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048B1 -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 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 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048B1
KR0158048B1 KR1019950039301A KR19950039301A KR0158048B1 KR 0158048 B1 KR0158048 B1 KR 0158048B1 KR 1019950039301 A KR1019950039301 A KR 1019950039301A KR 19950039301 A KR19950039301 A KR 19950039301A KR 0158048 B1 KR0158048 B1 KR 0158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teriocin
composition
oral hygiene
fern
produ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9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595A (ko
Inventor
오세종
이상준
김상교
백영진
Original Assignee
이은선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선, 주식회사한국야쿠르트 filed Critical 이은선
Priority to KR1019950039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8048B1/ko
Publication of KR970025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구강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구강위생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약효제는 장기간 사용시에도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어야되며, 다른 물질과 반응하여 그 효과가 감소되지 않아야 된다.
박테리오신은 미생물이 생산하는 천연 항균물질로 그 종류가 다양하며 항균 범위도 넓을뿐만 아니라 천연적인 단백질이기 때문에 섭취되었을때 인체내 효소작용으로 분해되므로 인체내에 축적되지 않는 장점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유산균이 생산하는 천연 항균물질인 박테리오신이 갖는 충치균 성장 억제 효과를 이용하여 충치예방과 치료 및 입냄새를 제거하는 구강 청결 및 구강위생용 양치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박테리오신 생산 균주 배양액 0.01-10.0중량% 또는 이 균주들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 0.001-10.0ppm을 함유하는 양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특별하게는 락토코커스 스피시스 HY49(동일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계류중인 특허출원 제94-22715호의 기탁번호 제KFCC-10842호) 균주의 배양조성물 0.01-10.0중량% 또는 이 균주들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 0.001-10.0ppm을 함유하는 구강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에 따른 양치 조성물은 음식물등에 의한 구취 및 구강질환에서 파생되는 구취를 가능한한 제거시키는 구강위생제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양치 조성물과 박테리오신의 첨가에 따른 스트렙토 코커스 뮤탄스 ATCC 67607의 생육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취는 (날)숨과 함께 구강에서 나오는 악취의 총칭으로 알코올류, 지방산, 암모니아, 아민류, 유황화합물, 페놀, 인돌, 스카통등이 구취를 유발시키는 물질로 인정되고 있다. 구취를 구분하면, 구강질환에 의한 구취와 음식물이나 기호물에 의한 구취로 나눌 수 있으며, 구취가 구강내 질환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아 구강건강의 지표로 여겨지고 있다.
구강질환을 대표적인 예로서의 충치는 구강내에 존재하는 세균, 특히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가 대사과정에서 치아에 부착된 당분이나 전분등의 탄수화물을 분해시켜 각종 유기산을 생성시키고 이러한 산에 의해 치아의 무기질 성분이 탈회되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다.
충치를 포함한 각종 구강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불소화합물, 아미노카프론산, 클로로헥시딘, 덱스트라나제 등이 현재 이용되고 있으며, 식물추출물이나 한방성분을 이용한 제품들이 연구되고있다.
구강위생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약효제는 장기간 사용시에도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없어야 되며, 다른 물질과 반응하여 그 효과가 감소되지 않아야 된다.
박테리오신은 미생물이 생산하는 천연 항균물질로 그 종류가 다양하며 항균 범위도 넓을뿐 아니라 천연적인 단백질이기 때문에 섭취되었을 때 인체내 효소 작용으로 분해되므로 축적되지 않는 장점도 갖고 있다.
박테리오신의 한 종류로서 상업화된 것으로는 나이신(nisin)이 있으며, 이미 47개국가 이상에서 식품 첨가제로 사용되고 있어 박테리오신의 인체에 대한 안정성은 입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직장인들은 업무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식사후 양치질을 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입냄새는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나 구강질환의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모든 경우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기 때문에 일상생활의 에티켓이라는 측면에서 사회생활의 문제점이 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이유로 음식물 등에 의한 구취 및 구강질환에서 파생되는 구취를 가능한한 제거시켜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상대방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개인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구강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유산균이 생산하는 천연 항균물질인 박테리오신이 갖는 충치균 성장 억제 효과를 이용하여 충치예방과 치료 및 입냄새를 제거하는 구강 청결 및 구강위생용 양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테리오신 생산 균주의 배양 조성물을 건조중량으로 0.001-10.0중량% 함유하는 구강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목적은 박테리오신 생산 균주 배양액 0.01-10.0중량% 또는 그 정제 박테리오신 0.001-1000ppm, 보다 특별하게는 락토코커스 스피시스 HY49(동일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계류중인 특허출원 제94-22715호의 기탁번호 제KFCC-10842호의 균주) 배양액 0.01-10.0중량% 또는 그 정제 박테리오신(동일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계류중인 특허출원 제94-27413호의 정제방법에 의해 얻어짐)0.001-1000ppm을 함유하는 구강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치 조성물은 제품의 청량감과 향료등을 용해시키기 위하여 에틸알코올을 함유할 수 있다.
에틸알코올의 함유량은 3.0-3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치 조성물은 감미료, 향료 및 계면활성제등을 함유할 수 있다.
감미료로는 삭카린나트륨, 스테비오사이드, 솔비톨, 아스파탐등이 있으며, 그 함유량은 예를 들어 삭카린 나트륨인 경우 0.005-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에는 스피아민트, 페파민트, 멘톨, 계피향, 과일향등이 있으며, 그 함유향은 0.01-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등이 함유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 이소스테아레이트가 0.1-5.0중량% 함유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양치 조성물은 구취억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차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다.
차 추출물에는 녹차 플라노이드와 같은 플라보노이드 계통의 물질 및 녹차 폴리페놀과 같은 폴리페놀물질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차추출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0.001-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다음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안에서 기술된 첨가물의 각종 변형을 시도할 수 있다.
[실시예 1]
다음 표 1의 성분을 중량부로 사용하였으며, 제조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정제수에 글리세린, 삭카린나트륨, 녹차추출물, 락토코커스 스피시스 HY49 배양액 또는 박테리오신을 각각 넣고 25℃에서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에탄올에 염료, 향료 및 계면활성제(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를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 혼합하여 15분간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양치 조성물의 충치균 억제효과]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ATCC 27607를 1×10 cfu/㎖로 배지에 접종하여 37℃의 항온수조에서 배양하여 배양시간 4시간 및 6시간(대수증식기에 해당)에 박테리오신과 실시예1의 양치 조성물을 각각 첨가하였다. 이때, 박테리오신은 활성단위로 1000B.U/㎖을 첨가하였으며, 양치 조성물은 1중량%를 첨가하였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수성장기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ATCC 27607균은 첨가 즉시 생균수가 급격히 사멸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양치 조성물 첨가군이 박테리오신 첨가군보다 충치균 사멸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양치 조성물에 에탄올과 같은 물질이 첨가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양치 조성물은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ATCC 47607의 생육억제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실시예 3]
[소취(消臭) 효과의 평가]
소취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 표 2의 구강 세척제를 제조하였다.
음식물에 의한 입냄새를 제거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마늘냄새를 이용하였다. 마늘 액기스 0.1g을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제조된 구강조성물을 1㎖, 2㎖씩 각각 첨가한 다음 이 실험용액을 8명의 패널들에게 마늘냄새의 감도를 조사하였다.
다음 표3은 그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무첨가군보다 양치 조성물 첨가군이 마늘냄새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박테리오신 생산 균주 배양액 0.01-10.0중량% 또는 이 균주들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 0.001-10.0ppm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오신 생산 균주는 락토코커스 스피시스 HY49(동일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계류중인 특허출원 제94-22715호의 기탁번호 제KFCC-10842호)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 분말, 및 츄잉검 형태중 어느 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
  4. 정제수에 글리세린, 삭카린나트륨, 녹차추출물, 및 박테리오신 생산 균주 배양액 또는 이 균주들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용해시킨 용액과 에탄올에 염료, 향료 및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킨 용액을 혼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하는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박테리오신 생산 균주 배양액은 0.01-10.0중량%로 함유되거나 또는 상기 균주들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0.001-10.0ppm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박테리오신 생산균주는 락토코커스 스피시스 HY49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950039301A 1995-11-02 1995-11-02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 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0158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301A KR0158048B1 (ko) 1995-11-02 1995-11-02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 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9301A KR0158048B1 (ko) 1995-11-02 1995-11-02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 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595A KR970025595A (ko) 1997-06-24
KR0158048B1 true KR0158048B1 (ko) 1998-12-01

Family

ID=19432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9301A KR0158048B1 (ko) 1995-11-02 1995-11-02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 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80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261B1 (ko) * 2000-04-17 2004-02-05 국보제약주식회사 박테리오신을 함유한 치주병 예방 및 치료용 구강 조성물
KR100564934B1 (ko) * 2003-12-09 2006-03-30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녹차로부터 추출한 폴리페놀을 함유한 가식성 필름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261B1 (ko) * 2000-04-17 2004-02-05 국보제약주식회사 박테리오신을 함유한 치주병 예방 및 치료용 구강 조성물
KR100564934B1 (ko) * 2003-12-09 2006-03-30 학교법인 건국대학교 녹차로부터 추출한 폴리페놀을 함유한 가식성 필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595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4156A (en) Chewing gum for preventing pyorrhea alveolaris
US5137717A (en) Cosmetic preparation having germicidal properties
JPH08310931A (ja) グルコ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阻害剤および口腔清浄化剤
JPWO2004026273A1 (ja) 口腔用組成物
JP2848688B2 (ja) 口腔用組成物
KR0158048B1 (ko)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구강 위생용 및 방취용 양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3009531B2 (ja) 歯周病予防剤
KR100637653B1 (ko) 구취억제용 구강용 조성물
KR101881636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73373B1 (ko)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JP2018052969A (ja) 抗菌性口腔用組成物
KR101613223B1 (ko) 편백 추출물 및 편백 정유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42740A (ko) 천연 복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H0640868A (ja) 口腔用組成物
KR101011049B1 (ko) 알파-하이드록시산을 포함하며 가글 후 응고물이 형성되는 구강용 액상 조성물 및 치과구강용 제품
KR20140002445A (ko)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JP3535575B2 (ja) 抗う蝕剤
KR101344803B1 (ko) 후박 추출물과 금속이온 봉쇄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JP3472172B2 (ja) 口腔用剤
KR100659139B1 (ko) 항균력이 우수한 구강용 조성물
KR20100138227A (ko) 구강 건강 유지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70103494A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3119117A (ja) 抗う蝕剤及び口腔用組成物
KR101818211B1 (ko)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