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1524A - 규조류 배양 시 보조색소인 후코산틴의 함량 향상방법 - Google Patents

규조류 배양 시 보조색소인 후코산틴의 함량 향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1524A
KR20200121524A KR1020190044172A KR20190044172A KR20200121524A KR 20200121524 A KR20200121524 A KR 20200121524A KR 1020190044172 A KR1020190044172 A KR 1020190044172A KR 20190044172 A KR20190044172 A KR 20190044172A KR 20200121524 A KR20200121524 A KR 20200121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ure
triconutium
microalgae
days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남
Original Assignee
어업회사법인 가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업회사법인 가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업회사법인 가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4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1524A/ko
Publication of KR2020012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52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7/00Preparation of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with only O, N, S, Se or Te as ring hetero atoms
    • C12P17/02Oxygen as only ring hetero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합성 해조류의 일종인 규조류의 인공 배양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당류 후코산틴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도록 규조류 생육조건을 최적화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코산틴의 생산율이 증대된 미세조류 배양법을 제공하는 효과와, 후코산틴이 증대된 미세조류로부터 다량의 후코산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규조류 배양 시 보조색소인 후코산틴의 함량 향상방법{Method for Increasing of Fucoxanthin as Sub-pigment in a Diatom}
본 발명은 광합성 해조류의 일종인 규조류의 인공 배양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당류 후코산틴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도록 규조류 생육조건을 최적화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해양생물은 종의 다양성과 양적으로 풍부한 자원으로써 육상생물 자원이 부족량을 보완할 수 있는 대체자원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특히 해양 미세조류는 생명공학의 새로운 개척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조류 중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미세조류의 산업적 이용은 대체에너지원, 식품소재, 건강보조식품, 수산양식용 사료, 의약소재물질 등 그 응용분야가 다양하게 소개되고 있다.
미세조류(microalgae)는 수권생태계에서 단세포로 부유생활을 하는 생물군들로서 남조류, 규조류, 와편모조류, 녹조류, 황갈색편모조류, 은편모조류 등이 있고, 이와 같은 다양한 미세조류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 및 영양학적인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상기 미세조류에는 건강기능성 식품 또는 동물 및 수산양식용 사료 소재로 사용가능한 단백질 및 탄수화물이 풍부하고, 의약품 소재로 사용가능한 양질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보조식품 및 의약품 소재에 이용가능한 항암성, 항진균성, 항세균성, 항당뇨, 항비만, 고혈압 등에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많은 생리활성이 보고됨에도 불구하고 미세조류를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사용하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는데, 우선 (1) 배양 조건이 까다롭고, (2) 대량배양이 어려우며, (3) 각종 생리활성이 있는 단일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가 어렵고, (4) 미세조류에서 순수하게 분리되는 상기 생리활성물질이 수득률이 매우 낮다는데 그 이유가 있다.
후코산틴(fuchxanthin)은 미역이나 다시마 같은 갈조류에서 발견되는 색소(pigment)의 한 종류로서, 카로테노이드(carotinoide)라 불리는 식물의 천연색소 중 하나이고, 카로테노이드는 식물이 빛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광합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천연색소로서 카로테노이드는 전체 약 600 여종이 존재하고, 이러한 천연색소성분은 활성산소로 인한 세포의 손상과 노화에 대한 예방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후코산틴의 항산화 효과는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종양세포의 세포사멸유도 효과, 신생혈관 억제작용, 항 당뇨, 항 비만, 신진대사활성 증강 등의 효과들로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미세조류 유래 후코산틴을 상업적으로 이용하기에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후코산틴을 생산하는 미세조류의 배양 조건과 대량배양의 곤란성, 배양된 미세조류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생리활성물질의 낮은 수득률이 문제시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95154호에서는 축산폐수를 호기성 미생물과 미네랄로 발효시킨 생물활성수를 배양액에 첨가하여 식물플랑크톤의 개체량(biomass)을 최대화하는 기술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447929호에서는 부양형 광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외부의 에너지 및 부가적인 영양성분의 공급 없이 광합성 미세조류의 배양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단지 개체수의 증가만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만을 개시하였을 뿐이다.
또한, 미세조류의 생리활성 성분인 후코산틴의 효율적인 수득을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30895호에서 염장처리를 통해서 수분함량이 조절된 갈조류로부터 후코산틴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하였고,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5-0039283호에서는 유기용매계를 이용한 갈조류로부터의 후코산틴 추출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지 본래 미세조류가 함유하고 있는 후코산틴을 고 효율로 수득하는 방법만을 개시하였을 뿐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세조류의 특정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고안된 선행기술은 공지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후코산틴의 생산율이 증대된 미세조류 배양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코산틴이 증대된 미세조류로부터 다량의 후코산틴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을 규산나트륨, 감자추출물 및 요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코산틴 생산용 배양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 접종 후 2~6 일에 상기 후코산틴 생산용 배양배지를 추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코산틴의 함량 향상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은 UV 조사를 통하여 생산된 돌연변이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UV 조사는 조사시간 10~30 분, 조사거리 10~40 cm에서 수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후코산틴의 생산율이 증대된 미세조류 배양법을 제공하는 효과와, 후코산틴이 증대된 미세조류로부터 다량의 후코산틴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규조류인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Phaeodactylum tricornutum)의 배양
한국미세조류은행으로부터 Phaeodactylum tricornutum(KMMCC-14, Japan institute)을 분양받아 공시 미세조류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배양온도 및 조도 조건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은 NaNO3를 기본으로 하는 Conway 배지(Walne, 1974)를 이용하여 배양하였고, 배지는 1,200 ㎖(vol) 플라스크에 배지 1,000 ㎖를 무균처리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무균 배지를 고압멸균된 4 ℓ 배양용기(배양수 3 ℓ)에 보관중인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을 300 ㎖ (1/10)가량 넣고, 배지 3 ㎖을 넣고 4~5일간 배양한다. 3 ℓ 배양된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을 이용하여 UV 살균, 1 um 카트리지 필터로 여과살균한 배양수를 30-100 ℓ 배양용기에 배양수를 넣고, 배양수의 1000분의 1에 해당하는 배지를 넣고 폭기하여 배양한다.
배양된 본 발명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배양 효율은 배양물 2 ㎖를 취한 후 68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우선 배양된 이 미세조류를 농도별로 세포수와 흡광계 OD 680과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량곡선(밀리리터 당 세포수=736.82×OD680+30.092)을 만들었다. 이 관계식에 따라 OD 680을 대입하여 세포수를 계산한다.
본 발명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바람직한 배양 온도조건은 NaNO3 (0.1g/ℓ), NaH2PO4(0.02g/ℓ), H3BO4(0.033g/ℓ) 및 Na2EDTA(0.045g/ℓ)를 기본으로 하는 Conway 배지, 2,500 lx에서 22 일 동안 20, 22, 24 ℃에서 각각 배양하여 바람직한 온도 조건을 확립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배양했을 때 온도에 따른 배양효율은 하기 표 1과 같다.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온도조건별 배양효율
배양일수(일) 배양세포 수(×104 cells/㎖)
20 ℃ 22 ℃ 24 ℃
0 49.0 ±30.52 49.9 ±34.49 45.6 ±31.57
2 85.5 ±32.46 112.7 ±37.14 110.4 ±32.67
5 139.6 ±37.20 151.1 ±35.36 147.1 ±32.71
8 161.5 ±39.22 170.9 ±37.20 174.1 ±36.18
13 192.9 ±38.76 200.7 ±36.61 194.9 ±31.49
15 204.3 ±39.39 213.7 ±35.25 212.2 ±32.71
22 240.1 ±42.31 255.6 ±36.18 250.3 ±42.01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은 22 및 24 ℃에서 배양했을 때 배양 개체수의 증가율이 좋았다. 특히, 22 ℃에서 배양했을 때 배양세포의 개체수가 최대로 나타났다.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은 광합성을 하는 미세조류로서 조명시간에 따라 배양효율이 달라진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조명시간에 따른 배양효율을 측정함으로써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효율적인 세포생장 조건을 확인하였다. 상기 온도조건확립을 위한 배양조건과 동일한 배지를 사용하여 22 ℃에서 11일간 광조건 12시간: 암조건 12시간(12:12) 및 광조건 24시간(24:0) 조건으로 배양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조명시간에 따른 배양효과
배양일수(일) 배양세포 수(×104 cells/㎖)
12:12 24:0
0 54.2 ±31.95 54.2 ±31.95
5 88.9 ±38.04 105.4 ±34.15
8 181.3 ±35.31 174.5 ±39.26
11 189.6 ±37.35 189.5 ±41.93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광조건과 암조건을 12시간씩 주었을 경우와 광조건만을 24시간 동안 주었을 경우를 비교했을 때 초기 배양 5일째까지는 광조건만으로 배양하는 것이 18% 증가된 배양효율을 나타내지만 배양 후 11일이 지나면 두 조건 사이에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조도에 따른 배양 효율 측정은 온도조건을 확립하는 실험과 동일한 배지조건으로 실험하였다. 단, 배양일수는 11일, 온도 조건은 22 ℃로 배양하였으며, 조도는 500, 1,500, 2500 lux로 하여 각각 배양하였다. 조도에 따른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배양 효율은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조도(LuX)에 따른 배양효율
배양일수(일) 배양세포 수(×104 cells/㎖)
500 lux 1,500 lux 2,500 lux
0 55.3 ±31.28 55.3 ±31.28 55.3 ±31.28
5 133.3 ±40.43 137.5 ±54.77 109.8 ±39.22
8 132.0 ±40.84 139.1 ±39.86 130.3 ±44.30
11 147.4 ±44.90 174.6 ±61.23 175.9 ±38.80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은 조도를 1,500 및 2500 lux로 하여 배양했을 때 개체수가 배양 11일째에 각각 18, 19 %의 증가하였다.
<실험예 2> 본 발명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배지 공급방법 및 조성 조건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개체수 증대를 위한 효율적인 배양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배양배지의 공급방법 및 배양배지 조성변화에 따른 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지공급 방법은 접종시 1회 공급(Con), 접종 후 4일차에 200 ㎖ 1회 추가 공급(T-200), 접종 후 3, 6, 9일차에 100 ㎖씩 3회 추가공급(T-1, 2, 300)을 하여 배양하였다. 배지 공급방법 외의 배양 조건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배지 조성, 500 lux 조도, 온도 22 ℃, 배양기간 20일)으로 수행하였다.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배지공급 방법별 배양효율
배양일수(일) 배양세포 수(×104 cells/㎖)
Con T-200 T-1,2,300
0 41.0 ±31.01 41.0 ±31.01 41.0 ±31.01
3 164.7 ±42.21 156.1 ±44.22 161.6 ±32.01
6 197.8 ±42.36 184.5 ±44.30 209.9 ±35.25
8 226.1 ±33.97 219.3 ±43.76 235.8 ±38.13
14 258.9 ±41.95 247.3 ±65.19 275.0 ±43.59
16 274.8 ±51.48 269.7 ±68.68 282.9 ±44.25
20 247.1 ±73.84 290.6 ±84.63 231.1 ±63.94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바람직한 배양배지 공급조건에 따른 배양효율은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배양했을 때 표 4와 같이 T-200의 조건으로 배양했을 때 배양 효율이 17% 증가하였다.
또한, 배지성분에 따른 배양효율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배양배지 성분에 규산나트륨(Na2SiO3), 감자추출물, 요소(urea) 첨가 후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배양세포 수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배지성분 변화뿐만 아니라, 동시에 조도의 변화를 주었을 때의 배양효율도 함께 확인하였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배양 온도 22 ℃, 배양기간 20일)으로 수행하였다.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 기본 배양배지 함유된 규산나트륨의 농도보다 1.5배(T Si 1.5) 또는 2배(T Si 2) 더 첨가하였을 때의 배양 효율은 하기 표 5와 같다. 또, 상기와 같이 규산나트륨의 농도를 더 첨가 한 후 조도를 다르게 하였을 때의 배양 효율은 하기 표 6와 같게 나타났다.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규산나트륨 농도별 첨가에 따른 배양효율
배양일수(일) 배양세포 수(×104 cells/㎖)
Con T Si 1.5 T Si 2
0 41.0 ±31.01 41.0 ±31.01 41.0 ±31.01
3 164.7 ±42.21 169.2 ±40.28 175.9 ±33.23
6 197.8 ±42.36 193.5 ±55.50 217.4 ±39.92
8 226.1 ±33.97 223.5 ±49.34 249.5 ±30.65
14 258.9 ±41.95 266.5 ±50.65 325.7 ±37.77
16 274.8 ±51.48 279.6 ±43.02 352.6 ±40.22
20 247.1 ±73.84 280.5 ±38.13 364.6 ±46.20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규산나트륨 2배 첨가 및 조도에 따른 배양효율
배양일수(일) 배양세포 수(×104 cells/㎖)
500 lux 1,500 lux 2,500 lux
0 55.3 ±31.28 55.3 ±31.28 55.3 ±31.28
5 137.7 ±39.49 145.9 ±55.26 147.6 ±67.61
8 138.5 ±35.33 130.2 ±32.25 143.2 ±66.31
11 159.9 ±43.13 158.4 ±49.62 142.7 ±67.80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을 규산나트륨 농도를 일반배지의(Con)의 1.5배(T Si 1.5) 또는 2배(T Si 2)로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배양 20일째에 각각 13, 47% 증가하였다. 또한, 규산나트륨 농도를 일반배지의(Con)의 2배(T Si 2)농도로 첨가한 후 조도를 각각 500, 1500, 2500 lux로 하여 배양하였을 때 조도에 따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 기본 배양배지(Con)에 감자추출물을 감자 습중량 기준으로 0.5 g/ℓ의 농도로 더 첨가하였을 때의 배양 효율은 하기 표 7과 같다.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감자추출물 첨가 및 따른 배양효율
배양일수(일) 배양세포 수(×104 cells/㎖)
500 lux 1500 lux 2500 lux
0 55.3 ±31.28 55.3 ±31.28 55.3 ±31.28
5 133.7 ±44.29 129.1 ±38.75 174.5 ±43.33
8 138.8 ±35.41 138.4 ±38.68 168.9 ±37.37
11 156.7 ±33.63 150.1 ±37.25 174.1 ±32.67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을 일반배지에 감자추출물을 더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여 20일 동안 조도가 각각 500, 1500, 2500 lux인 조건에서 배양하면 상기 표 7과 같이 500 lux의 조건에서 배양했을 때보다 2500 lux에서 배양할 경우 11% 이상 증가한 배양효율을 보였다.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 기본 배양배지(Con)에 요소를 농도별로 더 첨가하였을 때의 배양 효율은 하기 표 8과 같다.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요소 농도별 첨가에 따른 배양효과
배양일수(일) 배양세포 수(×104 cells/㎖)
0 g/ℓ 0.34 g/ℓ 1 g/ℓ
0 250.0 ±39.53 250.0 ±39.53 250.0 ±39.53
1 360.0 ±28.50 425.0 ±55.90 480.0 ±48.09
2 525.0 ±39.53 635.0 ±51.84 740.0 ±89.44
3 875.0 ±72.89 960.0 ±60.21 1,100.0 ±108.97
4 1,160.0 ±89.44 1,545.0 ±59.69 1,685.0 ±128.21
5 1,320.0 ±69.37 1,820.0 ±73.74 2,010.0 ±57.55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을 일반배지에(urea 0g/ℓ) 요소를 0.34, 1 g/ℓ 더 첨가한 배지를 이용하여 5일 동안 조도가 각각 500 lux인 조건에서 배양하면 상기 표 8과 같이 뛰어난 배양효율 증가효과를 보였다.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 배양액에 요소를 0.34, 1 g/ℓ 각각 첨가하면 배양효율이 37, 52 %씩 증가하는 뛰어난 향상 효과를 나타냈다.
<실험예 3>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 배양방법에 있어서 요소 첨가에 따른 후코산틴 함량분석
상기 실험예 2에서 요소 첨가에 의해서 본 발명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배양 효율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상기 요소 첨가 조건에서 배양된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후코산틴 성분함량을 분석하였다.
상기 실험예 1 내지 2의 방법으로 배양된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 배양원액 1 ㎖를 1.8 ㎖ effendorf tube에 옮겨 담고, 상기 시료를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한다. 상층액이 제거된 펠렛(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에 99% 에탄올 1 ㎖를 넣고 1시간 동안 초음파를 이용하여 분쇄한다. 상기에서 얻은 초음파 분쇄물을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449 nm에서 흡광도 값을 구한다.
* 흡광계 OD449를 이용한 후코산틴 정량곡선(mg/㎖ 에탄올)
={Absorbance units(Au)/Specific absorption coefficient(ℓ/g cm)}
(Absorbance: Ethanol=449 nm, Specific absorption coefficient=1140)
=OD449/1140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의 요소 농도별 첨가에 따른 성분분석
측정항목 요소 첨가량(g/ℓ)
0 0.34 1
㎖ 당 습중량 (mg) 2.9 ±0.21 3.0 ±0.27 3.4 ±0.22
㎖ 당 건중량 (mg) 0.17 ±0.061 0.22 ±0.025 0.29 ±0.017
건조함량 (%) 5.8 ±1.659 7.5 ±0.891 8.4 ±0.938
최종 셀수(×104 cells/㎖) 1,320 ±69.4 1,820 ±73.7 2,010 ±57.6
Fucoxnathin 함량 (mg/g) 5 ±0.06 6.8 ±0.18 7.5 ±0.26
(mg/㎖ sample) 10.4 ±0.13 18.4 ±0.49 25.9 ±0.9
지질 함량 (%) 26.9 ±7.48 42.9 ±5.70 35.3 ±5.33
EPA (ug/g DM) 43.3 ±3.74 41.2 ±1.63 41.5 ±1.45
DHA (ug/g DM) 19.6 ±1.41 19.4 ±2.52 13.6 ±0.65
DHA/EPA ratio 2.2 ±0.09 2.1 ±0.21 3.0 ±0.10
EPA/ARA ratio 111.4 ±8.13 128.3 ±20.74 160.1 ±12.82
n-3 HUFA (ug/g DM) 64.6 ±5.12 62.3 ±4.15 56.5 ±1.98
UI (% of FA) 299.2 ±23.16 285.9 ±13.88 270.9 ±6.95
상기 요소를 0.34, 1 g/ℓ 첨가하였을 때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 배양세포 1 g당 생산되는 후코산틴은 각각 50, 68%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배양액 1㎖당 생산되는 후코산틴의 양은 76, 149 %로 획기적으로 증가하였다.
<실시예 2> 후코산틴 고생산 미세조류 돌연변이체 제조
후코산틴을 다량 생산하는 미세조류를 제조하기 위해서 UV 돌연변이체를 제조하였다. 후코산틴 고생산 미세조류를 제조하기 위해서 미세조류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을 UV에 시간별, 그리고 거리별로 조사하여 돌연변이체를 제조하였다.
UV에 의해 생산된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 돌연변이 미세조류들은 상기 실시예 1을 통해서 확립된 배양조건인 22 ℃, 2500 lx, 규산나트륨 2 배의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 돌연변이 미세조류의 배양효율
노출시간
(min)
노출거리
(cm)
세포최고밀도
(×104 cells/㎖)
노출시간
(min)
노출거리
(cm)
세포최고밀도
(×104 cells/㎖)
노출시간
(min)
노출거리
(cm)
세포최고밀도
(×104 cells/㎖)
10 10 311.6 ±3.23 20 10 312.8 ±0.97 30 10 327.2 ±4.16
20 310.7 ±3.69 20 309.6 ±1.92 20 317.3 ±4.21
30 309.6 ±2.80 30 317.3 ±0.82 30 321.4 ±2.62
40 311.3 ±3.04 40 317.5 ±4.10 40 322.6 ±6.39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 돌연변이 미세조류의 후코산틴 생산율
노출시간
(min)
노출거리
(cm)
세포최고밀도
(×104 cells/㎖)
노출시간
(min)
노출거리
(cm)
세포최고밀도
(×104 cells/㎖)
노출시간
(min)
노출거리
(cm)
세포최고밀도
(×104 cells/㎖)
10 10 43.3 ±0.90 20 10 46.1 ±0.29 30 10 41.0 ±1.05
20 41.6 ±1.00 20 44.1 ±0.55 20 42.0 ±0.70
30 44.1 ±0.80 30 44.0 ±0.23 30 42.5 ±0.69
40 47.9 ±0.93 40 43.8 ±0.84 40 41.7 ±1.66
UV 돌연변이체들 중에서 배양 효율이 높은 돌연변이체는 상기 표 10에 나타났듯이 UV를 30분 동안 10 cm의 거리에서 노출한 미세조류가 가장 높은 배양효율을 보였다. 또한, 상기 표 11의 결과로 알 수 있듯이 후코산틴의 생성율이 높은 돌연변이체는 UV를 10분 동안 40 ㎝의 거리를 두고 조사한 돌연변이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laims (3)

  1.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을 규산나트륨, 감자추출물 및 요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후코산틴 생산용 배양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 접종 후 2~6 일에 상기 후코산틴 생산용 배양배지를 추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코산틴의 함량 향상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오닥틸럼 트리코뉴튬은 UV 조사를 통하여 생산된 돌연변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코산틴의 함량 향상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UV 조사는 조사시간 10~30 분 및 조사거리 10~40 cm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코산틴의 함량 향상방법.
KR1020190044172A 2019-04-16 2019-04-16 규조류 배양 시 보조색소인 후코산틴의 함량 향상방법 KR202001215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172A KR20200121524A (ko) 2019-04-16 2019-04-16 규조류 배양 시 보조색소인 후코산틴의 함량 향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172A KR20200121524A (ko) 2019-04-16 2019-04-16 규조류 배양 시 보조색소인 후코산틴의 함량 향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524A true KR20200121524A (ko) 2020-10-26

Family

ID=7300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172A KR20200121524A (ko) 2019-04-16 2019-04-16 규조류 배양 시 보조색소인 후코산틴의 함량 향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15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86379A (zh) * 2023-04-03 2023-06-23 广东海洋大学 一种促进微藻积累岩藻黄素及合成脂质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86379A (zh) * 2023-04-03 2023-06-23 广东海洋大学 一种促进微藻积累岩藻黄素及合成脂质的方法
CN116286379B (zh) * 2023-04-03 2024-02-23 广东海洋大学 一种促进微藻积累岩藻黄素及合成脂质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neshkumar et al. Cultiv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microalgae Chlorella vulgaris and it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human pathogens
EP2668259B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microalgae, cyanobacteria and metabolites thereof
CN110628644B (zh) 一种新型生物絮团及应用和利用其标粗凡纳滨对虾的方法
Huang et al. Growth effects on mixed culture of Dunaliella salina and Phaeodactylum tricornutum under different inoculation densities and nitrogen concentrations
Fagiri et al. Influence of chem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Spirulina platensis strain SZ100
AU2011312987A1 (en) Heterotrophic microbial production of xanthophyll pigments
KR20200121524A (ko) 규조류 배양 시 보조색소인 후코산틴의 함량 향상방법
KR101168140B1 (ko) 천연 섭취가 가능한 생 클로렐라의 제조 방법
Fakhri et al. Biomass, pigment production, and nutrient uptake of Chlorella sp. under different photoperiods
Velichkova Effect of different nitrogen sources on the growth of microalgae Chlorella vulgaris cultivation in aquaculture wastewater.
Bandara et al. Development of low-cost growing media for Spirulina using alternative carbon sources
Sompong et al. Sea grape (Caulerpa lentillifera) cultivation in artificial seawater closed system
CN1715399A (zh) 生产复合氨基酸的地衣芽孢杆菌菌株及养殖用氨基酸液肥制备方法
Mokrosnop Dynamics of chlorophyll and paramylon accumulation in Euglena gracilis cells at mixotrophic cultivation
Karuppan et al. Influence of agriculture fertilizer for the enhanced growth and astaxanthin production from Haematococcus lacustris RRGK isolated from Himachal Pradesh, India
CN113462575A (zh) 一种雨生红球藻培养基及其制备方法和雨生红球藻培养方法
Mishra et al. Dr. SYNERGISTIC EFFECTS OF NITROGEN DEPRIVATION AND HIGH IRRADIANCE TO ENHANCE BIOMASS AND LIPID PRODUCTION IN NANNOCHLOROPSIS
JP2007006763A (ja) 水産動物用餌料とその製造方法
Hassan et al. Enhancement of biodiesel production from local isolates of Microalgae
Aqilla et al. Tocopherol Content of Euglena sp. Isolated from Yogyakarta under Glucose and Ethanol Mixture Treatment
KR101795174B1 (ko) 재조합 대장균으로 제조된 δ-aminolevulinic acid를 이용한 해조류의 대량 배양방법
WO2006018668A1 (en) An economical and efficient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spirulina
CZ2014980A3 (cs) Nutriční přípravek, způsob šlechtění kmene řasy Trachydiscus minutus a použití nutričního přípravku
Letsoin et al. Effect of KW21 and water-extracted horseradish leaf combination on Nannochloropsis sp. density in laboratory scale
CN106538420A (zh) 一种海蜇养殖用饵料肥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