR 1020060073925A KR 20060073925 A KR20060073925 A KR 20060073925A KR 100822647 B1 KR100822647 B1 KR 100822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foam
phytoncide
goggle
pilocar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2700A (ko
Inventor
김수동
이용욱
조부연
신미경
최경미
장이현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에이치제약
김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에이치제약, 김수동 filed Critical (주)에스에이치제약
Priority to KR1020060073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647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세정용 가글 제품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가글 조성물과 거품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콘테이너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용 거품 가글의 조성물 중 에 특정 기능을 갖는 조성물을 추가 및 함유시켜 구강 내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과 방향 및 소취효과, 입마름증에 대한 효과를 갖도록 제공되는 발명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원은 구강용 가글 조성물로 거품제 및 세정제로서의 계면활성제, 충치예방제로서의 불소화합물, 냉각제로서의 페퍼민트유, 및 희석제로서의 순수(pure water)를 기본성분으로 하는 가글조성물을 거품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콘테이너에 담아서 제공되는 거품가글 제품에 있어서, 착향제로 항균제인 피톤치드를 0.01 ~ 5.0 중량% 함유하고, 타액분비 촉진용 필로카핀을 0.01 ~ 5.0% 범위로 함유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세정용 거품가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피톤치드를 포함하는 거품 가글 조성물은 시중에서 흔히 구입이 가능한 거품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콘테이너에 담겨 있으며, 거품 발생 장치의 작동을 통하여 거품 형태로 치아를 세정하는 제품에 관한 것이다.
구강세정제, 가글조성물, 피톤치드, 항균성, 필로카핀, 입마름증, 거품

Description

피톤치드와 필로카핀을 함유한 치아세정용 거품가글{bubble gargler including phytoncide and pilocarpine for tooth washing}
도 1은 피톤치드 농도별 구강미생물 생존율 대비그래프.
도 2은 피톤치드 농도별 소취, 구취 제거효과 대비그래프.
도 3는 피톤치드 농도별 뇌파안정도 대비그래프.
도 4은 필로카핀 농도에 따른 타액량 대비그래프.
도 5는 필로카핀 농도에 따른 뇌파안정 대비그래프.
본 발명은 치아 세정용 거품 가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피톤치드와 필로카르핀을 함유한 가글 조성물 및 거품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콘테이너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가글 조성물에 피톤치드를 첨가하여 입안의 쾌적함을 오래 지속시켜 주고,이로 인한 심신의 안정 주며, 구강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성 및 항진균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필로카핀을 함유함으로써 침샘의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침을 나오게 하여 구강 위생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언어생활을 원활 하게 하는 거품형태의 치아세정제(이하, '거품가글')에 관한 것이다.
본원과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10-2002-24967호에서 거품치약 조성물 및 압축성 거품발생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바, 상기 특허에서는 압축성 거품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콘테이너에 담겨 있고, 압축성 거품발생장치의 작동을 통하여 거품형태의 치아세정제를 이용하고자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최근 시중에 있는 치아세정제 제품은 가루치약, 크림치약 또는 구강세척제 등과 같은 파우더, 페이스트 또는 액상 형태로 다양하게 제공되어 있다.
상기류의 거품치약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거품제 및 세정제로서의 계면활성제로 예를 들어 라우릴황산나트륨 등; 충치예방제로서의 불소화합물으로 예를 들어 불화나트륨 또는 일불화인산염나트륨 등, 냉각제로서의 페퍼민트유; 및 희석제로서의 순수(pure water)를 기본적으로 함유하고 기타 세정제, 거품안정제, 냉각제, 향료, 방부제, 감미료 등이 추가될 수 있고 용매로서의 에탄올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최근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가글제는 식사 후 또는 입안의 청결을 위해 수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되어 제공되고 최근에는 구강 내의 항균 및 염증 예방을 위한 살균력을 높이기 위하여 특정 물질, 예컨데 염화벤젠토늄, 염화 아연 또는 각종 허브류, 항플라스민제, 알란토인 유도체 등을 함유시킨 가글제품들이 개발되어 부분적으로 제품화되고 있지만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충치예방과 구강위생 및 청결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가글제품에 박테리아, 곰팡이, 기생충, 곤충 등을 줄이거나 발육,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천연 항균제인 피톤치드를 가글제품에 이 용하고자 시도하였다.
피톤치드는 식물추출물로서 그 효능은 이미 잘 알려져 있는 바, 1930년 레닌그라드대학의 B.P 토킹 교수가 식물, 나무 등에서 나오는 냄새물질이 원생동물과 장티푸스, 이질, 결핵균등을 죽인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러한 현상을 일으키는 물질을 피톤치드라 명명한 후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중 침엽수에서 추출한 피톤치드가 그 효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는 피톤치드를 가글제품에 사용하는 경우 식물추출물로서 화학적 합성 살균제에 비해 거의 자극이 없어 인체에 안정성이 우수하고, 구강 내에서의 방향, 소취 기능은 물론 항균과 염증 살균력을 가진 피톤치드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원에서는 입안에 침이 정상적으로 분비되는 경우 일상의 음식물 소화현상과 구강에서의 제반 활동에 윤활현상을 제공하지만 침이 적게 나오게 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세균 번식이 높아지며 소화기관의 활동이 약해져 소화불량의 원인이 됨을 인식하고 입마름 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갖고 필로카핀을 첨가하고자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원에서는 종래의 가글 제품류에 피톤치드를 함유시켜 인체에 유익한 향으로 인해 구강 내의 방향, 소취 뿐 아니라 항균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스트레스 완화 효과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피톤치드 이외에 필로카핀을 함유 시킴으로 타액분비를 원활히 도모할 수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거품은 이를 깨끗이 하고 치아 사이 음식 잔여물을 치아 손상 없이 제거해 주는 효과가 있어서 일반 액체 가글액에 비해 효과적이며,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티슈로 닦아내거나 뱉어내는 등 사용방법이 간편하고 장소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하루 종일 신선하고 상큼한 구강상태와 호흡을 느낄 수 있는 가글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편리하고 실용적이면서도 연마성이 없고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항진균성이 높은 피톤치드와 입마름 증을 완화시켜 주는 필로카핀을 함유한 신규 거품가글 조성물을 거품발생장치를 구비한 용기에 담긴 형태의 치아 세정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발명의 목적을 갖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원은 구강용 가글 조성물로 거품제 및 세정제로서의 계면활성제, 충치예방제로서의 불소화합물, 냉각제로서의 페퍼민트유, 및 희석제로서의 순수(pure water)를 기본성분으로 하는 가글조성물을 거품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콘테이너에 담아서 제공되는 거품가글 제품에 있어서, 착향제로 항균제인 피톤치드를 0.01~5.0 중량% 함유하고, 타액분비 촉진용 필로카핀을 0.01~ 5.0% 범위로 함유시켜 제공되는 치아세정용 거품가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종래의 가글제품보다 실용적이고 사용시 흥미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 운 형태의 구강세정제를 연구하였고, 또한 치아 세정 및 소취 및 항균.항진균 작용을 할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러한 개념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는 거품가글을 전제로 하여 적절한 조성물과 이에 맞는 용기의 선정에 노력을 기울인 결과, 거품 가글이라는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였으며, 피톤치드라는 천연물질과 타액분비를 촉진하는 필로카핀을 함유시켜 구강내의 청결.소취와 충치 및 잇몸질환예방의 효과를 향상시켰다.
피톤치드와 필로카핀을 함유한 거품 가글이라 일컫는 거품 형태의 치아 세정제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선례의 것이며, 또한 테스트를 거쳐 실제로 실용적 가치와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입증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원은 구강용 가글 조성물로 거품제 및 세정제로서의 계면활성제, 충치예방제로서의 불소화합물, 냉각제로서의 페퍼민트유, 및 희석제로서의 순수(pure water)를 기본성분으로 하는 가글조성물을 거품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콘테이너에 담아서 제공되는 거품가글 제품에 있어서, 착향제로 항균제인 피톤치드를 0.01~5.0 중량% 함유하고, 타액분비 촉진용 필로카핀을 0.01~ 5.0% 범위로 함유시켜 제공되는 치아세정용 거품가글 조성물을 제공하는 기술사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기술사상에서 피톤치드의 첨가량은 0.01중량(%) 이하이면, 피톤치드의 첨가로 인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고, 피톤치드의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효과는 향상되기는 하나 너무 과다할 경우, 피톤치드 고유의 향으로 인하여 제품의 향이 저하될 수 있은 우려가 있고, 피톤치드의 가격이 높은 편이어서 제품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어, 가글 조성물 중 0.2중량(%)이하가 바람 직하다. 또한 필로카핀의 경우, 5%이상에서는 약간의 부작용이 확인되는바 타액분비촉진의 위해서는 약0.1~1.0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거품가글 조성물에는 첨가 성분으로서 냉각제로서 멘톨; 착향제로서 윈터그린향, 사과향; 방부제로서의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감미료로 자일리톨; 욤매로서의 에탄올, 희석제로서 정제수; 또한 구강세균의 항균제 및 소취제로서 피톤치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거품발생 장치를 구비한 용기는 시중에서 구입가능하며, 기능은 용기 내에서 거품가글 조성물을 공기와 혼합하여 거품을 발생시켜 거품형태의 치아세정제 즉 거품가글을 만드는 것이다.
하기 <실시 예1>에서 상기 거품 치약 조성물에 관한 데이타를 보여주며, [실시예2]와 [실시예3]에서는 피톤치드와 필로카핀의 최적량에 대한 데이터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 단위는 중량% 이다. 물론 선택된 각각의 조성물의 합은 100%가 된다.
[실시예 1]
성분 조성물1 조성물2 조성물3 조성물 4 조성물 5 조성물 6
불화나트륨 0.01% 0.01% 0.01% 0.01% 0.01% 0.01%
라우릴황산나트륨 3.0% 3.0% 3.0% 3.0% 3.0% 3.0%
페퍼민트 유 0.1% 0.1% 0.1% 0.1% 0.1% 0.1%
메칠파라벤 0.1% 0.1% 0.1% 0.1% 0.1% 0.1%
자일리톨 0.1% 0.1% 0.1% 0.1% 0.1% 0.1%
피톤치드 0.05% 0.10% 0.15% 0.20% 0.25% 0.30%
에탄올 5% 5% 5% 5% 5% 5%
정제수 60% 60% 60% 60% 60% 60%
[실시예2]
성분 대조군 조성물a 조성물b 조성물c 조성물d 조성물e 조성물f
불화나트륨 0.01% 0.01% 0.01% 0.01% 0.01% 0.01% 0.01%
라우릴황산나트륨 1.5% 3% 3% 3% 3% 3% 3%
페퍼민트 유 적량 0.1% 0.1% 0.1% 0.1% 0.1% 0.1%
메칠파라벤 0.1% 0.1% 0.1% 0.1% 0.1% 0.1% 0.1%
자일리톨 0.2% 0.1% 0.1% 0.1% 0.1% 0.1% 0.1%
피톤치드 - 0.2% 0.2% 0.2% 0.2% 0.2% 0.2%
필로카핀 - 0.1% 0.3% 0.5% 0.7% 1% 2%
에탄올 15% 5% 5% 5% 5% 5% 5%
정제수 65% 60% 60% 60% 60% 60% 60%
[대조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ㄷ]사 가글
상기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으로부터 얻은 제품에 대해 구취, 치주질환 및 충치예방효과, 진정작용 등을 시험한 결과는 하기와 같았다.
[실험예 1]
본 실험예에서는 이미 피톤치드의 구강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이 확인된바, 더 바람직하게 피톤치드의 구강내 유해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의 나타내는 최적의 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강 미생물 4종에 대한 각각의 생존율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농도를 설정한 결과는 하기의 [표1]과 같다.
[표1] 피톤치드의 농도에 따른 가글 후 구강 내 유해미생물의 생존율
실험 Method : MIC 법
실험농도 : 시험및 대조액 100%
실험균주 : S.mutans, S.sorbrinus, S.gordonii, P. gingivalisis
배양시간 : 35℃, 75%, 48hr
단위 : ppm
대조군 조성물1 조성물2 조성물 3 조성물4 조성물5 조성물 6
S.mutans 35.0% 18.2% 9.7% 3.7% 1.2% 0.0% 0.0%
S.sobrinuswill 45.0% 21.0% 9.5% 2.1% 0.0% 0.0% 0.0%
S.gordonii 37.0% 20.0% 11.4% 3.8% 0.8% 0.0% 0.0%
P.gingivalisis 32.0% 19.0% 10.4% 4.1% 1.7% 0.5% 0.0%
피톤치드농도(ppm)에 따른 구강미생물의 생존율(%) 실험결과를 도 1 의 그라프 자료로 나타내고 있는바, 실험결과 피톤치드 농도 약 2000ppm (0.2%)에서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ppm ~3000ppm 으로 구강제품에 응용시 0.25% 정도가 바람직하다는 결과를 알 수 있다.
[실험예 2]
본 실험예에서는 피톤치드의 구취, 소취에 대한 효능 효과가 증명된바, 이에 대한 최적의 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에게 피톤치드 농도별로 가글하게 한후, 구취측정기로 구취의 원인성분인 유황화합물을 농도를 측정하여, 구취제거에 대한 최적의 농도를 설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표2] 피톤치드 농도에 따른 가글 후 소취, 구취 제거효과
실험 방법 : 실험대상의 각 농도별로 가글한 후 구취측정기로 유황화합물의 농도를 측정(실험대상 : 20대의 남녀 각각 10명씩 총 20명)
실험기기 : PTR-MS(일,라이온사)
분석 성분 : 유황화합물(methylmercaptane, 황화메틸 등)
단위 : ppm
구 분 대조군 (0ppm) 조성물1 (500ppm) 조성물2 (1000ppm) 조성물3 (1500ppm) 조성물4 (2000ppm) 조성물5 (2500ppm) 조성물6 (3000ppm)
초기 (가글전)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150.0
가글직후 75.0 24.0 23.0 17.0 10.0 11.0 10.0
10분후 65.0 27.0 25.0 17.0 9.0 13.0 11.0
30분후 78.0 29.0 25.0 20.0 12.0 15.0 15.0
1시간후 150.0 35.0 28.0 21.0 15.0 15.0 16.0
이상의 실험결과를 도 2를 통하여 그래프로 표시하고 있는바, 그래프를 통하여 알 수 있는바와 같이, 가글을 실시한 이후 전체적으로 구취 소취의 효과는 있지만, 피톤치드 농도 약 1500ppm (0.15%)이상에서 구취 소취 제거의 효과가 2시간이후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 ppm ~ 3000 ppm으로 구강제품에 응용시 0.2% 정도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본 실험예에서는 피톤치드의 진정효과에 대한 효능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최적의 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실험대상에게 피톤치드 농도별로 가글하게 한후, 뇌파측정기로 심신의 안정이 되었을 때 나오는 a-뇌파를 측정하여 실험자의 안정화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 으며, 피톤치드의 진정효과에 대한 최적의 농도를 설정하였고, 그 실험결과는 하기의 [표 3] 과 같다.
[표 3] 피톤치드 농도에 따른 가글후 뇌파검사에 따른 진정효과
실험방법 : 가글후 시간별 a-뇌파 측정하여 안정화(뇌파변화의 진동폭, uV)의 효과 판단(실험대상 : 20대의 남녀 각각 10명씩 총 20명)
실험기기 : EEG(U.S.A)
단위 : uv
대조군 조성물1 조성물2 조성물 3 조성물4 조성물5 조성물 6
초기 (가글전) 35.0 35.0 35.0 35.0 35.0 35.0 35.0
가글직후 47.0 45.0 48.0 47.0 43.0 45.0 48.0
10분후 32.0 25.0 23.0 22.0 19.0 21.0 23.0
20분후 18.0 11.0 8.0 7.0 6.0 9.0 10.0
30분후 20.0 10.0 9.0 6.0 5.0 5.0 7.0
1시간후 32.0 15.0 15.0 10.0 10.0 9.0 15.0
이상의 실험결과를 도 3을 통하여 그래프로 표시하고 있는바, 그래프를 통하여 알 수 있는바와 같이, 가글을 실시한 이후 전체적으로 뇌파의 변화폭이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진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피톤치드 농도 약 2000ppm (0.20%)이상에서 뇌파안정의 효과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ppm 로서 구강제품에 이용시 0.25%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진정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천연허브향인 윈터그린향을 혼합하여 실험한 결과, 약피톤치드 70%, 윈터그린 30% 정도에서 가장 극대화 되는 결과를 볼수 있었다.
[실험예 4]
본 실험예에서는 필로카핀의 농도별 타액분비량을 측정함으로써 최적의 필로카핀 농도를 설정하는 실험과 이에 따른 뇌파의 안정화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톤치드가 구취, 소취에 대한 효능 효과가 증명되었고, 그 최적의 농도를 설정하였으나, 근본적으로 타액의 분비를 촉진하여 이로 인한 구강내의 항균 및 소화기관을 활성화하고저 하며, 농도별로 가글하게 한후, 메스실린더로 타액량을 측정하였고, a 뇌파를 안정화도를 측정하였어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4], 표[5]와 같다.
[표 4] 필로카핀 농도에 따른 타액분비량(mL)
실험방법 : 가글후 30분동안 분비된 타액을 메스실린더에 담아 량을 측정
실험대상 : 20대의 남녀 각각 10명씩 총 20명
단위 : ml
대조군 조성물 a 조성물 b 조성물 c 조성물 d 조성물 e 조성물 f
타액량 (mL) 4.0 7.0 8.0 12.0 12.0 11.0 12.0
[표 5] 필로카핀 농도에 따른 뇌파 안정 실험결과
실험방법 : [표 3]과 동일
단위 : uv
대조군 조성물 a 조성물 b 조성물 c 조성물 d 조성물 e 조성물 f
초기(가글전) 35.0 35.0 35.0 35.0 35.0 35.0 35.0
가글직후 47.0 45.0 40.0 40.0 43.0 41.0 43.0
10분후 23.0 18.0 18.0 15.0 16.0 18.0 19.0
20분후 12.0 7.0 6.0 5.0 5.0 6.0 8.0
30분후 11.0 9.0 6.0 4.0 5.0 6.0 8.0
1시간후 15.0 8.0 6.0 5.0 7.0 8.0 9.0
상기 데이터를 근거로 도 4에는 필로카핀 농도에 따른 타액량을 나타내었고, 도 5에서는 필로카핀 농도에 따른 뇌파안정 실험결과를 그래프로 표시하고자 하였는바, 필로카핀의 농도에 따라 타액 분비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0.5% 이상에서는 농도에 따른 증가현상은 보이지 않았다.
또한 뇌파의 안정화도 0.3~0.7%에서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로써 필로카핀의 농도는 0.3% ~0.7%정도가 바람직하며, 구강제품으로 응용시 0.5% 정도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5]
실험예 1,2,3,4,5의 결과를 바탕으로 또한 기재하지 않은 실험결과 자료들을 종합하여 하기에 기재하는 선택비율의 범위 내에서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표 6]
용도 성분 중량퍼센트
충치예방제 불화나트륨 0.01%
계면활성제 라우릴황산나트륨 0.1~3.0%
냉각제 페퍼민트 유 0.1~10%
착향제 1 피톤치드 0.01~10.0%
방부제 메칠파라벤,프로필파라벤 4:1, 0.1%
감미제 자일리톨,아세틸설탐칼륨 0.1~2.0%
착향제 2 윈터그린 0.01~1.0%
타액분비촉진제 필로카핀 0.1~10.0%
용매 에탄올 1~20%
희석액 정제수 60~96%
거품발생제 및 세정제로서의 계면활성제, 라울릴황산 나트륨: 충치예방제로서의 불화나트륨 또는 일분화인산염나트륨, 냉각제로서의 페퍼민트유, 및 감미제로써 자일리톨 및 아세설탐칼륨, 희석제로서의 정제수 각 조성물의 퍼센트는 상기 기술한 범위 이내로 하고, 피톤치드 0.01~5.0 중량%로 함유하도록 하고, 필로카핀을 0.01~5.0%이내로하여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조성물이 되도록 한후 교반하여 혼합사용하는 본원에서 원하는 유사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거품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용기에 담겨지고 거품발생장치를 통하여 콘테이너 내부에 있는 거품형태의 세정제(거품가글)을 짜서 나오도록 하여 치아세정용 치솔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기타의 방법으로 변형하여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실험예 6]
본 실험예에서는 피톤치드와 필로카핀을 첨가한 가글의 미감을 조사하기 위해 10세 이상의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3]에서 제조한 거품 가글과 피톤치드를 함유하지 않은 일반 가글(대조군, 'ㄷ'사 가글)을 시험자 각각의 취향에 따라 사용하게 하여 미감, 촉감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7]와 같다.
[표 7]
미감, 촉감상의 특징 본 발명 거품가글 (응답자수) 대조용 거품가글 (응답자수) 잘모르겠다 (응답자수)
더 상쾌감을 준다 41 6 3
촉감이 좋다 22 21 7
좋은 향기가 느껴진다. 38 7 5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피톤치드를 첨가한 거품가글이 소비자의 미감측면에서도 대조용 일반 가글제품 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험예 7]
치주염,구취,충치 등의 증상을 호소하거나 진단 되는 성인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3]에서 제조한 거품 가글과 피톤치드를 함유하지 않은 일반 가글(대조군, 'ㄷ'사 가글)을 하루 3번씩 대략 30일간 계속 사용하도록 하고, 설문조사에 의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다.
[표 8]
판정질환명 별무효과 효과있음 상당한효과 완치근점효과
구취 2 6 2 4 14
치주염 3 7 5 2 17
충치예방 1 10 6 2 19
6(14%) 23(42%) 13(24%) 8(20%) 50(100%)
상기 실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글을 꾸준히 사용할 경우, 치주염(82%), 구취(85%), 충치예방(94%)이 완화되어 기능성 가글로서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표 1에서부터 표 8까지의 객관적으로 제시되는 데이터 분석자료에 의하여 그 효용성을 제시하고 있는바, 특히 본원의 가글제품 조성물 중에 피톤치드와 필로카핀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이 충치의 예방 및 구강의 청결.방향.소취 와 잇몸 질환 예방, 진정, 쾌적작용에 효과가 있음을 도 1 내지 도 4의 그래프를 통하여 제시하고 있다.

Claims (5)

  1. 구강용 가글 조성물로 거품제 및 세정제로서의 계면활성제, 충치예방제로서의 불소화합물, 냉각제로서의 페퍼민트유, 및 희석제로서의 순수(pure water)를 기본적 성분으로 포함하여 거품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콘테이너에 담겨서 제공되는 거품가글 조성물에 있어서,
    착향제로 피톤치드를 0.01~5.0 중량% 함유하고, 타액분비 촉진용 필로카핀을 0.01~ 5.0 중량% 범위내로 함유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세정용 거품가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착향제로 피톤치드를 0.2 ~ 1.0 중량%로 함유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세정용 거품가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타액분비 촉진용 필로카핀을 0.1 ~ 1.0 중량%로 함유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세정용 거품가글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향제를 1로 기준하는 경우 피톤치드와 윈터그린을 0.7 : 0.3 중량비율로 함유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세정용 거품가글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항의 조성물에 감미제를 추가하되, 감미제는 자일리톨이나 아세설탐칼륨 중에서 선택되어 0.1 ~ 2중량% 을 함유시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세정용 거품가글 조성물.
KR1020060073925A 2006-08-04 2006-08-04 피톤치드와 필로카핀을 함유한 치아세정용 거품가글 KR100822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925A KR100822647B1 (ko) 2006-08-04 2006-08-04 피톤치드와 필로카핀을 함유한 치아세정용 거품가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925A KR100822647B1 (ko) 2006-08-04 2006-08-04 피톤치드와 필로카핀을 함유한 치아세정용 거품가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700A KR20080012700A (ko) 2008-02-12
KR100822647B1 true KR100822647B1 (ko) 2008-04-17

Family

ID=39340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925A KR100822647B1 (ko) 2006-08-04 2006-08-04 피톤치드와 필로카핀을 함유한 치아세정용 거품가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296A (ko) 2016-09-30 2018-04-09 노영수 소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계면활성제 무첨가 구강 세정용 가글액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319B1 (ko) * 1994-06-30 1996-05-13 이승우 필로카핀(Pilocarpine)이 배합된 타액분비 촉진 츄잉껌
KR20020024967A (ko) * 2000-09-27 2002-04-03 야우 조지 칭-쳉 치아 세정용 거품치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319B1 (ko) * 1994-06-30 1996-05-13 이승우 필로카핀(Pilocarpine)이 배합된 타액분비 촉진 츄잉껌
KR20020024967A (ko) * 2000-09-27 2002-04-03 야우 조지 칭-쳉 치아 세정용 거품치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6296A (ko) 2016-09-30 2018-04-09 노영수 소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계면활성제 무첨가 구강 세정용 가글액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700A (ko) 200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ey Antibacterial agents in the control of supragingival plaque—a review
JP5526619B2 (ja) 練歯磨剤組成物
US20100297198A1 (en) Liquid-type dentifrice composition contained silver particles and mousse-type dentifrice using the same
CN100361646C (zh) 橄榄油在制备用于消除或减少口腔中菌斑和/或细菌的口腔卫生产品中的应用
CA2641263A1 (en) Sialagogue based oral care products
CN107281013A (zh) 一种去除牙渍抑制牙菌斑牙膏
Ernst et al. Clinic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d side effects of hexetidine and chlorhexidine mouthrinses versus a negative control
EA022986B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CN104490621A (zh) 一种含生物酶组合物漱口水及其制备方法
KR101449453B1 (ko) 구취제거, 플라그제거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치약 조성물
KR100822647B1 (ko) 피톤치드와 필로카핀을 함유한 치아세정용 거품가글
WO2005072691A1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halitosis
KR100637653B1 (ko) 구취억제용 구강용 조성물
JP2016124855A (ja) 口腔用ハイドロゲル組成物
KR102651630B1 (ko) 치마제 조성물
KR102196459B1 (ko)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US20190388315A1 (en) Dentifrice compositions
KR20000024742A (ko) 키토산이 함유된 치약
RU2810599C2 (ru) Применение диангидрогексита в уходе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 зубами для снижения развития бактериальных штаммов
KR102642592B1 (ko) 구강용 조성물
CN107496202A (zh) 一种可起泡沫的口腔用组合物
JP3460366B2 (ja) 口腔用組成物
RU2190387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полоскания рта
KR0158048B1 (ko)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 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I224508B (en) Olive oil-containing toothp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