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731B1 - 봉투인쇄가 가능한 정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봉투인쇄가 가능한 정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731B1
KR100819731B1 KR1020060080703A KR20060080703A KR100819731B1 KR 100819731 B1 KR100819731 B1 KR 100819731B1 KR 1020060080703 A KR1020060080703 A KR 1020060080703A KR 20060080703 A KR20060080703 A KR 20060080703A KR 100819731 B1 KR100819731 B1 KR 100819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roller
pressing roller
support bracke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497A (ko
Inventor
원정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0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731B1/ko
Publication of KR20080018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32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03G2215/2025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rotating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팅롤러와, 상기 히팅롤러와 대향되게 마련되며 상기 히팅롤러를 가압하는 최대가압위치와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해제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싱롤러를 포함하는 정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싱롤러의 일측에 상기 프레싱롤러와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프레싱롤러가 상기 최대가압위치와 상기 가압해제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브래킷을 가압하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레버는 상기 프레싱롤러가 상기 최대가압위치와 상기 가압해제위치 사이의 중간가압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브래킷을 가압하는 중간캠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간단한 구조로 봉투인쇄를 구현할 수 있는 화상혀성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봉투인쇄가 가능한 정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FIXING UNIT HAVING EVELOPING PRINTING FUNCTION AND IMAGE FORMING APPRATUS}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a와 도 2b는 종래 정착기의 가압상태와 가압해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기의 최대가압상태의 정면도, 단면도 및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기의 가압해제상태의 정면도, 단면도 및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기의 중간가압상태의 정면도, 단면도 및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레버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200 : 정착기
210 : 히팅롤러 220 : 프레싱롤러
230 : 커버 235 : 가압돌기
240 : 지지브래킷 241 : 브래킷몸체
247 : 가이드레일 250 : 가압레버
251 : 손잡이부 253 : 캠부
255 : 멈춤돌기 260 : 승강스위치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봉투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출력신호에 따라 호스트에서 저장된 화상데이타를 용지에 가시화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되는 감광체와, 감광체 상에 현상제를 선택적으로 현상하는 현상롤러와, 감광체 상에 현상된 현상제를 용지에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수단 등을 마련하여 원하는 화상을 용지에 가시화한다.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복합기 등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는 용지를 적재하는 급지부(10)와, 급지부(10)로부터 공급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40)와, 화상형성부(40)에서 도포된 현상제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용지표면에 정착시키는 정착부(50)와,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부(60)로 이루어진다.
화상형성부(40)는 화상데이타의 화상정보를 광신호로 수령하여 감광체(21)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광주사장치(30)와, 광주사장치(30)에 의해 형성된 감광체(22)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롤러(23)와, 용지와 접촉하며 현상제를 도포하여 용지에 화상을 가시화하는 감광체(22)를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20)를 포함한다.
정착부(50)는 도 2a 및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부(40)에서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가압하는 프레싱롤러(51)와, 프레싱롤러(51)와 대향되게 마련되어 용지에 열을 가하는 히팅롤러(53)와, 프레싱롤러(51)와 히팅롤러(53)를 커버하는 커버(57)를 포함한다. 그리고, 커버(57)의 일측에 마련되어 히팅롤러(53)와 프레싱롤러(51) 사이에 용지걸림이 발생한 경우 프레싱롤러(51)의 히팅롤러(53)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레버(55)가 마련된다. 즉, 정착부(50)는 용지인쇄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5)가 프레싱롤러(51)를 히팅롤러(53)에 가압하고, 용지걸림시는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5)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프레싱롤러(51)의 히팅롤러(53)에 대한 가압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화상형성장치(1)에서 사용자가 봉투를 인쇄하고자 하는 경우 두 겹의 용지로 이루어진 봉투가 화상형성부(40)에서 화상이 형성된 채 정착부(50)로 진입을 하게 되면 두 겹의 용지의 이송송도와 정착부(50)에서 가해지는 열과 압력의 차이에 의해 봉투 표면에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착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하여 주름 없이 봉투인쇄를 가능하게 하는 정착부와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히팅롤러와, 상기 히팅롤러와 대향되게 마련되며 상기 히팅롤러를 가압하는 최대가압위치와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해제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싱롤러를 포함하는 정착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롤러의 일측에 상기 프레싱롤러와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프레싱롤러가 상기 최대가압위치와 상기 가압해제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브래킷을 가압하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레버는 상기 프레싱롤러가 상기 최대가압위치와 상기 가압해제위치 사이의 중간가압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브래킷을 가압하는 중간캠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싱롤러와 상기 히팅롤러를 커버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중간캠프로파일에 의해 접촉가압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레버는 상기 케이싱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단부에 상기 중간캠프로파일이 형성되며 타단부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중간캠프로파일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싱롤러가 상기 최대가압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압돌기를 가압하는 최대캠프로파일과, 상기 중간캠프로파일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싱롤러가 상기 가압해제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압돌기를 가압하는 가압해제캠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압레버는 상기 프레싱롤러의 방향으로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 련된 멈춤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레버가 상기 중간가압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멈춤돌기와 접촉하는 회동저지위치와 상기 멈춤돌기와 이격되어 상기 가압레버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회동가능위치 간을 승강가능하게 상기 지지브래킷에 결합된 승강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래킷은 브래킷몸체와, 상기 브래킷몸체의 판면에 소정길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스위치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로부터 이송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술한 정착기와, 상기 정착기에서 정착된 용지를 배지하는 배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종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1과 동일한 인용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기(200)의 가압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와 사시도이고, 도4a 내지 도4c는 정착기(200)의 가압제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정착기(200)의 봉투인쇄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착기(200)는 용지를 가열하는 히팅롤러(210)와, 히팅롤러(200)와 대향되게 마련되어 히팅롤러(200)를 가압하는 최대가압위치(도3a)와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해제위치(4a) 간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싱롤러(220)와, 이들을 지지하는 커버(230)와, 프레싱롤러(220)와 함께 최대가압위치와 가압해제위치 간을 이동하는 지지브래킷(2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브래킷(240)을 가압하여 프레싱롤러(220)가 최대가압위치(도3a)와, 가압해제위치(도4a), 그리고 최대가압위치와 가압해제위치 사이의 중간가압위치(도5a)를 유지하도록 하는 가압레버(250)와, 가압레버(250)가 중간가압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승강스위치(260)와, 프레싱롤러(220)를 히팅롤러(210)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싱롤러(220)의 최대가압위치(도3a)는 용지에 현상제를 정착하는 상태이고, 가압해제위치(도4a)는 히팅롤러(210)와 프레싱롤러(220) 사이의 용지걸림을 해결하는 상태이고, 중간가압위치(도5a)는 봉투를 인쇄하는 상태에 대응된다.
히팅롤러(210)는 회전축(21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통형의 롤러본체(211)와 그 내측에 마련되어 열을 발생하는 발열체(미도시)를 포함한다. 히팅롤러(210)는 출력신호 인가 후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발열체(미도시)에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체(미도시)에서 발생되는 열이 롤러본체(211)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고, 이 열이 용지의 현상제를 정착시킨다.
프레싱롤러(220)는 회전축(221)과, 회전축(22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통형의 롤러본체(223)와, 롤러본체(223)를 감싸는 탄성층(225)을 포함한다. 탄성층(225)은 히팅롤러(210)에 의해 가압되어 닙을 형성하며 용지를 가압한다. 프레싱롤러(220)는 회전축(221)을 수용하는 지지브래킷(240)의 이동에 따라 회전축(221)이 이동하며 히팅롤러(210)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절한다.
히팅롤러(210)와 프레싱롤러(220)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버(230)는 히팅롤러(210)를 커버하는 히팅롤러커버(231)과, 프레싱롤러(220)를 커버하는 프레싱롤러커버(233)를 포함한다. 히팅롤러커버(231)은 히팅롤러(210)를 커버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히팅롤러 표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히팅롤러(210)로부터 발생된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폐한다. 프레싱롤러커버(233)은 프레싱롤러(220)를 커버하며 지지브래킷(240)과 결합하는 브래킷결합부(234)를 포함한다. 브래킷결합부(234)는 지지브래킷(240)이 프레싱롤러(220)와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브래킷(240)을 지지한다.
한편, 프레싱롤러커버(233)의 판면에는 가압레버(250)의 캠부(253)에 의해 접촉가압되는 가압돌기(235)가 소정길이 마련된다. 가압돌기(23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로 마련되며, 캠부(25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가압돌기(235)가 프레싱롤러커버(233)에 마련되었으마, 경우에 따라 지지브래킷(240)에 마련될 수 도 있다.
한편, 커버(230)는 도1의 본체케이싱(70)의 전면도어(80)를 개방할 경우 도 3b와 같이 외부로 드러난다.
지지브래킷(240)은 브래킷몸체(241)와, 브래킷몸체(241)에 관통 형성되어 프레싱롤러(220)의 회전축(221)을 수용하는 회전축수용부(243)와, 브래킷몸체(241)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프레싱롤러커버(233)의 브래킷결합부(234)와 결합하는 커버결합부(245)와, 승강스위치(260)와 결합하는 가이드레일(247)을 포함한다.
회전축수용부(243)는 프레싱롤러(220)의 회전축(221)을 수용하여 프레싱롤러(220)가 지지브래킷(240)과 함께 이동하도록 한다. 커버결합부(245)는 브래킷결합부(234)와 결합하여 브래킷몸체(241)가 가압레버(250)에 의해 가압되어 최대가압위치와 가압해제위치 간을 이동할 때 프레싱롤러(2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가이드레일(247)는 승강스위치(260)가 승강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브래킷몸체(241)의 일측에 소정 길이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레일(247)의 길이는 승강스위치(260)가 상승하였을 때 승강스위치(260)의 이동부(263)가 가압레버(250)의 멈춤돌기(255)와 접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레일(247)의 너비는 승강스위치(260)의 이동부(263)가 주위의 가압 없이 이동할 수 없도록 이동부(263)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이드레일(247)의 내측에는 멈춤돌기(255)와의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어 상승된 이동부(263)를 지지하는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가압레버(2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된 손잡이부(251)와, 손잡이부(251)의 하부에 마련되어 프레싱롤러커버(233)에 마련된 회전축(254)을 수용하는 회동축수용부(252)와, 회동축수용부(252)의 하부에 마련되어 가압돌기(235)와 접촉하는 캠부(253)와, 판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승강스위치(260)와 접촉되는 멈춤돌기(255)를 포함한다.
캠부(253)는 회전축(254)으로부터의 직경(R1)이 가장 짧게 마련되어 프레싱 롤러(220)가 히팅롤러(210)를 최대가압력으로 가압하여 용지에 화상을 정착시키도록 가압돌기(235)를 가압하는 최대가압캠프로파일(253a)과, 회전축(254)으로부터의 직경(R3)이 가장 길게 마련되어 프레싱롤러(220)가 최소가압력으로 히팅롤러(210)를 가압하여 히팅롤러(210)와 프레싱롤러(220) 사이에 걸린 용지를 제거할 수 있록 가압돌기(235)를 가압하는 가압해제프로파일(253c)과, 최대가압캠프로파일(253a)과 가압해지프로파일(253c) 사이의 직경(R2, R1<R2<R3)을 갖도록 마련되어 프레싱롤러(220)가 히팅롤러(210)를 중간가압력으로 가압하여 봉투에 화상을 정착시키도록 가압돌기(235)를 가압하는 중간가압캠프로파일(253b)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캠프로파일(253a, 253b, 253c)과 회전축(254)과의 직경(R1, R2, R3)을 조절하여 인쇄위치, 봉투인쇄위치, 가압해제위치 시에 프레싱롤러(220)가 히팅롤러(210)를 가압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멈춤돌기(255)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레버(250)의 판면으로부터 프레싱롤러(220)의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멈춤돌기(255)는 중간가압캠프로파일(253b)과 가압돌기(235)의 접촉에 의해 회동이 정지된 가압레버(250)가 탄성부재(270)의 탄성력에 의해 히팅롤러(210) 측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승강스위치(260)와 접촉된다. 멈출돌기(255)는 승강스위치(260)의 이동부(263)와 접촉가능한 어떠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T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승강스위치(260)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레버(250)의 멈춤돌기(255)와 접촉하여 가압레버(250)의 회동을 저지하는 회동저지위치와,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레버(250)의 멈춤돌기(255)와 이격되어 가압레버(250)의 회동을 가능 하게 하는 회동가능위치를 승강가능하게 지지브래킷(240)과 결합한다.
승강스위치(260)는 사용자에 의해 접촉가압되는 스위치본체(261)와, 스위치본체(261)로부터 연장되어 가이드레일(247)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263)를 포함한다. 이동부(263)는 도 3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브래킷(240)의 브래킷몸체(241)를 관통하여 브래킷몸체(241)의 배면에 돌출형성되어 멈춤돌기(255)와 충분히 접촉할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270)는 지지브래킷과 결합되어 프레싱롤러(220)가 히팅롤러(210)를 최대가압상태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270)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동작과정을 도 3a 내지 도 5c를 참조로 설명한다. 한편, 일반적인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도 1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인쇄신호가 인가되면 급지부(10)로부터 용지가 급지된다. 급지된 용지는 화상형성부(40)로 진입한다. 광주사장치(30)에서 주사된 광에 의해 감광체(22)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현상롤러(23)는 감광체(22)의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도포한다. 전사롤러(41)가 전사전압을 인가하여 감광체(22) 표면의 현상제를 용지로 전사시킨다. 현상제가 도포된 용지가 정착부(200)로 진입하면, 최대가압상태(도3a, 3b, 3c)로 히팅롤러(210)를 가압하는 프레싱롤러(220)와 히팅롤러(210)에 의해 현상제가 용지표면에 정착된다.
용지에 현상제를 정착시키는 정착상태에서 정착부(200)는 도3a에 도시한 바 와 같이 가압레버(250)의 최대가압캠프로파일(253a)이 가압돌기(235)와 접촉하고, 탄성부재(270)의 탄성력에 의해 프레싱롤러(220)는 히팅롤러(210)를 최대가압압력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히팅롤러(210)와 프레싱롤러(220)의 회전축(221, 213)은 가장 가까운 거리(d1)에 있게 된다. 이 때, 도3b와 도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스위치(260)는 회동가능위치에 있으며 멈춤돌기(255)는 승강스위치(260)의 이동부(263)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가압레버(250)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회동할 수 있다.
정착부(200)의 히팅롤러(210)와 프레싱롤러(220)의 사이에 용지가 걸린 경우, 사용자는 도1의 전면도어(80)를 개방하고 외부로 드러난 가압레버(250)의 손잡이부(251)를 회동시켜 4a 내지 도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부(253)의 가압해제캠프로파일(253c)과 가압돌기(235)가 접촉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탄성부재(270)의 탄성력에 반하여 프레싱롤러(220)가 가압해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히팅롤러(210)와 프레싱롤러(220) 사이의 용지를 제거할 수 있다.
용지를 제거한 후 사용자는 가압레버(250)를 다시 회전하여 최대가압캠프로파일(253a)이 가압돌기(235)와 접촉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봉투에 화상을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면도어(80)를 개방하고 승강스위치(260)의 손잡이본체(261)를 상승시켜 도5a 내지 도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저지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가압레버(250)를 회동시켜 중간가압캠프로패일(253b)이 가압돌기(235)와 접촉하도록 한다. 이 때, 가압레버(250)의 멈춤돌기(255)가 승강스위치(260)의 이동부(263)와 접촉하며 가압레 버(250)는 탄성부재(270)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지 않고 중간가압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용지인쇄시보다 적은 가압력에 의해 봉투에 현상제를 정착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가압레버의 캠형상과 멈춤돌기의 구성에 의해 용지인쇄시보다 적은 압력으로 봉투를 인쇄시킬 수 있으므로 봉투의 주름발생을 줄일 수있다.
또한, 가압레버의 캠형상을 변화시키므로 인해 봉투 인쇄시 가해지는 압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봉투를 인쇄시킬 수 있는 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주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정착기 및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7)

  1. 히팅롤러와, 상기 히팅롤러와 대향되게 마련되며 상기 히팅롤러를 가압하는 최대가압위치와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해제위치 간을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싱롤러를 포함하는 정착기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롤러의 일측에 상기 프레싱롤러와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과 상기 프레싱롤러가 상기 최대가압위치와 상기 가압해제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브래킷을 가압하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레버는 상기 프레싱롤러가 상기 최대가압위치와 상기 가압해제위치 사이의 중간가압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브래킷을 가압하는 중간캠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롤러와 상기 히팅롤러를 커버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프레싱롤러커버와 히팅롤러커버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프레싱롤러커버에는 상기 중간캠프로파일에 의해 접촉가압되는 가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레버는,
    상기 프레싱롤러커버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일단부에 상기 중간캠프로파일이 형성되며 타단부는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중간캠프로파일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싱롤러가 상기 최대가압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압돌기를 가압하는 최대캠프로파일과, 상기 중간캠프로파일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싱롤러가 상기 가압해제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가압돌기를 가압하는 가압해제캠프로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레버는 상기 프레싱롤러의 방향으로 상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된 멈춤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레버가 상기 중간가압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멈춤돌기와 접촉하는 회동저지위치와 상기 멈춤돌기와 이격되어 상기 가압레버가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회동가능위치 간을 승강가능하게 상기 지지브래킷에 결합된 승강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은 브래킷몸체와, 상기 브래킷몸체의 판면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스위치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기.
  7. 용지가 적재되는 급지부와, 상기 급지부로부터 이송된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정착기와, 상기 정착기에서 정착된 용지를 배지하는 배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80703A 2006-08-24 2006-08-24 봉투인쇄가 가능한 정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819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703A KR100819731B1 (ko) 2006-08-24 2006-08-24 봉투인쇄가 가능한 정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703A KR100819731B1 (ko) 2006-08-24 2006-08-24 봉투인쇄가 가능한 정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497A KR20080018497A (ko) 2008-02-28
KR100819731B1 true KR100819731B1 (ko) 2008-04-07

Family

ID=3938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703A KR100819731B1 (ko) 2006-08-24 2006-08-24 봉투인쇄가 가능한 정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7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0062A (ja) * 1997-02-27 1998-09-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20030043135A (ko) * 2001-11-27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정착장치
KR20050029900A (ko) * 2003-09-24 2005-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KR20060069732A (ko) * 2004-12-18 200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070012191A (ko) * 2005-07-21 2007-01-25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0062A (ja) * 1997-02-27 1998-09-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20030043135A (ko) * 2001-11-27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기의 정착장치
KR20050029900A (ko) * 2003-09-24 2005-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KR20060069732A (ko) * 2004-12-18 200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KR20070012191A (ko) * 2005-07-21 2007-01-25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497A (ko)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8029B2 (ja)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224206B2 (en) Fusing unit including roller adjustment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745792B2 (ja) 定着装置
JP5331742B2 (ja) 画像形成装置
US7647016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6638200B2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加圧装置、および押付装置
KR101821616B1 (ko) 화상형성장치
JP579605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93020A (ja) 画像形成装置
JP5095341B2 (ja) 画像形成装置
JP543712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複合装置
US20070160398A1 (en) Fixing unit f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9335692B1 (en) Fix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pressing device, and urging device
KR100819731B1 (ko) 봉투인쇄가 가능한 정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JP2007010696A (ja) 画像形成装置
JP5706365B2 (ja) シート載置装置
JP2010262045A (ja) 画像形成装置
JPH05289564A (ja) 定着装置
JP3931555B2 (ja) 画像形成装置
JP5901811B2 (ja) シート載置装置
JP7441406B2 (ja) 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50185983A1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275328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155149A (ja) 画像形成装置
KR101043393B1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