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0826B1 - 압력 조절기 - Google Patents

압력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0826B1
KR100810826B1 KR1020027006481A KR20027006481A KR100810826B1 KR 100810826 B1 KR100810826 B1 KR 100810826B1 KR 1020027006481 A KR1020027006481 A KR 1020027006481A KR 20027006481 A KR20027006481 A KR 20027006481A KR 100810826 B1 KR100810826 B1 KR 100810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lid
pressure regulator
spring
ca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6930A (ko
Inventor
오토 코르스트
칼 엑크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2005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05D16/0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 G05D16/064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 G05D16/0655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one spring-loaded membrane
    • G05D16/0661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one spring-loaded membrane characterised by the loading mechanisms of the membr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599Pressure regulating type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599Pressure regulating type valve
    • Y10T137/5994Diaphragm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835Valve seating in direction of flow
    • Y10T137/7836Flexible diaphragm or bellows re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Safety Valv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된 유체 유입구(2)를 제어하며 스프링 컵(8) 내에 놓여져 밸브 스프링(7)을 지지하는 차단 부재(4)를 갖는 압력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 캔(8)은 재킷부(9)와 커버(10)로 구성된다. 밸브 스프링(7)의 일단부는 커버(10)에 지지된다. 커버는 희망 탄성력이 정확하게 조절될 때까지 재킷부(9) 내측으로 눌려지고 만입부(12, 13)의 방사상으로 재킷부(9)의 표면 영역(15)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압력 조절기{PRESSURE REGULATOR}
본 발명은 일단부에 밸브 스프링이 지지되고 타단부에 스프링 캔의 상부 단부면이 지지되며 밸브 스프링의 장력을 보정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차단 부재를 갖춘 압력 조절기 특히,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으로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압력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유형의 압력 조절기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근래의 자동차에 설치된다. 수많은 응용에서, 압력 조절기의 차단 부재의 개방력과 그로 인한 압력 조절기의 조절된 압력은 불가피한 제조상의 공차에도 불구하고 가능한 항상 정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은, 제조시 최종적인 보정 작업에 의해 만족된다. 이러한 작업시에는, 압력 조절기가 개방될 때의 압력을 점검해야 하고, 그 후 압력 포인트를 설정하기 위하여, 스프링 캔의 단부면이 스프링 캔쪽으로 약간 크거나 작은 정도의 압력을 받으므로 밸브 스프링은 약간 크거나 작은 정도의 장력을 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압력 조절기에서는 단지 복잡한 방식으로만 보정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부정확성을 갖는다는 것이 나타났다. 이러한 이유는, 첫째, 스프링이 단부면으로 가압될 수 있고, 가압된 이후에, 재질 탄성에 기인한 양만큼 스프링이 부득이하게 복원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가압 작동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보정 포인트를 다소 초과할 필요가 있으며, 탄성 복원된 이후에는, 정확한 개방 압력이 도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 가압부에서는 가끔씩 예상보다 덜 복원되어 지나치게 높은 개방 압력이 설정되는 상황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결점은 재 보정에 의해 연속하여 더 이상 수정되지 못한다.
본 발명이 근거로 하는 주안점은 서두에서 언급된 유형의 압력 조절기를 가능한 정확하게 보정을 수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안점은 스프링 캔이 케이싱부와 리드로 구성되며, 리드가 희망 탄성력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케이싱부의 케이싱 표면에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보정 수행중에, 희망 탄성력이 설정될 때까지 리드는 케이싱부에 대하여 축선상으로 변위될 수 있고, 그리하여 리드는 단지 케이싱부에만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이 케이싱부의 케이싱 표면에서만 연결되기 때문에, 리드가 복원될 염려가 없으므로 탄성력은 매우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리드는 케이싱부의 위에서 미끄럼되는 구성소자 또는 케이싱부를 연결하는 구성소자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케이싱부쪽으로 눌려지면서 내측상의 케이싱 표면에 플랜지형 에지를 지지하게 되는 경우에 특히 간단하게 구성된다.
리드는 매우 상이한 방식으로 케이싱부에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방사상 케이싱부로 유도하는 스크류 또는 리벳 또는 용접, 납땜 또는 접착제의 접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에 따라, 케이싱부의 케이싱 표면이 리드의 에지에 맞물리는 만입부(indentation)를 갖는 경우에 매우 단순한 연결이 달성된다.
만입부가 케이싱 표면에서 U형상의 절개부로 형성되며 절개부에 의해 한정된 재질을 리드의 에지로 가압하여 형성되는 개별 탭인 경우에, 리드는 보정중에 획득된 위치에서 특별히 정확하게 케이싱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만입부는 구형 캡의 형태인 돌기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케이싱부의 케이싱 표면 및 에지의 돌기는 상호 맞물린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를 허용한다. 기본 원리를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실시예 중 일례와 변형된 일례가 도면에 도시되며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기를 길이 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압력 조절기의 케이싱부와 리드 사이의 연결 영역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영역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대하여 변형된 연결 영역을 길이 방향으로 절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압력 조절기는 압력 매체 유입구(2) 및 다수의 압력 매체 유출구(3, 3')를 갖춘 하우징(1)을 갖는다. 상기 압력 매체 유입구(2) 위에는 일정한 압력 이하에서 압력 매체 유입구(2)를 차단하는 차단 부재(4)가 설치된다.
차단 부재(4)는 압력 공간(6)을 상방에서 밀폐하는 다이아프램(5)에 의해 유지된다. 이러한 차단 부재(4)는 밸브 스프링(7)에 의한 정확하게 규정된 힘에 의해 차단 방향으로 미리 가압된다. 밸브 스프링(7) 자체는, 하우징(1)에 연결되며 케이싱부(9)와 리드(10)로 구성된 스프링 캔(8; spring can) 내에 설치된다. 리드(10)는 케이싱부(9)의 케이싱 표면(15) 내측에 지지되고, 케이싱부의 주변부 상에 분포된 복수의 만입부(12, 13)에 의해 케이싱부(9)의 케이싱 표면(15)에 연결되는 상부로 지향된 에지(11)를 갖는다. 또한, 리드(10)는 밸브 스프링(7)을 지지하는 내측 단부면(14)을 갖는다.
도 2와 도 3은 케이싱부(9)로부터 리드(10)의 에지(11)에 맞물리는 탭(16)을 각각 갖는 만입부(12, 13)를 도시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부(9)는 각각의 경우에 U형상의 절개부(17)를 수용한다. 탭(16)은 절개부(17)를 형성하는 공구와 동일한 공구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공구는 탭(16)과 동시에 에지(11)의 대응 탭(18)을 내측으로 가압한다.
도 4는 만입부(12, 13)가 리드(10)와 케이싱부(9)의 벽부의 돌기(19, 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며, 이는 구형 캡의 형태로 상호 맞물린다.

Claims (6)

  1. 일단부 상에 밸브 스프링이 지지되고 타단부 상에 스프링 캔의 상부 단부면이 지지되며 상기 밸브 스프링의 장력을 보정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차단 부재를 갖춘 압력 조절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캔(8)은 케이싱부(9)와 리드(10)로 구성되고, 상기 리드(10)는 희망 탄성력을 형성하는 위치에서 상기 케이싱부(9)의 케이싱 표면(15)에 연결되며,
    상기 리드(10)는 상기 케이싱부(9) 쪽으로 가압되며 상기 케이싱부 내측상의 상기 케이싱 표면(15)에 플랜지형 에지(11)를 지지하고,
    상기 케이싱부(9)의 케이싱 표면(15)은 상기 리드(10)의 에지(11)에 맞물리는 만입부(12, 13)를 가지며,
    상기 만입부(12, 13)는 상기 케이싱 표면(15)에 U형상의 절개부(17)로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17)에 의해 한정되는 재질을 상기 리드(10)의 에지(11) 안쪽으로 가압함으로써 형성되는 개별 탭(1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12)는 구형 캡의 형태인 돌기(19, 20)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부(9)의 케이싱 표면(15)의 돌기(19)와 상기 에지(11)의 돌기(20)는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기는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으로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기.
KR1020027006481A 2000-09-21 2001-08-16 압력 조절기 KR1008108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46736A DE10046736B4 (de) 2000-09-21 2000-09-21 Druckregler
DE10046736.9 2000-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930A KR20020056930A (ko) 2002-07-10
KR100810826B1 true KR100810826B1 (ko) 2008-03-06

Family

ID=765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481A KR100810826B1 (ko) 2000-09-21 2001-08-16 압력 조절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792969B2 (ko)
EP (1) EP1319205B1 (ko)
JP (1) JP4653382B2 (ko)
KR (1) KR100810826B1 (ko)
CN (1) CN1214302C (ko)
AT (1) ATE280405T1 (ko)
AU (1) AU8380401A (ko)
BR (1) BR0107271A (ko)
DE (2) DE10046736B4 (ko)
ES (1) ES2228935T3 (ko)
WO (1) WO20020253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9351A1 (de) * 2003-03-03 2004-09-16 Robert Bosch Gmbh Druckregler
DE20310832U1 (de) * 2003-07-14 2004-11-18 Nordson Corporation, Westlake Druckregler
US7320313B1 (en) * 2007-01-30 2008-01-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ifferential pressure regulator for fuel systems
JP5640465B2 (ja) * 2010-05-31 2014-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流体圧力調整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燃料供給装置
JP6072411B2 (ja) * 2011-12-28 2017-02-01 株式会社ミクニ 燃料圧力制御装置および同装置を用いた燃料供給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6700A (en) * 1985-04-17 1987-03-03 Walbro Corporation Pressure regulator for liquid fuel system
EP0314878A2 (de) * 1987-10-31 1989-05-10 Pierburg Gmbh Verfahren zur Justierung der Federlänge eines Abgasrückführventils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5785080A (en) * 1994-03-17 1998-07-28 Robert Bosch Gmbh Pressure-regulating valv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47411A (en) * 1917-05-21 1917-11-20 F A Neider Company Vehicle-curtain fastener.
US3858164A (en) * 1972-05-25 1974-12-31 G Leonard Connecting device and manipulating tool
US4625695A (en) * 1985-03-28 1986-12-02 Walbro Corporation Fuel pressure regulator
JPS62186052A (ja) * 1985-04-17 1987-08-14 ウオルブロ コ−ポレイシヨン 液体燃料システム用圧力調整装置
US5518018A (en) * 1994-11-14 1996-05-21 Stant Manufacturing Inc. Fuel tank venting control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6700A (en) * 1985-04-17 1987-03-03 Walbro Corporation Pressure regulator for liquid fuel system
EP0314878A2 (de) * 1987-10-31 1989-05-10 Pierburg Gmbh Verfahren zur Justierung der Federlänge eines Abgasrückführventils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5785080A (en) * 1994-03-17 1998-07-28 Robert Bosch Gmbh Pressure-regulating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25392A1 (de) 2002-03-28
ES2228935T3 (es) 2005-04-16
ATE280405T1 (de) 2004-11-15
JP2004510088A (ja) 2004-04-02
JP4653382B2 (ja) 2011-03-16
US6792969B2 (en) 2004-09-21
DE10046736A1 (de) 2002-06-20
DE10046736B4 (de) 2006-04-13
KR20020056930A (ko) 2002-07-10
CN1214302C (zh) 2005-08-10
DE50104243D1 (de) 2004-11-25
AU8380401A (en) 2002-04-02
EP1319205B1 (de) 2004-10-20
US20030056831A1 (en) 2003-03-27
BR0107271A (pt) 2002-08-27
EP1319205A1 (de) 2003-06-18
CN1395699A (zh) 200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7996B1 (en) Plunger seal for pump
US20140311038A1 (en) Hole Plug
EP1860357B1 (en) Seat block and valve device
US10480704B2 (en) Pulsation damper
US20110094481A1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device
US6213077B1 (en) Resonator type silencer for automotive engine
KR100810826B1 (ko) 압력 조절기
ES2932611T3 (es) Servofreno electromecánico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para un servofreno electromecánico
KR100222307B1 (ko) 차단 및 조절밸브
EP1701033B1 (en) Combustion gas seal for fuel injection valve
US1073731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pring member of sealing device
US20110290347A1 (en) Pressure Regulator for a Fuel Supply Unit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a Pressure Regulator
CA2459691A1 (en) Seal feature to prevent bending
KR102235986B1 (ko) 다이어프램 밸브 및 그 제조 방법
CN116034011A (zh) 具有带有密封中心凸台的塑料盖的电子设备
US5581029A (en) Measurement system for a pressure gage as well as a process for the fabrication of such a measurement system
JP2016191534A (ja) ダクトおよびシール構造
US20140300062A1 (en) Seal Structure
US20220333689A1 (en) Gasket
US7159847B2 (en) Supplementary control valve device for the inlet channel of a recipro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132611B1 (en) Resonator type silencer for automotive engine
EP4067714A1 (en) Power element and expansion valve using same
US20230088724A1 (en) Housing cover
US20230096186A1 (en) Flow Rate Control Valve
WO2024084907A1 (ja) 減圧弁、及び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