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072B1 - 흡수식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072B1
KR100821072B1 KR1020070005176A KR20070005176A KR100821072B1 KR 100821072 B1 KR100821072 B1 KR 100821072B1 KR 1020070005176 A KR1020070005176 A KR 1020070005176A KR 20070005176 A KR20070005176 A KR 20070005176A KR 100821072 B1 KR100821072 B1 KR 100821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pipe
absorber
temperature regenerato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욱
남상철
김양훈
정진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5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072B1/ko
Priority to CN2008100031894A priority patent/CN101226017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25B29/006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of the sorption typ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5/00Sorption refrigeration cycles or details thereof
    • F25B2315/004Inert heat-excha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식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흡수액과 냉매의 효율적인 열교환을 구현함으로써, 연료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구성한 흡수식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식 냉온수기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식 냉온수기는 흡수기에서 고온재생기로 연장된 희용액배관의 중간에 설치된 배기가스열교환기와, 상기 고온재생기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기가스열교환기를 지나가는 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가스열교환기에서는 상기 배기관을 따라 유동하는 배기가스와 상기 희용액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희용액이 열교환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흡수식 냉온수기, 배기가스열교환기, 용액냉각흡수기, 냉매드레인열교환기

Description

흡수식 냉온수기{Absorption Chiller}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의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온재생기 21 : 응축기
31 : 증발기 32 : 흡수기
40 : 저온열교환기 50 : 고온열교환기
100 : 흡수식 냉온수기 110 : 냉매드레인열교환기
111 : 연장관 120 : 용액냉각흡수기
121 : 제1 농용액배관 123 : 제2 농용액배관
125 : 분기관 130 : 배기가스열교환기
131 : 배기관
본 발명은 흡수식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교환기를 추가하여 흡 수액과 냉매의 효율적인 열교환을 구현함으로써, 연료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식 냉온수기(1)는 LPG, LNG 등과 같은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흡수액 냉매로 이루어진 냉방사이클을 운전하는 것으로서,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냉온수기와는 다르게 일차적으로 열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하절기에 과다한 전력부하를 해소하고, 또한 폐열을 이용한 열병합시스템의 활용 등과 같이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흡수식 냉온수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흡수식 냉온수기를 구성하는 증발기흡수기동체(30)는 증발기(31) 및 흡수기(32)를 함께 구비하며, 고온재생기(10)에는 버너(11)가 수용된다.
상기 흡수기(32)에서 상기 고온재생기(10)로 연장된 희용액배관(83)에는 흡수액펌프(72), 저온열교환기(40) 및 고온열교환기(50)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그리고 저온재생기응축기동체(20)는 저온재생기(23)와 응축기(21)가 함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온재생기(10)에서 저온재생기(23)로 연장된 관은 냉매증기관(81)이고, 상기 응축기(21)에서 상기 증발기(31)로 연장된 관은 냉매액 유하관(82)이며, 상기 흡수기(32)로 유입되는 관은 냉각수관(86)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흡수식 냉온수기의 운전 시, 상기 고온재생기(10)의 버너(11)에서 연료가스(LPG, LNG)가 연소하면, 상기 흡수기(32)에서 흘러온 리튬브로 마이드 수용액(계면활성제 포함)과 같은 희용액이 가열되어 비등하고, 냉매증기가 희용액에서 분리된다. 이와 같이 가열되면서 희용액은 분리되어 농축되면서 농도가 보다 진한 중간용액으로 된다. 한편 냉매증기는 냉매증기관(8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저온재생기(23)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재생기(10)에서 저온재생기(23)로 들어온 중간용액은 저온재생기(23)에서 가열되어 냉매액으로 응축되고, 응축된 냉매액은 상기 응축기(21)로 흐른다. 상기 응축기(21)에서는 상기 저온재생기(23)로부터 흘러들어온 냉매증기가 응축하여, 냉매액과 함께 상기 증발기(31)로 이동한다.
상기 증발기(31)에서는 냉매펌프(71)의 작동에 의해서 냉매액이 산포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31)에서 기화한 냉매증기는 상기 흡수기(32)로 흘러 산포된 흡수액에 흡수된다. 한편, 상기 고온재생기(10)에서 냉매증기가 분리되어 농도가 상승한 중간용액은 중간용액배관(84), 고온열교환기(50)를 거쳐서 상기 저온재생기(23)로 흐른다.
상기 중간용액은 상기 고온재생기(10)로부터 유입된 냉매증기가 내부에 흐르고 있는 가열기(25)에 의해서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용액으로부터 냉매증기가 분리되어 흡수액의 농도는 더욱 상승한다. 상기 저온재생기(23)에서 가열된 농용액은 농용액배관(85)에 유입되고 상기 저온열교환기(40)를 거쳐서 상기 흡수기(32)로 흘러, 흡수기 산포장치(35)에서 상기 냉각수관(86)에 적하된다.
그리고, 흡수액은 상기 증발기(31)를 경유하여 들어오는 냉매증기를 흡수하여 농도가 낮아진다. 농도가 낮아진 흡수액은 상기 흡수액펌프(72)의 구동력에 의 하여 저온열교환기(40) 및 고온열교환기(50)에서 예열되어 고온재생기(10)로 유입된다. 도면에 미설명된 도면부호 13은 버너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탱크이며, 15는 버너로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이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의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열교환기의 추가 및 흡수액 및 냉매의 이동경로를 합리적으로 구성하여 흡수식 냉온수기의 연료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게 구성한 흡수식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식 냉온수기는 흡수기에서 고온재생기로 연장된 희용액배관의 중간에 설치된 배기가스열교환기와, 상기 고온재생기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기가스열교환기를 지나가는 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가스열교환기에서는 상기 배기관을 따라 유동하는 배기가스와 상기 희용액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희용액이 열교환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식 냉온수기는 저온재생기에서 가열되어 농축된 농용액과 흡수기에서 배출된 희용액이 상호 열교환하는 용액냉각흡수기와, 상기 저온재생기에서 배출된 농용액 일부가 분기되어 상기 용액냉각흡수기로 유입되게 유도하는 제2 농용액배관과, 상기 저온재생기에서 배출된 농용액 나머지 일부가 분기되어 저온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제2 농용액배관으로 합류하여 상기 용액냉각흡수기로 유입되게 유도하는 제1 농용액배관 및, 상기 흡수기에서 배출된 희용액이 상기 용액냉 각흡수기를 지나 고온재생기로 유동하는 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용액냉각흡수기에서는 상기 분기관을 따라 유동하는 희용액과 상기 제1 농용액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농용액이 열교환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흡수식 냉온수기는 저온재생기에서 응축된 냉매액과 흡수기에서 배출된 희용액이 열교환하는 냉매드레인열교환기와, 상기 저온재생기에서 상기 냉매드레인열교환기를 거쳐 응축기로 연장된 연장관과, 상기 흡수기에서 상기 냉매드레인열교환기를 거쳐 고온재생기로 연장된 희용액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냉매드레인열교환기에서는 상기 연장관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된 냉매액과 상기 희용액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희용액이 열교환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식 냉온수기(100)는 고온재생기(10)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는 배기가스열교환기(130)와, 저온재생기(23)에서 중간용액을 재생하고 남은 응축냉매의 현열을 회수하는 냉매드레인열교환기(110)와, 흡수기(32) 출구에서 유출되는 희용액을 이용하여 농용액의 열을 회수하는 용액냉각흡수기(12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흡수식 냉온수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재생기(10)에서 저온재생기(23)로 들어온 중 간용액은 저온재생기(23)에서 냉매증기를 냉매액으로 응축시킨다. 응축된 냉매액은 저온재생기(23)에서 냉매드레인열교환기(110)를 거쳐 응축기(21)로 연장된 연장관(111)을 따라 응축기(21)로 유입된다.
그리고 흡수기(32)에서 상기 고온재생기(10)로 연장된 희용액배관(83)은 냉매드레인열교환기(110)와 고온열교환기(50)를 거쳐 고온재생기(10)로 유입된다. 따라서 냉매드레인열교환기(110)에서는 저온재생기(23)에서 유출된 응축된 냉매액과 흡수기(32)에서 유출된 일부의 희용액이 상호 열교환한다.
한편, 저온재생기(23)에서 가열된 농용액 일부는 제1 농용액배관(121)을 따라 저온열교환기(40)를 거쳐 용액냉각흡수기(120)로 유입되며, 나머지 일부는 제1 농용액배관(121)에서 용액냉각흡수기(120)로 바로 연결된 제2 농용액배관(123)을 따라 용액냉각흡수기(120)로 유입된다.
또한 흡수기(32)와 냉매드레인열교환기(110)의 사이에 위치한 희용액배관(83)에는 분기관(125)이 분기되어 용액냉각흡수기(120)를 지나 저온열교환기(40)로 연장된 후 고온열교환기(50)를 거쳐 고온재생기(10)로 연장된다. 여기에서 분기관(125)을 따라 유동한 일부의 희용액이 저온열교환기(40)를 거쳐 고온열교환기(50)로 유입됨에 있어서, 희용액배관(83)을 따라 냉매드레인열교환기(110)를 지나온 일부의 희용액과 합류되어 고온열교환기(50)로 진행한다.
한편, 고온재생기(10)에는 버너(11)가 장착되어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희용액에서 냉매증기가 분리되어 농도가 진한 중간용액으로 농축된다.
이 과정 중, 버너(11)에서는 연료가 연소되면서 고온의 배기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배기관(131)은 상기 버너(11)에서 배기가스열교환기(130)를 지나 대기 중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배기가스가 배기관(131)을 따라 유동하면서, 배기가스열교환기(130)를 지나가는 희용액배관(83)을 따라 유동하는 희용액과 열교환 한다.
앞에서 설명한 흡수식 냉온수기는 열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3가지 예가 기술되고 있다.
그 첫번째 예는, 저온재생기에서 가열되어 농축된 농용액과 흡수기에서 배출된 희용액이 상호 열교환하는 용액냉각흡수기와, 상기 저온재생기에서 배출된 농용액 일부가 분기되어 상기 용액냉각흡수기로 유입되게 유도하는 제2 농용액배관과, 상기 저온재생기에서 배출된 농용액 나머지 일부가 분기되어 저온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제2 농용액배관으로 합류하여 상기 용액냉각흡수기로 유입되게 유도하는 제1 농용액배관 및, 상기 흡수기에서 배출된 희용액이 상기 용액냉각흡수기를 지나 고온재생기로 유동하는 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용액냉각흡수기에서는 상기 분기관을 따라 유동하는 희용액과 상기 제1 농용액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농용액이 열교환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이고,
두번째 예는, 흡수기에서 고온재생기로 연장된 희용액배관의 중간에 설치된 배기가스열교환기와, 상기 고온재생기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기가스열교환기를 지나가는 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가스열교환기에서는 상기 배기관을 따라 유동하는 배기가스와 상기 희용액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희용액이 열교환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이며,
세번째 예는, 저온재생기에서 응축된 냉매액과 흡수기에서 배출된 희용액이 열교환하는 냉매드레인열교환기와, 상기 저온재생기에서 상기 냉매드레인열교환기를 거쳐 응축기로 연장된 연장관과, 상기 흡수기에서 상기 냉매드레인열교환기를 거쳐 고온재생기로 연장된 희용액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냉매드레인열교환기에서는 상기 연장관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된 냉매액과 상기 희용액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희용액이 열교환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는 열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앞에서 설명한 3가지 예를 독립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복합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수식 냉온수기는 냉매드레인열교환기를 통해 흡수기에서 유출되는 일부의 희용액과 저온재생기에서 응축된 냉매액이 열교환하고, 용액냉각흡수기를 통해 흡수기에서 유출되는 나머지 일부의 희용액과 저온재생기에서 가열된 농용액이 열교환하며, 배기가스열교환기에서 고온재생기에서 발생한 배기가스와 희용액이 열교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흡수식 냉온수기는 COP 1.0의 성능을 갖는 2중효용 흡수식 냉온수기에 비해 연료비를 약 20%이상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흡수식 냉온수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

  1. 저온재생기(23)에서 가열되어 농축된 농용액과 흡수기(32)에서 배출된 희용액이 상호 열교환하는 용액냉각흡수기(120)와,
    상기 저온재생기(23)에서 배출된 농용액 일부가 분기되어 상기 용액냉각흡수기(120)로 유입되게 유도하는 제2 농용액배관(123)과,
    상기 저온재생기에서 배출된 농용액 나머지 일부가 분기되어 저온열교환기(40)를 거쳐 상기 제2 농용액배관(123)으로 합류하여 상기 용액냉각흡수기(120)로 유입되게 유도하는 제1 농용액배관(121) 및,
    상기 흡수기(32)에서 배출된 희용액이 상기 용액냉각흡수기(120)를 지나 고온재생기(10)로 유동하는 분기관(125)을 포함하며,
    상기 용액냉각흡수기(120)에서는 상기 분기관(125)을 따라 유동하는 희용액과 상기 제2 농용액배관(123)을 따라 유동하는 농용액이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기에서 상기 고온재생기로 연장된 희용액배관(83)의 중간에 설치된 배기가스열교환기(130)와,
    상기 고온재생기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기가스열교환기를 지나가는 배기관(131)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가스열교환기에서는 상기 배기관을 따라 유동하는 배기가스와 상기 희용액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희용액이 열교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재생기에서 응축된 냉매액과 상기 흡수기에서 배출된 희용액이 열교환하는 냉매드레인열교환기(110)와,
    상기 저온재생기에서 상기 냉매드레인열교환기를 거쳐 응축기로 연장된 연장관(111)과,
    상기 흡수기에서 상기 냉매드레인열교환기를 거쳐 고온재생기로 연장된 희용액배관(83)을 포함하며,
    상기 냉매드레인열교환기에서는 상기 연장관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된 냉매액과 상기 희용액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희용액이 열교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온수기.
KR1020070005176A 2007-01-17 2007-01-17 흡수식 냉온수기 KR100821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176A KR100821072B1 (ko) 2007-01-17 2007-01-17 흡수식 냉온수기
CN2008100031894A CN101226017B (zh) 2007-01-17 2008-01-15 吸收式冷热水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5176A KR100821072B1 (ko) 2007-01-17 2007-01-17 흡수식 냉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072B1 true KR100821072B1 (ko) 2008-04-08

Family

ID=3953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176A KR100821072B1 (ko) 2007-01-17 2007-01-17 흡수식 냉온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21072B1 (ko)
CN (1) CN10122601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463B1 (ko) 2009-02-10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액가열응축기를 구비하는 흡수식 냉온수기
KR101377690B1 (ko) 2012-11-14 2014-03-26 (주) 월드에너지 흡수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고효율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76U (ko) * 1998-11-09 2000-06-05 황한규 흡수식 냉온수기의 희용액 예열장치
KR20000040517A (ko) * 1998-12-18 2000-07-05 황한규 흡수식 냉온수기
KR20020035770A (ko) * 2000-11-08 2002-05-15 다카노 야스아키 흡수식 냉동기
JP2005291575A (ja) * 2004-03-31 2005-10-20 Osaka Gas Co Ltd 吸収式冷凍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8830B2 (ja) * 2003-05-09 2008-09-10 三洋電機株式会社 一重二重効用吸収冷凍機
JP4287705B2 (ja) * 2003-06-18 2009-07-01 東京瓦斯株式会社 一重二重効用吸収冷凍機およびその運転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76U (ko) * 1998-11-09 2000-06-05 황한규 흡수식 냉온수기의 희용액 예열장치
KR20000040517A (ko) * 1998-12-18 2000-07-05 황한규 흡수식 냉온수기
KR20020035770A (ko) * 2000-11-08 2002-05-15 다카노 야스아키 흡수식 냉동기
JP2005291575A (ja) * 2004-03-31 2005-10-20 Osaka Gas Co Ltd 吸収式冷凍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463B1 (ko) 2009-02-10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용액가열응축기를 구비하는 흡수식 냉온수기
KR101377690B1 (ko) 2012-11-14 2014-03-26 (주) 월드에너지 흡수열 열교환기를 이용한 고효율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6017B (zh) 2013-04-03
CN101226017A (zh) 200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05930A1 (zh) 一种集中供热系统
JP2004257705A (ja) 吸収ヒートポンプ利用濃縮装置
CN1737454A (zh) 吸收式循环与有机物朗肯循环的联合循环装置
CN105783023A (zh) 一种利用吸收式热泵驱动暖风器的装置及方法
KR101225843B1 (ko) 흡수식 냉온수기
WO2002018849A1 (fr) Systeme de refrigeration par absorption
KR101478115B1 (ko) 흡수식 히트펌프를 이용한 연료전지의 배가스 폐열 회수장치
KR100821072B1 (ko) 흡수식 냉온수기
CN102809144A (zh) 采用两级喷射吸收热泵提高热力循环效率的装置及方法
KR20120103100A (ko) 하이브리드 흡수식 공기조화시스템
JP2000121196A (ja) 排熱利用冷暖房システム
KR100765082B1 (ko) 흡수식 냉온수기의 냉매 증기회수장치
CN201152649Y (zh) 冷热同时取出型溴化锂吸收式冷热水机组
JP4148830B2 (ja) 一重二重効用吸収冷凍機
KR100449302B1 (ko) 흡수 냉동기
KR100781880B1 (ko) 흡수식 냉온수기
JP2000205691A (ja) 吸収冷凍機
JP4315854B2 (ja) 吸収冷凍機
JP3481530B2 (ja) 吸収冷温水機
KR101045463B1 (ko) 용액가열응축기를 구비하는 흡수식 냉온수기
KR102238779B1 (ko)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흡수 냉온수기
KR20100082908A (ko) 흡수식 냉온수기용 공기예열장치
JP2002098435A (ja) 吸収冷凍機
JP3723373B2 (ja) 排熱投入型吸収冷温水機
JP4288799B2 (ja) 排熱投入型吸収式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