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7208B1 - 자동차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컵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7208B1
KR100817208B1 KR1020070063225A KR20070063225A KR100817208B1 KR 100817208 B1 KR100817208 B1 KR 100817208B1 KR 1020070063225 A KR1020070063225 A KR 1020070063225A KR 20070063225 A KR20070063225 A KR 20070063225A KR 100817208 B1 KR100817208 B1 KR 100817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up
cup holder
receiv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미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ix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서 컵의 크기에 상관없이 다양한 사이즈의 컵을 자유자재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컵홀더를 인입출가능하게 수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여 차량 내부의 바닥 위에 취부되는 고정브라켓; 컵을 수용하는 "U"자 형상의 수용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고정브라켓에 인입출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용부 내부의 일측 상단에 구비된 제1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 내부의 타측 상단에 구비된 제2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구비되어서 컵이 안착되게 하는 소정 깊이의 안착부을 구비한 몸체; 컵의 크기에 따라 탄성적으로 작동하는 두 개의 지지암을 구비하여서 상기 몸체의 제1 지지부에 취부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어서 지지되는 컵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지지암의 작동을 조장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제1 지지부의 결합홈에 끼워진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 및 제1 스프링을 상기 몸체에 취부하는 고정부재; 상기 몸체의 안착부에 끼워져서 컵을 받치는 받침판; 및 상기 컵이 추가로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의 제2 지지부에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컵홀더, 지지대, 지지암, 보조지지대

Description

자동차용 컵홀더{Cup holder for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결합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고정브라켓 12: 수납부
14: 회동고정부 16: 댐퍼장착홈
20: 몸체 20-1: 제1 몸체
20-2: 제2 몸체 21: 수용부
22: 제1 지지부 23: 제2 지지부
24: 안착부 25: 결합홈
26: 수용홈 27: 고정편
28: 랙크 29: 결합부
30: 지지대 32: 지지암
34: 힌지부 40: 제1 스프링
50: 고정부재 60: 받침판
70: 보조지지대 72: 제2 스프링
80: 커버
본 발명은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서 컵을 지지하되 컵의 사이즈에 맞게 변형되게 하여서 하나의 컵홀더를 이용하여도 다양한 사이즈의 컵을 지지할 수 있게 하며 컵홀더가 수납되게 하여 차량 내부의 심미감을 향상시켜주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바닥 위인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카세트 테이프, 동전 및 담배 등의 각종 소품을 넣어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갖춘 콘솔박스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콘솔박스에는 차량의 주행 중 실내에서 각종 청량 음료나 건강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컵을 놓을 수 있는 홀더(이하, 컵홀더라 함) 또는 트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컵홀더는 주간 운전중이나 야간 운전중 수시로 사용하는 사용 빈도가 높은 부품 중의 하나로써, 다양한 물건을 수납하거나 고정시키는 등의 필요한 성능 및 조작성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컵홀더는 수용되는 컵의 사이즈에 맞게 컵홀더가 설계되어 그 사이즈 에 맞는 컵만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다양한 크기를 갖는 컵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컵홀더가 다수개 구비되게 하여 차량 고객들에게 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현재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컵홀더는 일정한 크기로 고정되어 있어 컵 사이즈별로 대응하기란 불가능하다. 즉, 컵홀더와 컵 사이즈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주행 중 컵이 흔들려 그 안에 있는 물질이 엎질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컵 사이즈에 맞게 컵홀더가 능동적으로 조절되게 하여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컵홀더의 동작을 더욱 효율화시킬 수 있고 컵홀더를 수납하여 보관되게 함으로써 내부의 심미감을 향상시켜주는 자동차용 컵홀더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컵을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를 수용하는 수납부와, 상기 컵홀더가 수납부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인입출되도록 하는 회동고정부와, 상기 회동고정부에 의한 컵홀더의 회동이 피니언 기어에 의해 작동되도록 댐퍼가 설치된 댐퍼장착홈을 구비하여서 차량 내부의 바닥 위에 취부되는 고정브라켓; 컵을 수용하는 "U"자 형상의 수용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피니언 기어와 결합되는 랙크 기어와 상기 회동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통해 상기 고정브라켓의 수납부로부 터 인입출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용부 내부의 일측 상단에 구비된 제1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 내부의 타측 상단에 구비된 제2 지지부와,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 구비되어서 컵이 안착되게 하는 소정 깊이의 안착부을 구비한 몸체; 컵의 크기에 따라 탄성적으로 작동하는 두 개의 지지암을 구비하여서 상기 몸체의 제1 지지부에 취부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어서 지지되는 컵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지지암의 작동을 조장하는 제1 스프링; 상기 제1 지지부의 결합홈에 끼워진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 및 제1 스프링을 상기 몸체에 취부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몸체의 안착부에 끼워져서 컵을 받치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컵이 추가로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의 제2 지지부에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지지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제2 지지부 측에는 상기 보조지지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구비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브라켓, 몸체, 지지대, 고정부재, 받침판 및 보조 지지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2 몸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합성수지재의 마감재로 처리된 커버를 더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결합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크기의 컵을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는, 고정브라켓(10), 몸체(20), 지지대(30), 제1 스프링(40), 고정부재(50), 받침판(60), 보조지지대(70) 및 커버(8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0)은 컵홀더를 수용하는 수납부(12)를 구비하여 차체 내부의 바닥 위에 취부되어서 컵을 지지하기 위한 몸체(20)를 회동가능하게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10)의 하측에는, 컵홀더의 몸체(20)가 수납부(12)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인입출되도록 하는 회동고정부(14)와, 회동고정부(14)에 의한 컵홀더의 회동이 피니언 기어(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도록 댐퍼(미도시)가 설치된 댐퍼장착홈(16)을 구비하여서 차량 내부의 바닥 위에 취부된다.
상기와 같이 컵홀더의 몸체(10)가 고정브라켓(10)의 수납부(12)에 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유는, 사용이 끝난 컵홀더의 몸체(10)가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한 차량 실내 미관 저해와 사용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납부(12)의 내부로 감춰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몸체(20)는 고정브라켓(10)에 장착된 피니언 기어(미도시)와 결합되는 랙크 기어(28)와 회동고정부(14)와 결합되는 결합부(29)를 통해 고정브라켓(10)의 수납부(12)로부터 인입출가능하게 그리고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외부로 인출된 컵홀더의 몸체(20)를 고정브라켓(10)의 수납부(12) 내부로 인입시킬 경우 힌지부(34)에 결합된 지지암(32)이 제 1스프링(40)에 의해 내측으로 움츠려지게 이동하여 수납부(12) 내부로 내삽되게 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수납부(12) 내부로 인입된 컵 홀더가 다시 외부로 인출될 경우, 즉 통상의 록킹부재(미도시)를 해지할 경우 고정브라켓((10) 일측에 형성된 댐퍼(미도시)에 의해 천천히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이때. 컵홀더의 지지암(32)은 제1 스프링(40)에 의해 외향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된 바와 같은 랙크 기어(28), 피니언 기어는 통상의 댐퍼에 의해 작동되며 이는 이미 당업자에 의해 실시되고 있는 일반적인 기술인 것으로 본 명세서에는 그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20)는 컵과 같은 형상의 물체가 안착되어 수용될 수 있게 하는 "U"자 형상의 수용부(21)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20)는 제1 몸체(20-1)와, 상기 제1 몸체(20-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2 몸체(20-2)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 제1 스프링(40), 고정부재(50) 및 보조지지대(70)를 제1 몸체(20-1)에 먼저 결합되게 하고, 그 다음 제1 몸체(20-1)에 결합된 상기의 구성요소들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제2 몸체(20-2)가 제 1 몸체(20-1)를 덮어씌우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몸체(20)에는 컵을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 지지부(22), 제2 지지부(23) 및 안착부(24)을 구비한다.
상기 몸체(20)의 제1 지지부(22)는 수용부(21) 내부의 일측 상단에 구비되며, 지지대(30)의 힌지부(34)와 고정부재(50)가 안착되어 결합되게 하는 결합홈(2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부(34) 및 고정부재(50)가 제1 지지부(22)에 결합될 때는 접착수단을 통해서 결합되게 하거나 꽉 끼이는 방식으로 결합되게 하여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몸체(20)의 제2 지지부(23)는 수용부(21) 내부의 타측 상단에 구비되어서 보조지지대(70)가 장착되게 하되,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장착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23) 측에는 보조지지대(70)가 하향 이동할 때에 수용되게 하는 수용홈(26)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20) 수용부(21)의 바닥면에는 컵의 밑면이 안착되게 하는 소정 깊이의 안착부(24)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부(24)은 컵이 안착된 후 차량의 흔들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밑면의 이탈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또한 컵을 받쳐주는 별도의 받침판(60)이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지지대(30)는 내외측으로 자유자재하게 탄성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두 개의 지지암(32)과 다음에 기술될 제1 스프링(40)의 힘을 받아 지지암(32)의 이동 을 조장하는 힌지부(34)를 구비하여서, 고정부재(50)를 통해 몸체(20)의 제1 지지부(22)에 취부된다.
상기 지지암(32)들은 컵의 크기에 따라 제1 스프링(40)에 의한 힌지부(34)의 작동에 따라서 내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작용하여 컵이 유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비록 지지암(32)들이 원형으로 나타내어졌지만 다양한 컵의 형상과 동일하게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스프링(40)은 상술된 바와 같이 지지대(30)의 힌지부(34)에 결합되어서 지지암(32)의 작동을 조장하되 상기 지지암(32)에 장착되어서 지지되는 컵의 종류에 따라서 작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지지암(32)들에 의해 형성된 원래의 형상보다 큰 컵을 지지하고자 할 때는 지지암(32)들이 외측으로 이동되게 하고, 그 컵을 지지암(32)으로부터 제거했을 때는 지지암(32)들이 원래의 형태인 내측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재(50)는 제1 지지부(22)의 결합홈(25)에 끼워진 형태 또는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된 상태로 장착되어 지지대(30) 및 제1 스프링(40)을 상기 몸체(20)에 취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재(50)가 제1 지지부(22)에 끼워진 형태로 결합될 때에는 하부는 결합홈(25)에 결합되게 하고 상부는 고정편(27)에 결합되게 하여서 결합된 후에 몸체(20)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상기 받침판(60)은 몸체(20)의 안착부(24)에 끼워져서 컵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의 재질은 컵이 놓일 때의 충격을 흡수하고 파손의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지지대(70)는 지지대(30)에 의해 지지되는 컵을 추가로 지지하도록 하고, 지지암(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컵보다 더 작은 컵의 종류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지지대(70)는 제2 스프링(72)에 의해 몸체(20)의 제2 지지부(23)에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보조지지대(70)는 컵을 몸체(20)의 수용부(21)에 놓을 때에는 컵의 하향 이동 힘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여서 컵이 유동하지 못하도록 지지해주며, 상기 컵을 제거할 때에는 제2 스프링(72)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한다.
또한, 컵이 수용부(21)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때는 아래 방향으로 완전히 이동하여 제2 지지부(23)의 수용홈(26)에 삽입되며, 이때도 상기 보조지지대(70)는 제2 스프링(72)의 복원력에 의해 컵을 지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는 상술된 바와 같은 지지대(30)의 지지암(32)과 보조지지대(70)를 통해서 크고 작은 다양한 컵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몸체(20)의 하부, 즉 일측부에는 합성수지재의 마감재로 처리된 커버(80)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커버(80)에는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서 보다 고급스러운 실내분위기가 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장식부재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10), 몸체(20), 지지대(30), 고정부재(50), 받침판(60), 보조지지대(70) 및 커버(80)의 재질은 차량의 경량화와 안착되어 지지되는 컵의 파손을 방지할 목적으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를 이용하여 컵을 지지할 때의 작동 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탑승자는 그가 마시고 있는 청량음료 또는 건강음료가 담긴 컵을 몸체(20)의 안착부(24)에 놓아서 잠시 거치시키고자 할 경우, 평상시에 고정브라켓(10)의 수납부(12)에 인입되어 있는 컵홀더의 몸체(20)를 수납부(12)의 밖으로 나오게 한다.
그런 후, 컵을 상기 몸체(20)의 수용부(21)에 놓고서 지지대(30)의 지지암(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지지암(32) 내부로 컵을 놓을 때는 컵의 크기에 따라 외측으로 이동하여 컵을 지지해준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보조지지대(70)가 하향 이동하고 제2 스프링(72)력에 의해 컵의 일측면이 추가로 지지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암(32)이 지지할 수 있는 것보다 크기가 작은 컵은 단지 보조지지대(70)를 통해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의 수용부(21)에 안착되었던 컵을 제거할 때는 지지암(32) 또는 보조지지대(70)는 각각의 제1 스프링(40) 및 제2 스프링(72)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한다.
상기 컵홀더의 몸체(20)로부터 컵을 제거함으로써 지지암(32) 또는 보조지지대(70)가 원위치로 복원한 후에는, 다시 고정브라켓(10)의 수납부(12) 내부로 소정의 힘을 가하여 몸체(20)를 밀어넣어 보관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컵홀더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서 컵을 지지하되 컵의 사이즈에 맞게 변형되게 하여서 하나의 컵홀더를 이용하여도 다양한 사이즈의 컵을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둘째. 다양한 컵 사이즈에 맞게 컵홀더가 능동적으로 조절되게 하여 지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컵홀더의 동작을 더욱 효율화시킬 수 있게 한다.
셋째.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컵홀더가 외부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게 하여 차량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가능하게 하고, 컵홀더의 파손을 방지해준다.
넷째.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춰 보다 고급스러운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한다.

Claims (6)

  1. 다양한 크기의 컵을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를 수용하는 수납부(12)와, 상기 컵홀더가 수납부(12)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인입출되도록 하는 힌지부(14)와, 상기 힌지부(14)에 의한 컵홀더의 회동이 피니언 기어에 의해 작동되도록 댐퍼가 설치된 댐퍼장착홈(16)을 구비하여서 차량 내부의 바닥 위에 취부되는 고정브라켓(10);
    컵을 수용하는 "U"자 형상의 수용부(21)를 구비하여서 상기 피니언 기어와 결합되는 랙크 기어(28)와 상기 힌지부(14)와 결합되는 결합부(29)를 통해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수납부(12)로부터 인입출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용부(21) 내부의 일측 상단에 구비된 제1 지지부(22)와, 상기 수용부(21) 내부의 타측 상단에 구비된 제2 지지부(23)와, 상기 수용부(21)의 바닥면에 구비되어서 컵이 안착되게 하는 소정 깊이의 안착부(24)을 구비한 몸체(20);
    컵의 크기에 따라 탄성적으로 작동하는 두 개의 지지암(32)을 구비하여서 상기 몸체(20)의 제1 지지부에 취부되는 지지대(30);
    상기 지지대(30)에 장착되어서 지지되는 컵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지지암(32)의 작동을 조장하는 제1 스프링(40);
    상기 제1 지지부(22)의 결합홈(25)에 끼워진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지지대(30) 및 제1 스프링(40)을 상기 몸체(20)에 취부하는 고정부재(50); 및
    상기 몸체(20)의 안착부(24)에 끼워져서 컵을 받치는 받침판(60);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이 추가로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20)의 제2 지지부(23)에 상하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지지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의 제2 지지부(23) 측에는 상기 보조지지대(70)를 수용하는 수용홈(2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0), 몸체(20), 지지대(30), 고정부재(50), 받침판(60) 및 보조 지지대(7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는 제1 몸체(20-1)와, 상기 제1 몸체(20-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제2 몸체(20-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의 일측에는 합성수지재의 마감재로 처리된 커버(8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컵홀더.
KR1020070063225A 2007-06-26 2007-06-26 자동차용 컵홀더 KR100817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225A KR100817208B1 (ko) 2007-06-26 2007-06-26 자동차용 컵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225A KR100817208B1 (ko) 2007-06-26 2007-06-26 자동차용 컵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208B1 true KR100817208B1 (ko) 2008-03-27

Family

ID=3941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225A KR100817208B1 (ko) 2007-06-26 2007-06-26 자동차용 컵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2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24846A1 (de) 2015-12-10 2017-06-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Haltern eines Trinkgefäßes sowie Fahrzeug mit wenigstens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1014A (ja) * 1994-04-28 1995-11-07 Toyoda Gosei Co Ltd カップホルダ
KR960007606U (ko) * 1994-08-29 1996-03-13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
JP2000280812A (ja) 1999-04-01 2000-10-10 Hino Motors Ltd 容器ホルダ
JP2003267116A (ja) 2002-03-14 2003-09-25 Shigeru Co Ltd 車両用カップホルダ
KR20050017728A (ko) * 2003-08-08 2005-02-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컵홀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1014A (ja) * 1994-04-28 1995-11-07 Toyoda Gosei Co Ltd カップホルダ
KR960007606U (ko) * 1994-08-29 1996-03-13 자동차용 드링크 홀더
JP2000280812A (ja) 1999-04-01 2000-10-10 Hino Motors Ltd 容器ホルダ
JP2003267116A (ja) 2002-03-14 2003-09-25 Shigeru Co Ltd 車両用カップホルダ
KR20050017728A (ko) * 2003-08-08 2005-02-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컵홀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24846A1 (de) 2015-12-10 2017-06-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Haltern eines Trinkgefäßes sowie Fahrzeug mit wenigstens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DE102015224846B4 (de) 2015-12-10 2023-11-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m Haltern eines Trinkgefäßes sowie Fahrzeug mit wenigstens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3510B1 (en) Automotive cup holder
US8052190B2 (en) Multi-position cargo holder for use in vehicles
US20050051584A1 (en) Collapsible container holder
US20060076468A1 (en) Cup holder for vehicles
US20060186155A1 (en) Multi-functional fastener system
US7490886B1 (en) Console storage housing for use in a sports type automobile
US6092775A (en) Beverage cup holder with an actuator
KR100817208B1 (ko) 자동차용 컵홀더
US7301758B2 (en) Motor-vehicle seat-back storage compartment
WO2008152263A1 (fr) Console pour vehicule automobile
KR101918122B1 (ko) 홀더
KR101695142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1673877B1 (ko) 자동차용 컵홀더
KR100600131B1 (ko) 자동차용 컵홀더
US20180370407A1 (en) Container holder for a trim panel
KR0153197B1 (ko) 자동차용 음료수 홀더 어셈블리
KR100418516B1 (ko)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KR200490407Y1 (ko) 자동차용 봉지 걸이대
JP3786102B2 (ja) 自動車用カップホルダー
KR100681060B1 (ko) 다양한 크기의 컵을 수용하기 위한 컵홀더 구조
US20060151557A1 (en) Vehicle accessory
KR200293779Y1 (ko) 자동차의 뒷좌석 팔걸이용 컵홀더
KR200202514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JP3005434U (ja) 自動車内用小物入れ
KR200174736Y1 (ko) 자동차용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