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798A -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 Google Patents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798A
KR20060087798A KR1020050008633A KR20050008633A KR20060087798A KR 20060087798 A KR20060087798 A KR 20060087798A KR 1020050008633 A KR1020050008633 A KR 1020050008633A KR 20050008633 A KR20050008633 A KR 20050008633A KR 20060087798 A KR20060087798 A KR 20060087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line
sludge
sewage
packer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956B1 (ko
Inventor
이제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강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강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강개발
Priority to KR1020050008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95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집집관로와 같은 중, 대형 관로에서 흐르는 하수의 수압을 이용하여 관로를 준설하기 위한 공법으로서, 관로의 내측에서 관로를 막은 상태로 일부는 터주어 이때 분출되는 하수의 급격한 흐름에 의해 관로 내의 슬러지를 밀어내되, 이를 관로의 상류측 입구로부터 하류측 출구까지 구간을 나누어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각 단계마다 관로의 하류측 출구로 밀려나오는 슬러지를 맨홀 밖으로 퍼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되어, 차집관로와 같은 대형 관로에서도 가능하고 별도의 동력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관로의 손상 없이 슬러지를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준설공법, 수압, 슬러지, 패커기

Description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Dredging construction method of pipe using water pressure}
도 1은 종래의 고압식 준설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 내지 8은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공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11,112 : 관로 121,122 : 맨홀
130 :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 131,141 : 튜브
132 : 하수분출구 140 : 수량 조절용 패커기
142 : 하수유입구 150 : 카메라
160 : 에어펌프 170 : 토출펌프
180 : 압롤박스
본 발명은 준설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집관로와 같은 대형 관로에서도 가능하고, 별도의 동력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관로의 손상 없이 슬러지를 깨끗하게 제거하는 데 적당하도록 한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로의 준설공법은 관로 내 바닥에 쌓여있는 슬러지 등의 퇴적물을 제거하기 위한 공법을 가리킨다.
최근 도심지역이나 신도시 택지개발 현장을 중심으로 비굴착 공사 및 CCTV 촬영 작업이 공사현장에서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관로 내부에 퇴적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준설작업이 이전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관로의 준설공법으로는 버킷을 이용하는 방법, 관로 내에 고압을 가해 맨홀상으로 모인 슬러지를 처리하는 방법이 종래에는 대표적이었다.
이 중 버킷을 이용하는 방법은 맨홀과 맨홀 사이에 위치하는 하수관 내부에 와이어를 통과시킨 다음 상기 와이어 상에 버킷을 매달아 반복적으로 버킷을 끌어당겨 관로 내에 퇴적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방법이나, 버킷과의 마찰로 인해 관로가 손상되기 쉽고 차집관로와 같은 대형 관로에서는 적용하기 곤란하였다.
한편, 관로 내에 고압을 가해 맨홀상으로 모인 슬러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종래의 고압식 준설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을 참조로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압식 준설공법은 맨홀(12) 내에 위치시킨 분사장비(20)를 사용하여 세정수(21)를 고압으로 분사함으로써 관로(11) 내의 슬러지를 반대편 맨홀(13)로 밀어내고, 밀려나온 슬러지(14)는 토출펌프(30)로 퍼올려는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준설공법은 비교적 길이가 짧고 구경이 작은 소형 관로(11)에서는 유용할 수 있으나, 차집관로와 같이 대형 관로에서는 거의 무용지물이었다. 이는, 차집관로인 경우 그 관경의 크기만도 800 내지 1300[mm] 에 달하고 길이는 100[m]를 넘을 정도로 긴 것도 있어 세정수를 분사하는 분사장비(20)의 압력이나 토출펌프(30)의 흡입 용량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부분의 차집관로에는 어느 정도 하수가 차있고, 상기 하수 속으로 슬러지가 퇴적되어 있기 때문에 슬러지를 깨끗하게 제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관로 내에 차있는 하수의 수위부터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래의 기술로는 곤란하였다.
또한, 차집관로와 같은 대형 관로의 경우 흐름속도는 크지 않더라도 하수의 양이 많은 관계로 수압이 상당하여 관로의 준설을 위해 물돌리기를 하거나 흐름을 차단하기가 무척 곤란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차집관로와 같은 대형 관로의 경우 효과적으로 준설할 수 있는 공법이 없는 관계로 관로 자체의 청소는 물론, 준설이 선행되어야 하는 비굴착 공사를 수행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집관로와 같은 대형 관로에서도 가능하고, 별도의 동력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관로의 손상 없이 슬러지를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 는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은, 제 1관로가 상류방향으로 연결된 제 1맨홀과 제 2관로가 하류방향으로 연결된 제 2맨홀 사이 중간에 위치한 관로 내를 준설하기 위한 준설공법으로서, 상기 중간 관로의 내측에서 관로를 막은 상태로 일부는 터주어 이때 분출되는 하수의 급격한 흐름에 의해 관로 내의 슬러지를 밀어내되, 이를 상기 관로의 상류측 입구로부터 하류측 출구까지 구간을 나누어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상기 각 단계마다 상기 관로의 하류측 출구로 밀려나오는 슬러지를 상기 제 2맨홀 밖으로 퍼올리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를 밀어내기 위하여, 관로 내측을 막을 수 있도록 팽창 가능하고 하수의 분출을 위한 하수분출구가 마련된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를 사용하며,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를 각 구간마다 단계적으로 이동시켜가면서 슬러지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로부터 상류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관로 내에는 관로 내측을 막을 수 있도록 팽창 가능하고 하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하수유입구가 마련된 수량 조절용 패커기가 더욱 투입되어,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의 이동시 하수의 수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커기에는 상기 중간 관로를 관통시킨 로프를 연결하고, 상기 로프를 끌어당김으로서 상기 패커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의 선단에는 카메라를 장착하여 슬러지의 퇴적 상태 및 하수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맨홀 밖으로 슬러지를 퍼올리기 위하여 토출펌프를 사용하고, 상기 관로의 출구로 밀려나오는 슬러지의 양이 유압펌프의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수의 분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맨홀 밖으로 슬러지를 퍼올릴 때 함께 퍼올려진 하수는 다시 제 2맨홀을 통하여 제 2관로로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은 작업에 장애가 될 수 있는 하수의 수압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퇴적된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형의 관로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맨홀과 맨홀 사이의 길이가 길고 구경이 상당히 커서 준설에 곤란하였던 차집관로 등의 대형 관로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퇴적된 많은 양의 슬러지를 제거하면서도 별도의 동력을 거의 필요치 않으며, 작업 중 관로의 손상도 야기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준설공법은 관로의 내측에서 관로를 막으면서 일부를 터주어 이때 분출되는 하수의 급격한 흐름으로 슬러지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관로 내의 슬러지를 제거한다. 하지만 슬러지를 관로 밖으로 한번에 밀어내지 않고 상류측 입구에서 하류측 출구까지 적절한 구간으로 나누어서 단계적으로 밀어낸다. 이같은 방식에 의해 맨홀과 맨홀 사이의 길이가 길고 구경이 큰 차집관로와 같은 대형의 관로에서 많은 양의 슬러지들을 단계적으로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공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인 도 2 및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의 준설공법을 예시된 장비들을 사용하여 보다 상세히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 설명의 편의상 상류측 제 1관로(111) 및 하류측 제 2관로(112) 사이에 위치한 중간 관로(110)를 준설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중간 관로(110)의 상류측, 하류측에 각각 연결된 맨홀들을 제 1맨홀(121) 및 제 2맨홀(122)로 칭하기로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준설공법을 시행하기 위하여 2대의 패커기(130,140)와, 카메라(150), 공기주입용 에어펌프(160), 토출펌프(170), 압롤박스(18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2대의 패커기(130,140)는 그 용도에서 보면 관로(110) 내에 퇴적된 슬러지를 관로(110)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와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의 후방에서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의 이동 및 작업을 지원하는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로 구분된다.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는 상기 관로(110)의 내측을 막은 상태로 일 부만 터주어 이때 분출되는 하수의 급격한 흐름에 의해 관로(110) 내의 슬러지를 밀어낼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는 팽창하면서 관로(110)의 내측을 막는 고무튜브(131)가 설치되고 그 중앙부에는 수위가 높아지는 하수를 강하게 분출할 수 있도록 하수분출구(132)가 마련된다. 상기 하수분출구(132)는 상황에 따라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좋으나 상시 개방되어 있는 통구라도 무방하다.
상기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는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의 후방 상류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로 흐르는 하수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의 이동 및 작업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 역시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와 마찬가지로 팽창하면 관로(110)의 내측을 막는 고무튜브(141)가 설치되고, 그 중앙에 하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수유입구(142)가 마련된다. 상기 하수유입구(142)는 상황에 따라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좋으나 상시 개방되어 있는 통구라도 무방하다. 단 상기 하수유입구(142)는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의 하수분출구(132)보다 작은 구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 및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는 이동을 위하여 각각의 로프(133,143)에 연결된다. 상기 로프(133,143)는 상기 패커기들(130,140)을 연결한 채 관로(110)를 관통하게 하여 맨홀 밖에서도 각 패커기들(130,14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에어펌프(160)는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와 수량 조절용 패커 기(140)에 각각 에어를 주입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와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는 각각 상기 에어펌프(160)로부터 에어를 공급받기 위해 에어선(161,162)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토출펌프(170)는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에 의해 관로(110)의 하류측 출구로 밀려나온 슬러지를 제 2맨홀(122) 밖으로 퍼올리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토출펌프(170) 흡입측에는 흡입배관(171)이, 토출측에는 토출배관(17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압롤박스(180)는 상기 토출펌프(170)가 퍼올리는 슬러지를 고형성분만 걸러내어 저장하고 함께 퍼올려진 하수는 배출배관(181)을 통하여 제 2관로(110)로 흘려보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압롤박스(180)는 슬러지를 충분히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의 것으로 구비된다.
이같은 최소한의 장비들이 갖추어지면 본 발명의 준설공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상기 제 1맨홀(121) 내부로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 및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를 삽입하여 내린다. 그리고 이를 전후해서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 및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에 연결된 로프(133,143)를 각각 관로(110)에 관통시켜 지상에서도 상기 로프(133,143)에 의해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 및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를 각각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로프(133,143)를 상기 제 2맨홀(122)측에서 끌어당겨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 및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를 관로(110)의 입구 부근에서 순서대로 삽입한다. 그러면 도 2와 같은 상태로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가 관로(110) 내측의 하류측 방향으로 위치하고, 상기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가 상류측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준비가 마쳐진다.
이후, 도 3과 같이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를 팽창시켜 관로(110)를 막으면 그 후방으로 하수(W)가 차오르면서 수위가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때는 아직 하수(W)가 상기 하수분출구(132)를 통해 분출되지 않는다.
이후, 도 4와 같이 하수(W)의 수위가 더욱 높아져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의 하수분출구(132)가 마련된 곳까지 차오르면 상기 하수분출구(132)를 통하여 하수(W)가 빠른 속도로 분출된다. 그러면 빠른 속도로 분출되는 하수(W)의 힘에 의해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의 전방 인근에 퇴적되어 있는 슬러지가 보다 앞쪽으로 밀려가면서 관로(110)의 하류측 출구를 통해 일부 슬러지가 상기 제 2맨홀(122)로 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맨홀(122)에서는 상기 토출펌프(170)가 관로(110)의 출구로부터 밀려나오는 슬러지를 흡입배관(171)으로 흡입한 후 토출배관(172)으로 토출하여 상기 압롤박스(180)로 보낸다. 그러면 상기 압롤박스(180)에서는 이송된 슬러지의 고형성분만 걸러내어 저장하고 하수는 배출배관(181)에 의해 다시 제 2관로(110)로 배출한다. 이로써 첫 번째 구간에서의 제 1단계 작업이 마쳐지게 된다.
이후, 도 5와 같이 새로운 단계의 작업을 위해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를 보다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진행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의 이동에 앞서 그 상류측으로 위치한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를 팽창시켜 관로(110)의 내측을 막는다. 그러면 하수(W)의 유입이 차단되면서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를 둘러싼 하수의 수위가 매우 낮아져서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의 이동이 수월하게 된다. 이는 하수(W)의 수위가 낮아지면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의 이동시 하수(W)의 수압에 의한 저항이 줄어들어 작은 힘만으로도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를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 전방 인근에 퇴적되어 있는 슬러지의 모습이 하수면 밖으로 드러나게 되어 카메라(150)가 촬영한 영상을 지상에서 영상장비(미도시 됨)로 확인하면서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는 전 단계에서 슬러지가 충분히 제거된 곳까지만 이동하여 아직 제거되지 않고 남아 있는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새로운 단계를 대비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중간 준비단계에서 상기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는 관로(110)의 내측을 완전히 막지 않고 하수유입구(142, 도 2 참조)에 의해 일부 하수의 유입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에 가해지는 하수의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로 인해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의 이동이 방해받지는 않는다.
이같이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의 이동이 마쳐지면 도 6과 같이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를 팽창시켜 관로(110)를 막는 동시에 상기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는 수축시켜 하수의 유입을 전면적으로 허용한다. 그러면 이미 도 3을 참조로 살펴본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의 후방으로 하수(W)가 차오르면서 수위가 증가하게 된다. 참고로 도 6에서는 상기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 가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 근방 가까이로 이동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수량 조절용 패커기(140)는 이처럼 이동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후, 도 7과 같이 하수(W)의 수위가 더욱 높아져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의 하수분출구(132)가 마련된 곳까지 차오르면 상기 하수분출구(132)를 통하여 하수(W)가 빠른 속도로 분출된다. 그러면 빠른 속도로 분출되는 하수(W)의 힘에 의해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 전방 인근에 퇴적되어 있는 슬러지가 보다 앞쪽으로 밀려가면서 일부 슬러지가 관로(110)의 하류측 출구를 통해 상기 제 2맨홀(122)로 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맨홀(122)에서는 상기 토출펌프(170)가 관로(110)의 출구로부터 밀려나오는 슬러지를 흡입배관(171)으로 흡입한 후 이를 토출배관(172)으로 토출하여 상기 압롤박스(180)로 보낸다. 그러면 상기 압롤박스(180)에서는 이송된 슬러지의 고형성분만 걸러내어 저장하고 나머지 하수는 배출배관(181)에 의해 다시 제 2맨홀(122)로 배출하여 제 2관로(110)를 통하여 흐르게 한다. 이로써 두 번째 구간에서의 제 2단계 작업이 마쳐지게 된다.
이처럼 제 2단계 작업이 마쳐지면, 도 8과 같이 새로운 단계의 작업을 위해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를 보다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진행된다. 이같은 준비작업은 도 5를 참조로 설명된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이후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슬러지를 제거하는 작업단계들과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130)를 이동시키는 준비단계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상기 관로(110)의 하류측 출구까지 퇴적되어 있는 슬러지를 단계적으로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수의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은, 차집관로와 같은 대형 관로에서도 슬러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러지 제거를 위해 상류측으로부터 흐르는 하수의 수압을 이용하기 때문에 슬러지 제거를 위한 별도의 동력을 거의 필요치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을 통하여 제거 가능한 양만큼 슬러지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제거하기 때문에 슬러지를 다른 관로로 흘려보내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버킷과 같이 관로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장비들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Claims (7)

  1. 제 1관로가 상류방향으로 연결된 제 1맨홀과 제 2관로가 하류방향으로 연결된 제 2맨홀 사이 중간에 위치한 관로 내를 준설하기 위한 준설공법으로서,
    상기 중간 관로의 내측에서 관로를 막은 상태로 일부는 터주어 이때 분출되는 하수의 급격한 흐름에 의해 관로 내의 슬러지를 밀어내되, 이를 상기 관로의 상류측 입구로부터 하류측 출구까지 구간을 나누어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상기 각 단계마다 상기 관로의 하류측 출구로 밀려나오는 슬러지를 상기 제 2맨홀 밖으로 퍼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를 밀어내기 위하여, 관로 내측을 막을 수 있도록 팽창 가능하고 하수의 분출을 위한 하수분출구가 마련된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를 사용하며,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를 각 구간마다 단계적으로 이동시켜가면서 슬러지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로부터 상류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관로 내에는 관로 내측을 막을 수 있도록 팽창 가능하고 하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하수 유입구가 마련된 수량 조절용 패커기가 더욱 투입되어,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의 이동시 하수의 수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커기에는 상기 중간 관로를 관통시킨 로프를 연결하고, 상기 로프를 끌어당김으로서 상기 패커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제거용 패커기의 선단에는 카메라를 장착하여 슬러지의 퇴적 상태 및 하수의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맨홀 밖으로 슬러지를 퍼올리기 위하여 토출펌프를 사용하고, 상기 관로의 출구로 밀려나오는 슬러지의 양이 유압펌프의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수의 분출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맨홀 밖으로 슬러지를 퍼올릴 때 함께 퍼올려진 하수는 다시 제 2맨홀을 통하여 제 2관로로 흘려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의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KR1020050008633A 2005-01-31 2005-01-31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KR100690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633A KR100690956B1 (ko) 2005-01-31 2005-01-31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633A KR100690956B1 (ko) 2005-01-31 2005-01-31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798A true KR20060087798A (ko) 2006-08-03
KR100690956B1 KR100690956B1 (ko) 2007-03-09

Family

ID=3717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633A KR100690956B1 (ko) 2005-01-31 2005-01-31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9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5047A (zh) * 2019-02-28 2019-07-12 郭晓玲 一种基于抽吸疏通设计的城镇节能型污水处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302B1 (ko) 2007-07-31 2009-07-02 김덕희 하수관로의 준설공법
KR102389841B1 (ko) * 2021-06-02 2022-04-22 한호철 수도관로 내부에 관통체를 통과시켜 관내 이물질 및 잔류수를 제거하는 세척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6980B2 (ja) * 1994-03-29 2004-04-05 足立建設工業株式会社 下水道管渠の清掃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5047A (zh) * 2019-02-28 2019-07-12 郭晓玲 一种基于抽吸疏通设计的城镇节能型污水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956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4174A (en) Sewer and catch basin cleaner
CA2597710A1 (en) Apparatus for cleaning pipes having pumping and vacuuming capability
CN113089816B (zh) 一种城市地下水管清洗清淤系统
KR100690956B1 (ko) 수압을 이용한 관로의 준설공법
WO2016160437A2 (en) Apparatus for removing solids from trunk sewers
KR101557473B1 (ko) 지하수 지열 굴착공 토사 슬러리 배출 장치 및 방법
KR100905302B1 (ko) 하수관로의 준설공법
JP2006328811A (ja) 堤内仮排水路を利用した排砂設備の構築工法
RU23601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трубчатого сепаратора
JP6097525B2 (ja) 管路洗浄方法及び管路洗浄システム
JP6395392B2 (ja) 土砂排出装置及び土砂排出方法
JPH1018406A (ja) 管路内堆積土砂の浚渫方法
JP2007009576A (ja) 掘削土砂排出装置及びシールド装置
JPH08246545A (ja) 管路内清掃方法
JP4521626B2 (ja) 井戸の揚水ポンプ装置
KR101387699B1 (ko) 배수로 슬러지 준설 재활용 설비와 준설 재활용 공법
CN110206586B (zh) 一种隧道反坡排水施工方法
JP4115310B2 (ja) 管内夾雑物の排出方法及び排出具
JPH02164906A (ja) ゲートポンプ設備及びその運転方法
WO2008058540A1 (en) Fluid cleaner
CA2897547C (en) Apparatus for removing drill cuttings
KR20080107591A (ko) 배수 갑문의 토사 제거 장치
KR102353080B1 (ko) 관로의 준설장치 및 방법
RU2232844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пластмассового дренажа в водонасыщенных грунтах
KR102666127B1 (ko) 고속수류 및 맥동에 의한 수도관 세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도관 세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