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004B1 - 원추형 현장타설 기초 - Google Patents
원추형 현장타설 기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22004B1 KR100822004B1 KR1020070045988A KR20070045988A KR100822004B1 KR 100822004 B1 KR100822004 B1 KR 100822004B1 KR 1020070045988 A KR1020070045988 A KR 1020070045988A KR 20070045988 A KR20070045988 A KR 20070045988A KR 100822004 B1 KR100822004 B1 KR 1008220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ical
- foundation
- cone
- reinforcing bars
- h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를 최소화하고, 상·하부 철근과 매트를 결합시켜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킨 원추형 현장타설 기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추형 기초용기는 깊은 터파기 공사를 추가로 해야하고, 많은 쇄석이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근에 의해 전후, 좌우로 연결되고,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외부에는 쇄석이 채워져 매립되는 복수의 원추형 기초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기초용기(10)는 철근(1)이 고정되는 복수의 절개홈(14)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원추부(11)와, 상기 원추부(11) 높이의 1/8 ~ 1/5의 범위로 높이가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공(15)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바닥부(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현장타설 기초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원추형 기초용기의 바닥부 높이를 최소로 형성하고, 복수의 원추형 기초용기 사이에 상·하부 철근과 매트를 견고히 결합시켜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측방유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파기의 깊이와 쇄석의 투입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기단축, 자제량 감소에 의한 시공성과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팽이파일, 기초말뚝, 현장타설, 공장제작, 기초바닥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원추형 기초용기를 이용한 건축물의 기초바닥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추형 기초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추형 기초용기와 매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추형 기초용기 11 : 원추부
12 : 바닥부 13 : 공간부
14 : 절개홈 15 : 관통공
20 : 매트 40 : 원추형 기초
41 : 고리
본 발명은 현장에서 타설되어 건축물의 기초바닥구조를 이루는 원추형 기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를 최소화하고, 상·하부 철근과 매트를 결합시켜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킨 원추형 현장타설 기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톱 베이스(top-base)'로 불리는 '팽이말뚝기초' 공법은 지지력이 부족한 연약지반에 지상구조물을 세울 때 활용되는 공법으로, 기초 지반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면서 구조물의 전체 침하와 부등침하를 억제하고, 시공장소의 협소와 대형장비의 시설에 구애받지 않으며, 건설공해가 없으면서 기초에 흡진 및 방진효과와 내진성을 고려하여야 하는 경우에 주로 적용된다. 초경량화된 팽이말뚝의 용이한 현장반입과 저렴한 자재비, 이로 인한 간편한 시공성 때문에 총공사비가 매우 저렴하여 혁신적인 신기술 신공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종래의 팽이말뚝기초의 시공방법은 현장타설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원추부(5)와 하측의 파일부(6)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원추형 기초용기(4)에 철근(1)을 이용하여 사방으로 나란히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원추형 기초용기(4)의 내부에는 콘크리트(2)를 타설하고, 상기 원추형 기초용기(4)가 서로 인접하며 형성된 공간에는 쇄석(3)을 채워넣고, 그 위로 버림 콘크리트(미도시)를 타설하여 시공을 완료한다.
여기서 버림 콘크리트란 구조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바닥면을 고르고 시멘트 페이스트와 수분이 쇄석(3)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통 두께는 50~60mm 정도로 하고 레벨을 맞추기 위해서 100mm까지 타설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원추형 기초용기(4)는 측방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파일부(6)가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하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파일부(6)를 쇄석으로 고정하기 위한 깊은 터파기 공사를 추가로 해야하고, 이곳에 많은 쇄석이 투입됨에 따라 자재비는 상승하고 시공성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추형 기초용기의 높이를 최소로 형성하여 터파기의 깊이와 쇄석의 투입량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일체로 견고히 구성되어 측방유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원추형 현장타설 기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추형 현장타설 기초는 철근에 의해 전후, 좌우로 연결되고,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외부에는 쇄석이 채워져 매립되는 복수의 원추형 기초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기초용기는 철근이 고정되는 복수의 절개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원추부와, 상기 원추부 높이의 1/8 ~ 1/5의 범위로 높이가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공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바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원추형 기초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추형 기초용기와 매트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원추형 기초용기(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원추부(11)와, 상기 원추부(11)의 하측에 형성된 바닥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추부(11)의 내측에는 콘크리트(2)를 타설할 수 있도록 공간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추부(1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용기를 연결시키는 철근(1)이 고정되는 4개의 절개홈(14)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2)의 외주면에는 하측의 철근(1)이 관통하면서 복수의 용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4개의 관통공(15)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12)는 높이가 원추부(11) 높이의 1/8 ~ 1/5의 범위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50mm로 형성하는 것이며 이는 관통공(15)에 삽입된 철근(1)을 견고히 지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원추형 기초용기(1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개홈(14)에 고정되는 상측의 철근(미도시)과, 상기 관통공(15)에 삽입되는 하측의 철근(1)에 의해 긴밀히 밀착하며 연결된다.
그리고 복수의 원추형 기초용기(10)가 연결되며 형성된 원추부(11) 사이의 공간에는 매트(20)가 긴밀히 결합된다.
상기 매트(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모르타르, 합성수지, 철판, 목재 등의 불투수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는데, 그 형상은 인접한 네 개의 원추부(11) 사이에 빈틈없이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네 개의 원호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추형 기초용기(10)의 기초바닥시공을 현장타설형을 중심으로 자세히 살펴보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원추형 기초용기(10)에 철근(1)을 이용하여 전후, 좌우로 연결한 후, 상기 원추형 기초용기(10)의 공간부(13)에 콘크리트(2)를 타설하고, 상기 원추형 기초용기(10) 네 개가 인접하며 형성된 공간에는 쇄석(3)을 채워 넣어 건축물의 기초바닥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매트(20)는 쇄석(3)의 상측, 즉 원추부(11)의 상측 외주면에 긴밀히 밀착하도록 삽입한 후, 접착제, 실리콘 등을 이용해 실링 함으로써 쇄석(3)으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여 수분으로 인한 크랙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매트(20)를 설치함으로써 후속공정인 버림 콘크리트 타설을 생략할 수 있어 시공시간이 단축되고, 이에 따라 소모되는 토공량이 감소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추형 기초용기(1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를 콘크리트로 형성하고, 상측에는 철근이 연결되는 고리(41)를 형성한 원추형 기초(40)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시공하는 공장제작형 기초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원추형 기초용기(10)와 원추형 기초(40)는 기존의 원추부(11) 하측에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파일부(6)를 제거하고, 원추부(11) 높이의 1/8 ~ 1/5의 범위에 해당하는 높이로 형성된 바닥부(12)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파일부(6)가 매설되기 위한 깊은 터파기 공사를 생략할 수 있어 공기가 단축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터파기의 깊이가 낮아져 이곳에 채워지는 쇄석(3)의 양도 최소가 되어 더욱 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원추형 기초의 상·하측에 결합된 철근(1)과 원추부(11) 사이에 결합되는 매트(20)로 인해 건축물의 기초바닥 전체가 일체화된 구조로 구성되어 측방유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현장타설 기초에 의하면, 원추형 기초용기의 바닥부 높이를 최소로 형성하고, 복수의 원추형 기초용기 사이에 상·하부 철근과 매트를 견고히 결합시켜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측방유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파기의 깊이와 쇄석의 투입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기단축, 자제량 감소에 의한 시공성과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철근에 의해 전후, 좌우로 연결되고, 내부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외부에는 쇄석이 채워져 매립되는 복수의 원추형 기초용기에 있어서,상기 원추형 기초용기(10)는 철근(1)이 고정되는 복수의 절개홈(14)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원추부(11)와, 상기 원추부(11) 높이의 1/8 ~ 1/5의 범위로 높이가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공(15)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바닥부(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현장타설 기초.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원추형 기초용기(10)의 사이에는 상기 원추부(11)의 상측 외주면과 대응하는 네 개의 원호로 이루어진 매트(2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추형 현장타설 기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5988A KR100822004B1 (ko) | 2007-05-11 | 2007-05-11 | 원추형 현장타설 기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5988A KR100822004B1 (ko) | 2007-05-11 | 2007-05-11 | 원추형 현장타설 기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22004B1 true KR100822004B1 (ko) | 2008-04-15 |
Family
ID=3953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5988A KR100822004B1 (ko) | 2007-05-11 | 2007-05-11 | 원추형 현장타설 기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2200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7278B1 (ko) * | 2010-07-31 | 2013-11-08 | 김성필 | 사각 피라미드 기초 공법 |
KR102106795B1 (ko) * | 2020-02-18 | 2020-05-28 | 이태곤 | 내진성이 우수한 건물의 기초 구조물 |
KR20200124511A (ko) | 2019-04-24 | 2020-11-03 | 주식회사 세영 | 지반 보강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 공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22328A (ja) | 1984-11-16 | 1986-06-10 | Maikoma Seven:Kk | コマ型ブロツクの布設工法 |
JPS641827A (en) | 1987-06-20 | 1989-01-06 | Maikoma Seven:Kk | Top type block for ground stabilization and laying out method thereof |
KR20050099837A (ko) * | 2004-04-12 | 2005-10-17 | 시지이엔씨주식회사 | 팽이말뚝 조립틀에 단위팽이형 말뚝용기로 다수개조립설치한 현장타설형 팽이말뚝 유니트판넬을, 지반상에다수개 연결설치하여서 된 현장타설형 팽이말뚝기초 및이의 시공방법 |
KR200426635Y1 (ko) | 2006-06-16 | 2006-09-19 | 우광티엔씨(주) | 연결홈이 형성된 현장 타설 팽이파일 |
KR200436652Y1 (ko) | 2006-12-05 | 2007-09-18 | 시지이엔씨주식회사 | 팽이말뚝기초용 매트 |
KR100799848B1 (ko) | 2006-11-06 | 2008-01-31 | 에스트건설 주식회사 | 결합구조를 보강한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 |
-
2007
- 2007-05-11 KR KR1020070045988A patent/KR10082200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22328A (ja) | 1984-11-16 | 1986-06-10 | Maikoma Seven:Kk | コマ型ブロツクの布設工法 |
JPS641827A (en) | 1987-06-20 | 1989-01-06 | Maikoma Seven:Kk | Top type block for ground stabilization and laying out method thereof |
KR20050099837A (ko) * | 2004-04-12 | 2005-10-17 | 시지이엔씨주식회사 | 팽이말뚝 조립틀에 단위팽이형 말뚝용기로 다수개조립설치한 현장타설형 팽이말뚝 유니트판넬을, 지반상에다수개 연결설치하여서 된 현장타설형 팽이말뚝기초 및이의 시공방법 |
KR200426635Y1 (ko) | 2006-06-16 | 2006-09-19 | 우광티엔씨(주) | 연결홈이 형성된 현장 타설 팽이파일 |
KR100799848B1 (ko) | 2006-11-06 | 2008-01-31 | 에스트건설 주식회사 | 결합구조를 보강한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 |
KR200436652Y1 (ko) | 2006-12-05 | 2007-09-18 | 시지이엔씨주식회사 | 팽이말뚝기초용 매트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7278B1 (ko) * | 2010-07-31 | 2013-11-08 | 김성필 | 사각 피라미드 기초 공법 |
KR20200124511A (ko) | 2019-04-24 | 2020-11-03 | 주식회사 세영 | 지반 보강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 공법 |
KR102106795B1 (ko) * | 2020-02-18 | 2020-05-28 | 이태곤 | 내진성이 우수한 건물의 기초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8917858U (zh) | 预制拼装式内腔型沉井装置 | |
CN108265738A (zh) | 预制装配式混凝土薄板胎模结构及施工方法 | |
KR100822004B1 (ko) | 원추형 현장타설 기초 | |
CN210127485U (zh) | 一种混凝土吸力式沉箱基础与薄壁墩柱连接结构 | |
KR200436652Y1 (ko) | 팽이말뚝기초용 매트 | |
CN102493488A (zh) | 基坑工程逆梁顺板施工方法 | |
JP2012112162A (ja) | 山留壁及び山留壁の構築方法 | |
CN105569329B (zh) | 单面支模地下室施工方法及地下室 | |
CN106164380A (zh) | 风力发电机预制基座 | |
CN203729346U (zh) | 一种防渗膜锚固沟与截洪沟合并建设的方式 | |
CN102021912A (zh) | 陡坡岩质河床上异型深水围堰的施工方法 | |
CN207775907U (zh) | 一种高强度生态护坡 | |
KR20180040095A (ko) | 캡 슬래브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의 그 시공방법 | |
CN108104112A (zh) | 一种基于原土原位制浆的地下墙体施工方法 | |
CN210507463U (zh) | 一种基坑支护内支撑体系与地下室结构体系三合一结构 | |
JP7112939B2 (ja) | 杭と基礎コンクリート部との接合構造、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体、及び施工方法 | |
CN106120853A (zh) | 一种框架桥的逆序施工方法 | |
JP4159148B2 (ja) | 立坑の築造方法 | |
JP6255607B2 (ja) | 基礎構築方法 | |
CN214832850U (zh) | 湿陷性黄土回填区的施工升降机基础安装结构 | |
CN205804405U (zh) | 一种逆序法施工的框架桥结构 | |
KR101685153B1 (ko) | 생태통로가 구비된 역방향 하천 기초 | |
JP3059058U (ja) | 安定材付きベタ基礎構造 | |
CN218667609U (zh) | 一种独立基础结构 | |
CN214657076U (zh) | 一种预制降水方桩与地下侧墙钢板叠合结构体系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