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8405B1 - 육묘포트 - Google Patents

육묘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8405B1
KR100818405B1 KR1020010059255A KR20010059255A KR100818405B1 KR 100818405 B1 KR100818405 B1 KR 100818405B1 KR 1020010059255 A KR1020010059255 A KR 1020010059255A KR 20010059255 A KR20010059255 A KR 20010059255A KR 100818405 B1 KR100818405 B1 KR 100818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paper
pot
thermoplastic resin
pap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5725A (ko
Inventor
나리시마토모후미
야시로마코토
Original Assignee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966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017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96691A external-priority patent/JP4763123B2/ja
Application filed by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세이시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5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8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8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육묘기간중에는 폴리포트와 동등하게 양호한 육묘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육묘종료후에는 포트마다 토양에 이식가능하고, 이식후는 빠르게 생분해하는 육묘용 포트 또는 종이와 동일하게 하여 폐기하거나 소각하거나 하여 처분할 수 있는 육묘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이기재상에 내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층을 갖춘 적층시트를 사용하여, 외면이 종이기재, 내면이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되도록 성형되어 이루어진 톱컬부분이 없는 육묘포트. 이 포트에 사용하는 종이기재는 기계사펄프를 20중량% 이상 함유함과 동시에 단면침투가 0∼5mm이다.

Description

육묘포트{A POT FOR GROWING YOUNG PLANTS}
도 1은 본 발명의 육묘포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육묘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의 플라스틱제 폴리포트가 갖는 바와 같은 육묘종료후의 폐기의 문제가 없고, 육묘기간중에는 육묘포트로서의 형태와 강도를 유지함과 동시에, 육묘종료후에는 포트마다 토양에 이식하므로써 빠르게 생분해하고, 환경오염의 염려가 없는 육묘포트 또는 종이와 같이 취급하고 폐기나 소각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육묘포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농업용이나 원예용의 육묘포트로서는 저렴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점에서, 염화비닐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제 폴리포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폴리포트는 육묘후는 쓰레기로 폐기되고, 매립하거나 소각에 의해 처분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포트는 매립하여 처리되어도 수지 자신에 생분해성이 없어 언제까지나 분해하지 않고 남아있으므로, 매립지의 적지(跡地)이용이 제한되거나, 표층부의 폴리포트가 비산(飛散)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소각처리하는 경우에는 연소온도가 높기 때문에 가열로를 손상하기 쉽거나, 염화비닐의 경우에는 처 리조건에 따라 다이옥신이 발생할 염려가 있으므로, 환경상 및 건강상에 문제가 있다.
이들에 대한 대책으로서, 펄프성형포트나 생분해수지포트 등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전자의 펄프성형포트의 경우에는 생산효율이 열세하고 또한 제조시에 다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후자의 성형가공한 생분해성 수지포트의 경우에는 수지가 고가이고, 시장으로의 보급이 곤란하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이기재의 육묘포트나 화분이 여러가지 제안되고, 생분해하기 쉬운 셀룰로오스 섬유의 내생분해성을 제어하기 위한 약품을 초지(抄紙)시에 첨가하거나, 종이로 이루어진 시트에 이들 약품을 도포, 함침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국특개평 8-116796호 공보에는, 내후성향상제로서 부식산(humic acid), 니트로부식산, 재생부식산 및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초지시에 첨가한 종이로 제조된 생육이식용 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특개평 8-116797호 공보에는 부식산, 니트로부식산, 재생부식산 및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에 더하여, 방미제인 8-옥시퀴놀린동을 첨가한 종이를 사용하여 용기의 측면 외측을 제조한 육묘이식용 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특개평 9-294481호 공보에는 생분해성을 제어하기 위해서 왁스에멀젼 또는 왁스에멀젼과 방미제를 병용한 종이로 제조된 육묘이식용 화분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육묘이식용 화분은 어느 것이라도, 원료종이중에 항균작용을 갖는 약품 을 부여하여 생분해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이용한 것이지만, 이들 항균작용을 갖는 약품은 토양중의 식물에 유효한 미생물의 활동을 또한 억제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방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폴리포트와 같이 육묘성능을 충분하게 만족시키면서, 육모후에 포트마다 토양에 이식하는 것이 가능한 육묘포트나, 육묘후는 폴리포트가 가지고 있는 폐기처리에 관한 문제를 생기게 하지 않는 육묘포트가 바람직하지만, 아직 제품화되어 있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종이기재의 생분해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종이기재로의 물의 침투성이 육묘포트의 형상의 안정성이나 생분해성에 영향이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육묘기간중에는 플라스틱제 폴리포트와 동등하게 양호한 육묘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육묘종료후에는 포트마다 토양에 이식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식후는 빠르게 생분해하고,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육묘용 포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육묘기간중에는 플라스틱제 폴리포트와 동등한 양호한 육묘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육묘종료후에는 종이와 동일하게 취급하고 폐기나 소각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폴리포트가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이 폐기시의 환경오염을 염려하지 않고 폐기처분할 수 있는 육묘용 포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종이기재상에 내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층을 갖춘 적층시트를 사용하여, 외면이 종이기재, 내면이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도록 성형되어 이루어진 톱컬(top curl)부분을 갖지 않는 육묘포트로서, 상기 종이기재가 기계사펄프를 20중량% 이상 함유함과 동시에, 단면침투가 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포트에 의해 달성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면침투는 종이기재의 표리양면에 25㎛두께의 폴리에스테르필름 접착테이프를 부착하고, 5cm각으로 절단한 시험편을 23℃의 물에 24시간 침지한 후, 4변의 단부로부터 침투하는 물의 침투거리를 측정한 것이고, 종이기재로의 물의 침투성의 평가지표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면침투가 0∼5mm인 종이기재상에 내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층을 갖춘 적층시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포트와 같이 효율 좋게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톱컬부분이 없는 컵과 같은 형상으로 한다. 즉, 일반적으로 음료용 종이컵 상부에는 액체를 마시기 쉽게 하기 위해서 톱컬을 갖추고, 손으로 누른 때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육묘포트의 경우에는 고체인 토양을 포트 안에 넣기 때문에, 몸통부를 쥐고 누르더라도 형상이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에, 톱컬부분은 필요하지 않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는 것은 기존의 종이컵 제조기의 금형을 바꾸기만 하면 종래의 제조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 좋게 포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통상의 종이컵에 있어서는 톱컬부가 찢어지지 않도록 그것에 견딜 수 있는 잘 늘어나는 원료종이가 필요하므로, 원료종이 선택의 범위가 한정되지만, 본 발명의 육묘포트의 경우에는 톱컬부분이 없으므로, 원료종이의 선택이 한정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품의 육묘포트의 몸통부 및 바닥부는 종이기재상에 내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층을 갖춘 적층시트로 이루어지고, 외면이 종이기재이고, 내면이 내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되어 있다. 종이기재는 강도가 높아 포트로서의 형태를 유지한다. 한편, 내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층은 포트 안의 토양으로부터 종이로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열접착하는 것에 의해 성형성을 부여한다. 보다 강한 내수성이 요망되는 경우에는 종이기재의 양면에 열가소성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육묘포트의 외면에 사용되는 종이기재는 원료펄프중에 기계사펄프를 20중량% 이상 함유할 필요가 있다. 기계사펄프는 화학펄프에 비하여 내생분해성이 높다. 기계사펄프가 20중량% 이하이면 육묘중의 포트의 형태가 유지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기계사펄프로는 종이펄프 기술협회편의 「종이펄프의 종류와 그 시험법」중에 표시된 TAPPI표준법 T-401에 따라서 정의되는 것으로서, 염색액으로서 윌손염색액을 사용한 때 황색으로 염색되는 섬유를 기계사펄프로 하고, 다른 것을 비기계사펄프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계사펄프로서는 쇄목펄프(GP), 리파이너그랜드펄프(RGP), 서모미캐니컬펄프(TMP), 케미서모미캐니컬펄프(CTMP)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기계펄프의 정의는 이들의 펄프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지(古紙)를 원료로 한 탈묵(脫墨)펄프, 재생펄프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종이기재는 전술한 단면침투가 0∼5mm인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본 발명의 육묘포트가 액체용 종이용기와 같은 종이의 단면이 노출하지 않는 스카이브헤밍처리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아니므로, 몸통부의 열접착부 및 바닥부의 물을 뽑아내는 구멍부에서는 원료종이의 단부가 노출되어, 다량의 수분을 함유한 토양과 항상 접촉하므로, 수분이 종이층에 침입하기 쉽게 되기 때문이다. 단면침투가 5mm를 넘으면, 종이층에 수분이 침투하여 강도가 저하하고, 이동시에 포트가 파괴되거나 바닥이 빠지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또한, 종이기재가 다량의 물을 포함하면 육묘를 저해하는 곰팡이 등이 발생하거나, 육묘기간중에 종이기재가 노후균에 의해 분해되고, 육묘포트로서의 형태를 유지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를 생기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생분해성의 수지이거나 합성수지인 것인 필요하다. 열가소성 수지가 생분해성인 경우에는 육묘종료후에는 포트마다 토양에 이식하는 것에 의해 분해시킬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육묘용 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가 합성수지인 경우에는, 육묘종료후에 종이와 같이 취급하여 폐기나 소각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육묘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묘포트의 내면에 사용하는 내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생분해성 수지로서는 폴리히드록시부틸레이트, 폴리젖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수식(修飾)전분,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키토산/셀룰 로오스/전분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합성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등의 일반적인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의 열접착 가능온도는 140℃ 이상, 350℃ 미만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의 열접착 가능온도가 140℃ 미만이면, 롤상으로 또는 한 장씩 종이기재를 겹칠때, 수지면과 종이면 또는 수지면끼리에서, 보관시에 블로킹이 일어나기 쉽게 되어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열접착 가능온도가 350℃를 넘으면, 종이가 열에서 변색하거나 강도저하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를 생기게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적층시트에 있어서, 종이기재와 내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층과의 중첩비는 70/30∼95/5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비율이 30중량%를 넘어서 그 이상 증가하여도, 내수성이나 열접착성이 변하지 않고 코스트상승의 요인으로 될 뿐이다. 수지비율이 5% 미만이면, 수지피막이 얇아져서, 내수성이나 열접착성이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내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층의 종이기재로의 적층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의 적층방법은 수지를 압출기 등에서 막모양으로 한 후 종이기재에 적층하는 소위 압출라미네이션, 미리 제막된 수지필름을 가열로울러로 종이기재에 압착하는 소위 열라미네이션, 종이기재나 수지필름중 어느 한쪽면에 접착제나 점착제를 도공하여 적층하는 소위 드라이라메네이션 또는 웨트라미네이션, 수지를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하여 종이기재에 도공건조하는 등의 방법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종이기재와 내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시트의 평균중량은 50∼4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50g/㎡ 이하에서는 강도가 부족하여 용기로서의 형태를 유지할 수 없고 또한 강도저하가 현저하므로 파괴되기 쉽게 된다. 또한, 400g/㎡를 넘으면 강도가 지나치게 강하게 되어, 성형하기 어렵게 되므로 성형효율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본 발명품의 육묘포트는 예컨대, 생분해성이고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육묘포트의 경우에는, 저렴한 고지원료를 사용한 종이기재에 수식전분 필름의 열라미네이트를 실시하고, 상당히 생산성이 높은 기존의 종이컵의 제조기를 사용하여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폴리포트에 가까운 가격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한편, 육묘종료후에는 포트마다 토양에 이식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식후에는 빠르게 분해하므로, 폴리포트가 갖는 바와 같은 폐기처리의 문제가 없다. 또한, 육묘종료후, 종이와 같이 취급하여 폐기, 소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열가소성 수지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경우에는 육묘후에 종이와 같이 폐기하거나 소각하여 처분할 수 있는 육묘포트로 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평가는 이하의 항목에 관해서 행하였다.
열접착성 가능온도 : 종이기재 표면에 15㎛두께의 수지층을 형성시키고, 5cm폭의 장척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열접착 테스터(상품명 : TP-701s, 테스터산업(주) 제)에서, 게이지압(gage pressure) 1kgf/㎠, 1초간, 규정온도에서 원료종이면과 수지피막면을 겹치고, 접착처리를 행하였다. 평가는 열접착면을 박리한 때에, 원료종이의 지층 사이에서 박리하는 최저온도를 열접착 가능온도로 행하였다.
단면침투 : 종이기재의 표리양면에 25㎛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점착테이프를 붙이고, 5cm 각으로 절단하여 시험편으로 하였다. 23℃의 물에 시험편을 24시간 침지한 후, 4변의 단부로부터 침투한 물의 침투거리를 측정하였다.
형상평가 : 배양토(일청제유(주)제)를 육묘포트에 넣고, 25℃로 보존한 온실중에서, 물주기를 1회/일 행하여 보관하였다. 1개월후의 육묘포트의 외관과 곰팡이의 발생상황을 눈으로 관찰하였다. 생분해성 육모포트의 경우에는 더욱이 배양토(일청제유(주)제)를 넣은 플랜트에 육묘포트마다 이식하고, 2개월 후에 형태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1
기계사펄프를 30중량% 함유한 고지원료로부터 제조된 재생펄프로 이루어지고, 평균중량이 200g/㎡인 종이기재에, 두께가 15㎛인 수식전분필름(열접착 가능온도 : 200℃)을 열라미네이트하였다. 이 종이기재의 단면침투는 0.1mm이었다. 다음에, 이 적층시트로부터 포트성형용으로 몸통부와 바닥부를 잘라내고, 컵성형기에서 도 1의 형상의 육묘포트를 성형하고, 얻어진 포트에 관해서 형상평가를 행하였다. 육묘종료시의 육묘포트의 외관에는 전혀 변화가 나타나지 않고, 바닥부에도 곰팡이 등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플랜트에 이식하여 2개월 후에는 포트의 형상은 전혀 잔존하지 않고, 완전히 흙과 동화되어 있었다.
비교예 1
기계사펄프를 포함하지 않는 고지원료로 제조된 재생펄프로 이루어진 평균중량이 200g/㎡인 종이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전부 동일하게 하여 적층시트 및 육묘포트를 제조하였다. 이 종이기재의 단면침투는 10mm이었다. 형상평가를 행한 결과, 몸통부의 실(seal)부분과 바닥부를 중심으로, 전체에 곰팡이의 발생이 확인되어 들어올리면 종이가 절단되었다.
비교예 2
수지두께를 3㎛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전부 동일하게 하여 육묘포트를 성형하였다. 성형시에 있어서 열접착성이 열세하므로, 불량품이 다량으로 발생하였다.
비교예 3
시판 폴리포트에 관해서 형상평가를 행한 결과, 육묘기간중 플랜트에 이식한 후의 포트의 형태에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
기계사펄프를 30중량% 함유한 고지원료로 제조된 재생펄프로 이루어지고, 평균중량이 200g/㎡인 종이기재에, 저밀도폴리에틸렌수지(진비중 : 0.92, 열접착 가능온도 : 180℃)를 20㎛의 두께로 압출하여 라미네이션하였다. 이 종이기재의 단면침투는 0.1mm이었다. 다음에, 이 적층시트로부터 포트성형용으로 몸통부와 바닥부를 절단하고, 컵성형기에서 도 1의 형상의 육묘포트를 성형하였다. 얻어진 포트에 관해서는 형상평가를 행하였다. 외관에는 전혀 변화가 발견되지 않고, 바닥부에도 곰팡이 등의 발생이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4
기계사펄프를 포함하지 않은 고지원료로 제조된 재생펄프로 이루어진 평균중량이 200g/㎡인 종이기재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전부 동일하게 하여 적층시트 및 육묘포트를 제조하였다. 이 종이기재의 단면침투는 10mm이었다. 형상평가를 행한 결과, 몸통부의 접착부분과 바닥부를 중심으로, 전체에 곰팡이의 발생인 확인되어 들어올리면 종이가 절단되었다.
이들 실시예, 비교예의 결과는 본 발명의 유효성을 실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육묘포트는 저렴할 뿐만 아니라 환경적성이 우수하다. 또한, 종래의 플라스틱제 폴리포트에 비하여 인쇄성이 우수한 종이기재를 외면에 사용하므로, 바코드나 육묘의 간단한 설명 등을 인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는 특징도 겸하여 갖추고 있다.

Claims (5)

  1. 종이기재상에 내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층을 설치한 적층시트를 사용하여, 외면이 종이기재, 내면이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되도록 성형되어 이루어진 톱컬부분을 갖지 않는 육묘포트로서, 상기 종이기재가 기계사펄프를 20중량% 이상 함유함과 동시에 단면침투가 0∼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포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시트가 종이기재와 내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층의 중량비가 70/30∼95/5임과 동시에 중량이 50∼400g/㎡인 적층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포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의 열접착가능온도가 140℃ 이상, 35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포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생분해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포트.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포트.
KR1020010059255A 2000-09-28 2001-09-25 육묘포트 KR100818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96691 2000-09-28
JPJP-P-2000-00296692 2000-09-28
JP2000296692A JP2002101759A (ja) 2000-09-28 2000-09-28 育苗ポット
JP2000296691A JP4763123B2 (ja) 2000-09-28 2000-09-28 育苗ポ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725A KR20020025725A (ko) 2002-04-04
KR100818405B1 true KR100818405B1 (ko) 2008-04-01

Family

ID=37479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255A KR100818405B1 (ko) 2000-09-28 2001-09-25 육묘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8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683B1 (ko) 2023-04-26 2023-11-02 (주)에이스멀치 자연생분해 기능성 육묘용 포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320B1 (ko) 2006-12-14 2008-05-2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통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8671A (ja) * 1995-10-04 1997-04-15 Dainippon Printing Co Ltd 生分解性育苗ポット
JPH09294481A (ja) * 1996-04-30 1997-11-18 Oji Paper Co Ltd 育苗移植用紙鉢
KR0148196B1 (ko) * 1995-07-01 1998-08-01 소메야 소진 종이 육묘 포트
KR200170421Y1 (ko) * 1999-08-31 2000-02-15 박승근 양면이 비닐 코팅처리된 종이로 만들어진 화분
JP2000041500A (ja) * 1998-07-31 2000-02-15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育苗容器用原紙
JP2000217442A (ja) * 1999-02-03 2000-08-08 Okura Ind Co Ltd 育苗ポッ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8196B1 (ko) * 1995-07-01 1998-08-01 소메야 소진 종이 육묘 포트
JPH0998671A (ja) * 1995-10-04 1997-04-15 Dainippon Printing Co Ltd 生分解性育苗ポット
JPH09294481A (ja) * 1996-04-30 1997-11-18 Oji Paper Co Ltd 育苗移植用紙鉢
JP2000041500A (ja) * 1998-07-31 2000-02-15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育苗容器用原紙
JP2000217442A (ja) * 1999-02-03 2000-08-08 Okura Ind Co Ltd 育苗ポット
KR200170421Y1 (ko) * 1999-08-31 2000-02-15 박승근 양면이 비닐 코팅처리된 종이로 만들어진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683B1 (ko) 2023-04-26 2023-11-02 (주)에이스멀치 자연생분해 기능성 육묘용 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725A (ko) 200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4060B1 (en) Biodegradable fibrous support for soil mulching
US20020136848A1 (en) Lactone-containing resin composition, molded object thereof, and film
US20100115836A1 (en) Biodegradable agricultural growth management tools
US6903053B2 (en) Agricultural items and agricultural methods comprising biodegradable copolymers
CA2092963A1 (en) Ground cover sheet formed of variable biodegradable cellulosic fiber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WO1999063001A1 (fr) Composition de resine de polyester biodegradable, composition de resine biodesintegrable et objets moules que ces compositions permettent de fabriquer
EP0454104A1 (en) Biodegradable sheet material and its application
US20030056433A1 (en) Biodegradable paper-based agricultural substrate
US6401390B1 (en) Multilayer biodegradable mulch and methods for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DE3938738C2 (ko)
EP2036427B1 (en) Container for plant cultivation
US20010022048A1 (en) Biodegradable tray for raising seedlings
KR100818405B1 (ko) 육묘포트
JP2004524862A (ja) 雑草防除用生分解性マルチングマ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074838A1 (en) Seedling pot
JP4763123B2 (ja) 育苗ポット
JPH0998671A (ja) 生分解性育苗ポット
JP2006197895A (ja) 育苗ポット
JP2742347B2 (ja) 生分解性不織布成型容器
JP2002101759A (ja) 育苗ポット
EP1543947A1 (en) Cardboard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U2001268301B2 (en) Agricultural items and methods comprising biodegradable copolymers
KR100600472B1 (ko) 통기성 요철부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 포장재
CN213548729U (zh) 一种可降解抗菌增氧地膜
JP2000041500A (ja) 育苗容器用原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