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049B1 -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049B1
KR100805049B1 KR1020010066164A KR20010066164A KR100805049B1 KR 100805049 B1 KR100805049 B1 KR 100805049B1 KR 1020010066164 A KR1020010066164 A KR 1020010066164A KR 20010066164 A KR20010066164 A KR 20010066164A KR 100805049 B1 KR100805049 B1 KR 100805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load
ship
rotary
drop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543A (ko
Inventor
김승관
이정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049B1/ko
Publication of KR20030034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2Chutes pivotable
    • B65G11/126Chutes pivotable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4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 B65G11/146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쉽로더에서 회전 이중분산판을 이용하여 적재물을 적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관부재를 텔레스코프식으로 조립한 드롭슈트(120)를 갖추어 선박의 홀드내로 적재물을 수송하는 쉽로더에 있어서, 상기 드롭슈트의 최하단 관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슈트; 상기 회전슈트에 설치되고, 다수의 고정턱이 형성되는 분산프레임; 및 상기 드롭슈트를 통하여 하부낙하되는 적재물을 방사방향으로 고르게 분산하도록 상기 고정턱에 장착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경이 다르고 경사진 다수의 분산판으로 구성되는 분산부를 포함하여, 쉽로더를 이용해서 수송물을 선박내 홀드내에 고르게 분산적재하는 작업이 가능하여 적재작업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적재작업중 선박과 장비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설비파손을 예방하는 한편, 운전작업자의 심적불안요인을 경감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수 있다.
쉽로더, 드롭슈트, 회전슈트, 회전분산판, 안내홈

Description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AN APPARATUS FOR CARRYING LOAD USING DOUBLE-SCATTER PLATE IN THE SHIP LOADER}
도 1은 일반적인 쉽로더를 이용한 적재물을 수송작업을 도시한 개략도,
도 2(a)(b)는 종래기술에 따른 쉽로더의 적재물 적재작업을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를 도시한 전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에 채용되는 분산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쉽로더의 이중 분산판 적재장치를 도시한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회전슈트 12 .... 베어링부재
15 .... 모터부재 16 .... 구동기어
17 .... 피동기어 20 .... 분산부
21 .... 상부분산판 22 .... 하부분산판
21a,21b,22a,22b ... 안내홈 23 .... 분산프레임
100 .... 쉽로더 120 .... 드롭슈트
본 발명은 쉽로더에서 이중분산판을 이용하여 적재물을 이송하는 적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쉽로더를 이용하여 수송물을 선박내 홀드내에 고르게 분산적재하는 작업이 가능하여 적재작업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적재작업중 선박과 장비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설비파손을 예방하는 한편, 운전작업자의 심적불안요인을 경감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수 있는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부산물로서 수재슬래그가 생성되어 육상과 해상을 통하여 외부로 반출하게 되는데, 선박을 통한 수재슬래그 수송작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2 및 3콘베어벨트(1a)(2a)(3a)를 경유하여 원료선적기인 쉽로더(ship loader)(100)를 통하여 도 2(a)(b)에 도시한 바와같이 선박(200)의 저장공간인 홀드(H)에 수재슬래그와 같은 적재수송물을 상당량 적치하여 반출하였다.
그러나, 상기 선박(200)의 크기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홀드(H)의 입구가 각각 서로 상이한 구조로 되어 있고, 종래의 쉽로더(100)의 경우, 부산물을 상기 선박(200)의 홀드(H)내로 안내이송하도록 상기 제 3벨트콘베어(3a)의 단부에 연결된 드롭슈트(120)가 다수개의 제 1,2 및 3슈트(121)(122)(123)를 텔레스코프식으로 조립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선박(200)의 홀드(H)내로의 적재물 적치시 상기 홀드(H)내측에서의 고른 적재가 불가하여 적재율을 향상시키는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상기 홀드(H)내에서의 적재율을 높이기 위해서 도저(dozzer)와 같은 별도의 평탄설비를 상기 선박(200)의 홀드(H)내로 투입하여 적재작업시 산형으로 적재되는 적재물에 대하여 평탄작업을 실시한 다음, 평탄한 상부면에 적재물을 재적치하는 작업을 수행해야만 하고, 이로 인하여 선적작업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홀드(H)내로의 적재물 적치시 상기 드롭슈트(120)로부터 낙하적재되는 적재물은 그 적재구조상 산모양을 이루기 때문에 고른 적재를 위해 상기 쉽로더(100)의 드롭슈트(120)를 수평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도 2(a)(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홀드(H)의 입구를 따라 이동하는 중 입구테두리와 서로 접촉하면서 상기 드롭슈트(120)를 파손시킬 우려가 있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작업운전자의 심적불안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쉽로더를 이용하여 수송물을 선박내 홀드내에 고르게 분산적재하는 것이 가능하여 적재작업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적재작업중 선박과 장비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설비파손을 예방하는 운전작업자의 심적불안요인을 경감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수 있는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다수개의 관부재를 텔레스코프식으로 조립한 드롭슈트(120)를 갖추어 선박의 홀드내로 적재물을 수송하는 쉽로더에 있어서, 상기 드롭슈트의 최하단 관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슈트; 상기 회전슈트에 설치되고, 다수의 고정턱이 형성되는 분산프레임; 및 상기 드롭슈트를 통하여 하부낙하되는 적재물을 방사방향으로 고르게 분산하도록 상기 고정턱에 장착되며,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외경이 다르고 경사진 다수의 분산판으로 구성되는 분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에 채용되는 분산부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쉽로더의 이중 분산판 적재장치를 도시한 작업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1)는 도 3 내지 6(a)(b)에 도시한 바와같이, 쉽로더(100)를 이용하여 외부의 적재물을 선박(200)의 각 홀드(H)내로 적재하는 작업시 적재효율성을 향상시키고, 타설비와의 간섭을 방지할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부재(121)(122)(123)를 텔레스코프식으로 조립한 드롭슈트(120)를 갖는 쉽로더(100)에 갖추어지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1)는 회전슈트(10), 분산부(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선박(200)의 홀드(H)내로의 적재물작업시 상기 홀드(H)내로 투입되는 드롭슈트(120)에 갖추어지는 회전슈트(10)는 상기 드롭슈트(120)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관부재중 최하단 관부재(123)와 베어링부재(12)를 매개로 하여 상단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중공형 관부재이며, 상기 베어링부재(12)는 상기 관부재(123)의 조립턱(123a)과 상기 회전슈트(10)의 조립턱(10a) 사이에 고정부재인 관부재(123)에 대하여 회전슈트(10)의 회전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회전슈트(10)는 상기 드롭슈트(120)의 관부재에 고정설치되는 모터부재(15)의 회전구동원을 전달받아 회전구동할 수 있도록 구동축(15a)의 구동기어(16)와 기어물림되는 피동기어(17)를 상단외주면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슈트(10)와 더불어 회전되면서 상기 드롭슈트(120)를 통하여 선박(200)의 홀드(H)내로 하부낙하되는 적재물을 방사방향으로 고르게 분산하는 분산부(20)은 상기 회전슈트(10)의 하단외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고정설치된 분산프레임(23)에 갖추어지는바, 상기 분산부(20)는 경사진 외부면에 "V"자형 단면으로 함물형성되는 안내홈(21a)(21b)(22a)(22b)이 서로 다른 연장길이로 번갈아 배치되며, 중앙에 관통공(21c)(22c)이 각각 관통형성된 상,하부 분산판(21)(22)을 상기 분산프레임(23)의 상,하부고정턱(23a)(23b)에 각각 걸림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분산판(21)(22)와 분산프레임(23)의 조립은 상기 상,하부분산판(21)(22)의 각 안내홈(21b)(22b)이 인접하는 분산프레임(23)사이에서 상,하부고정턱(23a)(23b)에 대응하여 고정결합되며, 상기 상부분산판(21)의 외경은 상기 하부분산판(22)의 외경보다 크게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분산판(21)의 관통공(21c)은 상기 하부분산판(22)의 관통공(22c)보다 큰 내경크 기로 관통형성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철소에서 발생된 수재슬래그나 야드에 적재된 적재물과 같은 적재수송물을 선박(200)의 내부공간에 제공되는 저장장소인 각 홀드(H)내로 적재하는 작업은, 불출된 적재물을 제 1,2 및 3벨트콘베어(1a)(2a)(3a)를 통하여 쉽로더(100)의 드롭슈트(120)의 입측까지 수송된다.
상기 드롭슈트(120)는 적재물을 적재하고자 하는 홀드(H)내에 텔레스코프식으로 조립된 관부재(121)(122)(123)가 수직하게 펼쳐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 3벨트콘베어(3a)를 통하여 상기 드롭슈트(120)의 입측까지 수송된 적재물을 상기 관부재(121)(122)(123)를 통해서 상기 선박(200)의 홀드(H)내로 투입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드롭슈트(120)의 최하단 관부재(123)에는 중공형 회전슈트(10)가 조립되고, 상기 회전슈트(10)에는 상,하구조로 상,하부분산판(21)(2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드롭슈트(10)를 통하여 낙하되는 적재물 중 일부는 상기 상부분산판(21)의 긴 연장길이를 갖는 안내홈(21a)을 따라 낙하되면서 가장 큰 제 1외경(D1)을 갖는 가상선을 따라 적재되고, 일부는 상기 상부분산판(21)의 짧은 연장길이를 갖는 또 다른 안내홈(21b)을 따라 낙하되면서 상기 제 1외경(D1)보다 작은 크기의 제 2외경(D2)를 갖는 가상선을 따라 적재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분산판(22)의 긴 연장길이를 갖는 안내홈(22a)을 따라 낙하되는 적재물은 상기 제 2외경(D2)보다 작은 크기의 제 3외경(D3)을 갖는 연장선을 따라 적재되며, 나머지 일부 적재물은 상기 하부분산판(22)의 짧은 연장길이를 갖는 안내홈(22a)을 따라 낙하되면서 상기 제 3외경(D3)보다 작은크기의 제 4외경(D4)을 갖는 연장선을 따라 적재되는 한편, 상기 상,하부분산판(21)(22)의 각 관통공(21c)(22c)을 통해 낙하된 적재물은 가장 작은 외경(D5)을 갖는 가상선내에 낙하적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선박(200)의 홀드(H)내에 낙하적재되는 적재물은 방사상으로 넓게 퍼지는 형상으로 고르게 적재되기 때문에 별도의 평탄설비를 투입하지 않고도 적재효율성을 높일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드롭슈트(120)의 분산부(20)에 의해서 방사상으로 넓게 퍼지는 낙하물을 보다 멀리 분산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드롭슈트(120)에 고정장착된 모터부재(15)에 외부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축(15a)의 구동기어(16)를 회전구동시키면, 상기 구동기어(16)와 기어물림되는 환고리형 피동기어(17)를 상단외주면에 갖추고, 상기 드롭슈트(120)의 최하단 관부재(123)와 베어링부재(12)를 매개로 조립된 회전슈트(10)가 일방향 회전되기 시작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슈트(10)의 분산프레임(23)에 조립된 상,하부분산판(21)(22)도 상기 회전슈트(10)와 더불어 회전되면서 상기 상,하부분산판(21)(22)의 경사면에 함몰형성된 각 안내홈(21a)(22a)에 닿는 적재물을 상기 회전슈트(1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방사상으로 보다 넓게 분산적재할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터부재(15)의 회전구동력에 의한 일방향 회전되는 상기 회전슈트의 회전속도를 낮추거나 높여서 상기 상,하부분산판(21)(22)을 통하여 방사상으 로 넓게 퍼지는 분산외경크기를 늘리거나 줄일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물을 적재하고자 하는 선박의 내부 홀드의 특징 및 조건에 따라 드롭슈트의 높이를 조정하고, 붐의 위치를 선택한 후에 드롭슈트의 하단에 조립된 회전슈트를 회전시켜 상,하부분산판에 부딪히는 적재물을 방사상으로 넓게 분산낙하시킴으로써, 상,하부분산판의 회전력으로 적재물을 홀드내측으로 보다 깊숙이 넓고, 고르게 분산적치하여 적재물의 적재효율성을 높일수 있다.
또한, 선박의 홀드내로의 적재물 적재작업중 드롭슈트를 수평이동시키는 봄의 동작과 주행동작을 현저히 줄이고, 종래와 같이 산형상으로 적재된 적재물을 도저와 같은 평탄설비로서 평탄하는 작업없이 홀드내에 고르게 분산적재함으로써, 선박과 정비의 간섭에 의한 충돌을 방지하여 설비파손을 예방하고, 작업자의 업무부담을 경감시켜 안전사고를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다수개의 관부재(121)(122)(123)를 텔레스코프식으로 조립한 드롭슈트(120)를 갖추어 선박(200)의 홀드(H)내로 적재물을 수송하는 쉽로더에 있어서,
    상기 드롭슈트(120)의 최하단 관부재(12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회전슈트(10);
    상기 회전슈트(10)에 설치되고, 다수의 고정턱(23a, 23b)이 형성되는 분산프레임(23); 및
    상기 드롭슈트(120)를 통하여 하부낙하되는 적재물을 방사방향으로 고르게 분산하도록 상기 고정턱(23a, 23b)에 장착되며, 중앙에 관통공(21c, 22c)이 형성되며 외경이 다르고 경사진 다수의 분산판(21, 22)으로 구성되는 분산부(2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슈트(10)는 베어링부재(12)를 매개로 상기 드롭슈트(120)의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슈트(10)는 상기 드롭슈트(120)의 관부재에 고정설치되는 모터부재(15)의 회전구동원을 전달받아 회전구동할수 있도록 구동축(15a)의 구동기어(16)와 기어물림되는 피동기어(17)를 상단외주면에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분산판(21, 22)은 경사진 외부면에 "V"자형 단면으로 함물형성되는 안내홈(21a)(21b)(22a)(22b)이 서로 다른 연장길이로 번갈아 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
KR1020010066164A 2001-10-26 2001-10-26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 KR100805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164A KR100805049B1 (ko) 2001-10-26 2001-10-26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164A KR100805049B1 (ko) 2001-10-26 2001-10-26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543A KR20030034543A (ko) 2003-05-09
KR100805049B1 true KR100805049B1 (ko) 2008-02-20

Family

ID=2956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164A KR100805049B1 (ko) 2001-10-26 2001-10-26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0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81B1 (ko) * 2001-11-01 2008-02-15 주식회사 포스코 쵸퍼머신의 스트립 에지 스크랩 분산 적재장치
CN103879795B (zh) * 2014-03-20 2016-01-13 中国海洋石油总公司 管状结构物滚动装船方法
KR101663137B1 (ko) 2015-06-19 2016-10-14 호산엔지니어링(주) 로딩슈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9469U (ko) * 1974-07-30 1976-02-13
JPS5299282U (ko) * 1976-01-23 1977-07-27
JPS52110180U (ko) * 1976-02-17 1977-08-22
JPS6071404A (ja) * 1983-09-28 1985-04-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シユ−ト伸縮装置
JPH0556818U (ja) * 1990-12-26 1993-07-27 川崎製鉄株式会社 粉粒塊状物の貯槽
JPH08301417A (ja) * 1995-05-10 1996-11-19 Hitachi Metals Ltd 粉粒体排出装置
JPH10324426A (ja) * 1997-05-26 1998-12-08 Kawaden Co Ltd バラ物の船積み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9469U (ko) * 1974-07-30 1976-02-13
JPS5299282U (ko) * 1976-01-23 1977-07-27
JPS52110180U (ko) * 1976-02-17 1977-08-22
JPS6071404A (ja) * 1983-09-28 1985-04-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シユ−ト伸縮装置
JPH0556818U (ja) * 1990-12-26 1993-07-27 川崎製鉄株式会社 粉粒塊状物の貯槽
JPH08301417A (ja) * 1995-05-10 1996-11-19 Hitachi Metals Ltd 粉粒体排出装置
JPH10324426A (ja) * 1997-05-26 1998-12-08 Kawaden Co Ltd バラ物の船積み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543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9432B1 (en) Object transport apparatus, drive mechanism for object transport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object transport apparatus
KR100805049B1 (ko) 쉽로더의 회전 이중분산판 적재장치
CN201099490Y (zh) 平底筒仓出料装置
CN110759134A (zh) 船舱卸料装置
WO2015046839A1 (ko) 리크레이머용 버킷 조립체
CN112942830A (zh) 一种用于建筑施工外延式施工上料装置
CN216265436U (zh) 一种行星架铸造生产用表面打磨抛光装置
CN213201133U (zh) 一种炉渣上料装置机构
CN114229305B (zh) 一种建筑模板取放装置
CN213923850U (zh) 一种用于水下机器人的投放装置
CN211733560U (zh) 一种收放机
CN112374201A (zh) 一种防破碎伸缩溜筒装置
CN207618417U (zh) 一种发泡海绵运输装置
CN112044703A (zh) 一种坩埚翻转涂刷平台装置
CN208593854U (zh) 船舱卸料装置
CN217147894U (zh) 一种可摆动熟料散装机
CN220597393U (zh) 打糟机
CN220765521U (zh) 自动上管机
CN212739420U (zh) 一种带传动可调节斗式提升机
CN211495607U (zh) 一种建筑工程用斗式物料提升机
CN216970052U (zh) 一种混合灌箱系统
CN109262844A (zh) 一种灌浆机
KR200211003Y1 (ko) 언로더의 해양낙광 방지장치
CN104743463B (zh) 一种钢丝绳保护装置及具有其的旋挖钻机
CN219669108U (zh) 除尘伸缩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