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599B1 - 상수도관 내부 청소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관 내부 청소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599B1
KR100807599B1 KR1020060093899A KR20060093899A KR100807599B1 KR 100807599 B1 KR100807599 B1 KR 100807599B1 KR 1020060093899 A KR1020060093899 A KR 1020060093899A KR 20060093899 A KR20060093899 A KR 20060093899A KR 100807599 B1 KR100807599 B1 KR 100807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leaning device
cleaning
pip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순조
Original Assignee
대한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3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3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관의 내벽으로 퇴적 응고된 불순물을 간편한 장치만으로 신속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수가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떤 지역에서도 맑은 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상수도관 내부의 청소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매설된 상수도관에 청소할 구간을 설정하여 그 구간에 제거장치를 설치한 다음, 제거장치에 구비된 밸브를 개폐시켜 자체수압으로 상수도관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고, 상수도관의 노후화 정도에 따라 고압살수청소와 회전식청소 및 스크레바를 이용하여 상수도관의 내부를 완전 청소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청결한 용수가 통수되어 각 가정에서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거장치, 보조통수관, 불순물제거밸브, 불순물배출밸브, 청소관

Description

상수도관 내부 청소 방법 및 그 장치{Waterworks pipe inside cleaning method and the system}
도 1은 현재 도심에 설치된 상수도관을 도시한 대략적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공정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불순물 청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5,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간별 청소장치 설치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P: 상수도관시설물 10: 상수도관
20:밸브 30:제1구간
40:제2구간 50:제3구간
60:청소설정구간 100,100a,100b:청소장치
110,110a,110b:보조통수관 112,112a,112b:제1통수용밸브
113,113a,113b:제1연결관 114,114a114b:제1청소용밸브
122,122a,122b:제2통수용밸브 123,123a,123b:제1연결관
124,124a,124b:제2청소용밸브 130,130a,130b:불순물제거밸브
140,140a,140b:제1불순물배출밸브
150,150a,150b:제2불순물배출밸브
160,160a,160b:하수도연결관 170,170a,170b:제1배출관
171,171a,171b:제2배출관 180,180a,180b:청소관
200:고압살수노즐
본 발명은 상수도관 내부의 청소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상수도관의 내벽으로 퇴적 응고된 불순물을 간편한 장치만으로 신속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용수가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떤 지역에서도 맑은 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상수도관 내부의 청소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관 시설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둑판의 형상으로 도심에 시설(P)되어 있는데, 각각의 상수도관(10)을 흐르는 용수는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것이 아니라 물의 흐름 방향이 바뀔 수도 있으며, 플랜지 이음 및 KP접합이음, 용접이음방법 등으로 설치된 상수도관에는 무수히 많은 밸브(2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상수도관 시설물은 대부분 매설 된지 오랜 시간이 흘렀기 때문에 상수도관의 내벽에는 수많은 불순물이 퇴적되어 딱딱한 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불순물은 가정의 수도관으로 흘러나오기도 한다.
이렇게 불순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수도관의 노후 상태에 알맞게 청소를 해주어야 함은 물론, 노후상태에 따라 공사가 진행되어야 하나, 대부분 상수도관 내벽을 청소할 때에는 많은 인적, 물적 자원을 투입하여 청소를 실시 하였다.
또한 청소할 구간을 설정한 후 청소를 시작하게 되면 많이 노후화되지 않은 상수도관조차도 장시간 노후화 된 상수도관과 동일하게 청소작업을 하였기 때문에 청소에 소요되는 인적, 물적 자원의 낭비가 심하고, 청소 시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도 있었으며, 청소 후의 퇴적 불순물을 처리함에 있어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한 것으로 상수도관의 노후화 상태에 알맞게 간단한 장치만으로 상수도관의 내벽에 퇴적된 불순물을 신속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나아가 각 가정에서는 언제라도 청결한 용수를 공급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현재 도심에 설치된 상수도관을 도시한 대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공정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불순물 청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며, 도 5,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간별 청소장치 설치사용상태도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수도관 내부 청소 방법은,
먼저 도심에 시설된 상수도관 시설물(P)의 상수도관(10)에 청소하고자 하는 각 구간(30,40,50,60)을 설정한다.
구간설정이 완료되면 해당구간(60)으로 통수되는 용수가 통수되지 못하도록 인접된 밸브(20)를 잠근다.
용수가 더 이상 통수되지 않으면 설정된 제1구간(30)의 시작 구간에 청소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을 거리만큼 절단하고, 절단된 상수도관 내부의 노후화 상태를 확인한다.
청소할 제1구간(30)의 시작구간에 첫 번째 청소장치(100)를 설치하고, 첫 번째 청소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두 번째 청소장치(100a,100b)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절단한 다음, 청소할 제1구간(30)의 종료구간에 두 번째 청소장치(100a)를 설치한다.
청소할 제1구간(30)에 청소장치(100,100a)가 설치 완료되면, 두 번째 설치 한 청소장치(100a)의 제1통수용밸브(112a), 불순물제거밸브(130a) 및 제2불순물배출밸브(150a)는 닫고, 제1청소용밸브(114a)와 제1불순물배출밸브(140a)를 연 다음, 첫 번째 설치한 청소장치(100)의 불순물제거밸브(130), 제1불순물배출밸브(140) 및 제2불순물배출밸브(150)를 닫고, 제1, 2청소용밸브(114,124), 제1, 2통수용밸브(112,122)를 연 후, 청소설정구간(60)의 인접된 밸브(20)를 열어 용수가 첫 번째 청소장치(100)의 보조통수관(110)을 통해 통수될 수 있도록 하여 통수되는 자체수압에 의해 씻겨진 퇴적불순물은 두 번째 청소장치(100a)의 하수도연결관(160a)으로 배출되어 상수도관 내부가 청소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퇴적불순물이 두 번째 청소장치(100a)의 하수도연결관(160a)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은 물의 흐름 방향이 첫 번째 청소장치(100)에서 두 번째 청소장치(100a)로 통수되는 상황이며, 이러한 물의 통수 방향은 언제라도 바뀔 수가 있기 때문에 통수 방향에 따라 상술 된 조건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되고, 상기 청소설정구간(60)의 인접된 밸브(20)라 함은 첫 번째 청소장치(100)와 인접된 밸브(20)가 되는 것이다.
상기 자체수압으로도 청소가 완료되지 않는 노후화된 상수도관은 설치된 청소장치(100,100a)의 보조통수관(110,110a) 및 제1, 2통수용밸브(112,122,112a,122a)를 분해 한 다음 세정기(미도시)의 고압살수노즐(200)을 청소장치(100)의 제2연결관(123)에 투입하여 청소장치(100a)의 제1연결관(113a)까지 반복하여 고압 살수 청소를 한다.
상기 고압살수로 완전한 청소가 되지 않는 노후화된 상수도관일 경우 전동기에 의해 브러시 부분만 회전하는 회전브러시(미도시)를 청소장치(100,100a)의 제2연결관(123)에서 제1연결관(113a)까지 관통시켜 브러시의 회전에 의해 상수도관 내벽을 반복 청소를 한다.
상수도관의 내부에 응고된 불순물의 제거가 세정기의 고압살수 및 회전브러시에 의해 마무리되면 해체한 청소장치(100,100a)의 보조통수관(110,110a) 및 제1, 2통수용밸브(112,122,112a,122a)를 결합시켜 자체수압에 의해 상술된 방법으로 완전 청소를 한다.
제1구간(30)의 청소가 완료되면 청소장치(100)의 설치로 절단한 구간에 상수도관을 플랜지 이음 및 KP접합이음, 용접이음방법으로 이은 후, 밸브(20)를 개폐시켜 용수가 통수되게 함으로써 마무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2구간(40)으로 이동해서 청소를 할 때는 먼저 설치된 청소장치(100a)는 설치된 상태로 두고 세 번째 청소장치(100b)를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상수도관의 내부를 청소하면 되고, 상기 청소장치(100,100a)를 설치하여 자체수압에 의한 청소를 할 때 상술된 방향과 역방향으로 진행시킬 때에는 첫 번째 청소장치(100)의 제2통수용밸브(122), 불순물제거밸브(130) 및 제1불순물배출밸브(140)는 닫고, 제2청소용밸브(124)와 제2불순물배출밸브(150)를 연 다음,
두 번째 설치한 청소장치(100a)의 불순물제거밸브(130a), 제1불순물배출밸브(140a) 및 제2불순물배출밸브(150a)를 닫고, 제1, 2청소용밸브(114a,124a), 제1, 2통수용밸브(112a,122a)를 연 후, 청소설정구간(60)의 인접된 밸브(20)를 열어 용수가 두 번째 청소장치(100a)의 보조통수관(110a)을 통해 통수를 시키면서 청소를 실시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된 상수도관 내부의 노후화 상태를 확인하여 긴급을 요하면서 노후화 상태가 심한 경우이면, 절단구간(30)내 스크레바(미도시)를 관통시킨 다음, 윈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양방향에 번갈아가며 당겨주면서 청소를 먼저실시하고, 본 발명의 청소장치(100,100a)를 설치하여 자체수압으로 마무리 청소를 한 후, 청소장치(100)는 그대로 설치시켜둠으로서 용수가 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청소할 설정구간(60) 약 1km가 넘을 경우에는 각 구간(30,40,50) 마다 청소를 실시하되, 제 2구간(40)을 청소할 때는 제1구간에서 설치 한 청소장치(100a)는 두고 또 다른 청소장치(100b)를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하여 청소를 실시하되 제3구간(50)에 청소할 때는 청소장치(100b)는 설치된 상태로 두고 먼저 설치한 청소장치(100a)를 해체하여 상수도관을 플랜지 이음 및 KP접합이음과 용접이음으로 이은 다음, 해체한 청소장치(100a)를 제3구간(50)의 종료지점에 설치 및 청소하면 되고 청소구간(60)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반복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체수압에 의해 물청소를 할 때에 밸브의 조작은 청소할 설정구간(60)의 밸브(20)를 조작하여도 무방하며, 작업의 편리함과 신속성을 위하여 청소장치에 있는 제1, 2청소용밸브(114,114a,114b,124,124a,124b)를 조작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용수의 흐름 방향을 좌, 우측에서 번갈아 역방향으로 실시하게 되면 노후가 많이 되지 않은 상수도관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이 훨씬 수월하고, 신속히 청소를 완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청소할 구간(60)은 미리 정해지는게 대부분이지만 각 구간별(30,40,50) 청소구간 설정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작업자가 임의로 정하게 되는데 작업환경에 따라 약 100~300M 로 구간을 정하고, 청소장치는 로테이션식으로 각 구간(30,40,50)마다 이동 설치하여 해당구간(60)의 청소를 완료한다.
그런데 청소해야 할 구간이 100~300M이내일 경우에는 굳이 청소장치(100,100a,100b)를 로테이션식으로 이동 설치하여 청소를 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할 구간에 청소장치(100,100a)두개만 설치하여 청소를 완료하면 된다.
만약 상수도관의 내부청소를 할 때 노후화가 심하지않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청소장치(100,100a,100b)만으로도 청소가 가능하여 신속한 청소가 완료됨과 동시에 양질의 청결한 용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수도관의 내부에 있는 불순물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장치(100,100a,100b)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각각의 끝단부에는 제1, 2통수용밸브(112,112a,112b,122,122a,122b)가 밀봉연결 고정된 보조통수관(110,110a,110b);
상기 보조통수관(110,110a,110b)의 제1통수용밸브(112,112a,112b) 및 제2통수용밸브(122,122a,122b)와 밀봉 연결될 수 있는 제1, 2연결관(113,113a,113b,123,123a,123b)이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연결관(113,113a,113b,123,123a,123b)의 사이에는 용수의 흐름 방향에 따라 구분되어 불순물이 청소될 수 있도록 불순물제거밸브(130,130a,130b)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불순물제거밸브(130,130a,130b)의 양측방으로 하수도연결관(160,160a,160b)과 제1, 2불순물배출밸브(140,140a,140b,150,150a,150b)가 구비된 제1, 2배출관(170,170a,170b,171,171a,171b)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청소관(180,180a,180b);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청소장치(100,100a,100b)는 다수개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제작 및 설치할 때에는 매설된 상수도관과 동일한 재질로 제작 및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수도관 내부 청소 방법 및 그 장치는 상수도관 내부에 퇴적응고된 불순물을 신속하게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청소후에도 용수가 항상 청결한 상태로 각 가정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정수가 될 수 있음은 물론, 상수도관의 노후와 상태에 따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상수도관 내부에 소요되는 인적, 물적 자원의 투입을 최소화 하면서 상수도관의 내부를 완전히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수도관 내부 청소 방법은,
    도심에 시설된 상수도관 시설물(P)의 상수도관(10)에 청소하고자 하는 각 구간(30,40,50,60)을 설정하는 단계와;
    구간설정이 완료되면 해당구간(60)으로 통수되는 용수가 통수되지 못하도록 인접된 밸브(20)를 잠그는 단계와;
    용수가 더 이상 통수되지 않으면 설정된 제1구간(30)의 시작 구간에 청소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을 거리만큼 절단 하는 단계와;
    절단된 상수도관 내부의 노후화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청소할 제1구간(30)의 시작구간에 첫 번째 청소장치(100)를 설치하는 단계와;
    첫 번째 청소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두 번째 청소장치(100a,100b)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절단하는 단계와;
    청소할 제1구간(30)의 종료구간에 두 번째 청소장치(100a)를 설치하는 단계와;
    청소할 제1구간(30)에 청소장치(100,100a)가 설치 완료되면, 두 번째 설치 한 청소장치(100a)의 제1통수용밸브(112a), 불순물제거밸브(130a) 및 제2불순물배출밸브(150a)는 닫고, 제1청소용밸브(114a)와 제1불순물배출밸브(140a)를 연 다음, 첫 번째 설치한 청소장치(100)의 불순물제거밸브(130), 제1불순물배출밸브(140) 및 제2불순물배출밸브(150)를 닫고, 제1, 2청소용밸브(114,124), 제1, 2통수용밸브(112,122)를 연 후, 청소설정구간(60)의 인접된 밸브(20)를 열어 용수가 첫 번째 청소장치(100)의 보조통수관(110)을 통해 통수될 수 있도록 하여 통수되는 자체수압에 의해 씻겨진 퇴적불순물은 두 번째 청소장치(100a)의 하수도연결관(160a)으로 배출되어 상수도관 내부가 청소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자체수압으로도 청소가 완료되지 않는 노후화된 상수도관은 설치된 청소장치(100,100a)의 보조통수관(110,110a) 및 제1, 2통수용밸브(112,122,112a,122a)를 분해 한 다음 세정기(미도시)의 고압살수노즐(200)을 청소장치(100)의 제2연결관(123)에 투입하여 청소장치(100a)의 제1연결관(113a)까지 반복하여 고압살수청소 하는 단계와;
    상기 고압살수로 완전한 청소가 되지 않는 노후화된 상수도관일 경우 전동기에 의해 브러시 부분만 회전하는 회전브러시(미도시)를 청소장치(100,100a)의 제2연결관(123)에서 제1연결관(113a)까지 관통시켜 브러시의 회전에 의해 상수도관 내벽을 반복 청소하는 단계와;
    상수도관의 내부에 응고된 불순물의 제거가 세정기의 고압살수 및 회전브러시에 의해 마무리되면 해체한 청소장치(100,100a)의 보조통수관(110,110a) 및 제1, 2통수용밸브(112,122,112a,122a)를 결합시켜 자체수압에 의해 상술된 방법으로 완전 청소하는 단계와;
    제1구간(30)의 청소가 완료되면 청소장치(100)의 설치로 절단한 구간에 상수도관을 플랜지 이음 및 KP접합이음, 용접이음방법으로 이은 후, 밸브(20)를 개폐시켜 용수가 통수되게 함으로써 마무리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내부의 청소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후화 상태를 확인 후, 긴급을 요하면서 노후화 상태가 심한 경우이면, 절단구간(30)내 스크레바(미도시)를 관통시킨 다음, 윈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양방향에 번갈아가며 당겨주면서 청소를 먼저 실시하고, 청소장치(100,100a)를 설치하여 자체수압에 의한 마무리 청소를 한 후, 청소장치(100)는 그대로 설치 시켜둠으로서 용수가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내부의 청소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청소할 설정구간(60)이 구간별로(30,40,50) 설정되면, 각 구간별로 청소장치(100,100a,100b)를 로테이션식으로 이동 배치시켜 상수도관의 내부가 청소될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관 내부의 청소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수압청소는 제거장치(100,100a,100b)에 의해 좌, 우측방향으로 반복실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 내부의 청소방법.
  5. 삭제
KR1020060093899A 2006-09-27 2006-09-27 상수도관 내부 청소 방법 및 그 장치 KR100807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899A KR100807599B1 (ko) 2006-09-27 2006-09-27 상수도관 내부 청소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899A KR100807599B1 (ko) 2006-09-27 2006-09-27 상수도관 내부 청소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192U Division KR200433352Y1 (ko) 2006-09-28 2006-09-28 상수도관 내부 청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599B1 true KR100807599B1 (ko) 2008-02-28

Family

ID=3938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899A KR100807599B1 (ko) 2006-09-27 2006-09-27 상수도관 내부 청소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5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151B1 (ko) 2014-10-14 2015-08-12 박영래 고점성 유체 이송 배관의 세정방법
KR102076094B1 (ko) * 2019-09-04 2020-02-11 (주)케이엠에스 상수도관 세척 및 누수 위치 탐지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747A (ko) * 1999-05-06 1999-08-05 이종구 Ni-Fe 합금 박판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75942A (ko) * 1997-03-06 2000-12-26 제롬 에이취. 루뒤그 파이프 시스템의 세척 및 소비한 세척 용제의 관-내부에서의 재처리 방법
KR20030079054A (ko) * 2002-04-01 2003-10-10 정찬도 노후상수도관 갱생공법
KR20060100335A (ko) * 2006-08-29 2006-09-20 대한기업주식회사 상수도관을 통해 흐르는 용수의 불순물 제거방법 및 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942A (ko) * 1997-03-06 2000-12-26 제롬 에이취. 루뒤그 파이프 시스템의 세척 및 소비한 세척 용제의 관-내부에서의 재처리 방법
KR19990064747A (ko) * 1999-05-06 1999-08-05 이종구 Ni-Fe 합금 박판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79054A (ko) * 2002-04-01 2003-10-10 정찬도 노후상수도관 갱생공법
KR20060100335A (ko) * 2006-08-29 2006-09-20 대한기업주식회사 상수도관을 통해 흐르는 용수의 불순물 제거방법 및 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151B1 (ko) 2014-10-14 2015-08-12 박영래 고점성 유체 이송 배관의 세정방법
KR102076094B1 (ko) * 2019-09-04 2020-02-11 (주)케이엠에스 상수도관 세척 및 누수 위치 탐지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138B1 (ko) 맨홀 청소차의 물재사용 오수 처리 장치
KR102320990B1 (ko) 상수관망 진단이 접목된 회전 워터젯 방식의 노후관 세척 공법
KR102320989B1 (ko) 회전 워터젯 방식의 노후관 세척장치
KR100807599B1 (ko) 상수도관 내부 청소 방법 및 그 장치
JP2014083513A (ja) 管路洗浄方法及び管路洗浄システム
CN106512494A (zh) 一种斜板沉淀池、斜板沉淀池的清洗方法及清洗装置
KR200433352Y1 (ko) 상수도관 내부 청소장치
JP6097525B2 (ja) 管路洗浄方法及び管路洗浄システム
CN207727720U (zh) 一种便于使用的工程排水装置
JP5456811B2 (ja) 下水管の止水栓装置,下水管施設の作業用補助システム及び下水管施設の作業方法
KR20170123917A (ko) 빗물 재사용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210788360U (zh) 一种水冷发电机反冲洗装置
KR200321857Y1 (ko) 준설차의 오수 리싸이클링장치
KR20070120698A (ko)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CA286760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 situ cleaning of tube settlers in water clarification
CN103055599B (zh) 一种污水循环系统
CN113235728A (zh) 市政工程下水道清淤装置
JP3109919U (ja) 管内部の洗浄手段を備えた給水装置
KR102666127B1 (ko) 고속수류 및 맥동에 의한 수도관 세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도관 세척 방법
KR20060087798A (ko)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CN217854972U (zh) 一种纤维转盘滤布滤池
KR200372885Y1 (ko) 슬러지 처리용 여과장치
CN212689133U (zh) 一种市政道路排水管
CN214389217U (zh) 一种混凝土生产用罐车冲洗废水处理系统
JP3731170B2 (ja) 建築物の排水管構造および排水管の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