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316B1 - 외줄형 스노우 체인 - Google Patents

외줄형 스노우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316B1
KR100813316B1 KR1020070040523A KR20070040523A KR100813316B1 KR 100813316 B1 KR100813316 B1 KR 100813316B1 KR 1020070040523 A KR1020070040523 A KR 1020070040523A KR 20070040523 A KR20070040523 A KR 20070040523A KR 100813316 B1 KR100813316 B1 KR 100813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xtension
hole
stopper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602A (ko
Inventor
박명상
Original Assignee
박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상 filed Critical 박명상
Priority to KR1020070040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316B1/ko
Publication of KR2008000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316B1/ko
Priority to PCT/KR2008/002281 priority patent/WO200813342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1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having tensio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 B60C27/06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 B60C27/1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having tensioning means
    • B60C27/12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extending over the complete circumference of the tread, e.g. made of chains or cables having tensioning means resilient pre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4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oad vehicles, e.g. passenge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줄형 스노우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어와, 삽입홀을 통해 와이어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다수의 스파이크와, 스파이크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과, 와이어의 일단에 와이어 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제1스톱퍼와, 와이어의 타단에 와이어 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제2스톱퍼와, 상부가 열린 내부 공간을 갖는 제1바디와, 내부공간 내로 회동에 의해 입출될 수 있게 제1바디와 힌지결합된 제2바디를 구비하는 체결구 및 제2바디를 제1바디의 내부공간 내에 록킹 및 언록킹 할 수 있게 형성된 록킹부재를 구비하고, 제1바디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관통홀을 통해 제1스톱퍼가 내부공간 내에 구속되게 설치되어 있고, 제2스톱퍼는 제2바디에 와이어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장공을 통해 제2스톱퍼 내에 구속될 수 있게 설치되어 제2바디를 제1 바디 내로 록킹시킬 때 이루어지는 폐궤도의 길이가 제2바디가 제1바디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폐궤도 길이 보다 짧게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외줄형 스노우 체인에 의하면, 타이어의 트레드 홈 내로의 착탈시 지렛대 방식에 의한 조임 결속 및 확장 분리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조작에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고, 결속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길이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타이어로부터의 이탈이 억제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외줄형 스노우 체인{snow cha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줄형 스노우 체인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체결구를 통해 연결된 부분을 일부 발췌하여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체결구를 분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스파이크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절단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스노우 체인이 타이어의 트레드 홈에 삽입되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6는 도 1의 외줄형 스노우 체인을 설치시 이용하기 위한 타이어 리프트용 보조 도구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보조 도구를 이용하여 타이어의 트레드 홈이 노출되게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줄형 스노우 체인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체결구를 통해 연결된 부분을 일부 발췌하여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체결구를 분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8의 스파이크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절단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와이어 120: 스파이크
130: 스프링 141: 제1스톱퍼
142: 제2스톱퍼 150: 체결구
본 발명은 외줄형 스노우 체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타이어 트레드 홈에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할 수 있으면서도 이탈이 억제될 수 있는 외줄형 스노우 체인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에 탈착하는 스노우 체인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고, 대부분 타이어의 폭 보다 넓은 폭으로 타이어를 감쌀 수 있게 형성된 타입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타이어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타입의 스노우 체인은 타이어에 장착 및 분리가 어렵고, 타이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격이 많아 주행시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코자 타이어의 트레드 홈에 장착할 수 있는 외줄형 스노우 체인이 국내 공개 실용신안 제96-3079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외줄형 스노우 체인은 와이어의 일단에 걸고리와 와이어의 타단에 체결구를 갖는 탄성 스프링을 적용하여 상호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주행시 특히 회전시에 삽착링의 지면과의 밀림작용에 의한 스프링의 이완에 의해 체인이 타이어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스프링의 이완을 억제하기 위해 탄성력이 높은 것을 적용하는 경우 타이어에 장착 및 분리시 스프링을 인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너무 과도하여 실질적으로 장착 및 분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2002-0029456호 및 국내 공개특허 제2002-0036456호에도 외줄형태의 스노우 체인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결속부재로서 앞서와 같은 탄성스프링, 신축케이블 또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당김작용에 의해 결속하도록 되어 있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타이어와의 착탈성이 좋으면서도 타이어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길이의 신축이 억제되는 외줄형 스노우 체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줄형 스노우 체인은 와이어와; 삽입홀을 통해 상기 와이어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다수의 스파이크와; 상기 스파이크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과;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상기 와이어 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제1스톱퍼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상기 와이어 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제2스톱퍼와; 상부가 열린 내부 공간을 갖는 제1바디와, 상기 내부공간 내로 회동에 의해 입출될 수 있게 상기 제1바디와 힌지결합된 제2바디를 구비 하는 체결구; 및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바디의 내부공간 내에 록킹 및 언록킹 할 수 있게 형성된 록킹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바디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스톱퍼가 상기 내부공간내에 구속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스톱퍼는 상기 제2바디에 상기 와이어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장공을 통해 제2스톱퍼 내에 구속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 바디 내로 록킹시킬 때 이루어지는 폐궤도의 길이가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폐궤도 길이 보다 짧게 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관통홀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스톱퍼 보다 작은 직경의 중공을 통해 상기 와이어에 삽입되되 외주면에 상기 제1관통홀과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제1바디내로의 진입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길이 조정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제1 바디내로 상기 제2바디가 수용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바디에서부터 상기 제2바디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게 제1외경을 갖으며 일정길이 연장된 몸통부분과, 상기 몸통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편을 갖는 체결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1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구속편 및 몸통부분이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제1핀홀과; 상기 제1핀홀과 대향되는 상기 제2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핀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핀홀과, 상기 제2바디의 타측면에는 상기 몸통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3핀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측면부분과; 상기 제1측면부분 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되되 종단 부분에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게 힌지가 형성된 제1 및 제2 연장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연장부분의 종단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분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제3 및 제4연장부분과;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분의 일단에서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분과;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분의 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5 및 제6연장부분과; 상기 제5 및 제6 연장부분 종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7연장부분;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바디의 상기 제1 및 제2연장부분의 외측면 각각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일정길이 연장된 제1 및 제2리브;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제1 바디 외측으로 연장된 와이어 상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바디를 향해 돌출된 돌출편과; 상기 제1바디의 상기 제1관통홀이 형성된 측면상에 상기 돌출편이 관통되게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된 구속 안내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구속 안내홀을 통해 진입된 상기 돌출편에 간섭되어 상기 제1 바디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의 인출이 억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구속안내홀이 형성된 제1측면부분과; 상기 제1측면부분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되되 종단 부분에 각각 힌지 결합홀이 형성된 제1 및 제2 연장부분;을 구비하 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분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제3 및 제4연장부분과;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분의 일단에서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분 보다 좁은 폭으로 상호 대향되게 절곡된 절곡부분과;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분의 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5 및 제6연장부분과; 상기 제5 및 제6 연장부분 종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7연장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크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홀이 형성된 베이스부분과; 상기 베이스부분의 중앙 상면이 노출되게 상호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돌출부분과; 상기 베이스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의 측면에서 상기 삽입홀의 연장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베이스부분의 저면으로부터는 일정 높이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날개부분;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분의 상기 삽입홀이 노출되는 측면은 타이어와 접촉되는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진행될 수록 폭이 확장되게 경사진 경사부분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줄형 스노우 체인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외줄형 스노우 체인을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체결구의 와이어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체결구를 분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스파 이크를 절단하여 나타내 보인 절단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스노우 체인이 타이어의 트레드 홈에 삽입되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외줄형 스노우 체인(100)은 와이어(110), 스파이크(120), 스프링(130), 제1스톱퍼(141), 제2스톱퍼(142), 체결구(150) 및 록킹부재를 구비한다.
와이어(110)는 타이어(200)의 트레드 홈(202)의 폭 보다 좁은 외경을 갖는 것이 적용된다.
스파이크(120)는 와이어(110)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삽입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스파이크(120)는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잘 마모되지 않은 금속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파이크(120)를 구분해보면, 베이스부분(121), 제1 및 제2돌출부분(125a)(125b) 및 제1 및 제2날개부분(126)(127)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베이스부분(121)은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홀(122)이 형성되어 있고, 일정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돌출부분(125a)(125b)은 베이스부분(121)의 중앙 상면이 노출되게 상호 이격되어 베이스부분(121)과 동일 폭으로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호 이격된 제1 및 제2 돌출부분(125a)(125b)은 상방으로 진행할 수록 삽입홀(122)의 연장방향에 대한 길이가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지면과 주로 접촉되는 부분이다.
제1 및 제2날개부분(126)(127)은 베이스부분(121)의 측면에서 삽입홀(122)의 연장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삽입홀(122)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날개부분(126)(127)은 베이스부분(121)의 저면으로부터는 일정 높이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단면형상이 반원형인 것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제1 및 제2날개부분(126)(127)은 베이스 부분(121)의 폭 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타이어(200)의 트레드 홈(202)의 폭이 타이어(200)의 종류마다 약간씩 달라도 타이어(200)의 트레드 홈(202)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제1 및 제2날개부분(126)(127)까지의 폭 보다 약간 좁은 폭을 갖는 트레드 홈의 경우 제1 및 제2날개부분(126)(127)이 트레드 홈(202) 내에 일부는 삽입되기 때문에 타이어(200)와의 밀착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이 회전시에 지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인가되는 간섭력에 대해서도 베이스부분(121)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베이스부분(121) 보다 양측으로 두껍게 돌출된 제1 및 제2 날개부분(126)(127)에 의해 스파이크(120)가 옆으로 누워지는 각도범위를 줄임으로써 타이어 트레드 홈(202)으로부터의 이탈을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베이스부분(121)의 저면은 평탄한 형태가 적용되었으나 타이어의 곡면에 대응되게 곡면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베이스부분(121)의 삽입홀(122)이 노출되는 양 측면 즉, 제1 및 제2 날개부분(126)(127)이 형성된 측면과 직교되는 방향에 있는 측면은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진행될수록 길이가 점진적으로 확장되게 형성된 경사부분(123)을 갖게 형 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부분(123)은 와이어(110)에 스파이크(120)와 스프링(130)을 교번으로 삽입하면서 밀착되게 조립시 스파이크(120) 상호간의 대향되는 경사부분(123)이 상호 밀착될 수 있게 배열됨으로써 원형 형태로 조립할 수 있음과 아울러 스파이크(120)의 회전을 억제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스파이크(120)의 폭은 타이어(200)의 트레드 홈(202)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적절히 적용하면 된다.
스프링(130)은 스파이크(120) 사이에 와이어(110)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있다.
스프링(130)의 길이는 적절하게 적용하면 되고, 스파이크(120)의 완충성을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스프링(130)의 길이를 길게 적용하면 된다.
제1 스톱퍼(141)는 와이어(110)의 일단에 결합되어 와이어(110) 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톱퍼(142)는 와이어(110)의 타단에 결합되어 와이어(110) 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체결구(150)는 힌지(155a)(155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바디(151)와 제2바디(156)로 형성되어 와이어(110)의 양단에 형성된 제1스톱퍼(141) 및 제2스톱퍼(142)를 각각 구속되게 수용하되, 펼친상태에서는 와이어(110) 및 체결구(150)에 의해 폐궤도를 이루는 전체 길이가 상호 접혀진 상태의 폐궤도를 이루는 길이 보다 길게 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구(15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바디(151)는 상하부가 열리고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와이어(110)가 관통될 수 있게 형성된 제1관통홀(152) 및 구속 안내홀(15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바디(151)를 구분해보면, 제1관통홀(152) 및 구속안내홀(153)이 형성된 제1측면부분(151a)과, 제1측면부분(151a)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되되 종단 부분에 각각 힌지 결합홀(154)이 형성된 제1 및 제2 연장부분(151b)(151c)으로 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분(151b)(151c)이 제1측면부분(151a)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이격되게 형성되면 제1스톱퍼(141)가 타이어(200)의 트레드 홈(202)내에 밀착된 상태로 접촉되기 때문에 체인(100)과 타이어(200)와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분(151b)(151c)의 종단은 벌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보강부(미도시)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보강부는 제2바디(156)의 회동시 간섭되지 않게 형성되면 된다.
제2 바디(156)는 제1 바디(151)의 내부공간내로 입출될 수 있게 제1바디(151)와 힌지결합되어 있고, 제2스톱퍼(142)가 제1 바디(151)의 내부공간 내로 구속되어 수용될 수 있게 와이어(1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장공(15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바디(156)를 구분해 보면, 제1 및 제2 연장부분(151b)(151c)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제3 및 제4연장부분(156a)(156b), 제3 및 제4 연장부분(156a)(156b)의 일단에서 제3 및 제4 연장부분(156a)(156b) 보다 좁은 폭으로 상호 대향되게 절곡된 절곡부분(158)과, 제3 및 제4 연장부분(156a)(156b)의 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5 및 제6연장부분(156c)(156d)과, 제5 및 제6 연장부분(156c)(156d) 종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7연장부분(156e)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제3 및 제4 연장부분(156a)(156b)의 폭은 제2스톱퍼(142)의 외경보다는 작고 와이어(110)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하면 된다.
한편, 제1 및 제2 힌지핀(155a)(155b)은 제1 및 제2 바디(151)(152)의 힌지결합홀(154)(159)을 통해 각각 리벳형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1힌지핀(155a)과 제2힌지핀(155b) 사이 공간은 와이어(110)가 진입될 수 있게 됨으로써 와이어(110)가 타이어(200) 트레드 홈(202)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한편, 절곡부분(158)은 후술되는 플레이트(161)의 돌출편(162)에 간섭되어 제2바디(152)가 제1바디(151)로부터 이탈을 억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체결구(150)에서 제2바디(152)를 제1바디(151)에 대해 펼쳐친 상태로 회동시키면 체결구(150)의 전체 길이가 확장되고 그에 따라 스노우 체인(100)의 전체 궤도 길이가 확장된다. 또한, 제2바디(152)를 제1바디(151) 내에 수용되게 회동시키면 체결구(150)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고, 그에 따라 스노우 체인(100)의 전체 궤도 길이가 줄어든다.
바람직하게는 체결구(150)가 접혀진 상태에서의 스노우 체인(100)의 전체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길이 조정부재(165)를 더 구비한다.
길이 조정부재(165)는 와이어(110)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되 제1스톱퍼(141) 보다는 작은 내경을 갖는 중공을 갖으며, 머리부 보다 외경이 작게 연장된 몸통부의 외주면에는 제1관통홀(152)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길이 조정부재(165)의 제1 바디(151) 내로의 진입길이를 가변시키면 스노우 체인(100)의 폐궤도상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길이 조정부재(165)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참조부호 180은 스파이크(120)의 유동가능 범위를 부분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와이어(110) 상에 상호 이격되게 고정 결합된 중간 스톱퍼이고, 스프링(130) 및 스파이크(120)가 구속될 수 있는 외경으로 형성되면 된다.
록킹부재는 체결구(150)의 제2바디(156)가 제1바디(151) 내로 수용되게 접힌 상태에서 제2바디(156)가 제1바디(151)에 대해 록킹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록킹부재는 플레이트(161), 돌출편(162), 구속 안내홀(153) 및 보조스프링(168)으로 되어 있다.
플레이트(161)는 제1 바디(151) 외측에 설치된 길이조정부재(165) 상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돌출편(162)은 플레이트(161)로부터 제1바디(151)를 향해 일정길이 돌출되어 있고, 제1바디(151)의 제1관통홀(152)이 형성된 제1측면부분(151a)상에 형성된 구속 안내홀(153)을 통해 진입된다.
따라서, 제2바디(156)가 제1바디(151) 내로 수용되게 조작한 상태에서 보조 스프링(168)에 의해 제1바디(151)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플레이트(161)의 돌출편(162)을 구속안내홀(153)을 통해 진입되게 조작하면, 돌출편(162) 하부에 제2바디(156)의 절곡부분(158)이 위치되어 있어, 제2바디(156)가 돌출편(162)에 의해 제1바디(151)로부터 이탈이 억제된다.
외줄형 스노우 체인(100)은 제작시 스파이크(120) 및 스프링(130)이 삽입된 와이어(110)의 일단을 제1바디(151)의 제1관통홀(152)내에 삽입한 다음 제1스톱퍼(141)를 결합하고, 와이어(110)의 타단은 제2바디(156)의 장공(157)을 통해 삽입한 다음 제2스톱퍼(142)를 결합한 후, 절곡부분(158)을 절곡하면 된다.
이러한 외줄형 스노우 체인(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경사면을 갖고 저면에는 경사면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되 종단에 톱니형 골이 형성된 지면 고정편(223)이 부착된 리프트용 보조 기구(220)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프트용 보조기구(220)의 경사면이 타이어(200)의 트레드 홈(202)이 노출되게 타이어(200) 앞에 놓고, 타이어(200)가 보조기구(220)의 경사면을 따라 상면에 진입되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다음 타이어(200)의 외측에서 체결구(150)가 펼쳐진 상태로 타이어(200)의 트레드 홈(202)내에 진입시킨 다음 제2바디(156)를 제1바디(151) 내로 수용되게 회전조작 한 후 돌출편(162)이 구속안내홀(153)에 진입되게 조작하면 장착이 완료된다.
이러한 스노우 체인(100)은 타이어(200)에 체결 및 분리시 체결구(150)의 제2바디(156)를 제1바디(151)에 대해 회전 조작하면 되기 때문에 지렛대 원리에 의해 단순 신축방식에 비해 훨씬 적은 힘에 의해서도 체결할 수 있고, 체결상태에서도 전체길이가 가변되지 않기 때문에 주행시 및 회전시에도 이탈이 억제된다.
또한, 스파이크(120)가 스프링(130) 사이에 배열되어 있어, 차량의 주행 및 회전시에 지면과의 접촉에 의한 밀림력에 의해 미세한 후퇴 및 지면과의 접촉 해제시에 원위치로 복원하는 완충작용에 의해 체인(100)의 타이어(200)로부터의 이탈을 억제시킬 수 있다.
한편, 체결구, 스파이크 및 록킹부재는 앞서 예시된 구조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줄형 스노우 체인을 설명한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외줄형 스노우 체인(300)은 와이어(110), 스파이크(320), 스프링(130), 제1스톱퍼(141), 제2스톱퍼(142), 체결구(350)를 구비한다.
스파이크(320)는 앞서와는 다르게 제1 및 제2돌출부분(125a)(125b) 상의 양측면에 각각 제1 및 제2날개부분(326)(327)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 및 제2날개부분(326)(327)은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체결구(350)는 힌지(355a)(355b)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바디(351)와 제2바디(356)로 형성되어 있다.
체결구(350)의 제1바디(351)는 상하부가 열리고 양측은 상호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바디(151)를 구분해보면, 제1관통홀(152)이 형성된 제1측면부분(351a)과, 제1측면부분(351a)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되되 종단 부분에 각각 내측으로 돌출된 힌지(355a)(355b)가 형성된 제1 및 제2 연장부분(351b)(351c), 보강부(353) 및 제 1 및 제2리브(354a)(354b)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강부(353)는 제1 및 제2 연장부분(351b)(351c)의 종단에서 하방으로 반원형 형태로 일체로 형성된 구조가 적용되었고, 도시된 예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강부(353)는 제1 및 제2 연장부분(351b)(351c)의 벌어짐을 억제시키기 위해 적용되었다.
제 1 및 제2리브(354a)(354b)는 제1 및 제2연장부분(351b)(351c)의 외측면 각각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2리브(354a)(354b)는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타이어(200)와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키는 기능과 함께 제1 및 제2 연장부분(351b)(351c)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제2연장부분(351c)상에는 제1연장부분(35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원형과 사각형이 상호 연동된 형상으로 형성된 제1핀홀(371)이 형성되어 있고, 제2연장부분(351c)상에는 원형 형상의 제4핀홀(374)이 형성되어 있다. 제4핀홀(374)는 생략되거나 일부가 막힌 홈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바디(356)는 제3 및 제4연장부분(356a)(356b)상에 각각 제2 및 제3핀홀(372)(373)이 형성되어 있고, 제3 및 제4연장부분(356a)(356b)의 일단에서 장공(157)이 유지될 수 있게 일정폭으로 제3 및 제4연장부분(356a)(356b)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분(35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바디(357)의 제3 및 제4 연장부분(356a)(356b)의 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5 및 제6연장부분(356c)(356d)의 종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7연장부분(356e)의 하단이 경사지게 모서리 처리되어 있다.
또한, 제3 및 제4연장부분(356a)(356b) 상에는 제1 및 제2힌지핀(355a)(355b)이 삽입될 수 있는 힌지 결합홀(154)(159)이 형성되어 있다.
제1바디(351)에 형성된 제1 및 제2 힌지핀(355a)(355b)은 제2바디(156)에 형성된 힌지결합홀(154)(159)을 통해 결합된다. 도시된 예와 다르게 제2바디(356)의 외측면에 힌지핀이 형성되고 제1 바디(351)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록킹부재는 체결핀(361)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4핀홀(371 내지 374)을 통해 제2바디(356)를 제1바디(351)에 구속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체결핀(361)은 몸통부분(361a)과, 걸림편(361b) 및 머리부분(361c)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몸통부분(361a)은 제1바디(351)내로 제2바디(356)가 수용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일직선상으로 상호 얼라인 되게 배치된 제1 내지 제4핀홀(371 내지 374)을 통해 제1바디(351)에서부터 제2바디(356)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게 제1외경을 갖으며 일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걸림편(361b)은 몸통부분 상의 일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제1핀홀(371)은 제1바디(351)의 일측면에 구속편(361b) 및 몸통부분(361a)이 삽입될 수 있게 원형과 각형이 조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핀홀(372)은 제1핀홀(371)과 대향되는 제2바디(356)의 일측면에 제1핀홀(37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3 및 제4핀홀(373)은 제2바디(356) 및 제1바디(351)의 타측면에 체결핀(361)의 몸통부분(361a)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핀홀(371 내지 374)의 형성위치는 제2바디(356)의 제5 및 제6연장부분(356c)(356d)상 제2 및 제3 핀홀(372)(373)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1 바디(351)상에 제1 및 제4핀홀(371)(374)를 형성하여도 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몸통부분(361a)은 원형이고, 걸림편(361b)은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편(361b)은 체결핀(361)의 걸림편(361b)이 제2바디(356)의 제3 및 제4연장부분(356a)(356b) 내까지 진입된 상태에서 체결핀(361)이 자유회동 될 수 있는 위치상에 형성된다.
머리부분(361c)은 제1핀홀(371)로의 진입이 억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면 되고,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록킹부재는 제2바디(356)를 제1바디(351)내로 수용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핀(361)의 걸림편(361b)이 제1 및 제2핀홀(371)(372)의 각형홀 부분에 대 응되는 위치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삽입하되, 걸림편(361b)이 제2핀홀(372)과 제3핀홀(373) 사이에 위치되게 한 후 일정각도 돌려 놓으면 된다. 또한, 체결핀(361)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걸림편(361b)이 제2 및 제1핀홀(372)(371)을 통과할 수 있는 위치로 회전시킨 다음 인출하면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줄형 스노우 체인은 타이어의 트레드 홈 내로의 착탈시 지렛대 방식에 의한 조임 결속 및 확장 분리가 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조작에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고, 결속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길이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타이어로부터의 이탈이 억제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9)

  1. 와이어와;
    삽입홀을 통해 상기 와이어에 관통되게 삽입되는 다수의 스파이크와;
    상기 스파이크 사이에 삽입된 스프링과;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 상기 와이어 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제1스톱퍼와;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상기 와이어 보다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된 제2스톱퍼와;
    상부가 열린 내부 공간을 갖는 제1바디와, 상기 내부공간 내로 회동에 의해 입출될 수 있게 상기 제1바디와 힌지결합된 제2바디를 구비하는 체결구; 및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바디의 내부공간 내에 록킹 및 언록킹 할 수 있게 형성된 록킹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바디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1스톱퍼가 상기 내부공간내에 구속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스톱퍼는 상기 제2바디에 상기 와이어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장공을 통해 제2스톱퍼 내에 구속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 바디 내로 록킹시킬 때 이루어지는 폐궤도의 길이가 상기 제2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펼쳐진 상태에서 폐궤도 길이 보다 짧게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형 스노우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스톱퍼 보다 작은 직경의 중공을 통해 상기 와이어에 삽입되되 외주면에 상기 제1관통홀과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제1바디내로의 진입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길이 조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형 스노우 체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제1 바디내로 상기 제2바디가 수용되게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바디에서부터 상기 제2바디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게 제1외경을 갖으며 일정길이 연장된 몸통부분과, 상기 몸통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편을 갖는 체결핀;을 구비하고,
    상기 제1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구속편 및 몸통부분이 삽입될 수 있게 형성된 제1핀홀과;
    상기 제1핀홀과 대향되는 상기 제2바디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핀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2핀홀과, 상기 제2바디의 타측면에는 상기 몸통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 제3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외줄형 스노우 체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제1측면부분과;
    상기 제1측면부분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되되 종단 부분에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게 힌지가 형성된 제1 및 제2 연장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연장부분의 종단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분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제3 및 제4연장부분과;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분의 일단에서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분과;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분의 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5 및 제6연장부분과;
    상기 제5 및 제6 연장부분 종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7연장부분;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형 스노우 체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의 상기 제1 및 제2연장부분의 외측면 각각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일정길이 연장된 제1 및 제2리브;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형 스노우 체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제1 바디 외측으로 연장된 와이어 상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바디를 향해 돌출된 돌출편과;
    상기 제1바디의 상기 제1관통홀이 형성된 측면상에 상기 돌출편이 관통되게 진입될 수 있게 형성된 구속 안내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 바디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구속 안내홀을 통해 진입된 상기 돌출편에 간섭되어 상기 제1 바디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의 인출이 억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형 스노우 체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관통홀 및 상기 구속안내홀이 형성된 제1측면부분과;
    상기 제1측면부분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서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되되 종단 부분에 각각 힌지 결합홀이 형성된 제1 및 제2 연장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분 내에 수용될 수 있는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제3 및 제4연장부분과;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분의 일단에서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분 보다 좁은 폭으로 상호 대향되게 절곡된 절곡부분과;
    상기 제3 및 제4 연장부분의 타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5 및 제6연장부분과;
    상기 제5 및 제6 연장부분 종단을 상호 연결하는 제7연장부분;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형 스노우 체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홀이 형성된 베이스부분과;
    상기 베이스부분의 중앙 상면이 노출되게 상호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돌출부분과;
    상기 베이스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돌출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분의 측면에서 상기 삽입홀의 연장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베이스부분의 저면으로부터는 일정 높이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 날개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형 스노우체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분의 상기 삽입홀이 노출되는 측면은 타이어와 접촉되는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진행될 수록 폭이 확장되게 경사진 경사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줄형 스노우 체인.
KR1020070040523A 2006-06-28 2007-04-25 외줄형 스노우 체인 KR100813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0523A KR100813316B1 (ko) 2006-06-28 2007-04-25 외줄형 스노우 체인
PCT/KR2008/002281 WO2008133429A1 (en) 2007-04-25 2008-04-23 A snow ch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58444 2006-06-28
KR1020060058444 2006-06-28
KR1020060063900 2006-07-07
KR20060063900 2006-07-07
KR1020070040523A KR100813316B1 (ko) 2006-06-28 2007-04-25 외줄형 스노우 체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602A KR20080001602A (ko) 2008-01-03
KR100813316B1 true KR100813316B1 (ko) 2008-03-13

Family

ID=3921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523A KR100813316B1 (ko) 2006-06-28 2007-04-25 외줄형 스노우 체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13316B1 (ko)
WO (1) WO20081334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32Y1 (ko) 2013-12-30 2014-08-18 정기룡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43B1 (ko) * 2014-11-10 2015-01-02 노상필 스파이크 연결형 스노체인과 그 장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138U (ko) * 1997-10-31 1999-05-25 윤태영 타이어체인용 체결장치
JPH11342714A (ja) 1998-05-22 1999-12-14 Acciaierie Weissenfels Spa アンチスキッドチェ―ンのサイドホルダ
JPH11348517A (ja) 1998-06-11 1999-12-21 Tetsuaki Konakano タイヤ用すべり止め装置
JP2003191733A (ja) 2001-12-26 2003-07-09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バンド引き締め具及びタイヤ用滑止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4566A (en) * 1977-05-04 1982-06-15 Leo Augustine Tire traction device
FR2540793B1 (fr) * 1983-02-16 1985-11-22 Sepheriades Jean Dispositif antiderapant pour bandage pneumatique de vehicule automob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138U (ko) * 1997-10-31 1999-05-25 윤태영 타이어체인용 체결장치
JPH11342714A (ja) 1998-05-22 1999-12-14 Acciaierie Weissenfels Spa アンチスキッドチェ―ンのサイドホルダ
JPH11348517A (ja) 1998-06-11 1999-12-21 Tetsuaki Konakano タイヤ用すべり止め装置
JP2003191733A (ja) 2001-12-26 2003-07-09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バンド引き締め具及びタイヤ用滑止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032Y1 (ko) 2013-12-30 2014-08-18 정기룡 자동차용 스노우 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33429A1 (en) 2008-11-06
KR20080001602A (ko)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528B2 (en) Cable mount
KR101297462B1 (ko) 물품 고정구
US8250713B2 (en) Hinge assembly adapted to allow cable to be disposed therein quickly
KR100813316B1 (ko) 외줄형 스노우 체인
DE112013007557T5 (de) Befestigungsklemme für einen Bezugstoff
CA2830246C (en) Bullet anchor system
US20180002936A1 (en) Concrete Form Clip
CA2701607C (en) Reflective road marker
CN106687184B (zh) 用于玩具的轻松锁定单元
DE102007042873B3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Anbauteiles an einem Trägerteil
DE60214298T2 (de) Befestigungselement für einen Seitenairbag
CA2758433A1 (en) Locking core plug
US8492015B2 (en) Battery fuse terminal cover with latch
EP0891503A1 (en) Cord locks
WO2002062122A2 (en) Spring-loaded wedge dead end connector
CA2630196A1 (en) Anti-slipping device for dual tires
JP5874157B2 (ja) 跳ね上がり防止機構付きグレーチング
KR200452337Y1 (ko) A형 안전펜스
KR200401213Y1 (ko) 유지관리용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KR200251688Y1 (ko) 고리핀
RU2604915C2 (ru) Блок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вери автомобиля
EP2181956B1 (en) Sliding element and telescopic device comprising such a sliding element
KR101650135B1 (ko) 탄성포장 시공용 틀
DE19738679C1 (de) Schiebestück mit Sicherung
JP2006299794A (ja) グレーチング設置構造体、前記グレーチング設置構造体を備えたグレーチング付き側溝、並びに、前記グレーチング設置構造体を備えたグレーチ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