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896B1 - 전기 커넥터 접점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접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896B1
KR100819896B1 KR1020037002080A KR20037002080A KR100819896B1 KR 100819896 B1 KR100819896 B1 KR 100819896B1 KR 1020037002080 A KR1020037002080 A KR 1020037002080A KR 20037002080 A KR20037002080 A KR 20037002080A KR 100819896 B1 KR100819896 B1 KR 100819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s
circuit board
pairs
pai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276A (ko
Inventor
존 밀너
라울 페라이라
알랜 밀러
조셉 듀푸이스
란돌프 렛쉬
Original Assignee
허브벨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브벨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허브벨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37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1Crosstalk suppress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통신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용의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는 자유단부 및 근단부를 지니며 캔틸레버(cantilever) 방식으로 장착되는 4쌍의 접점들을 지니는 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접속 유니트는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방해하는 누화, 감쇠, 전파 지연, 및 기타 전기 및 자기 특성을 저감시키는 특이한 접점 구조를 지닌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행의 접점들은 인쇄 회로 기판의 자유단부로부터 근단부를 향해 대체로 상향 및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자유단부로부터 상기 제1 행의 접점들보다 더 멀리 배치된 제2 행의 접점들은 상기 자유단부로부터 상기 근단부를 향해 대체로 상향 및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인접 접점은, 대응하는 쌍에 있어서의 다른 접점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지점에서, 기단부로부터 측방 및 외방으로 연장되는 단지 단일의 푸시 풋(push foot)만을 지닐 수 있음으로 인해, 그러한 접점들이 서로 비교적 근접 배치되어,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방해하는 전기 및 자기 특성이 더욱 저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접점 구조{ELECTRICAL CONNECTOR CONTACT CONFIGURATIONS}
본 발명은 통신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용의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와이어 접속 유니트는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방해하는 누화, 감쇠, 전파 지연, 및 기타 전기 특성을 저감시키는 접점 구조를 지닌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은 플러그와의 전기적인 방해 및 상호접속을 저감시키도록 구성된 8개의 도체로 종단되는 전기 커넥터 잭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비차폐 연선 케이블을 통한 원격 통신 및 데이터 전송 속도에 있어서의 상당한 진전으로 인해, 커넥터(잭, 리셉터클, 패치 패널, 회선 분배기 등)는, 특히 고주파수에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는 결정적인 요인이 되어 왔다. 어떤 성능 특성, 특히 근단 누화는, 적절한 예방책이 취해지지 않는 한, 커넥터에 있어서의 새로운 고주파수 허용 레벨 이상으로 열화될 수 있다.
종종, 배선은 선재해 있다. 표준 규격으로 커넥터 인터페이스 구조 및 핀 간격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성능 특성의 비용 억제를 개선하기 위해 커넥터 인터페이스 구조 및 핀 간격에 및 배선에 대하여 임의의 변경이 이루어진다.
고속 데이터 전송에 대한 필요성에 앞서서, 비차폐 연선 배선이 사용되었고 커넥터 인터페이스 구조 및 핀 간격에 대한 어떤 표준 규격이 확립되었다. 따라서, 현존하는 비차폐 연선 배선을 사용하고 현존하는 표준 규격을 따르는 한은, 현존하는 커넥터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오늘날의 고속 통신의 성능 요건을 충족시키는 커넥터가 개발되어야 한다.
그 외에도, 와이어 접속 유니트는 통상적으로 땜납 부착 부분 또는 컴플라이언트(compliant) 핀을 사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된다. 양자 모두의 조립 기술은 전형적으로 접점의 어느 한 측면상에 푸시 풋(push foot) 메카니즘을 필요로 하여 왔다. 이러한 푸시 풋 메카니즘에 기인하여, 접점이 조립 고정구를 사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접점들이 0.040" 간격으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인쇄 회로 기판의 환형 (도금 스루(plated through)) 링 구조 요건에 기인하여, 각각의 접점의 각 측면상에 하나의 푸시 풋을 지니는 접점들이 동일한 행에 서로 인접 배치될 수는 없다. 접점들을 0.040" 간격으로 이격시키려면, 단일의 푸시 풋이 이용되어야 하겠지만, 접점의 한 측면상의 단일의 푸시 풋은 일정한 모멘트를 형성하여, 인쇄 회로 기판내에 접점을 삽입하기 곤란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종래의 커넥터는 스트로에데(Stroede) 명의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75,078호, 덴크만(Denkmann)과 그의 동료 명의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 186,647호, 리우(Liu) 명의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228,872호, 데이비스(Davis)와 그의 동료 명의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376,018호, 판들랜드(Pantland)와 그의 동료 명의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580,270호, 포스터(Foster)와 그의 동료 명의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586,914호 및 로하르바우(Roharbaugh)와 그의 동료 명의로 허여된 미국 특허 제5,628,647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 각각의 주제는 본원에 참고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성능 특성을 개선시키지만, 표준 규격의 커넥터 인터페이스 구조 및 접점 간격을 변경시킬 필요가 없는 접점 구조를 지니는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한 목적은 제조하고 사용하기에 간단하고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목적은 인쇄 회로 기판에 접속되며 인접한 접점들이 동일 행에서 근접 배치될 수 있도록 단지 하나의 푸시 풋을 지니는 접점들을 지니는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은 기본적으로 제1 및 제2 부위를 지니고 상기 제1 부위가 자유단부 및 근단부를 지니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에 의해 달성된다. 제1, 제2, 및 제3 쌍의 접점들은 캔틸레버 방식으로 자유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부위에 장착되며 상기 근단부를 향해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다. 제4 쌍의 접점들은 캔틸레버 방식으로 상기 근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부위에 장착되며 상기 자유단부를 향해 상방 및 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한 목적들은 또한 와이어 종단 부분 및 플러그 접속 부분을 지니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플러그 접속 부분은 제1 부위 및 제2 부위를 지니며, 상기 제1 부위가 기단부 및 말 단부를 지닌다. 제1의 복수 개의 접점들은 캔틸레버 방식으로 상기 말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부위에 장착되며 대체로 상기 와이어 종단 부분을 향해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의 복수 개의 접점들에 있어서의 최소한 2개의 접점들은 서로에 인접해 있으며 그들로 부터 연장된 단일의 푸시 풋을 지닌다. 제2의 복수 개의 접점들은 상기 기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제1 부위에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 종단 부분을 향해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를 형성함으로써, 커넥터는 표준 규격의 플러그 커넥터 구조 및 접점 형성부들을 변경시키지 않고, 개선된 성능 특성을 지니게 된다. 특이한 구조로 와이어 접속 유니트의 접점들을 배치시킴으로써, 가우스 필드(Gaussian field)를 상쇄시키기 위한 임계 접점들간의 최대 간격 및 서로 인접한 접점들의 위치 선정이 달성되며, 그럼으로써, 전기 커넥터의 전기 성능이 개선된다. 그 이외에도, 단지 하나의 푸시 풋만을 지님으로써, 접점들은 서로 비교적 근접 배치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인접한 접점의 가우스 필드를 제거하여 전기적인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접점의 능력이 증가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이점들 및 현저한 특징들은 첨부 들면들과 연관지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시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상방으로(upwardly)", "하방으로(downwardly)", "전방으로(forwardly)" 및 "후방으로(backwardly)"와 같은 용어들은 접속 유니트를 어느 특정한 배향으로 제한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는 도면을 참조하면,
도1은 플러그를 끼우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2는 플러그를 끼우기에 앞서, 도1의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3은 도1의 선 3-3을 따라 절취된 와이어 접속 유니트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도4는 도1의 와이어 접속 유니트에 대한 분해 평면도이며,
도5는 2개의 분리 측면상에 하나의 푸시 풋을 지니는, 도3에 도시된, 와이어 접속 유니트용 전기 접점에 대한 확대된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6은 단지 하나의 푸시 풋만을 지니는, 도3에 도시된, 와이어 접속 유니트용 전기 접점에 대한 확대된 부분 종단면도이며,
도7은 도1의 접점 구조를 지니는 와이어 접속 유니트용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부분 평면 사시도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점 구조를 지니는 와이어 접속 유니트용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부분 평면 사시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점 구조를 지니는 와이어 접속 유니트용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부분 평면 사시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접점 구조를 지니는 와이어 접속 유니 트용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부분 평면 사시도이며,
도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접점 구조를 지니는 와이어 접속 유니트용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부분 평면 사시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접점 구조를 지니는 와이어 접속 유니트용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부분 평면 사시도이며,
도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접점 구조를 지니는 와이어 접속 유니트용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부분 평면 사시도이고,
도1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접점 구조를 지니는 와이어 접속 유니트용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부분 평면 사시도이며,
도1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접점 구조를 지니는 와이어 접속 유니트용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부분 평면 사시도이고,
도1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접점 구조를 지니는 와이어 접속 유니트용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한 부분 평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통신 시스템용 고밀도 잭(10)은 도1 내지 도3에 개략적으로, 다시 말하면 도식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한 커넥터는 커넥터 몸체, 즉 하우징(12) 및 상기 커넥터 몸체에 연결된 와이어 접속 유니트(14)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접속 유니트는 인쇄 회로 기판(16)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 회로 기판상에 단자들(18)이 장착된다. 상기 단자들(18)은 표준 규격의 110개의 압접 접점들( IDC;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이며, 도2에 구체화된 형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 규격의 배선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로 기판을 통해, 이들 단자들은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탄성 접점들(20,22,24,26,28,30,32,34)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 접점들은 종래 또는 표준 규격의 플러그(36), 특히 RJ 플러그에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커넥터 몸체내로 연장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 몸체(12)는 잭을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 몸체는 플러그, 교차 접속부 또는 원격 통신 또는 데이터 전송 분야에 있어서의 기타의 커넥터와 같은 어느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다.
커넥터 몸체(12)는 종래의 RJ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해 전방이 개방된 공동부(cavity;38)를 지니는 중공(hollow) 부분인 것이 일반적이다. 8개의 병렬 슬롯(40)은 상기 커넥터 몸체 및 그의 배면상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된다. 탄성 접점( 20-34) 중 한 탄성 접점은 상기 슬롯 각각에 배치된다.
슬롯(40)의 하부 및 플러그 수용 공동부(38)로부터 떨어져 있는 지점에서는, 상기 커넥터 몸체가 요부(42)를 지닌다. 요부(42)는 커넥터 몸체(12)의 배면상에 개방되어 있으며 회로 기판(16)의 일부, 특히 상부에 탄성 접점들(20-34)이 장착되는 회로 기판의 일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선판(44)은 요부(42) 하부의 커넥터 몸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선판(44)은 회로 기판(16)을 지지하며 상기 회로 기판 및 상기 커넥터 몸체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도4 및 도7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16)은 비교적 폭이 좁은 플러그 접속 부분 또는 제1 부위(46) 및 비교적 폭이 넓은 종단 부분 또는 제2 부위(48)로 분할된다. 플러그 접속 부분(46)은 부가적으로, 자유단부 또는 말 단부(52) 및 기단부(64)를 지니는 비교적 폭이 좁은 노즈(nose) 또는 제1 부위(50) 및 근단부(58)를 지니는 비교적 폭이 넓은 부위 또는 제2 부위(56)로 분할된다.
도3 및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탄성 접점(20-34)은 기단부(65), 베이스 부분(66), 접점 부분(68), 및 말단부(69)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부분은 수용되어 인쇄 회로 기판상에 제공되는 회로 경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접접들(20-28)상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느 한 측면상에만이나 또는 접점(30,32)상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양측면상에 측방 돌출부 또는 푸시 풋 메카니즘(86)을 지닌다. 상기 접점 부분은 실질적으로 나란하며 상기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캔틸레버 방식으로 연장되어 있고 커넥터 몸체(12)의 슬롯(40)내의 수용을 위해 일정 각도로 만곡되어 있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16)내의 구멍들 또는 애퍼쳐들(70,72,74,76,78,80,82,84)는 전형적인 땜납 부착 부분 또는 컴플라이언트 핀을 통해 탄성 접점(20-34)을 위한 회로 기판에서의 접속 부분들을 제공한다. 컴플라이언트 핀 기법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16)내의 구멍내에 베이스 부분( 66)이 마찰 방식으로 끼워진다. 양자 모두의 기법은 푸시 풋(86)을 필요로 한다.
푸시 풋 메카니즘(86)에 의해 접점들이 조립 고정구를 사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에서의 환형 (도금 스루) 링 구조 및 표준 규격의 플러그(36)의 접점 구조의 요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잭 접점들은 0.040인치 만큼 이격되어야 한다. 한 측면상에 하나의 푸시 풋을 지님으로써, 접점들이 한 행내에 0.040 인치 간격을 두고 측방 배치될 수 있다. 접점의 모멘트를 고정시키고 단일의 푸시 풋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접점은 회로 기판내의 대응하는 애 퍼쳐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접점들을 보다 더 근접 배치시키면, 인접한 가우스 필드가 보다 크게 저감 또는 상쇄되어, 커넥터의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플러그 접속 부분(46)은 8개의 구멍들 또는 애퍼쳐들(70,72,74,76,78,80,82, 84)을 포함한다. 상기 구멍들 각각의 내부가, 당업계에서 종래 방식으로 행해지는 바와 같이, 전기 도전 재료로 도금되어 있다. 상기 구멍들은 2개의 행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제1 행은 자유단부 또는 말단부(52)에 인접하여 상기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에 장착된 한쌍의 접점들(32,34)을 지닌다. 상기 접점들은, 도4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에 대체로 수직 연장된 다음에 인쇄 회로 기판(16)에 대하여 약 60-70도의 각도로 와이어 종단 부분(48)을 향해 대체로 상향 및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행은 기단부(64)에 인접하여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50)에 장착되며 인쇄 회로 기판(16)에 대하여 약 60-70도의 각도로 상기 와이어 종단 부분(56)을 향해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3쌍의 접점들(20,22,24,26,28,30)을 지닌다. 제2 행의 접점들(즉 20 및 22, 24 및 26, 및 28 및 30) 각각은 단일의 푸시 풋(86)을 지니며, 이러한 푸시 풋은 도6에 구체적인 형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쌍의 접점들에서의 다른 접점으로부터 떨어진 지점에서, 대응하는 접점의 기단부(65)로부터 측방 및 외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행의 접점들은, 도5에 구체적인 형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푸시 풋 또는 푸시 풋 메카니즘을 지닌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접점들(30,32)의 물리적인 간격에 의해 근단 누화 성능이 향상된다.
특히, 접점들(24,26)은 제1 쌍을 형성하고 접점들(34,36)은 제2 쌍을 형성한 다. 이들 제1 및 제2 쌍은, 이들의 배치로 인해, 가장 큰 누화 문제에 직면한다. 이들 2쌍간의 간격이 증가되면, 누화 문제가 저감된다.
도8의 실시예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들은 각각 4개로 구성되는 2개의 행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들 행들은 서로 측방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이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쌍의 접점들이 자유단부 또는 말단부(52)에 인접하여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50)에 장착되는 제1 행의 접점들을 형성하는 접점들(120,126,128,132)로 동등하게 분할된다. 초기에는, 상기 접점들이 인쇄 회로 기판에 대체로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 다음에 와이어 종단 부분(48)을 향해 대체로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다. 접점들(122,124,130,134)은 기단부(64)에 인접하여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50)에 장착된 제2 행의 접점들을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 종단 부분(48)을 향해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행의 접점들 각각이 자유단부(52)로부터는 상기 제1 행에 있어서의 서로의 접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이다. 상기 제2 행의 접점들 각각이 기단부(64)로부터는 상기 제2 행에 있어서의 서로의 접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이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의 접점들은 중립 축 길이 또는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접점이 플러그와 정합하는 지점까지 측정된 길이의 유사성을 갖는다. 중립 축에 있어서의 유사성은 커넥터의 스큐 (skew) 성능을 최적화시킨다.
도8의 구조는 행을 이루는 접점들 및 각 쌍의 2개의 접점들의 간격을 극대화시킨다. 각각의 행에 있어서의 간격은 각각의 접점상에의 2개의 푸시 풋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도9의 실시예
도9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점들이 도8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조와 유사한 이중 행 구조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행의 접점들(즉 접점들(220,226,228,232)) 각각이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 연장되고, 자유단부(52)를 향해 만곡된 다음에, 기단부(64)를 향해 다시 만곡되며, 인쇄 회로 기판의 근단부(58)를 향해 다시 연장되기 전에 돌출부(288)가 만들어 진다. 부가적으로는, 제2 행의 접점들(즉 접점들(222,224,230,234) 각각이 인쇄 회로 기판(16)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 연장된 다음에, 인쇄 회로 기판의 근단부(58)를 향해 다시 연장되기 전에 자유단부(52)를 향해 만곡된다. 이러한 설계는 2개의 행간의 보다 큰 간격을 만들어 내며 중립 축 길이 또는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플러그(36)와의 정합 지점까지의 접점의 간격을 증가시킨다. 중립 축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접점들은 보다 정확하게 미세조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여러 쌍의 접점들 사이에 동일하고 정반대인 전자 간섭을 만들어 낸다. 그러나, 중립 축 길이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전자장에 의해 형성되는 보상이 증가되고, 결과적으로는, 인터페이스 양단에 유도된 전자 간섭이 유사한 구조보다 커지게 된다.
도10의 실시예
도10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점들이 이중 행 구조로 배열되어 있다. 제1 행은 말단부(52)에 인접하여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50)에 장착되는 3쌍의 접점들(320,322,324,326,328,330)을 지닌다. 초기에는, 접점들이 인쇄 회로 기판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 다음에, 와이어 종단 부분(48)을 향해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다. 제2 행은 기단부(64)에 인접하여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 50)에 장착되며 와이어 종단 부분(48)을 향해 대체로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접점들(332,334)을 지닌다. 제1 행에 있어서의 3쌍의 접점들(즉 320 및 322, 324 및 326, 및 328 및 330) 각각은 대응하는 쌍의 접점들에 있어서의 다른 접점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지점에서, 기단부(65)로부터 측방 및 외방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푸시 풋(86)을 지닌다. 제2 행의 접점들은 기단부(65)의 각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푸시 풋 메카니즘을 지닌다. 이같은 접점들의 구조는 특히 한쌍의 접점들 (324,326)에 대하여 한쌍의 접점들(332,334)간의 간격을 증가시켜, 이들 두 접점간의 원치않는 전자 결합을 저감시킨다.
도11의 실시예
도11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접점들이 3개의 행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 행은 말단부(52)에 인접하여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50)에 장착되는 접점들( 422,424,426,428)을 포함한다. 초기에는, 접점들이 인쇄 회로 기판에 실질적으로 수직 연장된 다음에, 와이어 종단 부분(48)을 향해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다. 제2 행은 자유단부 또는 말단부(52)에 인접하지만, 부가적으로는 상기 말단부로부터는 멀고 제3 행의 접점들에 인접하여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50)에 장착되며, 와이어 종단 부분(48)을 향해 대체로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접점들(420,430)을 지닌다. 제3 행은 기단부(64)에 인접하여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50)에 장착되며 와이어 종단 부분(48)을 향해 대체로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접점들(432,434)을 지닌다. 상기 제1 행에 있어서의 내측 쌍의 접점들(424,426) 각각은 그러한 쌍의 접점들의 다른 접점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지점에서, 기단부(65)로부터 측방 및 외방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푸시 풋(86)을 지닌다. 제2 및 제3 행에 있어서의 접점들은 그들의 기단부(65)의 각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푸시 풋을 지닌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도10의 실시예와 성능이 유사하며, 접점들(432,434)간의 전자 결합이 이들 두 접점들의 간격으로 인해 저감된다.
도12의 실시예
도12의 실시예는 또한 3개의 행 구조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제1 행은 말단부(52)에 인접하여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50)에 장착되는 접점들(520,526,528)을 포함한다. 초기에는, 접점들이 인쇄 회로 기판에 실질적으로 수직 연장된 다음에 와이어 종단 부분(48)을 향해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다. 제2 행은 기단부(64)에 인접하지만, 부가적으로는 상기 기단부로부터는 멀고 제3 행의 접점들에 인접하여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50)에 장착되며, 와이어 종단 부분(48)을 향해 대체로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접점들(522, 524, 532)을 포함한다. 제3 행은 기단부(64)에 인접하여 플러그 접속 부분의 제1 부위( 50)에 장착되며 와이어 종단 부분을 향해 대체로 상향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접점들(532,534)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도10 및 도11의 실시예와 유사한 성능을 갖는다.
도13의 실시예
도13에서는, 접점 구조가 자유단부(52)에 인접하여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50)에 캔틸레버 방식으로 장착되는 제1 쌍의 접점들(620,622), 제2 쌍의 접점들(624,626), 및 제3 쌍의 접점들(628,630)을 지닌다. 초기에는, 이들 6개의 접점들이 인쇄 회로 기판에 실질적으로 수직 연장된 다음에 플러그 종단 부분의 근단부를 향해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다. 제4 쌍의 접점들(632,634)은 캔틸레버 방식으로 근단부(58)에 인접하여 플러그 종단 부분(46)의 제2 부위(56)에 장착된다. 접점들(632,634)은 자유단부(52)를 향해 상방 및 전방으로 연장된다. 제1, 제2 및 제3 쌍의 접점들은 각각의 접점이 실질적으로 자유단부로부터 등간격인 한 행으로 연장된다. 제1, 제2, 및 제3 쌍의 접점들 각각은 대응하는 쌍의 접점들에 있어서의 다른 접점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지점에서, 기단부(65)로부터 측방 및 외방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푸시 풋(86)을 지닌다. 제4 쌍의 접점들은 각각의 접점이 실질적으로 근단부로부터 등간격이도록 정렬된다.
접점들(620,622,624,626,628,630)은 전술한 바와 유사한 구조로,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하여 약 60-70도의 각도로 연장된다. 그러나, 접점들(632,634)이, 초기에는, 인쇄 회로 기판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연장된 다음에 60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한 각도로 자유단부를 향해 만곡된다. 이어서, 접점들(632,634)은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부(686)을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에 의해, 플러그가 접점들의 말단부와 접촉하지 않고서도 접점들(632,634)과 용이하게 정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점들의 구조는 접점들(632,634) 및 다른 접점들사이를 최대로 분리 시켜, 그들간의 원치 않는 전자 결합을 저감시킨다. 접점들(620,632)의 물리적인 레이아웃은 접점들(634,630)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장의 크기가 같고 그의 방향이 정반대이여서 각각의 전자장이 상쇄되는 전자 결합이 유도될 수 있는 전자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역방향의 파 결합도 유도시키는 데, 그 이유는 전자파가 인접한 접점들을 통해 정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그 이외에도, 제1 내지 제3 쌍의 접점들 각각이 대응하는 쌍에 바로 인접해 있다라는 사실로 인해 반사 감쇠량이 개선된다.
도14의 실시예
도14의 구조는 도13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접점들(722,724,726,728)은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52)의 기단부(64)에 인접한 추가적인 행을 형성한다. 접점들(720,730,732,734)은 도13의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접점들의 구조는 접점들(732,734)사이를 최대로 분리시켜, 이들 두 접점들간의 원치않는 전자 결합을 저감시킨다. 접점들(720,732)의 물리적인 레이아웃은 접점들(734,730)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장의 크기가 같고 그의 방향이 정반대이여서 각각의 전자장이 상쇄되는 전자 결합이 유도될 수 있는 전자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역방향의 파 결합도 유도시키는 데, 그 이유는 전자파가 인접한 접점들을 통해 정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쌍의 접점들이 서로에 바로 인접해 있지 않기 때문에, 반사 감쇠량은 도13의 실시예 만큼 양호하지는 않다.
도15의 실시예
도15의 실시예는 도14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접점들(820,822,824,830,832, 834)은 도14의 실시예의 해당 접점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배치되지만, 접점들(826,828)은 접점들(822,824)보다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50)의 기단부(64)에 보다 근접 배치됨으로써, 제4 행의 접점들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구조는 도14의 실시예와 유사한 성능을 갖는다. 그러나, 근단부에서의 접점들 및 기단부(64)에서의 접점들 사이가 보다 좁게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성능이 저감된다.
도16의 실시예
도16의 실시예는, 3개의 행을 지닌다는 점에서, 도12의 실시예와 구조상 유사하다. 제1 행은 말단부(52)에 인접하여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50)에 장착되고 와이어 종단 부분(48)을 향해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접점들(920, 926,928)을 포함한다. 제2 행은 기단부(64)에 인접하지만, 부가적으로는 상기 기단부(64)로부터는 멀고 제3 행의 접점들에 인접하여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50)에 장착되고 와이어 종단 부분(48)을 향해 대체로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는 접점들(922,924,932)을 포함한다. 제3 행은 기단부(64)에 인접하여 플러그 접속 부분(46)의 제1 부위(50)에 장착되고 인쇄 회로 기판(16)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 연장되는 접점들(932,934)을 포함한다. 이어서, 접점들(932,934)은 와이어 종단 부분(48)을 향해 대체로 상방 및 후방으로 만곡되기 전에 자유단부(52)를 향해 전방으로 만곡된다. 이러한 구조는 접점들(932,934) 간의 간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도14 및 도15의 실시예의 구조와 유사한 성능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접점들이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향(즉,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어떠한 역방향의 파 결합도 존재하지 않는다.
비록 어떤 구조들이 상기에 언급한 다른 구조들과 동일한 향상된 성능을 지니지 않더라도, 보다 짧은 접점들을 지니는 어떤 구조들, 예를 들면, 도11, 도12, 및 도15에 도시된 구조들은, 기계적인 레이아웃이 편향 한계치로 편향될 경우 그들 구조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도8 내지 도16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접점 구조의 특징부들은 유사 참조 번호로 나타나 있다. 그러한 유사 특징부들의 동일한 설명은 도8 내지 도16에 도시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와이어 접속 유니트의 다른 요소, 예를 들면, 인쇄 회로 기판, 하우징, 및 상기 와이어 접속 유니트의 기타 실시 태양에 대한 설명은 도8 내지 도16의 실시예에 적용된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특정 실시예들이 선택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그러한 특정 실시예에서 여러 변경 및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0)

  1. 평면을 형성하며, 근단부와 자유 단부를 가지는 제 1 부위 및, 제 2 부위를 가지는 회로 기판;
    캔틸레버(cantilever) 방식으로 상기 자유 단부에 근접하게 상기 제 1 부위에 장착되고 상기 근단부를 향하여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 접점들의 제 1, 제 2 및, 제 3 쌍들로서, 상기 접점들의 쌍 각각은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은 기단부 및 말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쌍들의 각각에 있는 상기 제 1 접점은 개별의 쌍에 있는 상기 제 2 의 접점에 근접하여 측방향으로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쌍들의 각각에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들의 기단부들은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자유 단부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접점들의 제 1, 제 2 및, 제 3 쌍들; 및,
    캔틸레버 방식으로 상기 근단부에 근접하게 상기 제 1 부위내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 기판의 자유 단부를 향해 상방 및 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전기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접점들의 제 4 쌍으로서, 상기 제 4 쌍은 제 1 및, 제 2 접점을 가지고,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쌍들에 있는 상기 제 1 접점들의 각각은 각각의 상기 쌍에 있는 상기 제 2 접점과 평행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쌍 각각의 상기 제 1 접점은 개별적인 쌍의 상기 제 2 접점에 근접하여 장착되고, 상기 쌍들의 각각은 평행한, 접점들의 제 4 쌍;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쌍들의 상기 기단부들은 각각 단지 단일의 푸시 풋(push foot)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일 푸시 풋은 개별의 쌍에 있는 다른 접점으로부터 이격되게 개별 접점의 상기 기단부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접점들의 상기 쌍들은 상기 접점들의 각각을 상기 회로 기판에 있는 개별의 애퍼쳐(aperture)내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접점들의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쌍들의 각각에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들의 상기 기단부들은 회로 기판의 자유 단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곧게 배치되는,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쌍들의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들 각각은 기단부에서 종료되는 수직인 부분과, 상기 기단부로부터 상기 말단부로 연장된 수평인 부분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
  6. 평면을 형성하며, 근단부와 자유 단부를 가지는 제 1 부위 및, 제 2 부위를 가지는 회로 기판;
    캔틸레버 방식으로 상기 자유 단부에 근접하여 상기 제 1 부위에 장착되고 상기 근단부를 향하여 상방 및 후방으로 연장된 접점들의 제 1, 제 2 및, 제 3 쌍들로서, 상기 접점들의 각각의 쌍은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가지며, 상기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 각각은 기단부 및 말단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쌍들의 각각에 있는 상기 제 1 접점은 개별의 쌍에 있는 상기 제 2 접점에 근접하여 측방향으로 장착됨으로써,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쌍들의 각각에 있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들의 상기 기단부들은 상기 회로 기판의 상기 자유 단부에 평행하게 회로 기판의 평면에 근접한, 접점들의 제 1, 제 2 및, 제 3 쌍들; 및
    캔틸레버 방식으로 상기 근단부에 근접하게 상기 제 1 부위내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 기판의 자유 단부를 향해 상방 및 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전기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접점들의 제 4 쌍으로서, 상기 제 4 쌍은 제 1 및, 제 2 접점을 가지고,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쌍들에 있는 상기 제 1 접점들의 각각은 상기 각각의 쌍에 있는 상기 제 2 접점과 평행한, 접점들의 제 4 쌍;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쌍들의 상기 제 1 및, 제 2 접점들 각각은 상기 기단부에서 종료되는 수직인 부분과, 상기 기단부로부터 상기 말단부로 연장되는 수평인 부분을 가지는, 전기 커넥터용 와이어 접속 유니트.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37002080A 2000-08-14 2001-08-08 전기 커넥터 접점 구조 KR100819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38,179 2000-08-14
US09/638,179 US6749466B1 (en) 2000-08-14 2000-08-14 Electrical connector contact configurations
PCT/US2001/024766 WO2002015341A1 (en) 2000-08-14 2001-08-08 Electrical connector contact configur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276A KR20030037276A (ko) 2003-05-12
KR100819896B1 true KR100819896B1 (ko) 2008-04-07

Family

ID=2455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080A KR100819896B1 (ko) 2000-08-14 2001-08-08 전기 커넥터 접점 구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749466B1 (ko)
JP (1) JP2004507056A (ko)
KR (1) KR100819896B1 (ko)
CN (1) CN1319213C (ko)
AU (1) AU2001281159A1 (ko)
CA (1) CA2419082C (ko)
GB (1) GB2381136B (ko)
HK (1) HK1055849A1 (ko)
MX (1) MXPA03001339A (ko)
WO (1) WO2002015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1123B2 (ja) * 2002-05-21 2008-03-12 日立電線株式会社 モジュラージャックコネクタ
CN1902785A (zh) * 2003-11-21 2007-01-24 莱维顿制造有限公司 串扰减少的插线面板系统和方法
US7182649B2 (en) * 2003-12-22 2007-02-27 Panduit Corp. Inductive and capacitive coupling balancing electrical connector
US10680385B2 (en) 2004-02-20 2020-06-09 Commscope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compensating for alien crosstalk between connectors
US7187766B2 (en) * 2004-02-20 2007-03-06 Adc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compensating for alien crosstalk between connectors
US20050221678A1 (en) 2004-02-20 2005-10-06 Hammond Bernard Jr Methods and systems for compensating for alien crosstalk between connectors
CA2464834A1 (en) 2004-04-19 2005-10-19 Nordx/Cdt Inc. Connector
DE102005041035A1 (de) * 2005-08-25 2007-03-01 Telegärtner Karl Gärtner GmbH Elektrische Steckbuchse
US7210944B1 (en) * 2005-12-30 2007-05-01 Jess-Link Products Co., Ltd. Connector
US7651380B2 (en) * 2006-02-08 2010-01-26 The Siemon Company Modular plugs and outlets having enhanced performance contacts
US7367849B2 (en) * 2006-03-07 2008-05-06 Surtec Industries,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shortened contact and crosstalk compensation
US20070197102A1 (en) * 2006-02-23 2007-08-23 Hung-Lin Wang Connector for communications systems having category 6 performance using a single compensation signal or higher performance using plural compensation signals
TWI310999B (en) * 2006-05-19 2009-06-11 John Peng Network jack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794286B2 (en) * 2008-12-12 2010-09-14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eparate contact mounting and compensation boards
DE102008064535A1 (de) 2008-12-19 2010-06-24 Telegärtner Karl Gärtner GmbH Elektrischer Verbindungsstecker
US8145442B2 (en) * 2009-01-30 2012-03-27 Synopsys, Inc. Fast and accurate estimation of gate output loading
US7909657B1 (en) * 2009-11-12 2011-03-22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stress, reduced-electrical-length contacts
DE102010014294A1 (de) * 2010-04-08 2011-10-1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ontaktfeld für Steckverbinder
US8052482B1 (en) 2010-10-28 2011-11-08 Jyh Eng Technology Co., Ltd. Female electrical connector
CN102882039B (zh) 2011-07-14 2015-05-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8900015B2 (en) * 2011-10-03 2014-12-02 Panduit Corp.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reduced crosstalk
US8512082B1 (en) * 2012-02-10 2013-08-20 Yfc-Boneagl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ack
US9088106B2 (en) * 2013-05-14 2015-07-21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ommunications jacks hav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with common mode crosstalk compensation
DE102014104446A1 (de) 2014-03-28 2015-10-01 Telegärtner Karl Gärtner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102014104449A1 (de) 2014-03-28 2015-10-01 Telegärtner Karl Gärtner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S9520687B2 (en) 2014-08-21 2016-12-13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High bandwith jack with RJ45 backwards compatibility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for reducing noise
CN104332778B (zh) * 2014-10-14 2016-08-31 智嘉通讯科技(东莞)有限公司 一种分布式语音分离器及其语音插座
WO2018017734A1 (en) * 2016-07-20 2018-01-25 Pic Wire & Cable, Inc. Electrical connector and modules for high-speed connectivity
JP6473728B2 (ja) * 2016-10-06 2019-02-20 矢崎総業株式会社 保護キャップ
USD902157S1 (en) 2017-07-19 2020-11-17 Pic Wire & Cable, Inc. Electrical connector
GB2573566A (en) * 2018-05-11 2019-11-13 Continental Automotive Romania Srl Compact custom press-fit pin with elastic electrical contact lev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1813A (en) * 1998-04-01 1999-10-26 Regal Electronics, Inc. RJ-45 modular connector with microwave-transmission-line integrated signal conditioning for high speed networks
US6093048A (en) * 1997-08-01 2000-07-25 Lucent Technologies Inc. Solderless mountabl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erminal
US6099357A (en) * 1997-06-02 2000-08-08 Reichle +De-Massari Ag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for reducing crosstalk
US6186834B1 (en) * 1999-06-08 2001-02-13 Avaya Technology Corp. Enhanced communic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crosstalk compensation
US6196880B1 (en) * 1999-09-21 2001-03-06 Avaya Technology Corp. Communic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crosstalk compensation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6991A (en) * 1978-09-08 1981-10-27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4274691A (en) * 1978-12-05 1981-06-23 Amp Incorporated Modular jack
ATE4011T1 (de) * 1980-02-12 1983-07-15 Amp Incorporate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verbindung.
KR890004702Y1 (ko) * 1983-03-15 1989-07-15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전화용 접속자
US4975078A (en) 1989-12-15 1990-12-04 Panduit Corp. Modular telephone connector
US5186647A (en) 1992-02-24 1993-02-16 At&T Bell Laboratories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US5228872A (en) 1992-05-05 1993-07-20 Dan-Chief Enterprise Co., Ltd. Shielded IDC type modular jack adapter
US5339107A (en) * 1992-08-19 1994-08-16 Hewlett-Packard Company Color optical scanner with rotating color filter assembly
US5273459A (en) 1992-10-01 1993-12-28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feature for improved contact wiping
SG46385A1 (en) 1992-11-16 1998-02-20 Krone Ag Electrical plug connector
US5639266A (en) 1994-01-11 1997-06-17 Stewart Connector Systems, Inc.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US5791942A (en) 1994-01-11 1998-08-11 Stewart Connector Systems, Inc.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US5628647A (en) 1995-02-22 1997-05-13 Stewart Connector Systems, Inc. High frequency modular plug and cable assembly
US5586914A (en) 1995-05-19 1996-12-24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crosstalk between a plurality of conductors
US5667402A (en) * 1995-12-15 1997-09-16 Denovich; Sam Wire carrier for electrical connector modular
US5997358A (en) * 1997-09-02 1999-12-07 Lucent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ime-delayed signal compensation
KR20010014085A (en) 1997-06-23 2001-02-26 Connector Systems Tech Nv High speed idc modular jack
DE29804543U1 (de) * 1998-03-13 1998-06-18 Hsing Chau Ind Co Modul-Stecker
DE19822630C1 (de) 1998-05-20 2000-09-07 Krone Gmbh Anordnung von Kontaktpaaren zur Kompensation des Nahnebensprechens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3398663B2 (ja) 1998-06-02 2003-04-21 スチュワート・コネクター・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複数ポート多段コネクタ・アセンブリなどの高周波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6162076A (en) * 1998-08-28 2000-12-19 Senior Industries, Inc. Electrical shorting assembly for electrical jacks and the like
US6334792B1 (en) 1999-01-15 2002-01-01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nnector including reduced crosstalk spring insert
CN2377698Y (zh) * 1999-05-07 2000-05-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池连接器
US6157542A (en) * 1999-06-23 2000-12-05 Hsing Chau Industrial Co., Ltd. Electric jack
US6176742B1 (en) * 1999-06-25 2001-01-23 Avaya Inc. Capacitive crosstalk compensation arrangement for communication connectors
US6165023A (en) 1999-10-28 2000-12-26 Lucent Technologies Inc. Capacitive crosstalk compensation arrangement for a communication connector
DE69925126T2 (de) 1999-10-29 2005-09-22 Nexans Modularer Telekommunikationsverbinder mit Übersprechverringerung
US6290506B1 (en) 1999-11-19 2001-09-18 Hubbell Incorporated Modular jack assembly and contact array subassembly therefor having non-parallel intermediate contact and deflection restricting seat
FR2826788B1 (fr) * 2001-06-28 2003-09-26 Arnould App Electr Prise de courants faibles du type "prise (jack) modulaire"
JP4061123B2 (ja) * 2002-05-21 2008-03-12 日立電線株式会社 モジュラージャック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9357A (en) * 1997-06-02 2000-08-08 Reichle +De-Massari Ag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for reducing crosstalk
US6093048A (en) * 1997-08-01 2000-07-25 Lucent Technologies Inc. Solderless mountable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erminal
US5971813A (en) * 1998-04-01 1999-10-26 Regal Electronics, Inc. RJ-45 modular connector with microwave-transmission-line integrated signal conditioning for high speed networks
US6186834B1 (en) * 1999-06-08 2001-02-13 Avaya Technology Corp. Enhanced communic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crosstalk compensation
US6196880B1 (en) * 1999-09-21 2001-03-06 Avaya Technology Corp. Communic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crosstalk compen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19082A1 (en) 2002-02-21
US20040209523A1 (en) 2004-10-21
CN1630964A (zh) 2005-06-22
WO2002015341A1 (en) 2002-02-21
MXPA03001339A (es) 2003-06-06
GB2381136B (en) 2004-06-09
US6749466B1 (en) 2004-06-15
JP2004507056A (ja) 2004-03-04
GB2381136A (en) 2003-04-23
KR20030037276A (ko) 2003-05-12
GB0303320D0 (en) 2003-03-19
CN1319213C (zh) 2007-05-30
US6994594B2 (en) 2006-02-07
CA2419082C (en) 2009-04-28
HK1055849A1 (en) 2004-01-21
AU2001281159A1 (en) 200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896B1 (ko) 전기 커넥터 접점 구조
USRE48230E1 (en) High speed bypass cable assembly
CN112838397B (zh) 插头组件及组装插头连接器的方法
CA2234536C (en) Improvements in multi-pin electrical connectors
US7427218B1 (en) Communications connectors with staggered contacts that connect to a printed circuit board via contact pads
US6102747A (en) Modular connectors
JP3058283B2 (ja) ターミネータ、このターミネータを受け入れるレセプタクル及びターミネータとレセプタクルを組み合わせてなる電気コネクタシステム
KR101021025B1 (ko) 콘택트 플레이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
EP187809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ed differential contact pairs
JP3746250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
US9054460B2 (en) Communication plug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surface mounted blades
KR100318567B1 (ko) 고성능전기컨넥터
US20070042619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ground plane with independently configurable contacts
JPH11224741A (ja) モジュラープラグ
US8864532B2 (en) Communications jacks having low crosstalk and/or solder-less wire connection assemblies
KR20060135964A (ko) 저 인덕턴스 차폐 커넥터
JPH06103635B2 (ja) 接地構造を有するコネクタ
GB2347025A (en) Wiring unit with angl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GB2428337A (en) Enhanced jack with plug engaging printed circuit board
US6394835B1 (en) Wiring unit with paired in-line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US9819131B2 (en) RJ-45 communication plug with plug blades received in apertures in a front edge of a printed circuit board
US621737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wire management system
WO2002021640A1 (en) High speed modular jack
GB2393858A (en) High-frequency socket connector
CN115133356A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