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844B1 - 코인형 전지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코인형 전지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844B1
KR100812844B1 KR1020037005035A KR20037005035A KR100812844B1 KR 100812844 B1 KR100812844 B1 KR 100812844B1 KR 1020037005035 A KR1020037005035 A KR 1020037005035A KR 20037005035 A KR20037005035 A KR 20037005035A KR 100812844 B1 KR100812844 B1 KR 100812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electrode plate
electrode laminated
co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814A (ko
Inventor
하야시데츠야
히라나가가즈유키
데라오카다카히로
사카모토신이치
오가와사토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6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01M10/0427Button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6Electrodes for primar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01M6/10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01M2006/106Elliptic wound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of button or coin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sea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im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양극적층면(22a∼22e)과 음극적층면(23a∼23f)이 격리판을 개재하여 교대로 적층되도록 양극판(11)과 음극판(12)을 편평하게 감는다. 이 때, 감김시작부에 대면하는 양극적층면(22a, 22b)과 음극적층면(23a), 감김종단부에 대면하는 양극적층면(22e)과 음극적층면(23f)에 위치편차 검출구멍(41a, 41b, 42, 43, 44)을 형성하고, 감겨진 극판군을 X선 검사하여 구멍위치의 편차로부터 위치편차를 검출한다.
코인형 전지

Description

코인형 전지와 그 제조방법{COIN-SHAPED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코인형 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극판과 음극판을 격리판을 개재하여 감은 감김구조의 극판군을 이용한 코인형 전지에 관한 것이다.
코인형 전지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형상으로 형성된 양극팰릿(32)과 음극팰릿(33)을 격리판(34)을 개재하여 대향 배치한 극판구조의 것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 코인형 전지는 원형반각체로 형성된 봉입케이스(35) 내에 양극팰릿(32)과 음극팰릿(33)을 격리판(34)을 개재하여 대향배치하고, 전해액을 주입하여 봉입케이스(35)의 측면둘레부에 개스킷(36)을 배치하며, 그 위에 캡케이스(31)를 씌우고, 캡케이스(31)의 개구단부를 안쪽으로 구부리는 크림핑(crimping)가공에 의해 내부 공간을 밀폐하여 코인형의 외관을 나타내는 전지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양극팰릿(32)과 음극팰릿(33)을 1 : 1로 대면시킨 극판구조에서는 양극판과 음극판이 대극하는 반응면적이 작은 것 등의 요인에 의해 큰 방전용량을 얻을 수는 없었다. 큰 방전용량을 얻기 위해서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대극면적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어, 코인형 전지 이외의 비교적 대형의 전지에서는 복수매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격리판을 개재하여 적층한 적층구조나, 띠형상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격리판을 개재하여 감은 감김구조에 의해, 반응면적을 확대시켜 고율방전에서의 에너지밀도의 향상을 도모한 구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적층구조나 감김구조의 극판을 코인형의 편평한 케이스 내에 수용할 수 있으면 코인형 전지의 방전용량을 증대화시킬 수 있다. 코인형과 같은 편평한 케이스에 감김구조의 극판군을 수용한 전지는 본원 출원인이 일본 특허출원 2000-241678호, 일본 특허출원 2000-241679호 등에서 제안하고 있다.
이 감김구조의 극판군은 도 10의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의 케이스에 그것을 수용하기 위해, 복수의 양극적층면(17a∼17e)을 연결편(19a∼19d)으로 연결한 양극판(7)과, 양극적층면(17a∼17e)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음극적층면(18a∼18e)을 연결편(20a∼20d)으로 연결한 음극판(8)을 격리판을 개재하여 편평하게 감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면형상 극판군(1)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극판군(1)을 봉입케이스(5) 내에 수용하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극리드(16)를 봉입케이스(5)의 내면에 용접하며, 양극리드(15)를 캡케이스(4)에 용접하여 봉입케이스(5) 내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측면둘레부에 개스킷(6)을 배치하며, 그 위에 캡케이스(4)를 씌우고, 그 개구단부를 크림핑가공하여 내부 공간을 밀폐하여 완성된다. 이 코인형 전지는 리튬계의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로서 구성할 수 있고, 편평하고 소형이면서 큰 방전전류를 인출할 수 있는 전지로서 휴대전자기기 등의 소형화, 고기능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 된다.
그러나, 극판군(1)의 제조에 있어서, 양극판(7)과 음극판(8)은 서로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것도 아니므로, 편평하게 감는 공정에서 감김편차가 생기기 쉽고, 감김편차에 수반하여 음극적층면(18a∼18e) 상의 양극적층면(17a∼17e)에 큰 위치편차가 생기면, 리튬 덴드라이트의 석출에 의한 내부 단락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또, 코인형 전지는 편평한 소형의 케이스 내에 감김구조의 극판군(1)을 수용하므로, 위치편차가 생기면,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극판이 봉입케이스(5)에 접촉하여 내부 단락이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양극적층면(17a∼17e)과 음극적층면(18a∼18e)과의 사이의 위치편차의 유무를 검출할 필요가 있지만, 양극판(7)과 음극판(8)을 격리판을 개재하여 감고, 극판군(1)에 형성된 후에는 결속되어 격리판에 덮인 상태에 있기 때문에, 양극적층면(17a∼17e)과 음극적층면(18a∼18e)과의 사이에 위치편차가 생겼는지의 여부를 볼 수는 없다. 양극적층면(17a∼17e)과 음극적층면(18a∼18e)과의 사이에 위치편차가 생겼는지의 여부를 어떠한 수단에 의해 검사하고, 위치편차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 극판군(1)만을 사용하여 전지에 조립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된 극판군에 양극판과 음극판과의 사이에 위치편차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구조를 설치한 코인형 전지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의 제 1 발명은, 복수의 양극적층면을 연결편으로 연결하여 띠형상으로 형성된 양극판과, 복수의 음극적층면을 연결편으로 연결하여 띠형상으로 형성된 음극판을, 상기 양극적층면과 상기 음극적층면이 격리판을 개재하여 교대로 적층되도록 상기 연결편으로 구부려 편평하게 감겨진 극판군이 봉입케이스에 개스킷을 개재하여 캡케이스를 씌워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코인형 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에 양쪽 극판이 감겼을 때의 양극적층면과 음극적층면과의 사이의 위치편차를 검출하는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로서, 양극판과 음극판이 감김편차없이 감겼을 때에, 그 중심위치가 서로 일치하는 검출구멍을 채용하면 적합하다. 또, 상기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로서, 양극판과 음극판이 감김편차없이 감겼을 때에 그 둘레가장자리가 서로 대응하는 동일형 또는 상사형의 검출용 노치를 채용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를 형성한 양극판과 음극판을 편평하게 감아 극판군으로 형성한 후, X선 검사에 의해 양극판과 음극판에 형성된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의 위치관계를 검사함으로써 위치편차를 검출할 수 있다. 위치편차가 생긴 극판군을 케이스에 수용하여 코인형 전지에 조립하면, 단락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지만, 검사에 의해 위치편차가 허용범위에 있는 극판군만을 사용하여 코인형 전지를 조립함으로써, 감김구조의 극판을 이용한 코인형 전지를 제조수율이 좋게 생산할 수 있다.
또, 본원의 제 2 발명은, 복수의 양극적층면을 연결편으로 연결하여 띠형상으로 형성된 양극판과, 복수의 음극적층면을 연결편으로 연결하여 띠형상으로 형성된 음극판을 상기 양극적층면과 상기 음극적층면이 격리판을 개재하여 교대로 적층되도록 상기 연결편으로 구부려 편평하게 감긴 극판군이 봉입케이스에 개스킷을 개재하여 캡케이스를 씌워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코인형 전지에 있어서, 상기 극판군은 적어도 감김종단부, 또는 적어도 감김시작부 및 감김종단부에 대면하는 양극적층면과 음극적층면에 양극판과 음극판이 감겼을 때의 양극적층면과 음극적층면과의 사이의 위치편차를 검출하는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로서는 상술한 검출구멍이나 검출용 노치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양극적층면과 음극적층면에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가 형성된 양극판과 음극판을 감아 극판군으로 형성한 후, X선 검사에 의해 대면하는 양극적층면과 음극적층면에 형성된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의 위치관계를 검사함으로써 위치편차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에 수용하여 코인형 전지에 조립한 후에 단락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감김구조의 극판을 이용한 코인형 전지를 제조수율이 좋게 생산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양극판 및 음극판은 감김시작부측으로부터 2매째의 음극적층면 상에 1매째의 양극적층면이 위치하도록 배치하며, 1매째의 음극적층면이 1매째의 양극적층면 상에 대면하도록 연결편으로 구부리고, 다시 1매째의 음극적층면이 2매째의 양극적층면 상에 위치하도록 연결편으로 구부리는 감김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1매째의 음극적층면과, 이것에 대면하는 1매째 및 2매째의 양극적층면에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를 형성함으로써, 양극적층면과 음극적층면이 교대로 적층되는 상태를 얻을 수 있어, 감김시작부에서의 위치편차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음극적층면의 면적은 양극적층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는 양극적층면 및 음극적층면 중 어느 한쪽에 큰 검출구멍 또는 검출용 노치로서 형성되며, 다른쪽에 작은 검출구멍 또는 검출용 노치로서 형성되고, 서로의 위치관계는 양극판과 음극판과의 사이의 위치편차의 허용범위에 기초하여 설정함으로써, 적층방향으로부터의 X선 조사에 의해 얻어지는 X선 투과화상으로부터 큰 검출구멍 내에 작은 검출구멍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등의 위치관계를 검출하여, 위치편차가 허용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X선 검사할 수 있다.
또, 양극적층면의 1매째와 2매째에 형성된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의 면적이 다르도록 형성함으로써, 감김시작부에서의 1매째와 2매째의 양극적층면 사이의 위치편차를 검출할 수 있다.
또, 검출구멍은 리튬 2차 전지에 적용하는 경우에, 양극적층면에 큰 구멍을 형성하고, 음극적층면에 작은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양극적층면에 음극적층면이 대면하지 않는 부위가 생기는 상태가 없이, 덴드라이트를 석출시키지 않고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감김시작부에 대면하는 양극적층면 및 음극적층면에 형성되는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와, 감김종단부에 대면하는 양극적층면 및 음극적층면에 형성되는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가 양극적층면 및 음극적층면 상의 형성위치를 다르게 해 둠으로써, X선 검사에서 감김시작부와 감김종단부에 위치편차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또, 본원의 제 3 발명은, 복수의 양극적층면을 연결편으로 연결하여 띠형상으로 형성된 양극판과, 복수의 음극적층면을 연결편으로 연결하여 띠형상으로 형성된 음극판을 상기 양극적층면과 상기 음극적층면이 격리판을 개재하여 교대로 적층되도록 상기 연결편으로 구부려 편평하게 감긴 극판군을 봉입케이스 내에 수용하고, 전해액을 주입하며, 개스킷을 개재하여 봉입케이스 상에 캡케이스를 씌우고, 캡케이스의 크림핑가공에 의해 봉입케이스 내를 밀폐하는 코인형 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에 양쪽 극판이 감겼을 때의 양극적층면과 음극적층면과의 사이의 위치편차를 검출하는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를 형성하고, 양극판 및 음극판을 감아 극판군으로 형성하며, 이 극판군의 적층방향으로부터 X선 조사하여 극판군의 X선 투과화상을 촬상하고, 화상처리에 의해 양극적층면의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와 음극적층면의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와의 사이의 위치편차량을 검출하여, 위치편차량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있는 극판군을 상기 봉입케이스 내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인형 전지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가 형성된 극판군을 X선 검사하여, 양극판과 음극판과의 사이에 위치편차가 없는 것을 선별하고, 이것을 케이스에 수용하여 코인형 전지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완성된 후에 위치편차에 따르는 단락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감김구조의 극판구조를 채용한 코인형 전지를 제조수율이 좋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코인형 전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의 (a)는 음극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양극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의 (a)∼(c)는 감김순서를 순서에 따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극판군의 감김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위치편차 검출구멍의 대면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극판군을 X선 검사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도.
도 7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음극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양극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극판군을 X선 검사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도.
도 9는 종래 구성이 되는 코인형 전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의 (a)는 종래의 음극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종래의 양극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종래의 극판군의 평면도.
도 12는 감김구조의 극판군을 이용한 종래의 코인형 전지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로 한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관한 코인형 전지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반각체로 형성된 봉입케이스(5) 내에 극판군(10)을 수용하고, 극판군(10)으로부터 인출된 양극리드(26)를 캡케이스(4)에 용접하고, 음극리드(27)를 봉입케이스(5)에 용접하며, 전해액을 주입하여 봉입케이스(5)의 측면둘레부에 개스킷(6)을 배치하고, 이 개스킷(6) 상에 캡케이스(4)를 씌워, 캡케이스(4)의 개구단부를 안쪽으로 구부리는 크림핑가공에 의해 내부 공간을 밀봉하여 완성된다.
상기 극판군(10)은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6매의 음극적층면(23a∼23f)을 음극연결편(25a∼25e)으로 연결하고, 감김종단부에 음극리드(27)가 형성된 음극판(12)과,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극적층면(23a∼23f)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된 5매의 양극적층면(22a∼22e)을 양극연결편(24a∼24d)으로 연결하고, 감김종단부에 양극리드(26)가 형성된 양극판(11)을 격리판을 개재하여 편평하게 감아 구성된다. 감김은 양극적층면(22a∼22e)과 음극적층면(23a∼23f)이 격리판을 개재하여 교대로 적층되도록 양극연결편(24a∼24d) 및 음극연결편(25a∼25e)을 구부림으로써 이루어진다. 양극적층면(22a∼22e)과 음극적층면(23a∼23f)이 격리판을 개재하여 교대로 적층되도록 감는 순서를 이하에 나타낸다.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극판(11)에 그 양면을 덮도록 격리판(13)(점선으로 나타냄)이 배치되고, 이 격리판(13)이 배치된 양극판(11)은 음극판(12)의 감김시작부로부터 2매째의 음극적층면(23b) 위에 1매째의 양극적층면(22a)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극적층면(23a)을 음극연결편(25a)으로 구부려 양극적층면(22a) 위에 놓는다. 이 양극적층면(22a)의 양측에 격리판(13)을 개재하여 음극적층면(23a, 23b)을 배치한 부위를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극연결편(24a) 및 음극연결편(25b)으로 구부려 양극적층면(22b) 및 음극적층면(23c) 위에 놓고, 감김종단방향으로 차례로 구부려가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극판(11) 및 음극판(12)이 격리판(13)을 개재하여 편평하게 감긴 극판군(10)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양극판(11)과 음극판(12)을 편평하게 감아 극판군(10)을 형성했을 때, 양극판(11)과 음극판(12)과의 사이의 감김편차에 수반하여 양극적층면(22a∼22e)과 음극적층면(23a∼23f)의 대면위치에 위치편차가 생기고, 그 위치편차에 의해 양극적층면(22a∼22e)의 일부가 음극적층면(23a∼23f) 상에서 벗어나는 상태가 생기면, 리튬 덴드라이트의 석출에 수반되는 내부 단락의 발생이나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봉입케이스(5)에 접촉하는 내부 단락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형성된 극판군(10)에 위치편차가 생겼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이 위치편차를 검출하기 위해, 양극판(11) 및 음극판(12)에는 도 2의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김시작부에 대면하는 양극적층면(22a, 22b)과 음극적층면(23a), 감김종단부에 대면하는 양극적층면(22e)과 음극적층면(23f)에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41a, 41b, 42) 및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43, 44)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감김순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감김시작부에서 음극적층면(23a)은 양극적층면(22a)과 양극적층면(22b)에 대면하므로,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김편차없이 감겼을 때에는 음극적층면(23a)에 형성된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3)과 양극적층면(22a, 22b)에 각각 형성된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 41b)은 각각의 중심이 일치한다. 또, 감김종단부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극적층면(22e)과 음극적층면(23f)이 대면하므로, 감김편차없이 감겼을 때에는 음극적층면(23f)에 형성된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4)과 양극적층면(22e)에 형 성된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2)은 각각의 중심이 일치한다. 또,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단면과 직교하는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감김시작부와 감김종단부의 위치편차 검출위치가 감김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방향에서의 단면으로 나타낸다.
음극판(12)은 각 음극적층면(23a∼23f)의 폭방향의 직경이 양극판(11)의 각 양극적층면(22a∼22e)의 폭방향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극판(11)과 음극판(12)의 폭방향의 위치편차는 물리적으로는 폭방향의 직경의 차만큼 허용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음극적층면(23a∼23f)의 폭방향의 직경은 24.0mm, 양극적층면(22a∼22e)의 폭방향의 직경은 22.0mm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극적층면(22a∼22e)에 음극적층면(23a∼23f) 상에서의 위치편차는 폭방향의 양측에 1.0mm만큼 허용된다. 그러나, 리튬 덴드라이트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음극적층면(23a∼23f) 상에 양극적층면(22a∼22e)이 위치하는 상태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극적층면(22a∼22e)의 단부가장자리가 음극적층면(23a∼23f)의 단부가장자리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면, 낙하 등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내부 단락을 발생시키기 쉬운 상태가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편차의 허용범위는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 41b, 42)의 직경과,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3, 44)의 직경이 설정되어 있다.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 41b, 42)의 구멍직경은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3, 44)의 구멍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 41b, 42) 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3, 44)이 위치하고 있 으면 위치편차가 허용범위 내에 있다고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 42)의 직경은 3.2mm,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b)의 직경은 4.2mm,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3)의 직경은 1.5mm로 설정되어 있다.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b) 내에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이 존재하지 않을 때, 도 3의 (c)에 나타내는 양극판(11)의 연결편(24a)을 구부림으로써 감김편차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 감김시작부에서는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의 중심과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3)의 중심과의 사이의 위치편차가, 또 감김종단부에서는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2)의 중심과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4)의 중심과의 사이의 위치편차가 각각 0.65mm 이내인 것을 위치편차의 허용범위로 하고 있다.
이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 41b, 42) 및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3, 44)을 이용한 위치편차검출은 완성된 극판군(10)에 X선 조사하여 극판군(10)을 투과한 X선 투과화상을 화상처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6은 X선 투과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 41b)의 중심과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3)의 중심이 일치하고,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2)의 중심과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4)의 중심이 일치한 위치편차가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 41b) 및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3)의 형성위치와,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2) 및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4)의 형성위치를 바꾸고 있으므로, 감김시작부와 감김종단부의 위치편차를 검출할 수 있다.
X선 투과화상에 의한 극판군(10)의 양부판정은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의 중심과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3)의 중심과의 사이의 위치편차,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2)의 중심과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4)의 중심과의 사이의 위치편차를 검출하는 방법 또는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b) 내에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이 존재하며,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과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3)과의 둘레가장자리 사이의 최단거리 및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2)과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4)과의 둘레가장자리 사이의 최단거리를 검출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 42)의 직경은 3.2mm,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3, 44)의 직경은 1.5mm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과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3)과의 사이의 최단거리 및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2)과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4)과의 사이의 최단거리를 검출하는 검사방법에 의한 경우에서는, X선 투과화상을 화상처리하여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1a)과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3)과의 사이의 최단거리 및 양극위치편차 검출구멍(42)과 음극위치편차 검출구멍(44)과의 사이의 최단거리가 0.2mm 이상이면 위치편차는 허용범위 내에 있다고 하여, 그 극판군(10)은 우량품으로서 코인형 전지의 조립에 제공된다. 최단거리가 0.2mm 이하일 때는 그 극판군(10)은 위치편차가 큰 불량품으로서 처분된다.
또, 상기 위치편차검출은 감김시작부에서의 위치편차검출과, 감김종단부에서의 위치편차검출을 감김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지만, 감김방향으로 위치를 편이시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는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로서, 원형의 검출구멍(41a, 41b, 42, 43, 44)을 채용하고 있지만, 정사각형의 검출구멍 등 다른 형상의 검출구멍을 채용해도 되고, 또 도 7의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검출용 노치(71a, 71b, 72, 73, 74)를 채용해도 된다. 또, 상기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를 극판군의 감김종단부 위치에 대면하는 양극적층면과 음극적층면에 각각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된다. 또, 극판군의 김김시작위치 및 감김종단위치에 각각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를 형성하는 경우라도, 도 2의 (a)∼(b)에 나타내는 경우와 달리, 양극적층면의 1매째(22a)와 2매째(22b)의 양쪽에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를 형성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1매째(22a)에만 검출용 노치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검출용 노치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검출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극판의 다이스커팅(dice cutting)금형을 간편한 구조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7의 (a)∼(b)에 나타내는 음극판(12)과 양극판(11)은 도 2의 (a)∼(b)의 음극판(12) 및 양극판(11)과 동일한 기본형상을 갖고, 음극적층면의 면적이 양극적층면의 면적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양ㆍ음극판(11, 12)에는 감김시작부에 대면하는 양극적층면(22a, 22b)과 음극적층면(23a)의 대응위치에 직각삼각형으로 노치형성한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검출용 노치)(71a, 71b, 73)가 형성되고, 감김종단부에 대면하는 양극적층면(22e)과 음극적층면(23f)의 대응위치에 직각삼각형으로 노치형성한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검출용 노치)(72, 74)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a)∼(b)에 나타내는 검출용 노치(71a, 71b, 73, 72, 74)는 동일 형상이고, 양극판(11)과 음극판(12)이 감김편차없이 감겼을 때, 대응하는 검출용 노치의 대응변은 대략 평행으로 되어 있다. 대응하는 검출용 노치가 상사형이 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도 8은 상기 음극판(12)과 양극판(11)을 구비한 극판군을 X선 투과함으로써 얻어진 화상을 나타내며, 대응하는 검출용 노치(71a, 71b, 73, 72, 74)의 상호위치관계에 따라 극판군의 감김시작부와 감김종단부의 위치편차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 검출용 노치의 형상은 직각삼각형 외에 원호형상 등의 다른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인형 전지와 같이 편평형상의 전지에 적용하는 감김구조의 극판군의 위치편차를 검출할 수 있고, 위치편차에 수반하는 단락의 불량 등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코인형 전지를 제조수율이 좋게 제조하는 것에 적합하다.

Claims (13)

  1. 복수의 양극적층면(22a∼22e)을 연결편(24a∼24d)으로 연결하여 띠형상으로 형성된 양극판(11)과, 복수의 음극적층면(23a∼23f)을 연결편(25a∼25e)으로 연결하여 띠형상으로 형성된 음극판(12)을, 상기 양극적층면(22a∼22e)과 상기 음극적층면(23a∼23f)이 격리판(13)을 개재하여 교대로 적층되도록 상기 연결편(24a∼24d, 25a∼25e)으로 구부려 편평하게 감긴 극판군(10)이, 봉입케이스(5)에 개스킷(6)을 개재하여 캡케이스(4)를 씌워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코인형 전지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11)과 음극판(12)에 양쪽 극판(11, 12)이 감겼을 때의 양극적층면(22a∼22e)과 음극적층면(23a∼23f)과의 사이의 위치편차를 검출하는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41a, 41b, 42, 43, 44, 71a, 71b, 72, 73, 7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가 양극판(11)과 음극판(12)이 감김편차없이 감겼을 때, 그 중심위치가 서로 일치하는 검출구멍(41a, 41b, 42, 43, 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전지.
  3. 제 1항에 있어서,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가 양극판(11)과 음극판(12)이 감김편차없이 감겼을 때, 그 둘레가장자리가 서로 대응하는 동일형 또는 상사형의 검출용 노치(71a, 71b, 72, 73, 7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전지.
  4. 복수의 양극적층면(22a∼22e)을 연결편(24a∼24d)으로 연결하여 띠형상으로 형성된 양극판(11)과, 복수의 음극적층면(23a∼23f)을 연결편(25a∼25e)으로 연결하여 띠형상으로 형성된 음극판(12)을, 상기 양극적층면(22a∼22e)과 상기 음극적층면(23a∼23f)이 격리판(13)을 개재하여 교대로 적층되도록 상기 연결편(24a∼24d, 25a∼25e)으로 구부려 편평하게 감긴 극판군(10)이, 봉입케이스(5)에 개스킷(6)을 개재하여 캡케이스(4)를 씌워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코인형 전지에 있어서,
    상기 극판군(10)은 적어도 감김종단부에 대면하는 양극적층면(22e)과 음극적층면(23f)에 양극판(11)과 음극판(12)이 감겼을 때의 양극적층면(22e)과 음극적층면(23f)과의 사이의 위치편차를 검출하는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42, 72, 44, 7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전지.
  5. 복수의 양극적층면(22a∼22e)을 연결편(24a∼24d)으로 연결하여 띠형상으로 형성된 양극판(11)과, 복수의 음극적층면(23a∼23f)을 연결편(25a∼25e)으로 연결하여 띠형상으로 형성된 음극판(12)을, 상기 양극적층면(22a∼22e)과 상기 음극적층면(23a∼23f)이 격리판(13)을 개재하여 교대로 적층되도록 상기 연결편(24a∼24d, 25a∼25e)으로 구부려 편평하게 감긴 극판군(10)이, 봉입케이스(5)에 개스킷(6)을 개재하여 캡케이스(4)를 씌워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코인형 전지에 있어서,
    상기 극판군(10)은 적어도 감김시작부 및 감김종단부에 대면하는 양극적층면(22a, 22b, 22e)과 음극적층면(23a, 23f)에 양극판(11)과 음극판(12)이 감겼을 때의 양극적층면(22a, 22b, 22e)과 음극적층면(23a, 23f)과의 사이의 위치편차를 검출하는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41a, 41b, 42, 43, 44, 71a, 71b, 72, 73, 7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전지.
  6. 제 5항에 있어서,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가 양극판(11)과 음극판(12)이 감김편차없이 감겼을 때, 그 중심위치가 서로 일치하는 검출구멍(41a, 41b, 42, 43, 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전지.
  7. 제 5항에 있어서,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가 양극판(11)과 음극판(12)이 감김편차없이 감겼을 때, 그 둘레가장자리가 서로 대응하는 동일형 또는 상사형의 검출용 노치(71a, 71b, 72, 73, 7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전지.
  8. 제 5항에 있어서,
    양극판(11) 및 음극판(12)은 감김시작부측으로부터 2매째의 음극적층면(23b) 상에 1매째의 양극적층면(22a)이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1매째의 양극적층면(23a)이 1매째의 양극적층면(22a) 상에 대면하도록 연결편(25a)으로 구부리며, 또 1매째의 음극적층면(23a)이 2매째의 양극적층면(22b) 상에 위치하도록 연결편(25b)으로 구부리는 감김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1매째의 음극적층면(23a)과, 이것에 대면하는 1매째 및 2매째의 양극적층면(22a, 22b)에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43, 41a, 41b)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전지.
  9. 제 1항에 있어서,
    음극적층면(23a∼23f)의 면적이 양극적층면(22a∼22e)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는 양극적층면(22a, 22b, 22e) 및 음극적층면(23a, 23f) 중 어느 한쪽에 큰 검출구멍(41a, 41b, 42) 또는 검출용 노치로서 형성되고, 다른쪽에 작은 검출구멍(43, 44) 또는 검출용 노치로서 형성되며, 서로의 위치관계는 양극판(11)과 음극판(12)과의 사이의 위치편차의 허용범위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전지.
  10. 제 8항에 있어서,
    양극적층면(22a, 22b)의 1매째와 2매째에 형성된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41a, 41b)의 면적이 다르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전지.
  11. 제 6항에 있어서,
    검출구멍은 양극적층면(22a, 22b, 22e)에 큰 구멍(41a, 41b, 42)이 형성되고, 음극적층면(23a, 23f)에 작은 구멍(43, 44)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전지.
  12. 제 5항에 있어서,
    감김시작부에 대면하는 양극적층면(22a, 22b) 및 음극적층면(23a)에 형성되는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41a, 41b, 43, 71a, 71b, 73)와, 감김종단부에 대면하는 양극적층면(22e) 및 음극적층면(23f)에 형성되는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42, 44, 72, 74)가 양극적층면(22a, 22b, 22e) 및 음극적층면(23a, 23f) 상의 형성위치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전지.
  13. 복수의 양극적층면(22a∼22e)을 연결편(24a∼24d)으로 연결하여 띠형상으로 형성된 양극판(11)과, 복수의 음극적층면(23a∼23f)을 연결편(25a∼25e)으로 연결하여 띠형상으로 형성된 음극판(12)을, 상기 양극적층면(22a∼22e)과 상기 음극적층면(23a∼23f)이 격리판(13)을 개재하여 교대로 적층되도록 상기 연결편(24a∼24d, 25a∼25e)으로 구부려 편평하게 감긴 극판군(10)을 봉입케이스(5) 내에 수용하고, 전해액을 주입하며, 개스킷(6)을 개재하여 봉입케이스(5) 상에 캡케이스(4)를 씌우고, 캡케이스(4)의 크림핑가공에 의해 봉입케이스(5) 내를 밀폐하는 코인형 전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11)과 음극판(12)에 양쪽 극판(11, 12)이 감겼을 때의 양극적층면(22a∼22e)과 음극적층면(23a∼23f)과의 사이의 위치편차를 검출하는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41a, 41b, 42, 43, 44, 71a, 71b, 72, 73, 74)를 형성하고, 양극판(11) 및 음극판(12)을 감아 극판군(10)에 형성하며, 이 극판군(10)의 적층방향으로부터 X선 조사하여 극판군(10)의 X선 투과화상을 촬상하고, 화상처리에 의해 양극적층면(22a, 22b, 22e)의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41a, 41b, 42, 71a, 71b, 72)와 음극적층면(23a, 23f)의 위치편차검출용 제거부(43, 44, 73, 74)와의 사이의 위치편차량을 검출하며, 위치편차량이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 있는 극판군(10)을 상기 봉입케이스(5) 내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형 전지의 제조방법.
KR1020037005035A 2001-08-10 2002-08-09 코인형 전지와 그 제조방법 KR100812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3425 2001-08-10
JPJP-P-2001-00243425 2001-08-10
JPJP-P-2002-00230344 2002-08-07
JP2002230344A JP4233826B2 (ja) 2001-08-10 2002-08-07 コイン形電池とその製造方法
PCT/JP2002/008206 WO2003015208A1 (fr) 2001-08-10 2002-08-09 Cellule stratifiee et circulair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814A KR20040016814A (ko) 2004-02-25
KR100812844B1 true KR100812844B1 (ko) 2008-03-11

Family

ID=2662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035A KR100812844B1 (ko) 2001-08-10 2002-08-09 코인형 전지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070880B2 (ko)
EP (1) EP1416571A4 (ko)
JP (1) JP4233826B2 (ko)
KR (1) KR100812844B1 (ko)
CN (1) CN1241280C (ko)
WO (1) WO20030152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0578A (ja) * 2004-04-22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イン形二次電池
JP2005310577A (ja) * 2004-04-22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イン形二次電池
CN2874790Y (zh) * 2006-01-06 2007-02-28 松柏(广东)电池工业有限公司 一种钮扣型电池
US7662510B2 (en) * 2007-09-20 2010-02-16 Celgard Llc X-ray sensitive battery separator and a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separator in a battery
JP4683044B2 (ja) * 2007-12-28 2011-05-11 Tdk株式会社 巻回型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巻回型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EP2469620B1 (en) * 2010-12-24 2013-08-14 swissbatt AG Battery
US20130236768A1 (en) 2012-03-08 2013-09-12 Lg Chem, Ltd. Battery pack of stair-like structure
KR20130105271A (ko) 2012-03-16 2013-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대칭 구조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30113301A (ko) 2012-04-05 2013-10-1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계단 구조의 전지셀
KR101968642B1 (ko) 2012-04-23 2019-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형상의 전지
KR20130133640A (ko) * 2012-05-29 2013-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너부 형상이 다양한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KR101483505B1 (ko) 2012-11-13 2015-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차 구조가 형성된 전극조립체
US9484560B2 (en) 2013-02-13 2016-11-01 Lg Chem, Ltd. Electric device having a round corner and including a secondary battery
US9786874B2 (en) 2013-03-08 2017-10-10 Lg Chem, Ltd. Electrode having round corner
US9954203B2 (en) 2013-03-08 2018-04-24 Lg Chem, Ltd. Stepped electrode group stack
KR101712442B1 (ko) * 2015-08-19 2017-03-06 (주)오렌지파워 웨어러블 배터리
JP6772687B2 (ja) * 2015-09-08 2020-10-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極積層体の検査方法
KR102185741B1 (ko) * 2017-04-27 2020-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개별 전극의 열 거동 분석 방법
JP6752862B2 (ja) * 2018-11-14 2020-09-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気化学セル
CN111341984B (zh) * 2020-03-06 2021-01-15 刘亚明 一种高能量密度纽扣锂离子电池
CN113300030A (zh) * 2021-07-06 2021-08-24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纽扣电池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8143A (ja) * 1999-08-27 2001-03-16 Toshiba Battery Co Ltd 扁平形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2134096A (ja) * 2000-10-30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イン形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70799A (fr) * 1963-07-17 1964-08-28 Accumulateurs Fixes Procédé de formation continue d'un empilage de disques de parties ou de plaques se présentant en bandes, bandes servant à sa mise en oeuvre et empilages obtenus
JPS53149630A (en) 1977-06-01 1978-12-27 Hitachi Ltd Multilayer built lithium battery
JPS594169U (ja) * 1982-06-30 1984-01-11 日本電池株式会社 偏平形アルカリ電池
JPS594169A (ja) 1982-06-30 1984-01-10 Nec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69409352T2 (de) * 1993-12-24 1998-07-23 Sharp Kk Nichtwässrige Sekundärbatterie, aktives Material für positive Elektrod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A2150507C (en) * 1994-05-30 1999-05-18 Soichiro Kawakami Rechargeable batteries
US5635138A (en) * 1995-01-17 1997-06-03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Apparatus for in situ x-ray study of electrochemical cells
US5776628A (en) * 1997-06-30 1998-07-07 Wilson Greatbatch Ltd. Flat-folded, multi-plate electrode assembly
US6132904A (en) * 1997-07-24 2000-10-17 Sanyo Electric Co., Ltd. Polyelectrolytic battery having a polyelectrolyte based on a polystyrene main chain and polyethylene oxide side chain
JP3492173B2 (ja) * 1997-12-09 2004-02-03 シャープ株式会社 非水系電池
TW504854B (en) * 1999-08-27 2002-10-01 Toshiba Battery Flat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JP2003526185A (ja) * 2000-02-29 2003-09-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リチウム電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8143A (ja) * 1999-08-27 2001-03-16 Toshiba Battery Co Ltd 扁平形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2134096A (ja) * 2000-10-30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イン形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15048A (zh) 2004-07-21
US20040028997A1 (en) 2004-02-12
EP1416571A4 (en) 2008-04-02
US20060154143A1 (en) 2006-07-13
EP1416571A1 (en) 2004-05-06
US7588606B2 (en) 2009-09-15
JP2003132935A (ja) 2003-05-09
CN1241280C (zh) 2006-02-08
WO2003015208A1 (fr) 2003-02-20
JP4233826B2 (ja) 2009-03-04
KR20040016814A (ko) 2004-02-25
US7070880B2 (en) 200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844B1 (ko) 코인형 전지와 그 제조방법
CN104205464B (zh) 层叠式电池
CN112005405B (zh) 电极板的制造方法、电极体以及电池
KR20200105272A (ko) 전극 조립체 제조방법 및 전극 조립체 제조장치
US20210344085A1 (en) Electrode assembly and inspection method therefor
WO2015008585A1 (ja) 電池の製造方法
US7687191B2 (en) Set of electrode plates for rolled electrochemical component and a cell comprising such electrode plates
KR20230074168A (ko) 탭리스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들 및 그 제조 방법들
KR20140034405A (ko) 래핑 전극체 및 그 제조방법
JPH07153490A (ja) 電 池
JP4188613B2 (ja) 非水電解液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513607B (zh) 低损耗、高空间利用率锂离子电池全极耳结构及其制备方法
JP4944395B2 (ja) 密閉型電池
JP3302200B2 (ja) 密閉角形非水電解液電池
WO2021131659A1 (ja) 扁平形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10700383B2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2419855B1 (ko)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의 얼라인먼트 검사 방법, 및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676475B1 (ko) 함습성이 개선된 이차전지
WO2023106060A1 (ja) 電極板、電極体及び電池
US2023017059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wer storage module and power storage module
EP3761387A1 (en) Secondary battery
CN117642923A (zh) 非水电解质二次电池和非水电解质二次电池的制造方法
KR100484104B1 (ko) 이차전지와, 이에 채용되는 안전변을 구비하는캡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20230112471A (ko) 이차전지 케이스,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를 제조하는 이차전지 제조방법.
CN115298868A (zh) 极板和硬币形二次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