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877B1 - 증식률이 우수한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cg590[kctc 11039bp] 및 무균 유도방법 - Google Patents

증식률이 우수한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cg590[kctc 11039bp] 및 무균 유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877B1
KR100816877B1 KR1020070028776A KR20070028776A KR100816877B1 KR 100816877 B1 KR100816877 B1 KR 100816877B1 KR 1020070028776 A KR1020070028776 A KR 1020070028776A KR 20070028776 A KR20070028776 A KR 20070028776A KR 100816877 B1 KR100816877 B1 KR 100816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ulina
strain
bacteria
culture
platen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희목
최강국
안치용
김충재
김희식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28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6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5Unicellular algae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89Algae ; Processes using alg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식률이 우수한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KCTC 11039BP] 및 무균 유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국내 자연수계로부터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Spirulina platensis CG590)[KCTC 11039BP]을 분리하고, 상기 균주를 SOT 배지에서 배양하여 증식률이 우수함을 밝힌 것으로, 대량 배양에 유용한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KCTC 11039BP]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발한 단순하고 빠른 항생제 처리 공정을 통하여 무균균주를 유도하여 순수 배양하였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무균 유도방법과 무균 균주(axenic strain)에 관한 것이다.
증식률,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Spirulina platensis), 무균 균주(axenic strain)

Description

증식률이 우수한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KCTC 11039BP] 및 무균 유도방법{A fast-growing cyanobacterium Spirulina platensis CG590 and an induction process of its axenic strain}
도 1은 국내의 자연수계에서 분리하여 배양한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KCTC 11039BP]의 광학현미경 사진이다(A, x100; B, x1,000).
도 2는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KCTC 11039BP]의 항생제 감수성 실험 그래프이다.
도 3은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KCTC 11039BP]의 항생제 처리 전과 후의 DAPI 염색하여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증식률이 우수한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KCTC 11039BP] 및 무균 유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국내 자연수계로부터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Spirulina platensis CG590)[KCTC 11039BP]을 분 리하고, 상기 균주를 SOT 배지에서 배양하여 증식률이 우수함을 밝힌 것으로, 대량 배양에 유용한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KCTC 11039BP]에 관한 것이다.
스피루리나는 남세균(cyanobacteria)에 속하는 미세조류(microalgae)의 일종으로, 단백질의 함량이 65%를 넘는 고단백질 식품이다. 또한,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도 생물이 필요로 하는 필수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지질은 6~10%, 탄수화물은 15~20% 정도로 낮은 함량을 가지고 있어 식량자원으로서 손색이 없다. 그밖에 항산화활성이 있는 베타카로틴(β-carotene, provitamin A)이나 피코시아닌(phycocyanin) 등과 같은 식용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고, 다양한 종류의 비타민, 무기질, 섬유질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스피루리나는 원핵생물(prokaryote)로 세포벽이 없어서 세포질의 90% 이상을 소화 가능하여, 그 이용 효율이 높아 인류의 중요한 식량자원이 되며 건강보조식품으로서 인류의 건강에 기여하고 있다.
남세균에는 녹황색 채소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베타카로틴을 비롯한 비타민 B군(B-complex vitamins, B1, B2, B6)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식물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비타민 B12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이들은 칼슘(calcium), 마그네슘(magnesium)을 다량 함유할 뿐만 아니라 아연(zinc), 망간(manganese), 셀레늄(selenium), 구리(copper) 등 미량원소도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다. 또한, 광영양소(phytonutrient)로는 엽록소(chlorophyll), 피코시아닌, 피코에리스린(phycoerythrin), 카로티노이드(carotenoid)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남세 균은 식물을 위한 비료, 동물을 위한 사료, 인간을 위한 건강보조식품으로서 영양학적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스피루리나의 경우 연못이나 노지와 같은 옥외에서 배양하는 것보다 광배양기와 같은 폐쇄조에서 배양하는 것이 단백질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노지에서 배양한 경우 60% 미만의 단백질 함량을 보인 반면, 광배양기에서 배양한 것은 단백질의 함량이 65~75%를 보였다. 따라서 광배양기와 같은 폐쇄조를 이용하여 스피루리나를 순수 배양한다면 단백질의 함량이 높은 고품질의 스피루리나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남세균의 무균균주의 활용 분야는 분자생물학, 생리생화학, 신규 물질의 개발 연구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현재까지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무균화 과정이 까다롭고,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어 무균균주의 확보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무균 유도 과정을 단순화하였고, 이와 같은 무균 유도 과정은 다양한 남세균에 응용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한편, 일부 남세균은 2차 대사 산물로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스피루리나와 같은 남세균은 조체(biomass)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건강보조식품, r-리놀렌산(r-linolenic acid, GLA) 등의 유용물질 생산에 이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82713호는 남세균인 오실라토리아(Osillatoria)가 살모넬라 타이피무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등 여러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생물질 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하였 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82714호 아나베나 프로스-아퀴(Anabaena flos-aquae)의 배양체 추출물이 암세포의 성장이나 증식 조절에 관여하는 효소인 단백질 탈인산화효소 VHR(vaccinia H1-related protein tyrosine phosphatase)에 대해 우수한 저해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 최근에는 남세균으로부터 2차 대사 산물인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의 생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기도 하다. 이와 같은 남세균에 대한 연구는 무균 균주를 확보함으로써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한 무균 유도 과정을 응용한다면 손쉽게 많은 종류의 유용한 남세균의 무균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균균주의 오염여부는 평판법을 사용하고 있다. 세균과 곰팡이를 제거한 무균균주의 오염 여부의 확인에 YT, R2A 1/10 NA 고체 배지를 사용하여 검정하고 있으나, 이는 판정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체 배지에서 배양이 되지 않는 일부 세균의 오염은 판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세균을 DAPI(4'-6-diamidino-2-phenylindole dihydrochloride)로 염색한 후 형광현미경을 사용하여 검정하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짧은 시간에 오염 유무를 판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증식률이 향상된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Spirulina platensis CG590)[KCTC 11039BP]을 분리하였고, 기존의 물리적인 방법과 화학약품을 처리하여 무균을 유도방법과 달리, 물리적인 방법과 항생제를 사용하는 방법을 병행하여 처리하여 무균 유도 시간을 단축하였을 뿐만 아니라, 무균의 확인 위하여 DAPI법을 도입하여 신속하게 검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배양 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순수 배양을 통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얻기 위한, 세균으로 오염된 남세균으로부터 세균을 제거하는 무균 유도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유도된 무균 균주를 사용하여 배양조에서 영양배양을 통하여 순도가 높은 스피루리나를 생산할 수 있어서 고품질의 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증식률이 우수한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Spirulina platensis CG590)[KCTC 11039BP]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루리나 속과 같은 사상형 남세균의 무균 유도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증식률이 우수한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Spirulina platensis CG590, Arthrospira platensis CG590)[KCTC 11039BP]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루리나 속과 같은 사상형 남세균의 무균 유도방법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국내 자연수계로부터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Spirulina platensis CG590)[KCTC 11039BP]을 분리하고, 상기 균주를 SOT 배지에서 배양하여 증식률이 우수함을 밝힌 것으로, 대량 배양에 유용한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KCTC 11039BP]에 관한 것이다.
자연수계에서 채수한 물시료에서 광학도립현미경을 사용하여 세포의 분리에 이용되는 미세조작기구(micromanipulator)를 활용하여 사상형 남세균의 트라이콤(trichome, 세포사)을 분리하여 SOT 배지가 들어 있는 시험관에 넣고, 형광등으로 연속 조사되는 조도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녹색을 띠는 시험관을 선별하였다. 분리된 사상형 남세균은 광학현미경을 통하여 동정하였으며, SOT 배지를 이용하여 수차례 계대 배양하면서 광학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단조균주(unialgal strain)로 유지하면서 보존하였다.
최종 분리된 단조균주의 남세균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남세균 동정의 주요 항목인 사상체의 크기 및 모양, 말단세포의 형태, 가스 소포체의 분포 위치 등을 관찰한 결과,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Spirulina platensis)에 속하는 것으로 동정되었으며, 이를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Spirulina platensis CG590)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상기 균주를 2006년 11월 29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 기탁하였으며, 수탁번호는 KCTC 11039BP로 부여받았다.
상기 분리된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KCTC 11039BP]는 도 1에서와 같이 연쇄형 사상체(filament)로 증식하며, 세포 내의 기낭(gas vacuole)을 이용하여 부유하는 특징이 있어 정치 배양시 배지의 표면에 두꺼운 층을 형성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은 남세균 스피루리나를 3000 ~ 4000 rpm으로 10 ~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스피루리나 배양액 내의 세균 개체수를 최소화하는 세척 단계와 항생제를 처리한 후 포도당을 첨가하여 항온 진탄배양을 통하여 세균을 제거하는 항생제 처리 단계를 복합적으로 사용한 스피루리나의 무균 유도방법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물리적인 무균 유도 과정은 단순한 작업의 연속으로 시간과 인력의 소요가 요구되는 작업이었으며, 화학물질 처리 방법을 통한 무균 유도 과정은 내성의 농도를 파악해야 하는 등 사전의 지식이 요구되며, 반복을 통하여 실험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장비가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개발한 방법은 기존의 물리적인 방법과 항생제를 이용한 방법을 동시에 사용함에 따라 효율도 높이고 빠른 시간 내에 단순하고 쉽게 무균 유도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자연계로부터 분리된 부유성(planktonic) 사상형 남세균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하면 쉽고 빠르게 무균화에 성공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KCTC 11039BP]에 대하여 단순화된 무균 유도방법을 통하여 무균 균주로 유도하였으며, 성공적으로 무균균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세균과 곰팡이의 오염 유무는 DAPI 염색 후 형광현미경을 사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검정을 수행하였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할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를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물시료 채수
신규 남세균의 확보를 위하여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 제주도 등 전국의 강과 하천 그리고 호소를 대상으로 총 85개 지점에서 140개의 물 시료를 채수하였다.
실시예 2: 남세균의 분리
자연수계의 물 시료를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를 관찰하면서 남세균 한 개의 트라이콤(trichome, 세포사)을 선별하기 위하여 미세조작기구(micromanipulator)를 사용하였으며, 선별된 트라이콤을 SOT 배지가 들어있는 시험관에 접종하여 분리하였다. 남세균이 접종된 시험관은 조류배양기[광도: 100 ± 5 μE/m2/s, 온도: 26 ± 0.2℃, 광주기: L:D(16:8)]에서 진탕배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피루리나 단조균주(unialgal strain)를 얻기 위하여 슬라이드 글라스에 멸균된 SOT 배지를 50 ㎕씩 5개를 준비한 후, 미세조작기구(micromanipulator)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트라이콤(trichome, 세포사)을 포획하여 분리를 하였다. 또한, 다른 남세균의 오염 여부를 광학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최종적으로 SOT 고체배지에 분리된 스피루리나를 접종하고 조도배양기를 이용하여 배양한 후, 형성된 콜로니(colony)를 광학도립현미경을 통하여 확인하고 한 개의 콜로니를 선별하여 단조균주를 확보하였다. 채집한 물 시료 로부터 위의 2가지 방법을 통하여 1차 분리한 남세균은 수차례 계대 배양과 미세조작기구(micromanipulator)를 이용한 선별 과정을 거쳐 단조균주로 선별하였다.
실시예 3: 남세균 동정
단조균주로 분리된 종에 대하여 광학현미경(Nikon Microphot FX-A) 및 도립현미경(Nikon TMS)으로 관찰하며 동정하였으며[도 1], 조류도감(Prescott, Algae of the western great lakes area, 1973; Canter-Lund와 Lund, Freshwater algae: Their microscopic world explored, 1995)과 인터넷을 통하여 국외의 조류은행의 사진을 참조하여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Spirulina platensis CG590)으로 명명하고, 이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유전자은행에 2006년 11월 29일자로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 11039BP를 부여받았다. 상기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Spirulina platensis CG590)의 형태적 분류의 특성은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Spirulina platensis CG590)을 분자생물학적인 동정법에 의하여 동정하였으며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과 표 2의 동정 결과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와 동일한 종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표 2에서 16S rDNA 동정 결과, 스피루리나 플라텐시스 스트레인 SP-1(Spirulina [Arthrospira] platensis strain Sp-1)과 99%의 유사성을 보여 동일한 균주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획득한 균주는 신균주라고 판단된다.
Figure 112007023249696-pat00001
Figure 112007023249696-pat00002
실시예 4: 스피루리나의 배양 및 항생제 감수성 실험
본 발명의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Spirulina platensis CG590)의 배양을 위하여 광원으로는 형광등(cool white fluorescent lamps)을 사용하였으며 광도는 100 ± 5 μE/m2/s, 온도는 26 ± 0.2℃, 광주기는 L:D(16:8)로 조정된 조도배양기(Illuminated shaking incubator, 150 rpm)에서 다음 표 3의 SOT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Figure 112007023249696-pat00003
본 발명에서 확보한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Spirulina platensis CG590)[KCTC 11039BP]에 대하여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총 5종류의 항생제에 대하여 항생제 감수성 실험 결과,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과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은 10 ㎍/㎖의 농도에 대해서 감수성을 보였으며, 세폭시틴(cefoxitin)은 50 ㎍/㎖ 농도까지는 항생제 내성을 보인 반면, 이미페넴(imiphenem)과 네오마이신(neomycin)은 300 ㎍/㎖ 농도까지 내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의 무균 균주 유도에 사용할 항생제로 이미페넴(imiphenem)과 네오마이신(neomycin)을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농도는 각각 150 ㎍/㎖과 100 ㎍/㎖으로 하여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에 대한 실험 결과를 측정하였으며, 이렇게 얻은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미페넴과 네오마이신의 농도를 각각 150 ㎍/㎖와 100 ㎍/㎖으로 실험한 결과, 항생제의 첨가에 따른 결과는 이미페넴의 경우보다 네오마이신을 첨가한 경우 성장에 약간의 저해를 받았으나, 스피루리나가 항생제에 대하여 성장을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았다.
실시예 5: 스피루리나의 무균 균주 유도 과정과 무균 균주 검정
스피루리나의 무균 균주 유도 과정은 2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첫 번째 과정은 물리적인 방법을 통하여 스피루리나 배양액 내의 세균을 최소화하였다. 스피루리나 배양액을 3,500 rpm으로 20 분간 원심 분리하여 침전된 스피루리나만을 마이크로파이펫(micropipette)을 이용하여 조심스럽게 얻어서 배양액 내의 세균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세척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스피루리나의 배양액 내의 세균의 개체수를 최소하였다.
두 번째 과정은 세척과정을 통하여 세균을 감소시킨 스피루리나를 항생제를 사용하여 오염된 세균을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세척과정을 거친 스피루리나를 멸균된 SOT 배지에 적당량 넣고 현탁한 후, 항생제 이미페넴(150 ㎍/㎖)과 네오마이신(100 ㎍/㎖)을 첨가하고, 세균의 증식에 도움을 주는 유기탄소원인 포도당(glucose)을 첨가하여 항온진탕배양기에서 30℃, 150 rpm의 조건으로 1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원심 분리하여 회수한 후 SOT 배지를 이용하여 세척과정을 거친 후, 오염 세균의 유무를 판별하기 위하여 DAPI로 염색한 후 형광현미경(Nikon Microphot FX-A)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도 3은 스피루리나 배양액의 항생제 처리 전과 후를 DAPI 염색 후 형광현미경 사진을 보여주고 있다. 항생제 처리 전에는 스피루리나의 사상체 주변에 작은 크기의 세균이 DAPI로 염색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항생제 처리 후에는 아주 깨끗하게 세균이 제거됨을 보였다. 또한, 세균의 오염의 검정을 위하여 SOT 배지에 세균의 성장을 촉진하는 포도당을 첨가해 준 배지에서도 세균의 성장이 일어나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자연수계에서 분리한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KCTC 11039BP]의 무균 균주를 유도과정을 단순화하였으며, 무균 균주를 확보하였다.
실시예 6: 스피루리나의 성장과 r -리놀렌산의 생산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KCTC 11039BP]의 증식률(specific growth rate)과 r-리놀렌산의 생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영양배양, 종속영양배양과 혼합영양배양을 실시하였다.
독립영양배양(Autotrophic culture)은 SOT 배지를 이용하였으며, 광도는 100 ± 5 μE/m2/s, 온도는 26 ± 0.2℃, 광주기는 L:D(16:8)로 조정된 조도배양기에서 150 rpm으로 교반하며 배양하였다. 혼합영양배양(Mixotrophic culture)은 SOT 배지에 유기탄소원으로 포도당을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여 독립영양배양과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종속영양배양(Heterotrophic culture)은 유기탄소원이 첨가된 SOT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알루미늄 호일로 감싼 플라스크를 사용하여 빛을 차단한 조건에서 26 ± 0.2℃로 고정된 진탕배양기에서 150 rpm으로 교반하며 배양하였다.
기존의 스피루리나 배양 결과 증식률은 독립영양배양 시 0.028 h-1이었으나, 상기 분리된 균주의 경우에는 0.045 h-1로 1.6배 이상 높았으며, 종속영양배양의 경우에도 0.013 h-1로 기존의 균주에 1.7배 향상되었다. 또한, 빛과 유기탄소원을 동시에 사용하여 배양하는 혼합영양배양에서는 0.061 h-1로 2.5 배 이상 높았다. 따라서 기존의 균주에 비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두 배씩 증가하는 시간을 표시하는 더블링 타임(doubling time)의 경우, 기존의 균주들은 독립영양배양의 경우 24.75 h인 반면 분리된 균주의 경우 11.36 h로 거의 동일시간에 두 배 이상의 증식이 가능하였으며, 동일량을 생산하는 기간이 단축되었다. 기존에 발표된 증식률과 본 발명에서 분리된 균주의 비교를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당뇨병 환자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월경시 생리통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r-리놀렌산이 스피루리나 건체량의 1.47%를 차지하고 있으며, 총 지방산 조성 중 31,2%의 함유량을 보였다. 1993년 Cohen 등(Production and partial purification of r-linolenic acid and some pigments from Spirulina platensis, J. Appl. Phycol. 5:109-115)은 건체량 중 r-리놀렌산의 함유량이 1.09%이며, 총 지방산 조성 중 24.0%를 r-리놀렌산이 차지한다고 발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분류한 스피루리나가 기존의 발표된 균주에 비하여 r-리놀렌산 합성 능력이 높다고 판단된다.
Figure 112007023249696-pat00004
본 발명의 스피루리나(Spirulina) 속의 무균 균주 유도 과정을 기존의 물리적, 화학적 방법에 비하여 단순화하여 신속하게 하였고, 사상형 남세균에 대한 무균 균주 유도과정에 응용이 가능하리라고 판단되며, 무균 균주를 확보하여 산업적으로 고품질의 스피루리나 건강보조식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였다.

Claims (3)

  1. 증식률이 우수한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Spirulina platensis CG590)[KCTC 11039BP].
  2. 남세균 스피루리나를 3000~4000 rpm으로 10~30분간 원심분리하여 스피루리나 배양액 내의 세균 개체수를 최소화하는 세척 단계와;
    항생제를 처리한 후 포도당을 첨가하여 항온 진탄배양을 통하여 세균을 제거하는 항생제 처리 단계를 복합적으로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루리나 속의 무균 유도방법.
  3.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Spirulina platensis CG590)[KCTC 11039BP]을 청구항 2의 방법으로 무균 유도하여 얻어진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 CG590 무균 균주.
KR1020070028776A 2007-03-23 2007-03-23 증식률이 우수한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cg590[kctc 11039bp] 및 무균 유도방법 KR100816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776A KR100816877B1 (ko) 2007-03-23 2007-03-23 증식률이 우수한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cg590[kctc 11039bp] 및 무균 유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8776A KR100816877B1 (ko) 2007-03-23 2007-03-23 증식률이 우수한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cg590[kctc 11039bp] 및 무균 유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6877B1 true KR100816877B1 (ko) 2008-03-26

Family

ID=3941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8776A KR100816877B1 (ko) 2007-03-23 2007-03-23 증식률이 우수한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cg590[kctc 11039bp] 및 무균 유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687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189B1 (ko) 2007-06-14 2008-07-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조체의 부상성이 향상된 스피루리나 플라텐시스m20cjk3[kctc 11127bp]
MD4026C2 (ro) * 2009-11-13 2010-10-31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олд0 Hidrat-2-{[2-(2-hidroxietilamino)-etilimino]-metil}-benzen-1,4-dihidroxi-(2-)cupru şi procedeu de cultivare a cianobacteriei Spirulina platensis
MD4069C1 (ro) * 2010-02-08 2011-04-30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олд0 Bromo-{3-[(2-hidroxi-5-nitro-benziliden)-amino]-propan-1,2-dihidroxi}(1-)cupru şi procedeu de cultivare a cianobacteriei Spirulina platentis
KR101184589B1 (ko) 2010-03-31 2012-09-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생제 함유 배지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무균 배양 방법
KR101337460B1 (ko) 2009-06-18 2013-12-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마이크로시스티스의 무균 유도방법
CN104450581A (zh) * 2014-12-10 2015-03-25 安徽大学 一种降血糖螺旋藻的培养方法
CN110243854A (zh) * 2019-06-29 2019-09-17 浙江大学 一种利用扫描电子显微镜鉴定螺旋藻藻丝沥水性能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563A (ko) * 1990-08-30 1992-03-27 권태완 내열성 사이클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란스퍼라제의 제조방법
KR100622025B1 (ko) 2004-08-19 2006-09-1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스피룰리나의 성장 최적화 및 최대 수확을 위한 배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563A (ko) * 1990-08-30 1992-03-27 권태완 내열성 사이클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란스퍼라제의 제조방법
KR100622025B1 (ko) 2004-08-19 2006-09-1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스피룰리나의 성장 최적화 및 최대 수확을 위한 배지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Algae
연구보고서:과학기술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189B1 (ko) 2007-06-14 2008-07-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조체의 부상성이 향상된 스피루리나 플라텐시스m20cjk3[kctc 11127bp]
KR101337460B1 (ko) 2009-06-18 2013-12-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마이크로시스티스의 무균 유도방법
MD4026C2 (ro) * 2009-11-13 2010-10-31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олд0 Hidrat-2-{[2-(2-hidroxietilamino)-etilimino]-metil}-benzen-1,4-dihidroxi-(2-)cupru şi procedeu de cultivare a cianobacteriei Spirulina platensis
MD4069C1 (ro) * 2010-02-08 2011-04-30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олд0 Bromo-{3-[(2-hidroxi-5-nitro-benziliden)-amino]-propan-1,2-dihidroxi}(1-)cupru şi procedeu de cultivare a cianobacteriei Spirulina platentis
KR101184589B1 (ko) 2010-03-31 2012-09-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생제 함유 배지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무균 배양 방법
CN104450581A (zh) * 2014-12-10 2015-03-25 安徽大学 一种降血糖螺旋藻的培养方法
CN110243854A (zh) * 2019-06-29 2019-09-17 浙江大学 一种利用扫描电子显微镜鉴定螺旋藻藻丝沥水性能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877B1 (ko) 증식률이 우수한 남세균 스피루리나 프라텐시스cg590[kctc 11039bp] 및 무균 유도방법
Muthulakshmi et al. Extraction, partial purific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phycocyanin from Spirulina isolated from fresh water body against various human pathogens
Biondi et al. Tetraselmis suecica F&M‐M33 growth is influenced by its associated bacteria
Huang et al. A rapid sampling technique for isolating highly productive lipid-rich algae strains from environmental samples
KR20160114102A (ko) 피코시아닌의 합성에서의 개선
Bell et al. Laboratory culture studies of Trichodesmium isolated from the great Barrier Reef Lagoon, Australia
CN108587914B (zh) 一种分离纯化雨生红球藻藻种的方法
Kabariya et al. Dairy wastewater treatment by cyanobacteria for removal of nutrients with extraction of high value compounds from biomass
Liu et al. Screening of antibiotics to obtain axenic cell cultures of a marine microalga Chrysotila roscoffensis
Nagle et al. Isolation, optimiz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elected Cyanophycean members
DUYGU Growth Kinetics of Scenedesmus obliquus strains in different nutrient media
CN111575219B (zh) 一株广谱溶藻放线菌lw9、分离方法及应用
Watanabe et al. Purification of freshwater picoplanktonic cyanobacteria by pour‐plating in ‘ultra‐low‐gelling‐temperature agarose’
Querijero-Palacpac et al. Mass cultivation of the nitrogen-fixing cyanobacterium Gloeotrichia natans, indigenous to rice-fields
CN110760529B (zh) 小球藻内生菌的编码基因及其扩增用特异性引物
Hédoin et al. Porphyridium cruentum A-408 and Planktothrix A-404 retain their capacity to produce biotechnologically exploitable metabolites after cryopreservation
KR101972494B1 (ko) 셀레늄 저항성 신규 미세조류
Ashokkumar et al. Cultiv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algae (Diatom)
KR20200121524A (ko) 규조류 배양 시 보조색소인 후코산틴의 함량 향상방법
CN113969240B (zh) 一种耐高光的螺旋藻及其应用
Divakaran et al. Algae Cultivation Strategies: An Overview
Abdelazim et al. New Enriched Culture Media for Culturing Streptococcus pyogenes by using Spirulina Powder
Usharani et al. In vitro cultivation of Spirulina platensis using rice mill effluent
KR102667539B1 (ko) 미세조류 클로렐라 글로리오사 mabik lp119의 염분 스트레스 조건에 따른 색소 생산성 증대 방법
KR101337460B1 (ko) 마이크로시스티스의 무균 유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