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958B1 -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 - Google Patents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958B1
KR100809958B1 KR1020060120030A KR20060120030A KR100809958B1 KR 100809958 B1 KR100809958 B1 KR 100809958B1 KR 1020060120030 A KR1020060120030 A KR 1020060120030A KR 20060120030 A KR20060120030 A KR 20060120030A KR 100809958 B1 KR100809958 B1 KR 100809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upled
lever
cable assemb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씨에스
Priority to KR102006012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연료주유구 캡이 개방되도록 작동하여, 연료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는, 운전석 인접한 차량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레버고정축(11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11)와; 배면이 연료주유구(H) 측벽 내면에 결합되며, 전면 일측에 전방 개방형 케이블삽입홈(14e)이 구비되고, 타측단부에 스프링(17)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돌기(14 a)가 돌출되는 동시에, 케이블삽입홈(14e)과 스프링결합돌기(14a) 사이에 상향 개방형 결합홈(14b) 및 상·하 방향 통공(14b)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14)와; 상기 몸체(14)의 통공(14b) 내부에 상·하 왕복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며, 배면에 작동돌기(16d)가 돌출형성되고, 상단부가 몸체(14)의 스프링(17)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걸림부재(16)와; 상기 몸체(14)의 결합홈(14c)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걸림부재(16)의 작동돌기(16d) 저면에 걸리는 작동부재(15)와; 상기 레버(11)의 일단부에 일측단부가 결합되며, 몸체(14)의 케이블삽입홈(1 4e)에 삽입·안착된 상태에서 작동부재(15)의 상단부에 타측단부가 결합되는 케이블(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레버를 당겼다가 급격히 놓는 경우에도 스프링이 복귀되는 과정에서 스프링 결합돌기로부터 상기 스프링이 이탈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60120030
자동차,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Description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Cable assembly for cap of fuel inje c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케이블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케이블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
도 4는 본 발명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레버를 작동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케이블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걸림부재의 작동스트로크, 몸체의 걸림공 및 스프링 걸림편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작동부재 및 걸림부재 등을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레버 11a : 레버고정축 12 : 케이블
13 : 케이블심선 14 : 몸체 14a : 스프링결합돌기
14b : 통공 14c : 결합홈 14d : 걸림공
15 : 작동부재 15a : 작동부재고정축 15b : 작동부재연장부
15c : 축고정홀 16 : 걸림부재 16a : 걸림편
16b : 캡걸림부 16c : 걸림돌기 16d : 작동돌기
17 : 스프링
본 발명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작동시키어 연료주유구 캡이 열리도록 함으로써, 연료주입이 가능한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분분의 자동차는 가솔린(gasoline) 혹은 경유(diesel oil)와 같은 액체 석유제품을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80 - 90년 전에 가솔린 엔진이 실용화되었고, 가솔린과 대비되는 디젤 엔진이 최근에 부각되고 있으며 디젤 엔진 관련 기술에 있어서는 유럽쪽이 앞서고 있는데, 상기와 같이 가솔린 엔진이 활성화된 이유는 석유자원이 발견되어 풍부한 석유자원을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부터 가솔린이 보급되었을 뿐만 아니라, 최근들어 첨단 엔진화가 되어 배기가스가 거의 나오지 않으면서 연비가 좋고 차내에서 소음을 거의 느끼지 못하여 심지어는 시동이 걸렸는지조차 모를 정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솔린은 자동차, 항공, 공업 등의 분야에 널리 쓰이고 있다. 대부분의 자동차들이 가솔린을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항공용 휘발유는 프로펠러가 달린 경비행기의 연료로 사용되고 있다. 공업용 휘발유는 드라이크리닝이나 고무공업용, 도료용, 세척용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반면, 지프차, 트럭이나 버스 등의 자동차는 주로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는데, 경유에는 유황분이 함유되어 있어 공기 중으로 황산화물질을 배출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최근에는 ‘바이오디젤’이라고 하는 연료가 시판되기도 했는데, 바이오디젤은 콩기름이나 폐식용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을 이용한 연료로서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석유고갈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떠오르면서 주목받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가솔린(gasoline) 혹은 경유(diesel oil) 등의 액체 석유제품을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은 차체의 측면에 연료주유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승용차량의 경우에는 상기 연료주유구를 개폐시키는 캡이 부착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연료주유구 캡을 개폐시키어서 주유소 등에서 연료를 보충 주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는, 레버고정축(1a)에 의하여 운전석 근처의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1)와; 상기 레버(1)의 일측에 일단부가 걸리는 케이블(2)과; 연료주유구 근처 차체에 지지고정되는 판상의 베 이스 부재(4)와; 상기 베이스 부재(4)의 일측면(f)에 형성되는 작동자 가이드홈(4c)내에서 작동자 고정축(5a)에 의하여 지지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케이블(2)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회전작동되는 작동자(5)와; 상기 베이스 부재(4)의 상기 일측면(f)에 형성되는 걸림부재 가이드홈(4b)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고, 중앙부에 돌출형성된 작동자 걸림부(6c)가 상기 작동자(5)의 일측에 연장형성된 작동자 연장부(5b)에 걸리어서 승하강되며, 하단부에 캡 걸림부(6b)가 연장형성되는 걸림부재(6)와; 상기 베이스 부재(4)의 상기 일측면(f)에 형성되는 스프링 고정축(4a)에 걸리며, 일단부가 상기 걸림부재(6)의 상단부 일측에 돌출 형성된 스프링 걸림돌기(6a)에 걸리는 토션 스프링(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는, 운전자가 주유소 등에 도착하여 가솔린(gasoline) 혹은 경유(diesel oil)를 보충하여 넣기 위하여, 자신의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1)를 당김으로써, 이에 연동되어서 상기 걸림부재(6)가 상승되며 상기 캡 걸림부(6b)가 연료주유구 캡(8)의 일측면으로부터 록킹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료주유구 캡(8)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미도시)의 탄성에 의하여 열리도록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운전자가 상기 레버(1)를 당김으로써, 일단이 상기 레버(1)에 결합되어 있는 케이블(2)이 당겨지게 되고, 상기 케이블(2)의 타단이 당겨지면서, 상기 베이스 부재(4)의 일측면(f)에 형성되는 작동자 가이드홈(4c)내에서 작동자 고정축(5a)에 의하여 지지결합된 작동자(5)가 당겨지면서 작동자 고정축(5a)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자(5)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작동자(5)의 일측에 연장형성된 작동자 연장부(5b)에 작동자 걸림부(6c)가 걸린상태로 승강되어, 작동자 걸림부(6c)를 들어올리게 되는데, 상기 작동자 걸림부(6c)의 단부에 일측이 걸리어 있던 연료주유구 캡(8)의 록킹이 해제되고, 동시에 상기 연료주유구 캡(8)의 힌지축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미도시)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연료주유구 캡(8)이 열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는, 운전자가 상기 레버(1)를 당겼다가 급격히 놓게 되는 경우 상기 토션스프링(7)이 복귀되는 과정에서 종종 상기 스프링 걸림돌기(6a)로부터 토션스프링(7)의 끝단이 이탈되어서, 이를 다시 원래의 위치에 걸리도록 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블 조립체는, 예비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부재(6)가 상기 걸림부재 가이드홈(4a)내에 삽입된 후에 이를 뒤집어서 기울이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6)가 상기 걸림부재 가이드홈(4b)으로부터 빠져서 작업장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는 구조이어서, 상기 케이블 조립체의 예비조립과정 전반에 걸쳐서 상기 걸림부재(6)를 작업자가 손으로 받치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운전자가 레버를 당겼다가 급격히 놓게 되는 경우에도 스프링이 복귀되는 과정에서 스프링 걸림돌기로 부터 상기 스프링이 이탈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케이블 조립체를 예비조립하는 과정에서 걸림부재가 걸림부재 가이드홈내에 삽입된 후에 이를 뒤집어서 기울이게 되더라도,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걸림부재 가이드홈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어서, 케이블 조립체의 예비조립과정 전반에 걸쳐서 걸림부재를 작업자가 손으로 받치고 있지 않도록 하는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걸림부재가 걸림공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재 상단부에 스프링 걸림편을 구비토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는, 운전석 인접한 차량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레버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와; 배면이 연료주유구 측벽 내면에 결합되며, 전면 일측에 전방 개방형 케이블삽입홈이 구비되고, 타측단부에 스프링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돌기가 돌출되는 동시에, 케이블삽입홈과 스프링결합돌기 사이에 상향 개방형 결합홈 및 상·하 방향 통공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통공 내부에 상·하 왕복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며, 배면에 작동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단부가 몸체의 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걸림부재와; 상기 몸체의 결합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걸림부재의 작 동돌기 저면에 걸리는 작동부재와; 상기 레버의 일단부에 일측단부가 결합되며, 몸체의 케이블삽입홈에 삽입·안착된 상태에서 작동부재의 상단부에 타측단부가 결합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의 레버는, 운전자가 연료주유구 캡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최초로 손으로 거머쥐는 구성요소로써,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에는 상기 케이블 심선이 걸리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은 내주면에 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관통공내에는 케이블 심선이 결합되며, 상기 테이블 심선의 양단부에는 작동레버 및 후술하는 작동부재의 일측에 걸리도록 하는 구조를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는 케이블 삽입홈에 걸리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의 작동에 따라서 단지 내주면에 관통결합된 케이블 심선만이 움직이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심선 끝단이 작동됨에 따라서 이에 걸리는 작동부재는 결합홈 내에서 작동부재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결합홈에 인접되게 형성되는 통공내에서 상하 작동가능하게 끼워진 걸림부재의 작동돌기가 상기 작동부재의 일측에 연장형성된 작동부재 연장부에 접촉·작동되면서 상하로 작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공에 상하 작동가능하게 끼워진 걸림부재는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캡 걸림부가 구비되며, 평상시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항상 아래 방향으로 가해지는 탄성을 받아서 상기 캡 걸림부에 연료주유구 캡의 일측이 걸리는 구조이며, 상기 레버를 당기는 경우 상기 캡 걸림부가 연료주유구 캡의 일측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연료주유구 캡이 열리게 된다.
이하 본 발명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케이블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케이블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는, 운전석 인접한 차량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레버고정축(11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11)와; 배면이 연료주유구(H) 측벽 내면에 결합되며, 전면 일측에 전방 개방형 케이블삽입홈(14e)이 구비되고, 타측단부에 스프링(17)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돌기(14 a)가 돌출되는 동시에, 케이블삽입홈(14e)과 스프링결합돌기(14a) 사이에 상향 개방형 결합홈(14b) 및 상·하 방향 통공(14b)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14)와; 상기 몸체(14)의 통공(14b) 내부에 상·하 왕복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며, 배면에 작동돌기(16d)가 돌출형성되고, 상단부가 몸체(14)의 스프링(17)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걸림부재(16)와; 상기 몸체(14)의 결합홈(14c)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걸림부재(16)의 작동돌기(16d) 저면에 걸리는 작동부재(15)와; 상기 레버(11)의 일단부에 일측단부가 결합되며, 몸체(14)의 케이블삽입홈(1 4e)에 삽입·안착된 상태에서 작동부재(15)의 상단부에 타측단부가 결합되는 케이블(12)을 포함하여 구성된 다.
도 4는 본 발명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레버를 작동하기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케이블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레버(11)에 가해지는 힘이 최종적으로 걸림부재(16)의 캡 걸림부(16b)에 전달되는 과정은, " 레버(11) 당김 --> 케이블 심선(13) 일측단 당겨짐 --> 케이블 심선(13) 타측단 당겨짐 --> 작동부재(15) 회전 --> 걸림부재(16) 승강 --> 연료주유구 캡(8) 열림 "이다.
즉,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11)를 당기게 되면 상기 케이블(12)의 내주면에 관통 결합되어 있는 케이블 심선(13)이 당겨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케이블(12)의 일측단이 상기 몸체(14)에 걸리어 있는 상태에서 그 내주면에 관통 결합되어 있는 케이블 심선(13)의 타측단만이 상기 작동부재(15) 일측을 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15)는 작동부재 고정축(15a)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작동부재(15)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작동부재 연장부(15b)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작동부재 연장부(15b)에 작동돌기(16d)가 접촉·지지되면서 걸림부재(16)가 상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며, 상기 걸림부재(16)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켑 걸림부(16b)가 연료주유구 캡(8)의 일측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연료주유구 캡(8)이 열리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걸림부재의 작동스트로크, 몸체의 걸림공 및 스프링 걸림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 조립체는, 상기 스프링(17)이 걸림부재(6)의 전면 일측에 돌출형성된 스프링 걸림돌기(6a)에 걸리도록 하는 종래기술과 달리, 상기 걸림부재(16)의 상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걸림편(16a) 사이에 스프링( 17)이 걸리도록 하는 구조를 취한다.
그리고, 본 발명 걸림부재(16)의 걸림돌기(16c)는 상기 걸림공(14d)의 스트로크(S')내에서 특히 S만큼의 범위내에서 작동되는바, 상기 레버(11)를 당겼다가 급격하게 놓는 경우에도 상기 스프링(17)이 상기 한쌍의 걸림편(16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상기 한쌍의 걸림편(16a)의 높이를 충분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스프링 걸림돌기보다는 사출 금형 설계상 상기 걸림편(16a)을 형성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기 때문에 상기 한쌍의 걸림편(16a)의 높이를 충분히 하는 것도 금형제작에 있어서 그 작업이 용이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케이블 조립체에 있어서, 작동부재 및 걸림부재 등을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 케이블 조립체의 몸체(14)는, 일측면에 형성되며 전면에 상하로 걸림공(14d)이 형성된 통공(14b)을 구비하며, 걸림부재(16)는 상기 몸체(14)의 상기 일측면에 형성된 통공(14b)내에서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도록 전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16c)가 구비된다.
따라서, 케이블 조립체를 예비조립하는 과정에서 걸림부재(16)가 통공(14b)내에 삽입된 후에 이를 뒤집어서 기울이게 되더라도, 상기 걸림부재(16)가 상기 통 공(14b)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어서, 케이블 조립체의 예비조립과정 전반에 걸쳐서 상기 걸림부재(16)를 작업자가 손으로 받치고 있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 케이블 조립체의 조립순서를 살펴보면, 몸체(14)의 결합홈(14c)에 상기 작동부재(15)를 끼워넣은 후, 결합홈(14c) 전면에 관통형성된 홀을 통하여 작동부재 고정축(15a)을 결합하여 상기 작동부재(15)가 회동가능토록 예비조립을 한 후, 상기 작동부재(15)일측에 상기 케이블 심선(13)의 일단을 걸리도록 한다. (도 7의 가,나).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15)가 예비조립된 다음, 상기 몸체(14)의 통공(14b)에 걸림부재(16)를 끝까지 삽입하여 상기 걸림부재(16)의 걸림돌기(16c)가 상기 걸림공(14d)에 끼워지도록 한 후, 상기 몸체(14)의 스프링 결합돌기(14a)에 스프링(17)을 결합시키고 최종적으로 상기 스프링(17)의 일단을 걸림부재(16)의 한쌍의 걸림편(16a) 사이에 걸리도록 하면 조립이 완료된다(도 7의 다, 라).
본 발명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에 따르면, 운전자가 연료주입을 위하여 레버를 당겼다가 급격히 놓게 되는 경우에도, 스프링이 복귀되는 과정에서 걸림편으로부터 상기 스프링이 이탈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제고시키며, 불량률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케이블 조립체를 예비조립하는 과정에서 걸림부재가 통공내에 삽입된 후에 이를 뒤집어서 기울이게 되더라도,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통공으로부터 빠 지지 않게 되어서, 케이블 조립체의 예비조립과정 전반에 걸쳐서 걸림부재를 작업자가 손으로 받치고 있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운전석 인접한 차량 내부 일측에 고정되는 레버고정축(11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11)와;
    배면이 연료주유구(H) 측벽 내면에 결합되며, 전면 일측에 전방 개방형 케이블삽입홈(14e)이 구비되고, 타측단부에 스프링(17)이 결합되는 스프링결합돌기(14 a)가 돌출되는 동시에, 케이블삽입홈(14e)과 스프링결합돌기(14a) 사이에 상향 개방형 결합홈(14b) 및 상·하 방향 통공(14b)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14)와;
    상기 몸체(14)의 통공(14b) 내부에 상·하 왕복 이동가능토록 결합되며, 배면에 작동돌기(16d)가 돌출형성되고, 상단부가 몸체(14)의 스프링(17)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걸림부재(16)와;
    상기 몸체(14)의 결합홈(14c)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걸림부재(16)의 작동돌기(16d) 저면에 걸리는 작동부재(15)와;
    상기 레버(11)의 일단부에 일측단부가 결합되며, 몸체(14)의 케이블삽입홈(1 4e)에 삽입·안착된 상태에서 작동부재(15)의 상단부에 타측단부가 결합되는 케이블(1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14b)은, 결합홈(14c)의 전방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 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16)의 상단부에는 한 쌍의 서로 평행한 걸림편(16a)이 상향 돌출 형성되며, 스프링(17)의 일단부는 두 걸림편(16a) 사이에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4)의 통공(14b)에는 내·외주면을 관통하는 일자형 걸림공(14d)이 관통 형성되고, 걸림부재(16)의 전면에는 상기 걸림공(14d)을 따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한 걸림돌기(16c)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
KR1020060120030A 2006-11-30 2006-11-30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 KR100809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030A KR100809958B1 (ko) 2006-11-30 2006-11-30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030A KR100809958B1 (ko) 2006-11-30 2006-11-30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9958B1 true KR100809958B1 (ko) 2008-03-07

Family

ID=3939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030A KR100809958B1 (ko) 2006-11-30 2006-11-30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5432A (zh) * 2016-11-18 2017-03-22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商用车加油口的开启控制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088A (ko) * 1999-06-11 2001-01-05 정몽규 차량의 연료캡 자동 개폐장치
JP2004106577A (ja) * 2002-09-13 2004-04-08 Honda Motor Co Ltd フューエルリッドおよびスライドドアの制御装置
JP2004150064A (ja) * 2002-10-29 2004-05-27 Honda Motor Co Ltd フューエルリッドオープナ機構
JP2005178486A (ja) * 2003-12-17 2005-07-07 Honda Motor Co Ltd 給油口構造
KR200398469Y1 (ko) 2005-07-20 2005-10-13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케이블의 변형을 방지하는 링크레버가 구비된 주유구 리드안전장치
KR20060096614A (ko) * 2005-03-02 2006-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088A (ko) * 1999-06-11 2001-01-05 정몽규 차량의 연료캡 자동 개폐장치
JP2004106577A (ja) * 2002-09-13 2004-04-08 Honda Motor Co Ltd フューエルリッドおよびスライドドアの制御装置
JP2004150064A (ja) * 2002-10-29 2004-05-27 Honda Motor Co Ltd フューエルリッドオープナ機構
JP2005178486A (ja) * 2003-12-17 2005-07-07 Honda Motor Co Ltd 給油口構造
KR20060096614A (ko) * 2005-03-02 2006-09-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연료도어 개폐장치
KR200398469Y1 (ko) 2005-07-20 2005-10-13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케이블의 변형을 방지하는 링크레버가 구비된 주유구 리드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5432A (zh) * 2016-11-18 2017-03-22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商用车加油口的开启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7305B2 (en) Tank flap or charging flap arrangement
KR100598328B1 (ko) 리드의 개폐장치
US5836638A (en) Fuel door assembly
JP6204192B2 (ja) スナップ固定式ドアハンドルとロックノブとの組立体
KR101806622B1 (ko) 차량의 후드래치 조립체 및 그 작동방법
KR100809958B1 (ko) 연료주유구 캡 개폐 케이블 조립체
KR20180069345A (ko) 연료도어 팝업장치
US20080224370A1 (en) Latching rack damper assembly
KR101480575B1 (ko) 차량용 기계식 가속페달 장치
CN207449621U (zh) 一种油箱盖
CN106042906B (zh) 用于燃料箱的加注接头及具有这种加注接头的机动车辆
CN201496169U (zh) 双腔分体式化油器
JP2019098954A (ja) 車両用給油部構造
CN211844159U (zh) 汽车座椅靠背锁及包括其的汽车座椅
KR100462803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캡
KR100853415B1 (ko) 디젤승용차의 주유구
KR100785371B1 (ko) 디젤차량용 연료주입마개
US11441343B2 (en) Run-up type swing-out door retainer structure
CN203730138U (zh) 节气门的节气门轴组件
KR102593961B1 (ko) 자동차용 도어 잠금 장치
KR200184765Y1 (ko) 자동차의 일체형 연료필러캡
KR20120118939A (ko)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록킹장치
KR200374138Y1 (ko) 이종연료 혼유방지 주유노즐
KR20060030924A (ko) 디젤차량용 가솔린연료 오주입 방지 장치
KR101410813B1 (ko) 트럭의 오버헤드 콘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