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420B1 - 용접 건 암의 주물 - Google Patents

용접 건 암의 주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2420B1
KR100812420B1 KR1020037008496A KR20037008496A KR100812420B1 KR 100812420 B1 KR100812420 B1 KR 100812420B1 KR 1020037008496 A KR1020037008496 A KR 1020037008496A KR 20037008496 A KR20037008496 A KR 20037008496A KR 100812420 B1 KR100812420 B1 KR 100812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gun arm
casting
weld gun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1014A (ko
Inventor
알리사비트
브라운데이비드디
패터슨에이머레이
Original Assignee
브러쉬 웰만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러쉬 웰만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브러쉬 웰만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6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1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6Alloys based on copper with nickel or cobalt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B23K11/362Contact means for supplying welding current to the electrodes

Abstract

약 0.35 내지 0.8 중량%의 Be, 약 0.2 내지 0.9 중량%의 Co, 약 1.5 내지 2.4 중량%의 Ni를 함유하고, 잔부는 구리와 불가피 불순물이며, 합금의 (Ni+Co)/Be 비가 적어도 4인 용접 건 암 주물용 합금.

Description

용접 건 암의 주물{WELD GUN ARM CASTING}
본 발명은 로봇 용접에 유용한 용접 건 암의 주물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는 다종의 다른 부분들을 접합하는 데 로봇 용접이 사용되고 있다. 전형적인 로봇 용접기에 있어서는, 용접 건 암(weld gun arm)에 장착된 저항 전극에 의하여 용접을 위한 열이 발생된다. 전극에는 용접 건의 암을 통해서 직접 전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용접 건 암은 높은 전기적 부하를 견디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아울러, 용접 건 암은 강하고 내충격성이어야 한다. 또한, 대부분의 용접 건 암은 1백만 회 이상의 용접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므로, 그 용접 건 암은 긴 사용 수명 전체에 걸쳐 이러한 성질을 발휘해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공업적인 사양서들은 "Class Ⅲ RWMA" 용접 캐스팅{"RWMA"는 저항 용접 제조업자 협회(Resistance Welding Manufacturers' Association"의 약자임}으로 알려져 있는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최적의 용접 건 암을 최소 로크웰 경도가 90이고 최소 전기 전도도가 45% IACS인 재로로 제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 조건 및 용접 건 암의 복잡한 형태로 인하여, 북미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용접 건은 다음 조성의 석출 경화된 주조 구리 합금으로 제조된다.
합금 Be (중량%) Co (중량%) Ni (중량%) 잔부
Class Ⅲ (GM/포드) 0.35 - 0.80 없음 1.80 - 2.0 Cu
Class Ⅲ (다임러 클라이슬러) 0.35 - .50 없음 1.30 - 1.60 Cu
특히, 1993년 ASM International 발행, Metals Handbook, 2권, 10판에 게재된 하크니스(Harkness) 등의 논문, 베릴륨-구리 및 기타의 베릴륨 함유 합금(Beryllium-Copper and Other Beryllium-Containing Alloys)-여기에는, 구리 금속에 소량의 베릴륨과 니켈을 첨가한 후 얻은 합금을 석출 경화시키면 전기 전도도가 높고 강도 및 경도가 탁월한 합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설명되어 있다-을 참조하라.
용접 건 암은 산업상 다른 용도에 대해서는 다른 건의 암을 설계하는 제조업자에 의하여 공급되고 있다. 정규적인 실무에 있어서, 이들 제조업자는 또한 그들 자신의 용접 건 암을 그들이 마련한 용융 합금으로 제조한다. 즉, 제조업자들은 상기 합금중 하나를 대개 순수 구리 금속, 순수 니켈, 그리고 베릴륨 공급업자로부터 얻은 4% Be를 함유하는 BeCu 마스터 합금으로 제조한다. 그 후, 제조업자들은 이 합금을 거의 정미 형상의 제품, 즉 형상이 궁극적으로 원하는 제품의 최종 형상에 매우 근접한 주물로 주조한다. 거의 정미 형상의 주물을 드릴링, 절삭 또는 벤딩 등으로 가공하여 제품 용접 건 암의 주물을 제조한다. 석출 경화는 필요한 경우 최종 성형 전에 수행될 수도 있지만, 대개는 제작 완료 후에 수행된다.
로봇 용접 산업에서 부딪히는 중요한 문제는 용접 건 암의 조기 파손이다. 대부분의 용접 건 암의 주물은 가령 1백만 회 이상의 용접과 같은 소정의 사용 수명을 갖도록 설계된다. 많은 것들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것은 그것들의 사용 수명이 만료되기 훨씬 전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파손된다. 이 때문에 생산 라인을 종종 차단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비싼 부품을 교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입수할 수 있는 제품의 강도, 경도 및 전기 전도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조기 파손을 회피할 수 있는 용접 건 아암의 주물을 신뢰성 및 일관성 있게 제조하는 새로운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에 입수 가능한 제품의 강도, 경도 및 전기 전도도를 나타내고, 또한 기존에 입수 가능한 제품에 비하여 우수한 피로 강도를 나타내는 신규한 용접 건 주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들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은 주물에 코발트를 함유시키고 또한 주물의 (Ni+Co)/Be 비를 약 4 이상으로 조절하면 강도, 경도 또는 전기 전도도의 손상없이 BeNiCu 용접 건 아암의 주물들의 조기 파손을 실질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의 발견을 기초로 하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약 0.5 내지 0.6 중량%의 Be, 약 0.4 내지 0.6 중량%의 Co, 약 1.8 내지 2.0 중량%의 Ni를 함유하고, 잔부는 구리와 불가피 불순물이며, 합금의 (Ni+Co)/Be 비가 적어도 4인 용접 건 암 주물용의 신규한 BeCu 합금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저항 전극 장착용 원위단과 로봇 용접기의 로봇 조립체에 부착하기 위한 근위단을 갖는 복합 형상의 미가공 본체(unwrought body)를 구비하고, 약 0.5 내지 0.6 중량%의 Be, 약 0.4 내지 0.6 중량%의 Co, 약 1.8 내지 2.0 중량%의 Ni를 함유하고, 잔부는 구리와 불가피 불순물이며, 합금의 (Ni+Co)/Be 비가 적어도 4인 신규한 용접 건 암 주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로 강도가 탁월하고 사용 수명이 긴 용접 건 암 주물을 신뢰성 및 일관성있게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약 0.5 내지 0.6 중량%의 Be, 약 0.4 내지 0.6 중량%의 Co, 약 1.8 내지 2.0 중량%의 Ni를 함유하고, 잔부는 구리와 불가피 불순물이며, 합금의 (Ni+Co)/Be 비가 적어도 4인 BeNiCu으로 주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고하면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량된 용접 건 주물로 제조되는 로봇 용접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개량된 용접 건 주물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호한 강도, 경도 및 전기 전도도는 물론, 탁월한 피로 강도 및 긴 사용 수명을 나타내는 용접 건 아암 주물은 약 0.5 내지 0.6 중량%의 Be, 약 0.4 내지 0.6 중량%의 Co, 약 1.8 내지 2.0 중량%의 Ni를 함유하고, 잔부는 구리와 불가피 불순물이며, 합금의 (Ni+Co)/Be 비가 적어도 4인 BeNiCu으로 주물을 성형함으로써 신뢰성있고 일관성있게 제조될 수 있다.
용접 건 아암 주물의 구조
도 1 및 도 2는 전형적인 용접 건 아암의 주물 및 그러한 주물로 제작된 로봇 용접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0으로 전체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로봇 용접기는 베이스 또는 기초부(12), 지지 구조체(14) 및 로봇 조립체(16)로 구성된다. 로봇 조립체(16)는 저항 전극(18)을 지지하는 관절형 연장 부재(20) 및 이 연장 부재(20)를 용접 위치로, 그리고 용접 위치로부터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22)를 구비한다. 연장부(20)는 그것의 원위단에 용접 건 암(24)을 수반하고, 이 용접 건 암(24)에는 또한 저항 전극(18)이 장착된다. 연장 부재(20)에 의하여 전기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이 지지되어 전류를 용접 건 암(24)을 거쳐 저항 전극(18)으로 공급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형적인 용접 건 암(24)은 연장 부재(20)에 장착하기 위한 근위단(28)과 저항 전극(18)을 지지하기 위한 원위단(30)을 구비한 미가공 주물(26)로 구성된다. 공업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용접 건의 경우에서 처럼, 용접 건 암(24)은 형상이 복잡하다. 즉, 용접 건 암(24)은 그것의 길이의 대부분 또는 전체를 따라 필연적으로 균일한 단면 형상을 갖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의 단면 형상은 그것의 길이를 따라 현저하게 변동한다.
실제에 있어서, 이는 용접 건 암(24)이 실질적인 문제로서 주조 공정에 의해서만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 주조 공정에서는 거의 정미 형상의 제품이 제조된 후에 이 거의 정미 형상의 제품에 대하여 필요하다면 최소한의 기계 가공을 행하여 원하는 최종 형상을 얻는다. 이 문맥에 있어서, "거의 정미 형상의 제품"이라 함은 주조된 상태에서 필요한 최종 제품 형상과 매우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형상을 가져서, 최종 형상을 얻기 위하여 필요한 추가적인 기계 가공이 적은 제품을 의미한다. 용접 건 암(24)(및 다른 복잡한 형상의 제품)은 합금의 상당한 가공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서는 정상적으로 제조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제품을 가공하는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많은 석출 경화성 합금의 기계적인 성질은 석출 경화 전에 합금이 상당히 균일한 기계적 변형, 즉 "가공"이 되면 크게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하크니스 등의 논문을 참조하라. 따라서, 석출 경화성 합금으로 성형되는 단순한 형상의 대부분의 제품은 석출 경화 훨씬 전에 가공된다. 그러나, 복잡한 형상의 제품은 이러한 방법으로는 정상적으로 제작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가공을 위하여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압연, 단조 및 압출- 으로는 균일한 단면 형상의 제품을 얻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접 건 암(24)과 같은 복잡한 형상의 제품은 최종 형태에 있을 때, 즉 상업적으로 이용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거의 항상 미가공 상태에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용접 건 암 주물 및 이들 주물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합금은 미가공 상태로 제조되며, 이는 본 발명의 용접 건 암의 제조가 완료되어 상업적인 이용 준비가 되어 있을 때 "가공"되지 않음을 의미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합금의 화학적 성질
본 발명의 용접 건 암 주물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합금은 약 0.35 내지 0.80 중량%, 더 전형적으로는 0.4 내지 0.7 중량%, 특히 0.5 내지 0.6 중량%의 Be와; 약 0.2 내지 0.9 중량%, 더 전형적으로는 0.3 내지 0.8 중량%, 보다 더 전형적으로는 0.4 내지 0.6 중량%의 Ni와; 약 1.5 내지 2.4 중량%, 더 전형적으로는 1.7 내지 2.2 중량%, 보다 더 전형적으로는 1.8 내지 2.0 중량%의 Ni을 함유하고 잔부는 Cu 및 불가피 불순물이다. 결국, 본 발명의 합금은 약 0.15 중량% 이하의 Si, 0.10 중량% 이하의 Fe, 0.10 중량% 이하의 Al, 0.10 중량% 이하의 Sn 및 0.05% 이하의 각 Zn, Cr, Pb를 함유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합금은 합금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량의 부가적인 성분을 함유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합금은 상승된 온도에서 강도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0.05 내지 0.50 중량%의 Zr과, 결정립 미세 조직을 증진시키기 위한 0.02 내지 0.20 중량%의 Ti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Class Ⅲ 용접 건 암 주물을 제조하는 데에 전형적으로 이용되는 미가공 합금에 코발트를 함유시키고, 그러한 합금의 (Ni+Co)/Be 비를 약 4 이상으로 조절하면 사용 수명이 바람직하게 긴 미가공 용접 건 암 주물을 신뢰성있고 일관성있게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Ni+Co)/Be 비가 약 4 내지 7, 전형적으로는 약 4.5 내지 6인 합금이 바람직하다.
비록 어떤 이론으로 한정하고 싶지는 않지만, 통상적인 설계의 결함이 있는 용접 건 암 주물의 일차적인 파손 모드는 금속의 결정립의 입계를 따라 발생하는 응력 피로 균열(stress fatigue cracking)이다. 조악하고 일관성없는 주물의 미세 조직에 기인한 이러한 문제는 본 발명에 따라 높은 응력 피로 균열 저항을 갖는 합금으로 주물을 성형함으로써 회피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Ni를 함유하고 또한 적정량의 Co를 함유하며, 나아가 (Ni+Co)/Be 비가 약 4 이상인 미가공 BeCu 합금은 통상적인 기술에 의하여 제조된 미가공 합금과 동일한 강도, 경도 및 전기 전도도의 특성을 나타낸다고 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높은 응력 피로 균열 저항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가공예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공예를 설명한다.
예 1 내지 4
용융 합금을 주형에 주탕하고, 이들 주형으로부터 분리하고, 0.50 인치의 직경 감소 단면으로 기계 가공하여, 게이지 길이가 1.4 인치이고 전장이 약 6 인치인 4개의 시편을 만들었다. 시편 주물을 약 1650℉에서 용체화 어닐링(solution anneal)하고, 수냉하여 약 900℉에서 석출 경화시켰다. 그 후, 미가공 시편에 대하여 다음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시험을 행하여 이들 시편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특성 및 시험 방법
특성 시험 방법 단위
극한 인장 강도 ASTM E8 Ksi
항복 강도 ASTM E8 Ksi
연성 ASTM E8 % 연신율
경도 ASTM E18 로크웰 B 스케일
전기 전도도 ASTM B193 % IACS
22-24 ksi에서의 피로 수명 알. 알. 무어 피로 시험 사이클
시편 제조에 사용된 합금의 조성 및 얻은 결과가 다음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 내지 4의 특성
실시예 Be Co Ni CoNi/Be UTS (Ksi) YS (Ksi) El% HRB %IACS 22-24ksi에서의 피로 강도
1 .50 .30 1.98 4.56 86 57 15.8 96.9 52.6 4.6 X 107
2 .45 .50 1.76 5.0 84 56 14.1 94.6 55.1 6.5 X 107
3 .50 .30 1.98 4.56 86 57 15.8 96.9 52.6 7.0 X 107
4 .48 .50 1.88 4.95 87 69 11.5 96.9 52.6 3.5 X 107
*모든 표는 원소의 중량%로 주어진 화학적 분석을 반영함.
표 2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각 합금은 95 이상의 로크웰 B 경도와 50 %ICAS 이상의 전기 전도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각 합금은 또한 22 내지 24 ksi의 주기적으로 인가된 응력을 받았을 때 350만 사이클의 피로 수명을 나타냈다. 이는 이들 합금이 Class Ⅲ RWMA 용접 건 주물에 대한 기존의 공업적인 사양, 즉 최소한 90의 로크웰 B 경도와 최소한 45 %IACS의 전기 전도도를 초과할 뿐만 아니라, 용접 건 주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합금보다 훨씬 더 긴 수명을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교예 A 내지 E
시편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 조성이 본 발명의 것과 유사하지만 조건에서 벗어났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내지 4의 시험을 반복하였다. 얻은 결과가 다음의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비교예 A 내지 E의 특성
비교예 Be Co Ni CoNi/Be RHB %IACS UTS YS El% 22,500 psi에서의 피로 사이클 23,000 psi에서의 피로 사이클
A 0.28 .01 1.74 6.25 98.3 63.5 83.8 73.5 6.5 321,000 760,000
B 0.33 .02 1.75 5.36 97.0 64.3 85.8 73,5 10.2 116,000 275,000
C 0.38 .01 1.74 4.58 89.1 54.8 75.3 57,6 16.3 NA 1,700,000
D 0.60 .21 1.61 3.03 95.7 43,1 83.7 51.8 27.6 710,000 378,000
E 없음 N/A N/A NA 92.7 44.0 78.5 73.4 9.3 640,000 148,000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C의 합금은 최적의 조합된 특성을 나타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합금은 그것의 경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Class Ⅲ RWMA 용접 건 주물에 대한 기존의 공업적인 조건을 여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유사하게, 비교예 D 및 E의 합금은 전기 전도도가 부적절하기 때문에 Class Ⅲ RWMA 용접 건 주물에 대한 기존의 공업적인 조건을 여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한편, 비교예 A 및 B의 합금은 이들 표준 규격의 경도 및 전기 전도도의 조건을 만족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합금도 마찬가지로 비교예 D 및 E의 합금과 마찬가지로 낮은 피로 강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비교예 A 및 B의 합금은 Class Ⅲ RWMA 용접 건 주물에 대한 기존의 공업적인 조건을 만족시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들로 제조된 용접 건 주물이 조기 응력 균열 피로를 나타내기 쉽기 때문에 이상적이지 못한 상업적 제품을 만들게 된다.
비교예 F 내지 Q의 특성
상업적 사용시 조기에 파손된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용접 건 암 주물의 수를 육안으로 검사하여 파손 형태를 결정하였다. 또한, 전술한 방법으로 이들 용접 건 암 주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 합금의 여러 가지 다른 특성도 측정하였다. 이들 여러 가지 합금의 조성 및 얻은 결과를 다음 표 4에 기재한다.
비교예 F 내지 Q의 특성
비교예 Be C0 Ni CoNi/Be RHB %IACS UT YS El% 파괴 분석
F 0.28 .02 1.92 6.93 94.8 54.0 76.0 65.3 5.6 큰 결정립 조직 수축 다공성 결정립간 균열
G 0.28 .02 2.00 7.21 96.8 56.0 59.9 59.5 2.4 동일함
H 0.28 .02 1.96 7.07 98.0 56.0 84.9 72.5 5.2 동일함
I 0.26 .02 2.01 7.81 97.6 44.5 24.2 NA NA 큰 결정립 조직 수축 다공성 취성 균열
J 0.26 .02 1.98 7.69 97.0 47.0 72.6 68.6 3.2 동일함
K 0.26 .02 1.96 7.69 97.3 49.0 81.8 74.5 3.7 동일함
L 0.28 .02 1.96 7.69 95.6 56.5 76.0 NA 5.6 큰 결정립 입계를 따른 피로 균열
M 0.29 .01 1.60 5.55 91.6 49.0 NA NA NA 피로 균열 수축 다공성
N 0.18 .01 1.98 11.05 95.1 45.0 NA NA NA 피로 균열 수축 다공성
O 0.26 .01 1.95 7.54 101.3 48.0 NA NA NA 피로 균열 덴트라이트간 다공성
P 0.22 .01 1.72 7.86 99.13 51.5 NA NA NA 큰 그레인 조직 수축 다공성
Q 0.24 .01 1.90 7.91 97.4 50.0 큰 결정립 취성 형태로 파괴
표 4로부터, 상업적인 용접 건 암 주물을 형성하는 합금은 비록 Class Ⅲ RWMA 용접 건 주물에 대한 경도 및 전기 전도도의 사양을 만족시키지만 조대하고 불균일한 입도와 관련하여 조악한 미소 조직을 나타내고, 피영향 영역 및 강도(severity)와 관련하여 증대된 다공도를 나타냈다. 전형적으로 더 낮은 베릴 륨 함량 수준 및 결정립 정제 원소 Co 및 Ni의 최적화 비를 나타내지 않은 이들 조악한 미소 조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들 합금으로 제조된 용접 건 암 주물이 조기에 파손되는 이유를 설명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비록,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많은 수정예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한 모든 수정예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4)

  1. 저항 전극을 장착하기 위한 원위단과 로봇 용접기에 부착하기 위한 근위단이 있는 미가공체를 구비하는 용접 건 암 주물로서, 0.35 내지 0.8 중량%의 Be, 0.2 내지 0.9 중량%의 Co, 1.5 내지 2.4 중량%의 Ni를 함유하고, 잔부는 구리와 불가피 불순물이며, 합금의 (Ni+Co)/Be 비가 적어도 4인 BeNiCu 합금으로 제조된 것인 용접 건 암 주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0.4 내지 0.7 중량%의 Be, 0.3 내지 0.8 중량%의 Co, 1.7 내지 2.2 중량%의 Ni를 함유하고, 잔부는 구리와 불가피 불순물이며, 합금의 (Ni+Co)/Be 비가 4 내지 7인 것인 용접 건 암 주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0.5 내지 0.6 중량%의 Be, 0.4 내지 0.6 중량%의 Co, 1.8 내지 2.0 중량%의 Ni를 함유하고, 잔부는 구리와 불가피 불순물이며, 합금의 (Ni+Co)/Be 비가 4.5 내지 6인 것인 용접 건 암 주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가공체는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것인 용접 건 암 주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석출 경화되는 것인 용접 건 암 주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석출 경화되는 것인 용접 건 암 주물.
  7. 저항 전극을 장착하기 위한 원위단과 로봇 용접기에 부착하기 위한 근위단이 있는 미가공 본체를 구비하며, 피로 저항이 탁월하고 사용 수명이 긴 용접 건 암 주물 제조 방법으로, 0.35 내지 0.8 중량%의 Be, 0.2 내지 0.9 중량%의 Co, 1.5 내지 2.4 중량%의 Ni를 함유하고, 잔부는 구리와 불가피 불순물이며, 합금의 (Ni+Co)/Be 비가 적어도 4인 BeNiCu 합금으로 상기 주물을 성형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용접 건 암 주물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0.4 내지 0.7 중량%의 Be, 0.3 내지 0.8 중량%의 Co 및 1.7 내지 2.2 중량%의 Ni를 함유하고, 잔부는 구리와 불가피 불순물이며, 합금의 (Ni+Co)/Be 비가 4 내지 7인 용접 건 암 주물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0.5 내지 0.6 중량%의 Be, 0.4 내지 0.6 중량%의 Co 및 1.7 내지 2.0 중량%의 Ni를 함유하고, 잔부는 구리와 불가피 불순물이며, 합금의 (Ni+Co)/Be 비가 4.5 내지 6인 용접 건 암 주물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거의 정미 형상 제품으로 성형되며, 이 거의 정미 형상의 제품은 일차적인 가공 처리 없이 석출 경화되는 것인 용접 건 암 주물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거의 정미 형상의 제품은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것인 용접 건 암 주물 제조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37008496A 2000-12-21 2001-07-30 용접 건 암의 주물 KR100812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42,594 US6307173B1 (en) 2000-12-21 2000-12-21 Weld gun arm casting
US09/742,594 2000-12-21
PCT/US2001/041462 WO2002052052A2 (en) 2000-12-21 2001-07-30 Improved weld gun arm cas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1014A KR20030061014A (ko) 2003-07-16
KR100812420B1 true KR100812420B1 (ko) 2008-03-10

Family

ID=24985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496A KR100812420B1 (ko) 2000-12-21 2001-07-30 용접 건 암의 주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07173B1 (ko)
EP (1) EP1343919B1 (ko)
KR (1) KR100812420B1 (ko)
AT (1) ATE295434T1 (ko)
CA (1) CA2432723A1 (ko)
DE (1) DE60110829T2 (ko)
ES (1) ES2243526T3 (ko)
MX (1) MXPA03005720A (ko)
WO (1) WO200205205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4816A1 (en) * 2002-10-29 2004-05-06 Terry Hildreth Metal injecting apparatus
US20060265394A1 (en) * 2005-05-19 2006-11-23 Trimergent Personalizable information networks
US20230286035A1 (en) * 2020-06-30 2023-09-14 Canon Virginia,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wax mold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6037A (ja) * 1991-03-04 1992-10-01 Yamaha Corp リードフレーム用銅合金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7214A (en) * 1933-08-31 1934-05-01 Gen Electric Welding electrode
US2038390A (en) * 1935-03-14 1936-04-21 American Brass Co Resistance welding electrode
US2094784A (en) * 1937-04-28 1937-10-05 Electroloy Company Inc Resistance welding electrode
US3811611A (en) * 1971-09-10 1974-05-21 Elektriska Svetsnings Ab Welding guns
JPS5949294B2 (ja) * 1977-03-14 1984-12-01 株式会社東芝 銅合金とその製造方法
US4179314A (en) * 1978-12-11 1979-12-18 Kawecki Berylco Industries, Inc. Treatment of beryllium-copper alloy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4594116A (en) * 1984-07-30 1986-06-10 Hudson Wire Company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strength copper alloy wire
JPH0637700B2 (ja) * 1987-06-12 1994-05-18 住友特殊金属株式会社 抵抗溶接電極用銅合金の製造方法
US6059905A (en) * 1993-08-26 2000-05-09 Ngk Metals Corporation Process for treating a copper-beryllium alloy
JP3025656B2 (ja) * 1997-03-12 2000-03-27 日本碍子株式会社 チルベント
JPH10296398A (ja) * 1997-04-24 1998-11-10 Ngk Insulators Ltd コイル用ワ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011237A (en) * 1999-06-17 2000-01-04 Yang; Daniel Locking electrode tip for resistance spot-weld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6037A (ja) * 1991-03-04 1992-10-01 Yamaha Corp リードフレーム用銅合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52052A2 (en) 2002-07-04
US6307173B1 (en) 2001-10-23
ATE295434T1 (de) 2005-05-15
EP1343919A2 (en) 2003-09-17
KR20030061014A (ko) 2003-07-16
EP1343919B1 (en) 2005-05-11
DE60110829T2 (de) 2006-02-23
MXPA03005720A (es) 2004-12-03
DE60110829D1 (de) 2005-06-16
ES2243526T3 (es) 2005-12-01
CA2432723A1 (en) 2002-07-04
WO2002052052A3 (en) 200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11432B1 (en) Softening resistant copper alloy,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KR100766639B1 (ko) 구리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US5372661A (en) Alloys of molybdenum, rhenium and tungsten
US4755235A (en) Electrically conductive precipitation hardened copper allo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9266901B (zh) 一种Cu15Ni8Sn高强耐磨合金杆/丝的制备方法
US4657601A (en) Thermomechanical processing of beryllium-copper alloys
CN106232844B (zh) 高强度均质铜-镍-锡合金和制备方法
EP2853339A2 (en) Welding material for welding of superalloys
EP0023362B2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pper alloy material
KR100812420B1 (ko) 용접 건 암의 주물
US11028463B2 (en) Copper alloy containing tin,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use of same
JP5009849B2 (ja) 高強度ばね用の銅合金線、及び該銅合金線を用いた銅合金ばね
KR100779754B1 (ko) 내열특성과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동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80051A (ko) 주물의 열간 등방향 정압 프레스
KR100374192B1 (ko) 전기 또는 전자 부품용 구리 합금
JPS6383251A (ja) 高力高弾性アルミニウム合金の製造法
KR101875806B1 (ko) 자동차 및 전자부품용 구리-티타늄계 동합금재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동합금재
EP1159463B1 (en) Mould steel
JPH057987A (ja) プラスチツク成形用金型の製造方法
KR960001714B1 (ko) 구리 합금으로 된 연속 주조용 몰드 및 그 제조 방법
JPH09324230A (ja) 高導電線材
KR0182223B1 (ko) 동-크롬-지르코늄-마그네슘-미쉬메탈 합금과 이 합금의 가공열처리방법
JPH02107739A (ja) 成形金型及び工具用高強度アルミニウム合金
GB2149819A (en) Thermomechanical treatment of copper beryllium alloys
KR0182227B1 (ko) 동-크롬-지르코늄-미쉬메탈 합금과 이 합금의 가공열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