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601B1 -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601B1
KR100814601B1 KR1020060105709A KR20060105709A KR100814601B1 KR 100814601 B1 KR100814601 B1 KR 100814601B1 KR 1020060105709 A KR1020060105709 A KR 1020060105709A KR 20060105709 A KR20060105709 A KR 20060105709A KR 100814601 B1 KR100814601 B1 KR 100814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oice
data
imag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일
황정호
조용범
Original Assignee
이스턴 마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턴 마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스턴 마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5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6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or with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4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merged images, e.g. merging camera image with stored images
    • B60R2300/3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merged images, e.g. merging camera image with stored images merging camera image with lines or ic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and displaying vehicle exterior blind spot vi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후방 혹은 좌우 측방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사각지대의 영상정보를 모니터에 표시함과 더불어 카메라의 자동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측정되는 차량과 가장 가까운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값과 가장 가까운 피사체가 포함된 화면상 분할면의 외곽선을 점멸표시하고 동시에 음성신호로 출력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에게 종합적인 시청각 정보를 제공함에 따라 안전한 차량 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하며, 차량의 전/후측 혹은 좌/우측 부위에 설치되어 차량의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카메라부의 자동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의 사각지대 영상에 대한 피사체의 초점거리 측정을 위해 카메라 렌즈의 이동을 구동하는 카메라렌즈 구동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처리함과 더불어 상기 카메라렌즈 구동부의 렌즈 이동에 의해 카메라렌즈의 위치로부터 최적의 초점이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로부터 신호 처리된 사각지대의 영상과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저장부;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로부터 신호 처리된 사각지대의 영상,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 분석한 후 상기 분석 데이터를 바탕으로 영상, 음성 및 거리데이터 그리고 최단거리 피사체가 존재하는 화면영역의 점멸선이 표시 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를 총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측정된 사각지대의 영상데이터와 최단거리 피사체가 존재하는 화면영역의 점멸선을 출력하여 화면 표시하거나, 상기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데이터를 OSD 기능을 통해 숫자로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량이 피사체의 일정 거리에 도달될 때 경고음 및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에 대한 거리별 음성이 출력되도록 해당 음성메시지가 저장되는 음성저장부; 상기 음성저장부의 음성데이터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증폭부; 및 상기 음성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음성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을 제시한다.
차량, 후방, 감시, 카메라, 자동초점, 사각지대

Description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A blind spot visual monitering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의 전후방 및 좌우 측방에 설치된 카메라와 차량 내부에 설치된 모니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거리측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카메라부 20: A/D변환부
30: 카메라렌즈 구동부 40: 디지털신호처리부
50: 영상저장부 60: 제어부
70: 표시부 80: 음성저장부
90: 음성증폭부 100: 음성출력부
본 발명은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후방 혹은 좌우 측방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사각지대의 일반적 영상 정보를 모니터에 표시함과 더불어 카메라의 자동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측정된 차량과 가장 가까운 피사체와의 거리 정보를 모니터상의 숫자로 표시하고 이 피사체가 있는 화면상의 분할면의 외곽을 점선으로 점멸시킴과 동시에 음성신호로 출력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에게 종합적인 시청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운전할 때 전방의 상황은 물론 후방, 측방, 전하방 등의 사각지대의 상황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데, 특히 차선의 변경이나 후진할 경우 사각지대의 상황을 확실하게 인지한 후 차선의 변경이나 후진 등의 조작을 하여야만 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주행 중 차선의 변경 시 혹은 후진을 할 경우 운전자가 차체의 양측에 돌출 형성된 양 사이드 미러 또는 실내에 장착된 룸미러를 통하여 후방이나 양측방의 상황을 판단한 후 후방의 차량이 적정 거리를 두고 안전한 상태에 있을 때 혹은 후방에 장애물이 없다고 판단될 때 차선 변경이나 후진 등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운전자가 미숙할 경우 주행 중 사이드 미러 및 룸미러를 보고 후방의 상황을 판단하는 것이 불안정하므로 추돌 등의 사고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후방의 장애물을 확실하게 인지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이 개발되었으 며, 차량 사각지대 감시시스템은 차량의 전후방 혹은 측방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차량이 후진, 회전 및 차선을 변경할 경우 차량의 전후방 및 측방에 발생 되는 사각지대를 감시할 수 있어 안전한 차량 운행에 많은 도움을 주게 된다.
현재 차량 사각지대 감시시스템의 실용화 제품에는 카메라를 이용한 방식과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방식이 있다.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차량 후방 감시시스템은 운전자가 시선을 자유롭게 움직이면서도 거리에 관한 정보를 단속적인 경고음 또는 거리표시장치에 숫자로 거리표시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피사체의 크기 및 형태에 대한 시각 정보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후방 감시시스템은 사각지대에 대한 직접적인 시각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운전자의 직접적이고 시각적인 판단이 가능하지만, 운전자의 시선이 모니터에 고정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사각지대 이외에 대한 판단이 부족하거나 피사체에 대한 거리 정보가 필요할 경우 숫자로 표시되는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초음파센서를 이용하는 차량 후방 감시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운전자의 시각적 감각에 의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카메라를 이용한 방식의 경우 단순하게 화상만 모니터상에 나타내기 때문에 사고의 가능성이 높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장애물은 카메라의 일반적인 자동초점의 기능상 초점이 정확치 않게 되기 쉬우며 사고 회피를 위해서는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피사체에 관한 거리정보가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에는 자동초점장치를 이용하여 단순히 명료한 화상을 표시하는데 그치고 있다.
한편, 이와 관련된 공지의 기술로서 “일본공개특허 소59-131282(공개일: 1984.07.28)”와 “일본공개특허 소59-035164(공개일: 1984.02.25)”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지기술의 일본공개특허 소59-131282는 차량 후방에 설치된 비디오카메라가 거리계측장치와 자동초점기구를 구비하여 자동초첨기구의 구동각도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기술이며, 일본공개특허 소59-035164의 경우 렌즈를 통과하는 이미지를 2개의 초점검출수단을 이용하여 3개 이상의 거리구간으로 구분하여 초점거리를 판정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지된 기술들은 광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가장 가까운 장애물을 추출하고 그 거리를 구간이 아닌 모니터상의 숫자 정보로 나타내고 그 장애물이 있는 영역을 화면상에서 구분 표시할 수 없어서 차량 운전자에게 종합적인 시청각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즉, 차량 운전자에게 카메라로부터 측정된 차량과 위험이 예측되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모니터에 숫자로 표시함과 더불어 동시에 측정된 피사체와의 거리별 음성메시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장애물이 있는 화면영역을 점멸선으로 지시해주는 점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는 상이한 차이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후방 혹은 좌우 측방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사각지대의 영상정보를 모니터에 표시함과 더불어 카메라의 자동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판정하고 이 피사체가 있는 화면상의 분할면을 점멸선으로 외곽표시를 하고 측정된 차량과 가장 가까운 장애물과의 초점거리정보를 숫자 및 음성신호로 출력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에게 종합적인 시청각 정보를 동시에 제공함에 따라 안전한 차량 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하며, 차량의 전/후측 혹은 좌/우측 부위에 설치되어 차량의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카메라부의 자동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의 사각지대 영상에 대한 피사체의 초점거리 측정을 위해 카메라 렌즈의 이동을 구동하는 카메라렌즈 구동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처리함과 더불어 상기 카메라렌즈 구동부의 렌즈 이동에 의해 카메라렌즈의 위치로부터 최적의 초점이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로부터 신호 처리된 사각지대의 영상과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저장부;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로부터 신호 처리된 사각지대의 영상,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 분석한 후 상기 분석 데이터를 바탕으로 영상, 음성 및 거리데이터 그리고 최단거리 피사체가 존재하는 화면영역의 점멸선이 표시 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를 총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측정된 사각지대의 영상데이터와 최단거리 피사체가 존재하는 화면영역의 점멸선을 출력하여 화면 표시하거나, 상기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데이터를 OSD 기능을 통해 숫자로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량이 피사체의 일정 거리에 도달될 때 경고음 및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에 대한 거리별 음성이 출력되도록 해당 음성메시지가 저장되는 음성저장부; 상기 음성저장부의 음성데이터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증폭부; 및 상기 음성증폭부로부터 증폭된 음성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설명에 앞서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은 대형트럭, 버스, 탑차, 렉카, 건설용 기계, 산업용 기계 등과 같이 차량의 전후방 및 좌우 측방 사각지대의 시각이 제한된 모든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의 전후방 및 측방에 설치된 카메라와 차량 내부에 설치된 모니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거리측정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은 카메라부(10); A/D변환부(20); 카메라렌즈 구동부(30); 디지털신호처리부(40); 영상저장부(50); 제어부(60); 표시부(70); 음성저장부(80); 음성증폭부(90); 음성출력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부(10)는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후측 혹은 좌/우측 사각지대의 영상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 혹은 좌/우 측방 사각지대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도 2에서는 카메라부(10)의 위치가 좌측과 후측에 설치된 상태만을 나타내었다.
A/D변환부(20)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기능으로서 카메라부(10)로부터 획득된 아날로그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카메라렌즈 구동부(30)는 카메라부(10)의 자동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차량의 후방 혹은 측방 사각지대에 대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측정을 위해 카메라 렌즈의 이동을 구동한다.
이때, 차량과 피사체와의 초점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짧은 시간에 카메라 렌즈를 일정 시간마다 일정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메카니즘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자동초점 기능을 이용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측정은 카메라부(10)로부터 촬영된 피사체의 영상픽셀을 8ㅧ8 혹은 16ㅧ16, 32ㅧ32 픽셀 형태로 분할한 후, 그 분할된 영역 중에서 최대 초점거리에 해당하는 초점 값을 판정함으로써 초점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거리 판정은 카메라 렌즈를 이동시키는데 소모 되는 전류 량 혹은 이송 모터의 회전 수 등을 감지하여 거리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최대 초점거리에는 다수의 고주파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수학식 1과 같은 초점렌즈의 이동거리를 이용하여 최대 초점거리에 해당하는 피사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6079016306-pat00001
여기서, F: 렌즈 초점거리, U: 렌즈와 피사체 거리, V: 렌즈와 피사체 영상의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초점 값의 연산은 이산코사인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디지털 신호처리부(40)는 A/D변환부(20)로부터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디지털 신호처리한다. 또한, 카메라렌즈 구동부(30)의 렌즈 이동에 의해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처리한다.
이때, 디지털 신호처리부(40)는 카메라부(10)의 자동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촬영된 피사체 영상의 초점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초점평가 알고리즘과, 카메라부(10) 렌즈의 위치로부터 최적의 초점이 측정된 피사체와의 거리를 판정할 수 있는 피사체 거리판정 알고리즘이 구비되어 있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초점평가 알고리즘은 다수의 포인트에 초점을 맞추게 되는데 예컨대, 9점 포커스의 경우 화면 상단 3점, 중앙 3점, 하단 3점의 초점 을 맞추게 된다.
이때, 측정되는 최소거리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기 설정된 렌즈의 이동 최대 값 및 최소 값을 이용하여 실측 데이터 기반으로 산정하게 된다. 예컨대, 렌즈 1mm 이동에 10cm의 측정거리가 움직일 때 초기 초점 값(예: 40cm)에서 2mm 까지 렌즈가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면 최소 측정거리는 20cm가 된다. 물론 측정되는 최대거리는 기준점에서 최대 거리를 계산한다.
따라서 카메라 렌즈의 총 이동거리의 모든 영상의 초점 평가치 및 렌즈의 위치 값을 조합하여 차량과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초점 평가치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초기 제품생산 시 입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초점은 촬영 대상의 색상 경계선 혹은 피사체의 끝 부분의 영상 수치가 피크 치에 도달했을 때 나타나는 경계선을 이용하여 초점의 조정 여부를 판별한다. 이러한 초점 평가치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전체 초점은 화면 중앙부위에 우선순위를 맞추어 영상을 제공하며, 초점거리는 각 포인트별로 구하여 가장 작은 거리 값이 포함된 분할 면의 외곽을 점멸 선으로 표시하고 가장 가까운 피사체의 거리 값을 화면에 표시한다.
영상저장부(50)는 디지털 신호처리부(40)로부터 신호 처리된 사각지대의 영상, 피사체와의 초첨거리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부(60)는 차량의 후방감시시스템의 각 기능을 총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로서 디지털 신호처리부(40)로부터 신호 처리된 사각지대의 영상과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 분석한 후 상기 분석데이터 영상, 음성 및 거리데이터 그리고 최단거리 장애물이 존재하는 화면영역의 점멸선이 표시부(70) 및 음성출력부(1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표시부(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LCD) 혹은 브라운관(CRT) 모니터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로서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부(10) 및 카메라렌즈 구동부(30)로부터 촬영된 사각지대의 영상,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70)의 피사체 초점거리 데이터 출력은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이용하여 초점거리가 숫자로 화면에 표시된다. 만약, 차량 운행 중 숫자를 볼 수 없는 경우 영상과 함께 음성출력부(100)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며, 경고음은 일정거리 이하에서 작동하며 미리 설정된 단위로 경고음 발생 횟수를 정할 수 있다.
음성저장부(80)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전용 칩으로서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이 피사체와 일정 거리에 도달될 때 음성출력부(100)를 통해 경고음 발생과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에 대한 거리별 음성이 출력되는 해당 음성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피사체의 일정거리는 5cm ~ 50cm 범위 이내이다.
음성증폭부(90)는 증폭기를 이용하여 음성저장부(80)의 음성데이터를 증폭 출력하며, 음성출력부(100)는 음성증폭부(90)로부터 증폭된 음성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외부 출력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사각지대 감시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차량의 전/후측 혹은 좌/우측 부위에 자동초점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를 설치하여 차량 사각지대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사각지대에 피사체가 감지될 때 차량과 최단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구분한 후 이를 디지털 신호처리하는 단계; 상기 신호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차량으로부터 최단거리에 있는 피사체의 초점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와의 최단 초점거리가 포함된 화면상의 분할면 외곽을 모니터를 통해 점멸표시하고, 상기 피사체와의 최단 초점거리를 OSD 기능을 통해 숫자로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피사체와의 초점거리별 해당 음성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차량 운행 중 운전자가 골목길과 같은 차폭이 좁은 길에서 주차를 하려고 후진하는 경우 차량 후방 및 측방 감시시스템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차량의 후방 및 측방에 설치된 카메라부(10) 및 카메라렌즈 구동부(30)가 구동되어 사각지대의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부(10)의 자동초점 기능에 의해 사각지대에 장애물(피사체)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60)는 디지털 신호처리부(40)로부터 신호처리된 사각지대의 영상과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 분석한다.
제어부(60)는 상기 분석 데이터를 바탕으로 측정된 사각지대의 영상데이터와 차량으로부터 최단거리에 있는 장애물과의 초점거리를 계산하고 최단 초점거리가 포함된 화면상의 분할면의 외곽을 점멸표시하고 그 초점거리 데이터를 표시부(70) 를 통해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사각지대의 영상데이터는 예컨대, 표시부(70)의 액정화면을 통해 표시되고,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는 OSD 기능을 통해 숫자로 액정화면에 표시된다.
그와 더불어 차량이 피사체의 일정 거리에 도달될 때에는 경고음과 함께 측정된 피사체의 초점거리 데이터에 해당하는 음성메시지가 음성출력부(100)를 통해 출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으로부터 영상신호를 모니터에 표시하고 자동초점 기능에 의해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를 모니터에 숫자로 OSD 표시함과 더불어 동시에 가장 가까운 장애물이 있는 화면상 분할면의 외곽선을 점멸처리하고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를 음성메시지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는 차량의 사각지대에 대한 시청각 정보를 바탕으로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전후방 혹은 좌우 측방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되는 사각지대의 영상 정보를 모니터에 표시함과 더불어 카메라의 자동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정보를 숫자 및 음성신호로 출력함과 동시에 최단거리 장애물이 포함된 화면상의 분할면의 외곽을 점멸처리 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에게 동시적이고 종합적인 시청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는 차량 사각지대에 대한 종합적인 시청각 정보를 바탕으로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하며,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10); 상기 카메라부(10)로부터 촬영된 아날로그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A/D변환부(20); 상기 A/D변환부(20)로부터 변환된 영상데이터를 디지털 신호처리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40); 및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40)로부터 신호 처리된 사각지대의 영상과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저장부(50)를 구비하는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10)는 차량의 전/후측 혹은 좌/우측 부위에 설치되어 차량의 사각지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차량의 사각지대 영상에 대한 피사체의 초점거리 측정을 위해 카메라 렌즈의 이동을 구동하는 카메라렌즈 구동부(30);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40)는 상기 카메라렌즈 구동부(30)의 렌즈 이동에 의해 카메라렌즈의 위치로부터 최적의 초점이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며;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40)로부터 신호 처리된 사각지대의 영상,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 분석한 후 상기 분석 데이터를 바탕으로 영상, 음성 및 거리데이터 그리고 최단거리 피사체가 존재하는 화면영역의 점멸선이 표시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를 총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측정된 사각지대의 영상데이터와 최단거리 피사체가 존재하는 화면영역의 점멸선을 출력하여 화면 표시하거나, 상기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데이터를 OSD 기능을 통해 숫자로 화면 표시하는 표시부(70);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이 피사체의 일정 거리에 도달될 때 경고음 및 측정된 피사체와의 초점거리 데이터에 대한 거리별 음성이 출력되도록 해당 음성메시지가 저장되는 음성저장부(80);
    상기 음성저장부(80)의 음성데이터를 증폭하기 위한 음성증폭부(90); 및
    상기 음성증폭부(90)로부터 증폭된 음성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
  2. 자동초점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전/후측 혹은 좌/우측 부위에 자동초점 기능이 구비된 카메라를 설치하여 차량 사각지대의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사각지대에 피사체가 감지될 때 차량과 최단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구분한 후 이를 디지털 신호처리하는 단계;
    상기 신호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차량으로부터 최단거리에 있는 피사체의 초점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피사체와의 최단 초점거리가 포함된 화면상의 분할면 외곽을 모니터를 통해 점멸표시하고, 상기 피사체와의 최단 초점거리를 OSD 기능을 통해 숫자로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피사체와의 초점거리별 해당 음성메시지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방법.
KR1020060105709A 2006-10-30 2006-10-30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14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709A KR100814601B1 (ko) 2006-10-30 2006-10-30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709A KR100814601B1 (ko) 2006-10-30 2006-10-30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601B1 true KR100814601B1 (ko) 2008-03-17

Family

ID=3941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709A KR100814601B1 (ko) 2006-10-30 2006-10-30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6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738B1 (ko) 2013-04-29 2014-08-19 주식회사 카텍 스테레오비전기술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상황 감시장치
CN113702068A (zh) * 2021-08-31 2021-11-26 中汽院(重庆)汽车检测有限公司 商用车盲区监视系统的评价系统及评价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489U (ko) * 1996-10-21 1998-07-15 김광호 자동차 후미부 움직임 자동 감시 장치
KR19980027283A (ko) * 1996-10-15 1998-07-15 박병재 자동차의 영상인식 처리장치
KR20030010891A (ko) * 2001-07-27 2003-02-0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 후방 감시장치
KR20050023569A (ko) * 2003-08-28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기장을 이용한 카메라의 자동 초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7283A (ko) * 1996-10-15 1998-07-15 박병재 자동차의 영상인식 처리장치
KR19980021489U (ko) * 1996-10-21 1998-07-15 김광호 자동차 후미부 움직임 자동 감시 장치
KR20030010891A (ko) * 2001-07-27 2003-02-0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자동차 후방 감시장치
KR20050023569A (ko) * 2003-08-28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기장을 이용한 카메라의 자동 초점 장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0021489호 U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0027283호 A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10891호 A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5-0023569호 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738B1 (ko) 2013-04-29 2014-08-19 주식회사 카텍 스테레오비전기술을 이용한 차량의 운전상황 감시장치
CN113702068A (zh) * 2021-08-31 2021-11-26 中汽院(重庆)汽车检测有限公司 商用车盲区监视系统的评价系统及评价方法
CN113702068B (zh) * 2021-08-31 2023-11-07 中汽院(重庆)汽车检测有限公司 商用车盲区监视系统的评价系统及评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544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N102281398B (zh) 摄像设备和摄像设备的控制方法
EP1781018A1 (en) Camera and camera system
KR100917330B1 (ko) 차량의 탑뷰 모니터 시스템 및 방법
JP2001028050A (ja) 歩行者検知装置
EP2246721B1 (e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JP2010152026A (ja) 距離測定器及び物体移動速度測定器
KR100814601B1 (ko) 차량의 사각지대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JP6265602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4501708B2 (ja) 運転者の顔向き判定装置
KR101179326B1 (ko) 차량 후방 감시 장치
US20200361376A1 (en) Rear display device
JP2005343351A (ja) 運転支援装置
CN112272946B (zh) 车辆控制装置
US9826141B2 (en) Imaging apparatus
JP2006258943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KR102010407B1 (ko) 스마트 리어뷰 시스템
KR20160104470A (ko) 블랙박스 및 avm 영상을 이용한 차선 이탈 감지 시스템 및 감지 방법
CN112243089B (zh) 摄像头hdr图像效果开关控制方法、装置、后视镜、车辆及存储介质
JP4281405B2 (ja) 確認動作検出装置及び警報システム
JP4013856B2 (ja) 後側方警報装置
JPH0948283A (ja) 車両の後方監視装置
JPH1191467A (ja) 後方監視カメラ装置
JP2007148506A (ja) 運転支援装置
JP2007178293A (ja) 車両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