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266B1 - 수변전 장치 - Google Patents

수변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266B1
KR100822266B1 KR1020070011240A KR20070011240A KR100822266B1 KR 100822266 B1 KR100822266 B1 KR 100822266B1 KR 1020070011240 A KR1020070011240 A KR 1020070011240A KR 20070011240 A KR20070011240 A KR 20070011240A KR 100822266 B1 KR100822266 B1 KR 100822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ressure
extra
power fuse
breaker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애
전민숙
Original Assignee
홍정애
전민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정애, 전민숙 filed Critical 홍정애
Priority to KR1020070011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Abstract

본 발명은 특고압을 저압으로 변압하여 각 수용가로 공급하는 수변전 장치내에 설치된 특고압부에 있어서, 상기 특고압부가, 부하개폐기(LBS); 진공차단기(VCB); 전력퓨즈(PF)와 피뢰기(LA); 및 계기용 변성기(MOF)를 포함하고, 상기 수변전 장치 내의 하나의 차폐 공간내에서, 상기 전력퓨즈와 피뢰기가 상기 차폐공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부하개폐기는 상기 차폐공간의 좌우측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진공차단기는 상기 부하개폐기와 상기 전력퓨즈 및 피뢰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계기용 변성기는 상기 차폐공간의 좌우측 중 나머지 한쪽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차폐공간 내에 모두 수납되어 있고, 상기 부하개폐기, 진공차단기, 전력퓨즈, 피뢰기, 및 계기용 변성기의 각각은 입/출력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도체부는 절연 캡을 통해 전압케이블과 연결되어 있는 특고압부를 개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정식수전방식의 수변전 장치에서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한다.
수변전 장치, 특고압부, 부하개폐기, 피뢰기, 진공차단기, 계기용 변성기, 전력퓨즈, 변압기, 엘보우.

Description

수변전 장치{POWER RECEIVING AND TRANSFORMING DEVICE}
도1은 종래기술의 수변전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도1의 수변전 장치에 대한 결선도,
도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변전 장치의 정면도,
도3b는 본 발명의 상기 일 실시예의 수변전 장치의 평면도,
도3c는 본 발명의 상기 일 실시예의 수변전 장치의 측면도,
도4a는 도3의 수변전 장치 중 특고압부의 정면도,
도4b는 도3의 수변전 장치 중 특고압부의 평면도,
도5a는 도4의 특고압부 중 LBS의 측면 분리도,
도5b는 도4의 특고압부 중 PF의 측면 분리도,
도5c는 도4의 특고압부 중 MOF의 측면 분리도.
도6은 도4의 특고압부에 사용되는 캡의 사시도,
도7는 본 발명의 상기 일 실시예에 대한 결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수변전 장치,
11,31: 부하개폐기(LBS), 12,35: 계기용 변성기(MOF)
13,34: 피뢰기(LA), 14: 계기용 변압기(PT)
15,32: 진공차단기(VCB), 16: 계기용 변류기(CT)
17,33: 전력퓨즈(PF), 18,36: 변압기(TR)
19,37: 기중차단기(ACB), 20,38: 배선용 차단기(MCCB)
21: 수평격벽, 22: 수직격벽
23: 절연 캡(접속재), 25: 돌출부
본 발명은 변전소로부터 빌딩,공장 등으로 공급되는 특고압을 저압으로 변압하여 각 수용가로 공급하는 수변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식수전방식의 수변전 장치의 부피를 줄여서 설치면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수변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학교, 빌딩, 아파트단지, 공장 등과 같은 집단 전력수요처에서는 각각이 필요로 하는 전력을 얻기 위해 변전소로부터 예컨대 22,900V의 특고압 전력을 수전하여 예컨대 220V와 같은 저전압으로 변전하는 수변전 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수변전 장치는 특고압을 수전하는 부분(특고압반), 특고압을 저압으로 변압하는 부분(변압기반), 및 낮추어진 전압을 아파트 등 각 수용처로 분배하는 부분(저압반)으로 나눌 수 있으며, 특고압반은 예컨대 특고압 케이블과 연결되어 수변전장치의 인입구 역할을 하는 부하개폐기(LBS:Load Breaker Switch), 특고압 기기의 단락보호용 퓨즈인 전력퓨즈(PF:Power Fuse), 전력량을 측정하기 위해 특고 압을 저압으로 변성하는 계기용 변성기(MOF:Metering Out-Fit), 단락과 같은 이상발생시 전압을 차단하는 진공차단기(VCB:Vacuum Circuit Breake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수변전 장치는 대형 변압기를 중심으로 부하개폐기(LBS), 전력퓨즈(PF), 계기용 변성기(MOF), 진공차단기(VCB) 등의 장치들과 관련계기가 평면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감전사고 등의 안전을 고려하여 수변전 장치 내부에서도 장치들간의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시켜야 하므로 수변전장치를 설치하는데 넓은 설치면적이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설치비용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종래에 제안된 것이 도1에 도시된 수변전 장치이다. 도1은 종래의 수변전 장치(10)의 측면도 및 후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 수변전 장치(10)에는 일체식으로 된 케이스 내에 부하개폐기(11), 계기용 변성기(12), 피뢰기(13), 계기용 변압기(PT)(14), 진공차단기(15), 및 계기용 변류기(CT)(16) 등이 케이스 내의 상하부에 소정 거리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2는 도1의 수변전 장치(10)에 대한 결선도를 도시한 것으로, 부하개폐기(LBS:11)로 인입된 특고압이 전력퓨즈(PF:17), 계기용 변성기(MOF:12), 진공차단기(VCB:15)를 거친 뒤 변압기(TR:18)에서 예컨대 220V의 저압으로 변압되고, 그 후 기중차단기(ACB:Air Circuit Breaker)(19)와 배선용차단기(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20)등을 거쳐 각 수용가로 배분되고 있다.
그런데 도1에 도시된 수변전 설비의 케이스 내에는 공간상의 제약으로 인해 도2의 결선도 중 부하개폐기(11)에서 진공차단기(15)까지의 장치들만이 설치되어 있고, 변압기(TR) 이하의 설비들은 도1의 케이스 외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2면 1조, 즉 도1의 측면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케이스가 적어도 두 개가 모여 하나의 온전한 수변전 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수변전 장치의 설치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수변전 장치의 설치공간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0-0037361호 및 제2006-0044278호 등에서 수변전 장치의 케이스 내부 공간을 격벽에 의해 나누고 변압기 등의 장치들을 구획별로 배치하거나 또는 장치들간을 연결하는 도체를 줄여서 전체 수변전 장치의 크기를 줄이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예컨대 본 명세서의 도1이나 도2에 도시된 진공차단기(VCB) 등과 같이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된 형태로서, 변압기 전압이 1000KV 이하인 간이수전방식에 적합한 배치구조이므로, 본 발명자가 해결하고자 하는 변압기 전압이 1000KV 이상인 정식수전방식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진공차단기(VCB) 등이 포함된 정식수전방식의 수변전 장치에서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a, 도3b, 및 도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변전 장치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3b의 측면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수변전 장치 내부는 수직격벽(22)에 의해 전방과 후방이 나뉘어 있는데, 수직격벽(22) 후방에는 특고압을 저압으로 변압하기 위한 변압기(36)가 설치되어 있는 변압기부가 위치하고, 수직격벽(22)의 전방은, 도3a 및 도3b의 도시와 같이 수평격벽(21)에 의해 상부의 고압부 및 하부의 저압부로 나뉘어진다.
본 발명의 수변전 장치의 고압부에서는, 외부로부터 고압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예컨대 22,900V의 3상 특고압이 부하개폐기(LBS:31)로 인입되며, 부하개폐기(31)는 진공차단기(VCB:32)와 연결되어 있다. 진공차단기(32)는 전선의 차단을 고진공의 용기(진공밸브) 속에서 접점을 여닫는 것으로, 진공중의 아크 소호능력을 이용하여 매우 높은 절연력을 지니고 있어 특고압에도 화재의 염려가 없고, 소형 및 경량의 간단한 구조를 갖는 이점이 있다.
진공차단기(32)는 고압선로를 통해 수변전 장치내의 전력퓨즈(PF:33)와 피뢰기(LA:34)에 인입되며, 전력퓨즈(33)를 통과한 3상 특고압은 계기용 변성기(MOF:35)에 입력된다. 계기용 변성기(35)는 사용 전력량 측정을 위해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계기용 변성기(35)에서 검출된 전압과 전류값은 본 발명의 수변전 장치 정면부에 위치한 계기함(도시생략)에 설치된 전압계 및 전류계로 전송된다.
계기용 변성기(35)를 거친 특고압은 그 후 변압기(36)의 1차측 단자에 입력된다. 변압기(36)에서 특고압은 예커대 220V의 저압으로 변압되어 변압기(36)의 2차측 단자로 출력되고, 그 후 저압부에 위치한 저압측 보호장치인 배선용 차단 기(MCCB:38) 등을 거쳐 건물내의 각 수용가로 분배된다.
이하,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수변전 장치중 특고압부 부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4a 및 도4b는 도3의 수변전 장치 중 특고압부의 정면도와 평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도5a는 상기 도4의 특고압부 중 부하개폐기(LBS:31) 및 진공차단기(VCB:32)의 측면도, 도5b는 특고압부의 전력퓨즈(PF:33) 및 피뢰기(LA:34)의 측면도, 도5c는 특고압부의 계기용 변성기(MOF:35)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변전 장치중 특고압 부분의 구성요소는 하나의 차폐된 공간, 즉 수변전 장치의 케이스, 수평격벽(21), 및 수직격벽(22)에 의해 정의되는 차폐공간에 모두 수납되어 있고, 또한 특고압부를 구성하는 장치들이 크게 부하개폐기(31)와 진공차단기(32); 전력퓨즈(33)와 피뢰기(34); 및 계기용 변성기(35)의 세 부분으로 구분되어 배열된다.
또한 도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수변전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전력퓨즈(33) 및 이와 일체로 접속된 피뢰기(34)는 특고압부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부하개폐기(31)는 특고압부의 좌우측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고, 진공차단기(32)는 부하개폐기(31)와 전력퓨즈(33) 및 피뢰기(34) 사이에 위치하고, 계기용 변성기(35)는 특고압부의 좌우측 중 나머지 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특고압부의 각 구성장치들(31,32,33,34,35)이 이와 같이 배열됨으로써 수변전 장치 내의 하나의 차폐공간 내에 상기 구성장치들이 모두 수납되어 있다.
각 구성장치들(31,32,33,34,35)의 특고압부 입력단과 출력단에는 특고압 전 압의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절연 캡(CAP)을 사용하여 접속가능하도록 돌출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도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엘보우 접속재(엘보우 붓싱)(23)가 절연 캡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접속재(23)의 단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수변전 장치의 특고압부의 각 구성장치의 입력단 또는 출력단에 형성된 돌출부(붓싱)(25)와 밀착하여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접속재(23)는 그 외부에 차폐층(23a)을 가지고 있으므로, 접속재(23)가 돌출부(25)와 접속되어 있을 때, 상기 접속재의 차폐층(23a)과 돌기부(25)의 외부에 형성된 차폐층(도시생략)이 맞물리게 되고, 이에 따라 특고압이 완벽히 차폐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종래의 수변전 장치에서 각 구성장치들 간을 연결하기 위해 도체나 나도체의 특고압선을 사용하였던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수변전 장치는 절연 캡을 사용하여 각 기기간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기기간의 거리를 종래에 비해 단축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상기 일 실시예의 경우, 각 입력단 또는 출력단 간의 간격을 종래의 약 210~230mm에서 100~180mm 정도까지 줄일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감전으로부터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전체 수변전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재(23)를 사용하여 돌출부(25)와 특고압 케이블에 원터치 식으로 삽입하여 착탈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특고압선을 체결볼트로 버스바에 고정하는 방식에 비해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상기 일 실시예에 대한 결선도를 나타낸다.
상기 본 발명의 결선도를 도2에 도시된 종래 수변전 장치의 결선도와 비교해 보면, 진공차단기(VCB:32)와 계기용 변성기(MOF:35)의 순서가 바꿔져 있는데,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진공차단기와 계기용 변성기를 종래와 달리 배열함으로써 도시된 것과 같은 설치공간의 감축을 도모하고 있다.
더욱이 종래의 수변전 장치(도1)에서는 도2의 결선도에 도시된 구성장치들 중 진공차단기(VCB:15)까지만이 하나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었던 것에 비해, 도3의 본 발명의 수변전 장치 및 도7의 결선도에 의하면 부하개폐기(LSB)에서부터 저압측 배선용 차단기(MCCB)까지 특고압부, 변압기부, 및 저압부의 모든 구성장치들(31 내지 38)이 하나의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수변전 장치의 설치공간을 대폭 감소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특고압부 부분의 각종 구성장치들을 수변전 장치내의 하나의 차폐된 공간에 수납하는 구조로, 각 구성장치의 도체부(입력단 및 출력단)를 절연 캡으로 보호함으로써 특고압부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동시에 기기의 도체부에 대해 감전으로부터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특고압부, 변압기부, 및 저압부를 하나의 케이스 내에 수용할 수 있으므로 수변전 장치의 설치공간을 축소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 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개조할 수 있다.

Claims (6)

  1. 특고압을 저압으로 변압하여 각 수용가로 공급하는 수변전 장치내에 설치된 특고압부에 있어서, 상기 특고압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특고압이 연결된 부하개폐기(LBS);
    상기 부하개폐기와 전압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진공차단기(VCB);
    상기 진공차단기와 연결되어 있는 전력퓨즈(PF) 및 피뢰기(LA); 및
    상기 전력퓨즈를 통과한 특고압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계기용 변성기(MOF)를 포함하고,
    상기 수변전 장치 내의 하나의 차폐 공간내에서, 상기 수변전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전력퓨즈 및 이와 일체로 접속된 피뢰기가 상기 차폐공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부하개폐기는 상기 차폐공간의 좌우측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진공차단기는 상기 부하개폐기와 상기 전력퓨즈 및 피뢰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계기용 변성기는 상기 차폐공간의 좌우측 중 나머지 한쪽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차폐공간 내에 모두 수납되어 있고,
    상기 부하개폐기, 진공차단기, 전력퓨즈, 피뢰기, 및 계기용 변성기의 각각은 특고압을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입/출력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도체부는 절연 캡을 통해 전압케이블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캡이 엘보우 접속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부.
  3. 특고압을 저압으로 변압하여 각 수용가로 공급하는 수변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변전 장치는 특고압을 수전하는 특고압부, 특고압을 저압으로 변압하는 변압기부, 및 상기 저압을 각 수용처로 분배하는 저압부를, 격벽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하나의 케이스 내에 모두 포함하고,
    상기 특고압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특고압이 연결된 부하개폐기(LBS);
    상기 부하개폐기와 전압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진공차단기(VCB);
    상기 진공차단기와 연결되어 있는 전력퓨즈(PF) 및 피뢰기(LA); 및
    상기 전력퓨즈를 통과한 특고압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계기용 변성기(MOF)를 포함하고,
    상기 수변전 장치 내의 하나의 차폐 공간내에서, 상기 수변전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전력퓨즈 및 이와 일체로 접속된 피뢰기가 상기 차폐공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부하개폐기는 상기 차폐공간의 좌우측 중 어느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진공차단기는 상기 부하개폐기와 상기 전력퓨즈 및 피뢰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계기용 변성기는 상기 차폐공간의 좌우측 중 나머지 한쪽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차폐공간 내에 모두 수납되어 있고,
    상기 부하개폐기, 진공차단기, 전력퓨즈, 피뢰기, 및 계기용 변성기의 각각 은 특고압을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입/출력단으로서 하나 이상의 도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도체부는 절연 캡을 통해 전압케이블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변전 장치는 중앙부를 수직으로 구분시키는 수직격벽에 의해 전방부 및 후방부로 나누어지고, 상기 전방부는 수평격벽에 의해 상부 및 하부로 나누어지며,
    특고압부는 상기 전방 상부에 위치하고, 변압기부는 상기 후방부에 위치하고, 저압부는 상기 전방 하부에 위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부가 기중차단기(ACB) 및 배선용 차단기(MCC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 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캡이 엘보우 접속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변전 장치.
KR1020070011240A 2007-02-02 2007-02-02 수변전 장치 KR100822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240A KR100822266B1 (ko) 2007-02-02 2007-02-02 수변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240A KR100822266B1 (ko) 2007-02-02 2007-02-02 수변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266B1 true KR100822266B1 (ko) 2008-04-16

Family

ID=3957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240A KR100822266B1 (ko) 2007-02-02 2007-02-02 수변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2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31B1 (ko) * 2013-02-01 2013-11-05 노신정 인출형 부하개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패널 배전반
KR102103952B1 (ko) * 2019-10-07 2020-04-23 양명주 일체형 특고압 수배전 장치
KR20220100235A (ko) * 2021-01-08 2022-07-15 장미화 수변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3804A (en) * 1987-09-25 1989-03-29 Mazda Motor Tappet valve mechanism for engine
JPH031800A (ja) * 1989-05-30 1991-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ッフル板付マルチウェイスピーカ
JPH0386749A (ja) * 1989-08-31 1991-04-11 Mitsui Petrochem Ind Ltd 難燃性硬化物およびそれに用いる硬化性組成物
JP2008006004A (ja) * 2006-06-28 2008-01-17 Kokuyo Co Ltd 把手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3804A (en) * 1987-09-25 1989-03-29 Mazda Motor Tappet valve mechanism for engine
JPH031800A (ja) * 1989-05-30 1991-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ッフル板付マルチウェイスピーカ
JPH0386749A (ja) * 1989-08-31 1991-04-11 Mitsui Petrochem Ind Ltd 難燃性硬化物およびそれに用いる硬化性組成物
JP2008006004A (ja) * 2006-06-28 2008-01-17 Kokuyo Co Ltd 把手の取付構造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6-0044278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83804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1800호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6749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731B1 (ko) * 2013-02-01 2013-11-05 노신정 인출형 부하개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패널 배전반
KR102103952B1 (ko) * 2019-10-07 2020-04-23 양명주 일체형 특고압 수배전 장치
KR20220100235A (ko) * 2021-01-08 2022-07-15 장미화 수변전 장치
KR102498049B1 (ko) * 2021-01-08 2023-02-08 장미화 수변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0648B2 (en) Tap apparatus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an electrical busway and switchgea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0876586B1 (ko) 공기절연 고·저압 격실금속피복 절연축소형 폐쇄배전반
US7286337B2 (en) Switching device for power distribution
KR101196704B1 (ko) 전압 감지 기능을 갖춘 격벽 격실 축소형 고?저압 폐쇄배전반
KR20100017368A (ko) 고전압 개폐기
JP2001298812A (ja) サージ保護配電システム
KR100717326B1 (ko) 가스 및 고체절연 복합형 폐쇄 배전장치
KR100754769B1 (ko) 특고압부 및 이를 포함하는 수변전 장치
KR100822266B1 (ko) 수변전 장치
KR20200120455A (ko) 일체형 특고압 수배전설비
KR100857439B1 (ko) 수변전 장치
KR101271146B1 (ko) 기체절연 개폐장치
KR100703036B1 (ko) 특고압 밀폐형 수변전 장치
KR100960365B1 (ko) 고집적형 폐쇄수전반
KR200435046Y1 (ko) 일체형의 격실금속피복으로 이루어진 절연축소형 수배전반
KR101874988B1 (ko) 부하개폐기
KR100864285B1 (ko) 고체절연을 이용한 컴팩트 차폐형 수변전설비
KR102435410B1 (ko) 배전반
KR100696675B1 (ko) 특별고압 수전설비
KR101338254B1 (ko) 특고압 수배전반
CN101366156B (zh) 具有单独可隔离的功能区的配电系统
KR100680027B1 (ko) 차단벽이 구비된 수변전장치
AU2013201083B2 (en) Gas outlet device for a medium-voltage functional unit and distribution substation comprising same
US7548148B2 (en) Integral transformer junction module
KR100654773B1 (ko) 가스절연형 파워퓨즈를 구비한 수변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