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009B1 -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009B1
KR100814009B1 KR1020060105406A KR20060105406A KR100814009B1 KR 100814009 B1 KR100814009 B1 KR 100814009B1 KR 1020060105406 A KR1020060105406 A KR 1020060105406A KR 20060105406 A KR20060105406 A KR 20060105406A KR 100814009 B1 KR100814009 B1 KR 100814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shaft
case
bevel gear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5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comprising special mechanical means for correcting the field of view in relation to particular driving conditions, e.g. change of lane; scann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3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1개의 스텝 모터를 사용하여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미러를 상하ㆍ좌우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1개의 스텝 모터로서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좌우ㆍ상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미러 하우징의 디자인을 양호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테이(10)에 설치한 지지부재(11)와; 상기 지지부재(11)에 케이스(21)를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시켜 상기 케이스(21)의 일측에 스텝 모터(22)를 설치하고, 상기 스텝 모터(22)의 축에 주구동축(24)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주구동축(24)에 제 2 구동축(25)을 회전 및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하며, 상기 제 2 구동축(25)의 중간에 상하조절용 원동베벨기어(26)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구동축(25)의 자유단에 좌우조절용 원동베벨기어(27)를 설치한 구동기구(20)와; 상기 케이스(21)에 좌우조절축(31)을 지지하여 그 상하단을 미러(M)에 고정하고, 상기 좌우조절축(31)에 좌우조절용 종동베벨기어(33)를 상기 좌우조절용 원동베벨기어(27)와 이물림 또는 이물림 해제할 수 있게 설치한 좌우각도 조절수단(30)과; 상기 케이스(21)에 상기 주구동축(24) 및 제 2 구동축(25)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조절축(36)을 평행하게 고정하여 그 양단을 상기 지지부재(11)에 지지하고, 상기 상하조절축(36)에 상하조절용 종동베벨기어(38)를 상기 상하조절용 원동베벨기어(26)와 이물림 또는 이물림 해제할 수 있게 설치한 상하각도 조절수단(35)과; 상 기 케이스(21) 및 제 2 구동축(25)에 설치한 회전감지수단(40)과; 상기 좌우 및 상하각도 조절수단(30)(35)의 구동방향을 전환하는 구동방향 전환수단(50)과; 운전자 인근위치에 설치한 폴딩 스위치(60)와; 상기 폴딩 스위치(60)와 회전감지수단(40)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상기 스텝 모터(22)와 구동방향 전환수단(50)을 제어하는 제어기(70)로 구성한 것이다.
지지부재, 구동기구, 케이스, 주구동축, 제 2 구동축, 상하 및 좌우조절용 원동베벨기어, 좌우각도 조절수단, 좌우조절축, 좌우조절용 종동베벨기어, 상하각도 조절수단, 상하조절축, 상하조절용 종동베벨기어, 회전감지수단, 구동방향 전환수단, 폴딩 스위치, 제어기

Description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VIEW ANGLE CONTROL DEVICE OF INSIDE REAR VIEW MIRROR FOR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미러 하우징을 생략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좌우각도 조절상태의 요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어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하각도 조절상태의 요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좌우각도 조절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하각도 조절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지지부재 20 : 구동기구 21 : 케이스 24 : 주구동축
25 : 제 2 구동축 26, 27 : 상하 및 좌우조절용 원동베벨기어
30 : 좌우각도 조절수단 31 : 좌우조절축 33 : 좌우조절용 종동베벨기어
35 : 상하각도 조절수단 36 : 상하조절축 38 : 상하조절용 종동베벨기어
40 : 회전감지수단 50 : 구동방향 전환수단
60 : 폴딩 스위치 70 : 제어기
본 발명은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1개의 스텝 모터를 사용하여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미러를 상하ㆍ좌우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는 윈드 실드 글래스의 상부 중앙 또는 헤드라이닝의 전방 중앙에 스테이를 고정하고, 상기 스테이에 미러 하우징을 피봇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미러 하우징에 미러를 고정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미러 하우징을 상하ㆍ좌우로 회전하여 가장 적합한 후방시계를 확보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상하ㆍ좌우 각도조절을 자동으로 하려는 노력들을 하고 있는바, 상기 자동각도조절장치는 통상적으로 좌우조절용 및 상하조절용 스텝 모터를 각각 구비하고 조작용 스위치와 제어기에 의하여 후방시계를 운전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자동각도조절장치는 2개의 스텝 모터를 사용함으로 구조가 복잡하여지고, 또한 상기 스텝 모터는 미러 하우징에 내장하여야 함으로 미러 하우징의 체적이 커지기 때문에 실내와의 디자인 균형이 맞지 않아서 실내의 디자인이 양호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1개의 스텝 모터로서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좌우ㆍ상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미러 하우징의 디자인을 양호하게 한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테이에 설치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케이스를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시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스텝 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스텝 모터의 축에 주구동축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주구동축에 제 2 구동축을 회전 및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하며, 상기 제 2 구동축의 중간에 상하조절용 원동베벨기어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구동축의 자유단에 좌우조절용 원동베벨기어를 설치한 구동기구와; 상기 케이스에 좌우조절축을 지지하여 그 상하단을 미러에 고정하고, 상기 좌우조절축에 좌우조절용 종동베벨기어를 상기 좌우조절용 원동베벨기어와 이물림 또는 이물림 해제할 수 있게 설치한 좌우각도 조절수단과; 상기 케이스에 상기 주구동축 및 제 2 구동축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조절축을 평행하게 고정하여 그 양단을 지지부재에 지지하고, 상기 상하조절축에 상하 조절용 종동베벨기어를 상기 상하조절용 원동베벨기어와 이물림 또는 이물림 해제할 수 있게 설치한 상하각도 조절수단과; 상기 케이스 및 제 2 구동축에 설치한 회전감지수단과; 상기 좌우 및 상하각도 조절수단의 구동방향을 전환하는 구동방향 전환수단과; 운전자 인근위치에 설치한 폴딩 스위치와; 상기 폴딩 스위치와 회전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상기 스텝 모터와 구동방향 전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좌우각 도 조절상태의 요부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어블록도로서, 10은 윈드 실드 글래스 또는 헤드라이닝의 전방 중앙에 설치하는 스테이이고, 11은 상기 스테이(10)에 설치한 지지부재이다.
20은 구동기구로서, 상기 구동기구(20)는 상기 지지부재(11)에 케이스(21)를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시켜서 그 일측에 스텝 모터(22)를 설치하여 그 축에 주구동축(24)을 연결하고, 상기 주구동축(24)에 제 2 구동축(25)을 회전함과 아울러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하며, 상기 제 2 구동축(25)의 중간에 상하조절용 원동베벨기어(26)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구동축(25)의 자유단에 좌우조절용 원동베벨기어(27)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주구동축(24)과 제 2 구동축(25)의 연결은 주구동축(24)에 직사각형 단면의 지지구(124)를 고정하여 그 일측벽에 지지공(125)을 형성하고, 제 2 구동축 (25)의 일단을 상기 지지공(125)을 통하여 지지구(124)의 내부로 유도한 후 지지바(126)를 고정하여서, 제 2 구동축(25)이 지지공(125)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고, 지지바(126)가 지지구(124)에 걸림되면서 주구동축(24)과 함께 회전하는 것이다.
30은 좌우각도 조절수단으로서, 상기 좌우각도 조절수단(30)은 상기 케이스 (21)의 상기 스테이(10)의 세로방향 중앙에 좌우조절축(31)을 지지하여 그 상하단을 미러(M)에 고정한 지지편(32a)(32b)에 고정하고, 상기 좌우조절축(31)에 좌우조절용 종동베벨기어(33)를 상기 좌우조절용 원동베벨기어(27)와 이물림 또는 이물림 해제할 수 있게 설치한 것이다.
35는 상하각도 조절수단으로서, 상기 상하각도 조절수단(35)은 상기 케이스 (21)의 상기 주구동축(24) 및 제 2 구동축(25)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조절축(36)을 평행하게 고정하여 그 양측을 케이스(21)에 고정하고, 상기 상하조절축(36)의 양단을 지지부재(11)에 설치한 지지편(37a)(37b)에 지지하며, 상기 상하조절축(36)에 상하조절용 종동베벨기어(38)를 상기 상하조절용 원동베벨기어(26)와 이물림 또는 이물림 해제할 수 있게 설치한 것이다.
40은 회전감지수단으로서, 상기 회전감지수단(40)은 상기 케이스(21)에 하우징(41)을 상기 제 2 구동축(25)을 관통시켜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41)의 양측에 좌우 및 상하감지센서(42a)(42b)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구동축(25)에 회전판(43)을 설치하여 제 2 구동축(25)이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판(43)이 좌우 및 상하감지센서(42a)(42b)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50은 구동방향 전환수단으로서, 상기 구동방향 전환수단(50)은 상기 케이스 (21)에 솔레노이드(51)를 고정하여 그 플런저(52)를 제 2 구동축(25) 측으로 유도하고, 상기 플런저(52)의 자유단에 U형 조작부재(53)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U형 조작부재(53)를 상기 제 2 구동축(25)에 설치한 조작판(54)에 끼움하여서, 솔레노이드(51)의 여자시에는 스텝 모터(22)의 구동력을 상하조절축(31)에 전달하고, 비여자시에는 좌우조절축(36)에 전달하며, 또한 동시에 좌우감지센서(42a)와 상하감지센서(42b)에서 선택적으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60은 폴딩 스위치이고, 상기 폴딩 스위치(60)는 운전자 인근위치 예를 들면 암레스트, 스티어링 핸들 또는 크래쉬 패드 등에 설치하며, 상기 폴딩 스위치(60) 는 종래 아웃사이드 리어 뷰 미러에서 사용하던 것과 그 구조가 동일하며, 다만 상기 아웃사이드 리어 뷰 미러용에서 좌ㆍ우측 절환기능을 제거한 것이다.
70은 제어기로서, 상기 제어기(70)는 상기 폴딩 스위치(60)와 회전감지수단 (40)의 좌우 및 상하감지센서(42a)(42b)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기구(20)의 스텝 모터(22)와 구동방향 전환수단(50)의 솔레노이드(51)를 제어토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미러(M)의 좌우측의 각도를 조절할 때에는 먼저 미러의 상하측 각도조절을 한 도 4의 상태에서 폴딩 스위치(60)를 좌우측으로 절환하면 제어기(70)는 솔레노이드(51)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음으로 비여자상태로 됨으로써 도 2와 같이 플런저(52)가 전진하여 좌우조절용 원동베벨기어(27)는 좌우조절용 종동베벨기어(33)에 이물림하고, 상하조절용 원동베벨기어(26)는 상하조절용 종동베벨기어(38)에서 이물림 해제되며, 한편 제 2 구동축(25)에 설치한 회전판(43)은 좌우감지센서(42a)에 접촉되어 그 출력신호를 제어기(70)에 입력함으로 제어기(70)는 스텝 모터(22)를 정ㆍ역 제어구동하여 좌우조절용 원동 및 종동베벨기어(27)(33)가 정ㆍ역회전되어 미러의 좌우각도를 조절하며, 이때 상기 제어기(70)는 폴딩 스위치 (60)의 출력신호치에 부합되게 스텝 모터(22)를 구동함으로써 미러를 원하는 좌우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미러(M)의 상하측의 각도를 조절할 때에는 도 2의 상태에서 상기 좌우측의 조절과는 반대로 솔레노이드(51)가 여자됨으로 도 4와 같이 플런저(52)가 후진하고 제 2 구동축(25)도 후진함으로 상하조절용 원동베벨기어(26)는 상하조절용 종동베벨기어(38)에 이물림하고, 좌우조절용 원동베벨기어(27)는 좌우조절용 종동 베벨기어(33)에서 이물림 해제되며, 회전판(43)은 상하감지센서(42b)에 접촉됨으로써 스텝 모터(22)를 정ㆍ역제어하며, 스텝 모터(22)가 정ㆍ역회전하면 상하조절용 원동 및 종동베벨기어(26)(38)가 정ㆍ역회전함으로써 상하조절축(36)이 정ㆍ역회전하고, 상하조절축(36)이 지지편(37a)(37b)을 지점으로 정ㆍ역회전함으로 케이스 (21)가 회전되면서 미러(M)의 상하각도조절을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1개의 스텝 모터를 사용하여 미러의 좌우ㆍ상하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음으로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미러 하우징의 체적을 축소할 수 있음으로 그 디자인을 실내와의 균형을 유지하여 아름답게 할 수 있게 되어 상품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스테이에 설치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케이스를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시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스텝 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스텝 모터의 축에 주구동축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주구동축에 제 2 구동축을 회전 및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하며, 상기 제 2 구동축의 중간에 상하조절용 원동베벨기어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구동축의 자유단에 좌우조절용 원동베벨기어를 설치한 구동기구와; 상기 케이스에 좌우조절축을 지지하여 좌우조절용 종동베벨기어를 그 상하단을 미러에 고정하고, 상기 좌우조절축에 상기 좌우 조절용 원동베벨기어와 이물림 또는 이물림 해제할 수 있게 설치한 좌우각도 조절수단과; 상기 케이스에 상기 주구동축 및 제 2 구동축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조절축을 평행하게 고정하여 그 양단을 지지부재에 지지하고, 상기 상하조절축에 상하 조절용 종동베벨기어를 상기 상하 조절용 원동베벨기어와 이물림 또는 이물림 해제할 수 있게 설치한 상하각도 조절수단과; 상기 케이스 및 제 2 구동축에 설치한 회전감지수단과; 상기 좌우 및 상하각도 조절수단의 구동방향을 전환하는 구동방향 전환수단과; 운전자 인근위치에 설치한 폴딩 스위치와; 상기 폴딩 스위치와 회전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상기 스텝 모터와 구동방향 전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한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주구동축과 제 2 구동축의 연결은 주구동축에 직사각형 단면의 지지구를 고정하여 그 일측벽에 지지공을 형성하고, 제 2 구동축의 일단을 상기 지지공을 통하여 지지구의 내부로 유도한 후 지지바를 고정한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감지수단은 케이스에 하우징을 제 2 구동축을 관통시켜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좌우 및 상하감지센서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구동축에 회전판을 설치하여 제 2 구동축이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판이 좌우 및 상하감지센서에 선택적으로 접촉되게 한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방향 전환수단은 케이스에 솔레노이드를 고정하여 그 플런저를 제 2 구동축 측으로 유도하고, 상기 플런저의 자유단에 U형 조작부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U형 조작부재를 상기 제 2 구동축에 설치한 조작판에 끼움한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KR1020060105406A 2006-10-30 2006-10-30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KR100814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406A KR100814009B1 (ko) 2006-10-30 2006-10-30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406A KR100814009B1 (ko) 2006-10-30 2006-10-30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009B1 true KR100814009B1 (ko) 2008-03-14

Family

ID=3939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406A KR100814009B1 (ko) 2006-10-30 2006-10-30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0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8961A (zh) * 2013-10-31 2014-02-12 富卓汽车内饰(安徽)有限公司 一种车用内后视镜结构
KR20160111669A (ko) * 2015-03-17 2016-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 자유도 아웃사이드미러 구조
CN108162862A (zh) * 2017-12-27 2018-06-15 应夏英 一种车内后视镜调节结构
CN117169113A (zh) * 2023-09-07 2023-12-05 苏州鑫河镜业有限公司 一种汽车镜片附着力检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365A (ko) * 1996-12-06 1998-09-05 김영귀 자동차의 룸미러 구동장치
KR19980039783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1개의 모터가 사용된 자동차의 미러
KR0133580Y1 (ko) * 1992-08-04 1999-01-15 전성원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 조절장치
KR19990002781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자동차의 룸미러 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580Y1 (ko) * 1992-08-04 1999-01-15 전성원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의 각도 조절장치
KR19980044365A (ko) * 1996-12-06 1998-09-05 김영귀 자동차의 룸미러 구동장치
KR19980039783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1개의 모터가 사용된 자동차의 미러
KR19990002781U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자동차의 룸미러 각도 조절장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0039783호 U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20-19990002781호 U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0044365호 A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133580 호Y1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8961A (zh) * 2013-10-31 2014-02-12 富卓汽车内饰(安徽)有限公司 一种车用内后视镜结构
CN103568961B (zh) * 2013-10-31 2015-10-21 富卓汽车内饰(安徽)有限公司 一种车用内后视镜结构
KR20160111669A (ko) * 2015-03-17 2016-09-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 자유도 아웃사이드미러 구조
KR101662539B1 (ko) * 2015-03-17 2016-10-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2 자유도 아웃사이드미러 구조
CN108162862A (zh) * 2017-12-27 2018-06-15 应夏英 一种车内后视镜调节结构
CN117169113A (zh) * 2023-09-07 2023-12-05 苏州鑫河镜业有限公司 一种汽车镜片附着力检测装置
CN117169113B (zh) * 2023-09-07 2024-05-17 苏州鑫河镜业有限公司 一种汽车镜片附着力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3874B1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KR100814009B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리어 뷰 미러의 각도조절장치
JP2003252127A (ja) 駆動制御装置および駆動制御方法
KR100774727B1 (ko) 자동차용 a/v 디스플레이의 밝기 및 각도 조절장치
JP5575418B2 (ja) ミキサドラム駆動制御装置
CN203854710U (zh) 用于车辆的转向管柱机构及具有其的车辆
JP2002178855A (ja) 設備制御装置
JP5646816B2 (ja) ミキサ車
JP5432557B2 (ja) ミキサドラム駆動制御装置
JP2001122145A (ja) 車両用自動操舵装置
JP2003267137A (ja) 自動車用バックミラー装置
JP5288159B2 (ja) アクチュエータ
KR20110025310A (ko) 사각지대 방지 사이드미러
KR101490771B1 (ko) 자동차용 전동식 미러 틸팅장치
KR200285629Y1 (ko) 자동 조향장치
KR100254560B1 (ko) 자동차용 룸미러
KR19980036452A (ko) 시트 자동 조절장치
KR19990054270A (ko) 자동 조향장치
KR101244562B1 (ko) 틸트 및 텔레스코픽 기능을 가진 조향칼럼
KR200195690Y1 (ko) 차량의 코너링시 시트쏠림 방지장치
KR19980028332U (ko) 차량의 시트 보호대 조절장치
CN113968190A (zh) 一种智能车用屏幕调节系统
KR0137382Y1 (ko) 자동차 전조등 유동장치
JPH09182473A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09090713A (ja) 車両の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