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8516B1 -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8516B1
KR100418516B1 KR10-2001-0072304A KR20010072304A KR100418516B1 KR 100418516 B1 KR100418516 B1 KR 100418516B1 KR 20010072304 A KR20010072304 A KR 20010072304A KR 100418516 B1 KR100418516 B1 KR 100418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 tray
spring plate
vehicle
ash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492A (ko
Inventor
이승건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2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5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 B60N3/083Ash-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자동차의 리어시트의 차체 트림 내측에 구비되는 애쉬트레이 홀더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ㄷ 모양으로 형성되며 양쪽 돌출부에 돌기부를 포함하는 스프링플레이트와 상기 스프링플레이트에 삽입되고 수납부를 포함하는 바디에서, 상기 바디 내부 일측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동에 따라 움직이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의 상측면과 상면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애쉬트레이{vehicles's ash tray}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vehicles's ash tray}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중 자동차의 진동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하단부에 텐션부를 포함한 걸림돌기 및 체결돌기를 형성하여 고정 삽착되도록 한 고정력이 향상된 차량용 애쉬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생활에 있어서 자동차는 실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자동차는 단순한 운송 수단의 개념에서 벗어나, 하나의 독립된 생활 공간으로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주행성이나 승차감과 같은 자동차의 기술적인 사항 못지 않게 중요시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탑승자에게 편의성과 안락성을 줄 수 있는 각종 편의 장치의 제공에 있다고 하겠다.
자동차에 제공되는 편의 장치로는 운전자가 후방 및 측방의 시계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드미러 및 룸미러와, 승객 룸으로 조사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선바이져와 담배 불을 붙일 때 사용하는 시거라이터와, 애시 트레이 또는 음료수나 컵등을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컵 홀더 등이 있으며, 그밖에도 운전자의 취미나 관심에따라서 여러 가지 편의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승합차의 리어 에시트레이는 수납이 가능하고 팔걸이 겸용으로 구조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뒷좌석의 승객편의를 위해 애시트레이 및 컵꽂이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는 쉽게 애시트레이나 컵꽂이가 이탈하여 탑승자가 불편함을 느낀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애쉬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애쉬트레이는 애쉬트레이(300), 애쉬트레이 홀더(200). 캡(10), 바디(12), 회전축(14), 지지대(16), 홀더부(18), 돌기부(20), 걸림턱(22), 수납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자동차에 수납이 가능하고 팔걸이로 사용할 수 있는 애쉬트레이 세트의 구조이며, 자동차의 리어시트의 차체 트림 내측에 구비되는 애쉬트레이 홀더부(200)의 하부 일측에 돌기부(2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애쉬트레이 홀더부(200)에 수납되는 애쉬트레이(300)는 수납부(24)를 포함하는 바디(12)와 수납부(24) 상부 일측에 회동 가능한 회전축(14)과 상기 회전축(14)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지지대(1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6)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12)의 상측면과 상면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캡(10)으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부(18)의 하부에는 돌기부(20)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20)는 바디(12) 하부의 걸림턱(22)과 결합되어 애쉬트레이(300)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차량용 애쉬트레이에 대한 일 예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98-6459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98-64591호에 개시된 바에 의하면, 애쉬트레이 홀더에 애쉬트레이가 위에서 아래로 끼워지는 모양으로, 자동차의 심한 충격이나 진동에는 애쉬트레이가 애쉬트레이 홀더에서 빠져나오는 경우가 있어 탑승자에게 불편을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애쉬트레이 하부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텐션력을 갖는 스프링플레이트와 결합하여, 자동차의 유동에도 애쉬트레이가 빠지지 않게 구성되는 것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애쉬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애쉬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애쉬트레이의 스프링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애쉬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500 : 애쉬트레인 200,600 : 애쉬트레인 홀더
10,100 : 캡 12,102 : 바디
14,104 : 회전축 16,106 : 지지대
18,108 : 홀더부 20,120 : 돌기부
22 : 걸림턱 122 : 오목부
24,144 : 수납부 124 : 체결돌기
126 : 텐션부 128 : 리벳
130 : 스프링플레이트 132 : 리벳 홀
134 : 음료용기 24,144 : 수납부
122 : 오목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리어시트의 차체 트림 내측에 구비되는 애쉬트레이 홀더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ㄷ 모양으로 형성되며 양쪽 돌출부에 돌기부를 포함하는 스프링플레이트와 상기 스프링플레이트에 삽입되고 수납부를 포함하는 바디에서, 상기 바디 내부 일측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회동에 따라 움직이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의 상측면과 상면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의 하부에는 오목한 모양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플레이트의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돌기부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플레이트는 텐션력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애쉬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애쉬트레이는 애쉬트레이(500), 애쉬트레이 홀더(600). 캡(100), 바디(102), 회전축(104), 지지대(106), 홀더부(108), 돌기부(200), 오목부(122), 수납부(144), 체결돌기(124), 텐션부(126), 리벳(128), 스프링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자동차의 리어시트의 차체 트림 내측에 구비되는 애쉬트레이 홀더부(600)에 애쉬트레이(500)가 삽입되어 사용하게 된다. 상기 애쉬트레이 홀더부(600)의 일측에 리벳(128)으로 고정되며, ㄷ 모양으로 형성되어 양쪽 돌출부에 돌기부(120)를 포함하는 스프링플레이트(130)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플레이트(130)에 삽입되고 수납부(144)를 포함하는 바디(102)의 상부의 내부 일측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회전축(104)과 상기 회전축(104)의 회동에 따라 움직이는 지지대(106)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106)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102)의 상측면과 상면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캡(1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102)의 하부에는 오목한 모양의 오목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플레이트(132)의 체결돌기(124)를 포함하는 돌기부(120)와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플레이트(132)는 텐션력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애쉬트레이의 스프링플레이트를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애쉬트레이는 리벳홀(132)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스프링플레이트(130)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플레이트(130)의 양쪽 돌출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돌기부(120)는 상기 애쉬트레이(5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오목부(122)와 결합하게 된다. 그래서, 자동차의 큰 진동이나 충격에도 애쉬트레이(500)가 애쉬트레이 홀더(600)에서 빠지지 않고 수납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플레이트(130)의 고정은 애쉬트레이 홀더(600)와 스프링플레이트(130)의 리벳홀(132)에 리벳으로 고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애쉬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애쉬트레이는 음료용기(134)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자동차의 탑승자가 금연을 한 경우는 상기 애쉬트레이(500)가 필요가 없으므로 애쉬트레이(500)를 빼고, 음료용기(134)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료용기(134)에 내용물이 담겨져 있을 때, 자동차의 진동이나 충격에도 상기 음료용기의 내용물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플레이트를 추가하여 애쉬트레이의 탈, 장착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애쉬트레이를 사용 시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도 애쉬트레이가 이탈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준다.
또한, 애쉬트레이 홀더에 애쉬트레이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용도의음료용기를 사용할 수 있어서, 일반적으로 금연을 하는 탑승자에게 상쾌한 승차감과 여행의 즐거움을 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차량 전체의 부가가치를 향상시켜 자동차의 상품성과 품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이고, 더불어 신뢰성 등을 줄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의 리어시트의 차체 트림 내측에 구비되는 애쉬트레이 홀더부;
    상기 애쉬트레이 홀더부 일측에 고정되고, ㄷ 모양으로 형성되며 양쪽 돌출부에 돌기부를 포함하는 스프링플레이트;
    상기 스프링플레이트에 삽입되고 수납부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 내부 일측에 회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회동에 따라 움직이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바디의 상측면과 상면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2.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하부에는 오목한 모양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플레이트의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돌기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3.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플레이트는 텐션력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KR10-2001-0072304A 2001-11-20 2001-11-20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KR100418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304A KR100418516B1 (ko) 2001-11-20 2001-11-20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304A KR100418516B1 (ko) 2001-11-20 2001-11-20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492A KR20030041492A (ko) 2003-05-27
KR100418516B1 true KR100418516B1 (ko) 2004-02-11

Family

ID=2957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304A KR100418516B1 (ko) 2001-11-20 2001-11-20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845B1 (ko) * 2007-11-05 2009-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동형 애쉬 트레이 마운팅 장치
KR101747232B1 (ko) 2014-12-16 2017-06-1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방사선 세기 변조체 검증 방법 및 검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492A (ko)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9054A (en) Extendible vehicle tray method and apparatus
US7431365B2 (en) Console assembly for a vehicle
US20040222345A1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assembly for vehicle
KR100418516B1 (ko)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JP2505368Y2 (ja) 車両用コンソ―ルボックス
KR100356084B1 (ko) 자동차 실내용 다목적 콘솔박스
US20060151557A1 (en) Vehicle accessory
KR200397532Y1 (ko) 자동차 뒷좌석 승객용 다용도 케이스
KR200202514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19990041150A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컵홀더
KR200293779Y1 (ko) 자동차의 뒷좌석 팔걸이용 컵홀더
KR19980041020U (ko) 편의장치가 부착된 자동차의 리어시트
KR200154019Y1 (ko) 탈.부착이 가능한 리드콘솔 박스용 컵 홀더
JP4013316B2 (ja) 車両のヘッドレスト収納装置
JP3062958U (ja) 自動車ヘッドレストを利用したコップホルダ―兼テ―ブル
KR0117963Y1 (ko) 컵홀더를 갖춘 자동차의 콘솔박스
KR19990003330U (ko) 차량용 컵홀더 장착구조
JPH0683461U (ja) 車両用テーブル
KR19980015712U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리어콘솔
KR900000184Y1 (ko) 자동차용 콘소올
KR0135661Y1 (ko) 차량의 전후방향 이동이 가능한 컵 홀더
KR19990041152A (ko) 자동차의 뒷좌석 컵 홀더
KR19980033363U (ko) 리어 도어 장착용 컵 홀더구조
KR19990021314U (ko) 자동차용 컵 홀더
KR19990003793A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에 설치되는 다용도 재떨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