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016B1 -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016B1
KR100811016B1 KR1020060071511A KR20060071511A KR100811016B1 KR 100811016 B1 KR100811016 B1 KR 100811016B1 KR 1020060071511 A KR1020060071511 A KR 1020060071511A KR 20060071511 A KR20060071511 A KR 20060071511A KR 100811016 B1 KR100811016 B1 KR 100811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clay
thermoplastic polyurethane
weight
parts
polyurethan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864A (ko
Inventor
조양래
이상윤
황정미
정한모
Original Assignee
호성케멕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성케멕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성케멕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016B1/ko
Publication of KR20080010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그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나노클레이 및 필요에 따라 쇄연장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고화시간이 짧고, 피착재에 대한 젖음성이 우수하여 초기 및 후기 접착력이 우수하며, 나노클레이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유동점 조절이 가능하므로 압출 성형성 등의 작업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나노클레이 및 필요에 따라 쇄연장제를 혼합한 후, 이소시아네이트를 가하여 중합반응을 수행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접착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수지, 나노클레이, 나트륨 몬모릴로나이트, 유동점, 젖음성, 작업성

Description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 for adhesives including PEG nano clay,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molded articles thereof}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nano clay)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착재에 대한 젖음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고, 나노클레이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유동점의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성이 용이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친환경적 산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접착제 분야에서도 보다 친환경적인 접작체의 개발이 가속되고 있다. 종래 용제형 폴리우레탄 접착제는 용제가 휘발되면서 피착재와 접착이 되는데 휘발하는 용제가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인체에 유 해하므로 환경적으로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한 것이 무용제 타입의 접착제이다. 이러한 무용제 타입의 접착제로는 100% 고형분의 핫멜트 접착제가 있는데, 이는 상온에서는 고체이나 가열하면 용융되었다가 냉각되면서 피착재에 접착되므로 환경친화적이고 고속공정이 가능한 점 등 작업 공정이 용이하며, 용제형 접착제에 비해 접착시간이 짧고 접착력이 강한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계 핫멜트 접착제는 기존의 접착제에 비해 비교적 고가라는 단점 때문에 시장 성장 속도가 느리게 진행되어 왔지만 작업속도 향상, 무용제 등의 이점 때문에 기존 접착제의 수요대체는 물론, 자동차, 가구, 제본용 수요가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현재 많은 연구, 개발이 수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화시간이 짧고, 피착재에 대한 젖음성(wetting)이 우수하여 초기 및 후기 접착력이 우수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그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노클레이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유동점 조절이 가능하므로 압출 성형성 등의 작업성이 향상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그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나노클레이의 작용으로 롤택(roll tack) 및 쉬트(sheet)간 택(tack)이 발생하지 않고, 성형품의 내블록킹성(anti-blocking)이 우수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그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 핫멜트용 쉬트 제조와 반응성 핫멜트 또는 프리폴리머 제조시 물성을 보완하기 위한 첨가용 수지로써 적합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그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50 내지 9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0 내지 40 중량부, 5중량부 이하의 나노클레이, 및 필요에 따라 10중량부 이하의 쇄연장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그 제조방법 및 성형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50 내지 9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0 내지 40 중량부, 5중량부 이하의 나노클레이 및 필요에 따라 10중량부 이하의 쇄연장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는 세바신산(SA;sebacic acid), 아디핀 산(AA;adipic acid), 스베릭산(sbelic acid), 아벨산(abelic acid), 아젤릭산(azelic acid), 도데칸디온산(dodecandioic acid), 트리메릭산(trimeric acid) 또는 이들 가운데 2이상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과,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부탄 디올(butanediol, butylene glycol), 헥산디올(hexandiol), 헥실렌글리콜(hexylene glycol) 등의 디올류,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 propane) 등의 트리올류 또는 이들 가운데 2이상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의 첨가반응으로 생성되는 랜덤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과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의 혼합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중량비율로 10:90 내지 90:1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는 세바신산, 아디핀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부탄디올, 헥산디올, 헥실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첨가반응으로 생성되는 히드록시기 값이 11.22 내지 280.55 mgKOH/g, 바람직하게는 11.22 내지 224.44 mgKOH/g인 랜덤 폴리 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다관능 카르복실산 화합물과 다관능 알코올 화합물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140 내지 160℃까지 승온시킨 후, 1차 승온온도인 150℃에서 약 60 내지 120분 동안 유지시킨 다음 150℃에서 210 내지 230℃까지 승온시켜, 2차 승온온도인 220℃에서 약 10 내지 120분간 유지시키고, 상기 2차 승온온도에서 650 내지 760mmHg 진공에 적용시켜 제조될 수 있다(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51742호 참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통상의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특별한 제한 없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4,4,-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diphenyl methane 4,4'-diisocyanate),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tolunene diisocyanate),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hexamethylene diisocyanate),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H12MDI;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isophorone diisocyanate), 또는 이들 중 1 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쇄연장제로는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부탄디올(butanediol, butylene glycol), 헥산디올(hexanediol), 헥실렌글리콜(hexylene glycol)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등의 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 propane) 등의 트리올, 또는 이들 중 2 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나노클레이는 유기물질로 개질화된 층상구조를 가지는 나노크기의 점토입자를 말하며, 비한정적으로 몬모릴로나이트, 사포나이트, 헥토라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몬모릴로나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몬모릴로나이트의 층간에 존재하는 금속 양이온의 종류가 칼륨, 칼슘, 나트륨 등 다양할 수 있으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몬모릴로나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층간에 존재하는 금속 나트륨의 양이 금속 양이온 중에서 몰분율로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질화 유기물질로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200 내지 200,000(g/mole)인 폴리에틸렌글리콜, 가장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200 내지 2000(g/mole)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나노클레이의 예로는 나트륨 몬모릴로나이트 (Na+MMT)에 분자량이 200 내지 200,000(g/mole)인 폴리에틸렌글리콜 (PEG)을 삽입한 나노 크기의 몬모릴로나이트 점토를 예시할 수 있다. 나트륨 몬모릴로나이트 등의 나노클레이에 삽입되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유기물질의 함량은 나노클레이:유기물질= 7:3 내지 8:2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함량은 연소 또는 X선 분절법 (X-ray defraction)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50 내지 90 중량부, 5중량부 이하의 나노클레이, 및 필요에 따라 10중량부 이하의 쇄연장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혼합단계는 예를 들면 40 내지 100℃에서 1 내지 10분 동안 교반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혼합단계는 배치(batch)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촉매, 산화방지제, UV안정제, 소포제, 착색제, 자외선흡수제, 내긁힘성 향상제, 이형성 향상제, 롤택, 쉬트간 택 감소를 위한 첨가제가 단독 또는 혼합물로써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촉매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납염, 수은염 등의 유기 금속 촉매, 불안정 3급 아민 촉매 등의 아민계 촉매를 예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에 이소시아네이트 10 내지 40 중량부를 가하면서 중합반응을 수행한다. 상기 중합단계는 100℃ 내지 300℃, 바람직하게 150 내지 2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중합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쇄연장제가 첨가되지 않는 경우 중합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 내지 5분일 수 있다. 상기 혼합단계는 배치(batch)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촉매, 산화방지제, UV안정제, 소포제, 착색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내긁힘성 향상제, 이형성 향상제, 롤택, 쉬트간 택의 감소를 위한 첨가제가 단독 또는 혼합물로써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촉매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납염, 수은염 등의 유기 금속 촉매, 불안정 3급 아민 촉매 등의 아민계 촉매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혼합하여 실질적으로 폴리우레탄을 제조하는 단계이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혼합 직후 급속히 반응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분쇄, 건조 등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단계별 공정을 거쳐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는 펠릿(pellet)으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일반 핫멜트용 쉬트 제조와 반응성 핫멜트 또는 프리폴리머 제조시 접착력 향상 및 고화시간 단축을 위한 첨가용 수지로써 적합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비교예]
제1 배치 반응기에 아디핀산과 1,4-부틸렌글리콜의 랜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2종(히드록실값: 262.8mgKOH/g, 48.8mgKOH/g)을 각각 37.6kg(히드록실값: 262.8mgKOH/g)과 50kg(히드록실값: 48.8mgKOH/g), 1,4-부틸렌글리콜 1.6kg를 충전하고 90℃에서 1 내지 3분 동안 700 내지 8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충분히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배치 반응기에 65℃의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30.9kg을 첨가하고 150 내지 250℃에서 1 내지 5분 동안 동일한 속도로 교반하면서 반응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분쇄 과정을 거친 플레이크(flake) 상태의 반응생성물을 11-배럴부로 구성된 반응형 압출기를 통하여 400kg/hr의 처리속도로 미터링시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의 펠렛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수득된 펠렛 형태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공지의 압출 성형(T-die Extrusion Molding) 공법에 따라 필름(film)을 제조하고, 그 일부 를 시료로 취하였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글리콜-200(PEG, 분자량 200)을 삽입한 나트륨 몬모릴로나이트(NC200)를 2종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혼합물 100중량부 대비 1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펠렛과 필름을 제조하고, 그 일부를 시료로 취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틸렌글리콜-1000(PEG, 분자량 1000)을 삽입한 나트륨 몬모릴로나이트(NC1000)를 2종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혼합물 100중량부 대비 1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펠렛과 필름을 제조하고, 그 일부를 시료로 취하였다.
[실시예 3]
폴리에틸렌글리콜-2000(PEG, 분자량 2000)을 삽입한 나트륨 몬모릴로나이트(NC2000)를 2종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혼합물 100중량부 대비 1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펠렛과 필름을 제조하고, 그 일부를 시료로 취하였다.
[실시예 4]
폴리에틸렌글리콜-2000(PEG, 분자량 2000)을 삽입한 나트륨 몬모릴로나이트(NC2000)를 2종의 폴리에스테르폴리올 혼합물 100중량부 대비 3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펠렛과 필름을 제조하고, 그 일부를 시료로 취하였다.
[실험예 1] 성형품의 물성 및 접착력 실험
실시예 1~5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시료의 경도, 신율(MD), 인장강도, 인열강도, 신장율, 용융지수(MI), 용융점도(MV), 용융점(Tfb, 유동점) 및 접착력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6054690756-pat00001
* 상기한 접착력 값은 TPU 표준 시편(20X100X0.2mm)과 fabric 간의 접착결과로 150 내지 170℃에서 10 내지 30초 간 압착 후 측정한 값으로 바람직하게는 160 ㅁ 5℃ 에서 20 초간 압착 후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4의 경우가 비교예에 비하여 접착력이 5~63% 정도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T-die 압출성형 실험
실시예 1~5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시료에 대해 T-die 압출성형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압출온도(압출성형시의 압출기 내부 및 T-die의 온도)를 아래의 표2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시험에 대한 값은 5회 평균치이며, T-die 압출성형을 통해 얻어진 필름을 비교대상으로 하였다.
[표 2]
Figure 112006054690756-pat00002
상기 실험예를 종합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개질된 몬모릴로나이트를 적용한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은 접착력 및 피착재에 대한 젖음성(wetting)이 우수하며 압출 성형성 뿐만 아니라 필름의 블로킹방지성(anti-blocking)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수지의 유동점을 낮추는 효과를 주어 압출온도가 다소 낮고 반응성 핫멜트용 프리폴리머 제조시 물성 보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성형품은 고화시간이 짧고, 피착재에 대한 젖음성이 우수하여 초기 및 후기 접착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성형품은 나노클레이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유동점 조절이 가능하므로 압출 성형성 등의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또한 상기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및 그 성형품은 별도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나노클레이의 작용으로 롤택(roll tack) 및 쉬트간 택(tack)이 발생하지 않고, 성형품의 내블록킹성(anti-blocking)이 우수하고, 일반 핫멜트용 쉬트 제조와 반응성 핫멜트 또는 프리폴리머 제조시 접착력 향상 및 고화시간 단축을 위한 첨가용 수지로써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50 내지 9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0 내지 40 중량부, 및 5중량부 이하의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나노클레이는 나트륨 몬모릴로나이트에 분자량이 200 내지 20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 크기의 몬모릴로나이트 점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10중량부 이하의 쇄연장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세바신산, 아디핀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부탄디올, 헥산디올, 헥실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첨가반응으로 생성되는 히드록시기 값이 11.22 내지 280.55 mgKOH/g인 랜덤 폴리 에스테르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5. 삭제
  6.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50 내지 90 중량부 및 5중량부 이하의 나노클레이를 40 내지 100℃에서 혼합하되, 상기 나노클레이로서는 나트륨 몬모릴로나이트에 분자량이 200 내지 20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 크기의 몬모릴로나이트 점토를 사용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이소시아네이트 10 내지 40 중량부를 가하면서 100℃ 내지 300℃에서 중합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하는 단계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50 내지 90 중량부, 5중량부 이하의 나노클레이 및 10중량부 이하의 쇄연장제를 40 내지 100℃에서 혼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의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KR1020060071511A 2006-07-28 2006-07-28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 KR100811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511A KR100811016B1 (ko) 2006-07-28 2006-07-28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511A KR100811016B1 (ko) 2006-07-28 2006-07-28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864A KR20080010864A (ko) 2008-01-31
KR100811016B1 true KR100811016B1 (ko) 2008-03-11

Family

ID=3922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511A KR100811016B1 (ko) 2006-07-28 2006-07-28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351B1 (ko) 2015-06-09 2017-08-04 한국콜마주식회사 이소플라본-점토광물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564A (ko) * 2002-12-24 2004-07-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저온 보냉용 나노 복합화 폴리우레탄 경질 발포체 조성물및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20050088042A (ko) * 2004-02-28 2005-09-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레이-폴리우레탄 나노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6089718A (ja) 2004-08-24 2006-04-06 Bridgestone Corp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564A (ko) * 2002-12-24 2004-07-0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저온 보냉용 나노 복합화 폴리우레탄 경질 발포체 조성물및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20050088042A (ko) * 2004-02-28 2005-09-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레이-폴리우레탄 나노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6089718A (ja) 2004-08-24 2006-04-06 Bridgestone Corp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864A (ko)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7722B (zh) 用於製造化學交聯聚胺基甲酸酯薄膜之熱熔方法、載體層、壓感黏著層、功能層
KR101460372B1 (ko) 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EP2242784B1 (en) Liquid polyurethane prepolymers useful in solvent-free adhesives
WO2018089645A1 (en) Polyurethane comprising graphene nano structure
CN107922816B (zh) 氨基甲酸酯系粘接剂组合物
JP6178542B2 (ja) 迅速な走行可能時間を提供する車輌窓装着において有用な接着剤
CN112469754B (zh) 施加包含可熔聚合物并具有游离nco基团的材料的方法
TWI230166B (en) Polymer having controlled branching, process for preparing polymer dispersion, and their use in adhesive
US8324299B2 (en) Moisture-curable hot melt adhesive
JP2001055457A (ja) 柔軟な弾性ポリウレタンフィルム、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の使用
TW201533081A (zh) 水性聚胺酯分散液
WO2011005706A2 (en) Fiber feed system for extruder for use in filled polymeric products
WO2011123492A2 (en) Methods for making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s of aromatic polyisocyanate mixtures and compositions thereof
KR100896271B1 (ko) 습기경화형 반응성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330083B (zh) 氨基甲酸酯系粘接剂组合物
KR100811016B1 (ko)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삽입한 나노클레이를 포함하는 접착제용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방법 및 그 성형품
KR101264809B1 (ko) 비극성소재 프라이머 또는 접착제용 폴리우레탄계 조성물
WO2019240046A1 (ja) 2液ウレタン系接着剤組成物
JPH0228210A (ja) プレポリマー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JP2018058987A (ja) 注型熱硬化型ポリウレタンエラストマー
JP4525963B2 (ja) プライマー組成物
KR102530189B1 (ko) 우레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우레탄 수지,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테이프
US20130025784A1 (en) Methods for making aqueous polyurethane dispersions of aromatic polyisocyanate mixtures and compositions
JP2001106898A (ja) 湿気硬化性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防水材
WO2023232297A1 (en) High hardness thermoplastic polyurethane materials havin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above room temper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