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416B1 - 방청성, 경화성이 우수한 고기능성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방청성, 경화성이 우수한 고기능성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416B1
KR100804416B1 KR1020060139225A KR20060139225A KR100804416B1 KR 100804416 B1 KR100804416 B1 KR 100804416B1 KR 1020060139225 A KR1020060139225 A KR 1020060139225A KR 20060139225 A KR20060139225 A KR 20060139225A KR 100804416 B1 KR100804416 B1 KR 100804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weight
resin
amin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윤석
오일석
정하택
김재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060139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416B1/ko
Priority to PCT/KR2007/006929 priority patent/WO2008082175A1/en
Priority to CN2007800489266A priority patent/CN101595148B/zh
Priority to RU2009129413/04A priority patent/RU2415878C1/ru
Priority to TR2009/04797T priority patent/TR200904797T1/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19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과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물을 함유하는 경화제 수지 20 내지 70 중량부; 베이스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및 금속이 함유된 경화촉매 수지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이 페놀 화합물, 아민 화합물 및 포르말린의 만니히 반응 생성물로부터 유래된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차체용 및 각종 철 구조물의 부품에 적용 시 우수한 방청성, 경화성을 발휘한다.
양이온, 전착수지, 에폭시, 만니히, 바륨, 방청성, 경화성

Description

방청성, 경화성이 우수한 고기능성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 {A CATHODIC ELECTRODEPOSITION COATING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CURING AND ANTI-CORROSION RESISTANCE}
1970년대에 소개된 양이온 전착도료는 자동차 산업을 기반으로 한 각종 산업용 방청 부여 도료로서 본격 적용되면서, 이의 효율성, 균일성 및 환경 친화성으로 인해 자동차 차체 뿐만 아니라 각종 부품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착도료의 주조성물인 전착수지는 도료의 전체 물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서 일반적으로 베이스 수지와 경화제 수지를 포함하며 경화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양이온 전착에 사용되는 베이스 수지는 에폭시 수지가 대표적이며 경화제 수지는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양이온 전착수지는 180 ~ 10,000 사이의 당량을 가진 에폭시 수지를 고형분 기준으로 10 ~ 90% 사용하여 비스페놀-A 및 이의 유사체 혹은 변성 폴리에테르류의 가소제와 혼용한 뒤, 과량의 용매 존재하에 아민과 디올을 70 ~ 170℃에서 부가반응시키고, 이 반응물에 포함된 유기용제를 고온에서 진공회수 공정으로 제거한 뒤, 용제가 회 수된 반응물에 경화제 수지를 혼합하고, 개미산이나 젖산,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충분히 중화시킨 뒤, 4 ~ 12시간 동안 탈이온수를 첨가하여 수분산시키는 형태의 제조 공법을 따른다.
간사이(KANSAI)의 일본 공개 특허 평 4-91170호 및 평 5-155980호에는 모서리(Edge)의 방청성과 경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아마이드 수지를 베이스 수지의 조성물로 사용하고 있으나, 폴리아마이드 수지가 도막 형성과정에서 가교도를 증진시켜 외관 저하 및 유연성 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추가로 해결하기 위해 가소제를 병행 사용하나 가소제에서 유발되는 내수성 및 방청성 저하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간사이(KANSAI)에서 출원한 일본 공개 특허 평 2-219870호에는 이러한 기존의 양이온 전착수지에 부착성과 가교와 경화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레드 옥사이드(Lead oxide)를 소개하고 있으나, 이것은 현재 전세계적인 중금속 규제 강화 추세에 위배되는 납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청성과 부착성이 우수한 만니히 반응 생성물로부터 유도된 글리시딜에테르-아민 폴리올 화합물과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을 경화성분으로 포함하고,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바륨을 경화 촉매로 포함하는 양이온 전착수지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 전착수지 조 성물은 특별히 고안된 제조설비가 아닌 통상의 제조설비를 사용하여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의 외관 및 유연성은 동등 수준을 유지하면서, 방청성 및 경화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방청성과 경화성이 우수한 고기능성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과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물을 함유하는 경화제 수지 20 내지 70 중량부; 베이스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및 금속이 함유된 경화촉매 수지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이 페놀 화합물, 아민 화합물 및 포르말린의 만니히 반응 생성물로부터 유래된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경화제 수지
일반적으로 전착수지 조성물은 경화제 수지, 베이스 수지로 구성되며, 경화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경화제 수지는, 베이스 수지와 반응하여 최종 도막을 형성하며, 자세하게는, 경화제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베이스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하이드록시기가 일정온도 이상에서 서로 반응하여 안정된 도막을 형성하게 된다. 경화제 수지는 베이스 수지와 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상태로 제조되므로, 일정온도 이하에서 베이스 수지의 하이드록시기와 경화제 수지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된 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되며, 베이스 수지의 구성물과 함께 도막을 형성하여 우수한 경화성, 방청성, 내수성 등의 기능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경화제 수지는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과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물을 함유하고, 상기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은 페놀 화합물, 아민 화합물 및 포르말린의 만니히 반응 생성물로부터 유래된다.
만니히 반응은, 알데하이드기를 함유한 화합물과 1급 혹은 2급 아민 화합물 및 페놀 화합물 간에 진행되는 반응으로서, 알려진 바와 같이 만니히 반응을 통해 아민 화합물의 활성수소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일반적인 에폭시 도료의 저온 경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아민 화합물의 활성수소가 포함된 만니히 반응물을 에폭시 경화제에 도입하게 되면 상온 및 저온에서의 경화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 에폭시 도료에 사용되고 있는 만니히 반응물과는 달 리 아민 화합물의 활성수소를 없애고, 만니히 반응 후 추가 반응을 통해 만니히 변성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의 형태로 그 용도 및 구조를 확대 및 응용하여 반응성의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함으로써, 전착수지 조성물 중 경화제 수지에 도입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우레탄 반응을 하도록 유도하여 경화성이 우수한 도막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 방청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
만니히 반응에 사용되는 페놀 화합물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크레졸, 부틸페놀, 옥틸페놀, 노닐페놀 및 페놀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옥틸페놀, 노닐페놀 및 페놀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노닐페놀 및 페놀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만니히 반응에 사용되는 아민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아민 화합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디아민, 트리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옥사메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 및 메타자이렌디아민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니히 반응에 사용되는 페놀 화합물의 양은 만니히 반응 생성물의 양을 기준으로 20 내지 5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 25 내지 45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30 내지 40 중량%이다. 페놀 화합물의 양이 20 중량% 미만이면 방청성이 저하되고, 50 중량%을 초과하면 점성도 및 경화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만 니히 반응에 사용되는 아민 화합물의 양은 만니히 반응 생성물의 양을 기준으로 20 내지 5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 25 내지 45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30 내지 40 중량%이다. 아민 화합물의 양이 20 중량% 미만이면 반응물 중 미반응 물질이 생성되어 충분한 도막 물성을 발휘할 수 없는 단점이 발생하고, 50 중량%을 초과하면 우레아 관능기가 형성되어 반응중 혹은 반응후 불용성의 티 발생의 문제가 있다. 만니히 반응에 사용되는 포르말린의 양은 만니히 반응 생성물의 양을 기준으로 15 내지 45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이다. 포르말린의 양이 15 중량% 미만이면 미반응 아민이 다량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45 중량%를 초과하면 점성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겔화의 위험이 있다.
만니히 반응 생성물은 페놀 화합물 및 아민 화합물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생길 수 있다. 이로 한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만니히 생성물은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98637946-pat00001
상기 식에서,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페놀 화합물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크레졸, 부틸페놀, 옥틸페놀, 노닐페놀 또는 페놀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 경화제 수지에 사용되는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은 만니히 반응 생성물, 하이드록시기-함유 아민 화합물 및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이다. 상기 하이드록시기-함유 아민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기-함유 지방족 또는 방향족 아민 화합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모노에틸에탄올아민 및 모노메틸에탄올아민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며, 보다 바람직하게 에틸에탄올아민 및 메틸에탄올아민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다. 상기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은 페닐글리시딜에테르 및 부틸글리시딜에테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다.
상기 하이드록시기-함유 아민 화합물의 함량은 만니히 반응 생성물의 고형분 총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하여 8 내지 3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 11 내지 27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14 내지 24 중량부이다. 상기 하이드록시기-함유 아민 화합물의 함량이 8 중량부 미만이면 반응 말단의 하이드록시기가 충분하지 않아 이후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충분한 경화반응을 할 수 없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반응 생성물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의 함량은 만니히 반응 생성물의 고형분 총 중량을 100 중량부로 하여 40 내지 7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 44 내지 64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48 내지 60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만니히 반응 생성물로부터 유래된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화학식 2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98637946-pat00002
상기 식에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페놀 화합물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크레졸, 부틸페놀, 옥틸페놀, 노닐페놀 또는 페놀을 나타낸다. 각각의 R2는 독립적으로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부틸글리시딜에테르 또는 페닐글리시딜에테르를 나타낸다. R3은 하이드록시기-함유 아민 화합물을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모노에틸에탄올아민, 모노메틸에탄올아민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제 수지에 사용되는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의 함량은 경화제 수지를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 1 내지 1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1 내지 5 중량%이다.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경화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점성도가 높고, 초기 경화성이 빨라 외관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만니히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공지의 것으로부터 자유로이 선택될 수 있다.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나,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바람직하게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하이드록시기-함유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알코올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이다.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은 경화제 수지를 기준으로 80 내지 99 중량%이고, 바람직하게 90 내지 99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 95 내지 99 중량%이다.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80 중량% 미만이면 미경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99 중량%를 초과하면 경화속도는 빨라지나 방청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 비스(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다. 하이드록시기-함유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알코올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경화제 수지의 함량은 20 내지 7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중량부이다. 경화제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 온도가 높아지고 미경화에 따른 방청성 저하의 문제가 있고, 7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밀도가 높아 외관이 나빠지고, 주제의 에폭시 성분이 부족하여 방청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베이스 수지
일반적인 전착수지의 베이스 수지는 경화제 수지와 함께 최종 도막을 구성하는 성분으로서 이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에 의하여 최종 도막의 특성이 나타난다. 베이스 수지의 주조성물로서 에폭시 화합물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이것은 최종 도막에 우수한 방청성, 부착성, 내열성 등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양이온 전착수지의 경우, 에폭시 화합물은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켜, 도장 시 경화제의 해리된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반응에 필요한 하이드록시기를 부여하게 된다. 에폭시 화합물은 특히, 우수한 방청성을 가지고 있어, 방청성이 요구되는 소지의 도장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베이스 수지에 사용되는 에폭시 화합물의 분자량은 180 ~ 2,000이며, 에폭시기를 1개 혹은 2개인 것 중에서 각각을 선택하거나 함께 사용하며, 이와 함께 비스페놀 에이를 추가로 반응시켜 분자량을 적정수준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아민 화합물은 1급, 2급의 지방족, 방향족 혹은 지환족 아민이 주로 사용되며, 경화성을 개선하기 위해, 활성화 수소가 1개 이상 포함되거나, 하이드록시기가 1개 혹은 2개인 지방족, 방향족 혹은 지환족 아민을 각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별히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에폭시 화합물의 함량은 베이스 수지를 기준으로 60 내지 90중량%이고, 아민 화합물의 함량은 베이스 수지를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베이스 수지의 함량은 30 내지 8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5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중량부이다. 베이스 수지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이면 평활성, 유연성 및 방청성이 떨어지고,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화성에 문제가 있다.
경화촉매 수지
전착수지 조성물에서는, 경화촉매를 반드시 포함하지는 않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에서는 전착수지 조성물로서 경화촉매를 함유하는 경화촉매 수지를 별도로 포함하고 있다. 경화촉매로 사용하는 금속을 전착수지에 단독으로 투입하게 되면 전착수지의 반응 안정성, 저장 안정성 및 필터성 등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경화촉매를 금속염 또는 금속킬레이트로 포함하는 경화촉매 수지를 단독으로 제조하여 이를 전착수지에 투입하면 반응 안정성, 저장 안정성 및 필터성 저하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경화촉매의 역할은, 베이스 수지의 하이드록시기와 경화제 수지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이며, 적절한 경화촉매의 선택으로 반응온도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은 경화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금속이 함유된 경화촉매 수지를 함유한다. 경화촉매 수지에 사용되는 금속은 지르코 늄, 아연, 칼슘, 납, 주석, 비스무스, 코발트, 티타늄, 알루미늄, 크롬 및 바륨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고, 금속은 염 또는 킬레이트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금속은 주석, 바륨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고, 염 또는 킬레이트 형태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금속 염 또는 금속 킬레이트는 바륨 하이드록사이드, 페놀-바륨염 또는 페놀-바륨 킬레이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금속이 함유된 경화촉매 수지는 페놀-바륨염 또는 페놀-바륨 킬레이트를 함유한다.
경화촉매 수지에 사용되는 금속의 함량은 경화촉매 수지를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이다. 금속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경화성이 미흡하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경화속도가 너무 빨라지며 외관이 나빠진다.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금속이 함유된 경화촉매 수지의 함량은 0.1 내지 10 중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 중량부이며, 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부이다. 금속이 함유된 경화촉매 수지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베이스 수지의 하이드록시기와 경화제 수지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반응에 필요한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에너지의 추가 사용에 의한 비용 상승의 문제가 발생한다.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반응에 필요한 경화촉매의 적정량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전착수지의 저장중 경화촉매의 침전량 증가에 의한 저장성 불량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청구 내용에 포함되는 만니히 반응 생성물로부터 유래된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은 표 1의 조성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112006098637946-pat00003
온도계, 냉각기, 기계적 교반기를 갖춘 3구 2ℓ 플라스크에 표 1에 기재한 (A) 노닐 페놀, (B) 메타자일렌디아민을 넣고, 70℃로 승온시킨 다음, (C) 포르말린을 1시간 동안 서서히 투입하고 95℃에서 2시간 유지하였다. 125℃로 승온하여 탈수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물을 회수하였다. (D) 탈수물의 양이 125 g 정도 회수되면 90℃ 로 냉각하였다. (E) 메틸에탄올아민, (F) 부틸글리시딜에테르를 투입하여 2시간 유지하였다. 125℃로 승온하여 고온에서 미반응 에틸렌디아민을 30분간 회수하고 110℃로 냉각하여 (G) 메톡시 프로판올로 희석하여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 시 반응물이 끓어 오르는 경향이 있으므로 주의해서 반응을 진행시켰다. 미반응 아민의 회수률이 충분하지 않을 시 고온에서 진공감압으로 회수할 수도 있다. 상기 제조된 수지는 고형분이 70%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청구 내용에 포함되는 경화제 수지를 표 2의 조성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2]
Figure 112006098637946-pat00004
온도계, 냉각기, 기계적 교반기를 갖춘 3구 2ℓ 플라스크에 표 2에 기재한 (A)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B) 메틸이소부틸케톤을 넣고 40℃로 승온시킨 다음, 공기를 주입하면서 (C) 2-하이드록시에탄올메타크릴레이트를 2시간에 걸쳐 서서히 적 가시키고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을 확인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 5.0% ~ 5.5%가 되면 (D) 트리메틸올 프로판과 (E) 실시예 1의 반응물을 반응기 속으로 넣었다. 80℃로 승온시켜 30분 유지 후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을 확인하여 0.2% 이하가 되면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자연 냉각 방식으로 반응물의 온도를 80℃이하로 냉각 시키면서 (F) 메톡시 프로판올로 희석하여 반응을 완료하였다. 반응 시 절대 반응물의 온도가 85℃가 넘지 않도록 온도를 조절하였다. 상기 제조된 수지는 고형분이 85%였다.
실시예 3
일반적인 경화제 수지를 표 3의 조성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3]
Figure 112006098637946-pat00005
온도계, 냉각기, 기계적 교반기를 갖춘 3구 2ℓ 플라스크에 표 3에 기재한 (A) 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B) 메틸이소부틸케톤을 넣고, 45℃로 승온시킨 다음, (C) 부틸셀로솔브를 2시간에 걸쳐 서서히 적가시키고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을 확인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 5.0% ~ 5.5% 가 되면 (D) 트리메틸올 프로판을 반응기 속으로 넣었다. 80℃ 로 승온시켜 30분 유지 후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을 확인하여 0.2% 이하가 되면 반응을 종결시켰다. 반응이 종결되면 자연 냉각 방식으로 반응물의 온도를 80℃이하로 냉각 시키면서 (E) 메톡시 프로판올로 희석하여 반응을 완료하였다. 상기 제조된 수지는 고형분이 85%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청구 내용에 포함되는 페놀-바륨염 수지를 표 4의 조성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4]
Figure 112006098637946-pat00006
온도계, 냉각기, 기계적 교반기를 갖춘 3구 2ℓ 플라스크에 표 4에 기재한 (A) 페놀을 넣고 (B) 탈이온수를 투입하고 30분간 교반하였다. (C) 수산화바륨을 넣고 서서히 60℃까지 승온하여 4시간 유지 후 30 ℃ 이하로 냉각하였다. (D) 락틱산을 투입하고 1시간 유지 후 반응을 종결시켰다. 상기 제조된 수지는 고형분이 20%였다.
실시예 5
일반적인 베이스 수지와 경화제 수지에 본 발명의 청구 내용에 포함되는 바륨염을 포함한 반응물을 표 5의 조성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5]
Figure 112006098637946-pat00007
1 ㈜국도화학: 비스페놀-A 타입의 액상 에폭시 수지 (분자량: 380)
2 ㈜한국폴리올: 프로필렌 글리콜 (분자량: 1000)
기계적 교반기, 냉각기, 가열기 및 온도계를 장착한 분리형 5ℓ 플라스크에 표 5의 (A) YD-128와 (B) PPG-1000를 넣고 140℃에서 3시간 유지한 다음 (C) 비스페놀-A, (D) 메톡시프로판올을 넣고 125℃에서 2시간 유지하였다. 유지 후 110℃로 냉각하였다. 110℃에서 (E) 디에탄올아민을 넣고 30분 유지한 다음, (F) 실시예 3의 반응물을 넣었다. 100℃ 이하로 냉각하면서 (G) 개미산과 (H) 탈이온수를 혼합하여 투입하고 냉각을 계속 하면서 (I) 실시예 4의 반응물을 넣고, (J) 탈이온수를 3시간에 걸쳐 서서히 투입하여 반응물을 수분산시켰다. 수분산 단계에서 온 도가 50℃ 이상이 오래 되면 수분산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냉각수를 때때로 주입하여 온도를 50℃이하로 냉각하였다. 수분산 공정이 완료되면 반응물 속의 공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를 10분간 주입하고, 2시간동안 정체시켰다. 상기 공정에서 아민 투입 후 자연발열이 심하게 일어나므로, 승온 시 자연발열을 감안하여 온도를 유지시켰다. 상기 제조된 수지는 고형분이 36%였다.
실시예 6
일반적인 베이스 수지와 본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경화제 수지를 포함하는 반응물을 표 6의 조성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6]
Figure 112006098637946-pat00008
1 ㈜국도화학: 비스페놀-A 타입의 액상 에폭시 수지 (분자량: 380)
2 ㈜한국폴리올: 프로필렌 글리콜 (분자량: 1000)
기계적 교반기, 냉각기, 가열기 및 온도계를 장착한 분리형 5ℓ 플라스크에 표 6의 (A) YD-128와 (B) PPG-1000를 넣고 140℃에서 3시간 유지한 다음 (C) 비스페놀-A, (D) 메톡시프로판올을 넣고 125℃에서 2시간 유지하였다. 유지 후 110℃로 냉각하였다. 110℃에서 (E) 디에탄올아민을 넣고 30분 유지한 다음, (F) 실시예 2의 반응물을 넣었다. 100℃ 이하로 냉각하면서 (G) 개미산과 (H) 탈이온수를 혼합하여 투입하고 냉각을 계속하면서 (I) 탈이온수를 3시간에 걸쳐 서서히 투입하여 반응물을 수분산 시켰다. 수분산 단계에서 온도가 50℃ 이상이 오래 되면 수분산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냉각수를 때때로 주입하여 온도를 50℃이하로 냉각하였다. 수분산 공정이 완료되면 반응물 속의 공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를 10분간 주입하고, 2시간동안 정체시켰다. 상기 공정에서 아민 투입 후 자연발열이 심하게 일어나므로, 승온 시 자연발열을 감안하여 온도를 유지시켰다. 상기 제조된 수지는 고형분이 36%였다.
실시예 7
일반적인 베이스 수지와 본 발명의 청구 내용에 포함되는 경화제 수지 및 바륨염을 포함한 반응물을 표 7의 조성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7]
Figure 112006098637946-pat00009
1 ㈜국도화학: 비스페놀-A 타입의 액상 에폭시 수지 (분자량: 380)
2 ㈜한국폴리올: 프로필렌 글리콜 (분자량: 1000)
기계적 교반기, 냉각기, 가열기 및 온도계를 장착한 분리형 5ℓ 플라스크에 표 7의 (A) YD-128와 (B) PPG-1000를 넣고 140℃에서 3시간 유지한 다음 (C) 비스페놀-A, (D) 메톡시프로판올을 넣고 125℃ 에서 2시간 유지하였다. 유지 후 110℃로 냉각하였다. 110℃에서 (E) 디에탄올아민을 넣고 30분 유지한 다음, (F) 실시예 2의 반응물을 넣었다. 100℃ 이하로 냉각하면서 (G) 개미산과 (H) 탈이온수를 혼합하여 투입하고 냉각을 계속하면서 (I) 실시예 4의 반응물을 넣고, (J) 탈이온수를 3시간에 걸쳐 서서히 투입하여 반응물을 수분산 시켰다. 수분산 단계에서 온도가 50℃ 이상이 오래 되면 수분산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냉각수를 때때로 주입하여 온도를 50℃이하로 냉각하였다. 수분산 공정이 완료되면 반응물 속의 공기 기포 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를 10분간 주입하고, 2시간동안 정체시켰다. 상기 공정에서 아민 투입 후 자연발열이 심하게 일어나므로, 승온 시 자연발열을 감안하여 온도를 유지시켰다. 상기 제조된 수지는 고형분이 36%였다.
비교예 1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해 일반적인 베이스 수지와 경화제 수지를 포함하는 반응물을 표 8의 조성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8]
Figure 112006098637946-pat00010
1 ㈜국도화학: 비스페놀-A 타입의 액상 에폭시 수지 (분자량: 380)
2 ㈜한국폴리올: 프로필렌 글리콜 (분자량: 1000)
기계적 교반기, 냉각기, 가열기 및 온도계를 장착한 분리형 5ℓ 플라스크에 표 8의 (A) YD-128과 (B) PPG-1000를 넣고 140℃에서 3시간 유지한 다음 (C) 비스페놀-A, (D) 메톡시프로판올을 넣고 125℃에서 2시간 유지하였다. 유지 후 110℃ 로 냉각하였다. 110℃에서 (E) 디에탄올아민을 넣고 30분 유지한 다음 125℃에서 1시간 유지한 후 110℃로 냉각하였다. 110℃에서 공기를 주입하면서 (F) 실시예 3의 반응물을 넣었다. 100℃ 이하로 냉각하면서 (G) 개미산과 (H) 탈이온수를 혼합하여 투입하고 냉각을 계속 하면서 (I) 탈이온수를 3시간에 걸쳐 서서히 투입하여 반응물을 수분산 시켰다. 수분산 단계에서 온도가 50℃ 이상이 오래 되면 수분산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냉각수를 때때로 주입하여 온도를 50℃이하로 냉각하였다. 수분산 공정이 완료되면 반응물 속의 공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를 10분간 주입하고, 2시간동안 정체시켰다. 상기 공정에서 아민 투입 후 자연발열이 심하게 일어나므로, 승온 시 자연발열을 감안하여 온도를 유지시켰다. 상기 제조된 수지는 고형분이 36%였다.
실시예 8 내지 10 및 비교예 2
실시예 5 내지 7 및 비교예 1의 양이온 전착수지를 안료 페이스트 조성물과 4 대 1로 혼합하여 24시간 동안 균일하게 섞어서, 실시예 8 내지 10 및 비교예 2의 양이온 전착도료를 제조하였다.
양이온 전착도료의 제조에 사용된 안료페이스트 조성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액상 에폭시 YD-128 680 중량부에 비스페놀-에이 290 중량부 디메틸에탄올아민 89 중량부와 폴리메틸렌폴리페닐이소시아네이트 260 중량부를 3리터 유리 플라 스크에 넣고, 150℃ 에서 2시간 반응 후 60 ℃ 이하에서 아세트산 80 중량부를 넣고, 탈이온수 300 중량부로 희석시킨 안료분산수지를 제조하였다. 수득한 안료분산수지 260 중량부에 탈이온수 450 중량부를 넣고, 교반하면서 이산화티타늄 270 중량부, 알루미늄실리케이트 74 중량부, 카본블랙 24 중량부, 디부틸틴옥사이드 16 중량부를 넣고 고속교반기를 통해 제조하였다.
시험예
실시예 8 내지 10 및 비교예 2의 양이온 전착도료를 이용하여, 인산아연기제 처리제로 표면 처리된 냉각압연 강판상(90㎜×200㎜)에서 300볼트의 정전압에서 2분간 전착도장을 수행하였다. 이후 생성된 도막을 물로 세척하고, 160℃에서 20분간 오븐에서 구워 일정한 두께의 도막을 얻었다. 본 발명의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이 포함된 전착도료의 도막 특성 시험 결과를 다음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Figure 112006098637946-pat00011
1 광택 : 시험방법 ASTM D523
2 조도 : Taylor-Hobson사의 조도 측정기기인 Surtronic 3+로 측정.
3 충격성 : 시험방법 ASTM D2794
4 굴곡성 : 시험방법 ISO 1520
5 Bending : 시험방법 ASTM D522
6 MIBK Rubbing : 헝겊 또는 휴지에 용제(메틸이소부틸케톤)를 묻혀 도막에 손상이 날 때 까지 문지르는 방법으로 '20회 이상'의 의미는 최소 20회 이상 러빙(Rubbing)하여 도막에 손상이 없을 시 경화가 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임.
7 내염수분무성 : 시험방법 ASTM B117
상기 표 9 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화성에서는 실시예 10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화밀도를 증가시키는 경화제 수지 조성물, 정확하게는 만니히 변성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과 경화반응을 촉진시키는 페놀-바륨염이 함유됨으로 인해 우수한 경화성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경화성은 값이 클수록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방청성은 내염수분무 시험으로 판정하게 되는데, 값이 작을수록 우수한 방청성을 나타낸다. 이 시험에서는, 바륨촉매만을 사용한 실시예 9 보다, 본 발명의 청구내용에 포함된 경화제 수지를 사용한 실시예 8의 방청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청구내용에 포함된 경화제 수지와 바륨촉매를 동시에 사용한 실시예 10의 방청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 수지를 양이온 전착 도료에 적용하였을 때, 기존의 기술 수준과 대비하여 동등 이상의 도막 평활성을 나타내는 외관, 유연성을 나타내는 기계적 물성 및 부착성을 유지하면서 기존에 비해 방청성 및 경화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도막의 방청성, 경화성이 우수한 고기능성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로서, 만니히 반응 생성물로부터 유래된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 물과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고, 금속 이온이 함유된 경화촉매 수지를 사용함에 따라, 종래의 베이스 수지와 경화제 수지를 사용한 양이온 전착수지에 비해 보다 개선된 도막의 방청성 및 경화성을 확보하였다.

Claims (9)

  1.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과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물을 함유하는 경화제 수지 20 내지 70 중량부; 에폭시 화합물과 아민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진 베이스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및 금속이 함유된 경화촉매 수지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이 페놀 화합물, 아민 화합물 및 포르말린의 만니히 반응 생성물로부터 유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페놀 화합물은 크레졸, 부틸페놀, 옥틸페놀, 노닐페놀 및 페놀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의 화합물이고, 아민 화합물은 에틸렌디아민, 트리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옥사메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 및 메타자이렌디아민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만니히 반응 생성물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98637946-pat00012
    상기 식에서,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페놀 화합물을 나타낸다.
  4. 제1항에 있어서,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이
    만니히 반응 생성물, 하이드록시기-함유 아민 화합물 및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로서 화학식 2의 화합물이고, 글리시딜에테르-아민 유도 폴리올 화합물의 함량이 경화제 수지를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112006098637946-pat00013
    상기 식에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페놀 화합물을 나타내고, 각각의 R2는 독립적으로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을 나타내며, R3은 하이드록시기-함유 아민 화합물을 나타낸다.
  5. 제4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시기-함유 아민 화합물은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모노에틸에탄올아민 및 모노메틸에탄올아민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고, 글리시딜에테르 화합물은 페닐글리시딜에테르 및 부틸글리시딜에테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하이드록시기-함유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또는 알코올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이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함량이 경화제 수지를 기준으로 80 내지 99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4,4'-메틸렌 비스(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고; 하이드록시기-함유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이며; 알코올 화합물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금속이 지르코늄, 아연, 칼슘, 납, 주석, 비스무스, 코발트, 티타늄, 알루미늄, 크롬 및 바륨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고, 금속이 염 또는 킬레이트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금속이 함유된 경화촉매 수지가 페놀-바륨염 또는 페놀-바륨 킬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60139225A 2006-12-31 2006-12-31 방청성, 경화성이 우수한 고기능성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 KR100804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9225A KR100804416B1 (ko) 2006-12-31 2006-12-31 방청성, 경화성이 우수한 고기능성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
PCT/KR2007/006929 WO2008082175A1 (en) 2006-12-31 2007-12-28 A cathodic electrodeposition coating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curing and anti-corrosion resistance
CN2007800489266A CN101595148B (zh) 2006-12-31 2007-12-28 具有改进的固化和防腐耐性的阴极电沉积涂料组合物
RU2009129413/04A RU2415878C1 (ru) 2006-12-31 2007-12-28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олучения покрытий способом катодного электроосаждения, обладающие улучшенной способностью к отверждению и антикоррозионной стойкостью
TR2009/04797T TR200904797T1 (tr) 2006-12-31 2007-12-28 Geliştirilmiş kurleme ve anti-korozyon direncine sahip katodik elektrodepozisyon kaplama bileşimler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9225A KR100804416B1 (ko) 2006-12-31 2006-12-31 방청성, 경화성이 우수한 고기능성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416B1 true KR100804416B1 (ko) 2008-02-20

Family

ID=3938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9225A KR100804416B1 (ko) 2006-12-31 2006-12-31 방청성, 경화성이 우수한 고기능성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804416B1 (ko)
CN (1) CN101595148B (ko)
RU (1) RU2415878C1 (ko)
TR (1) TR200904797T1 (ko)
WO (1) WO20080821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520A (ko) * 2012-04-12 2013-10-22 주식회사 케이씨씨 선박 방청프라이머 에폭시 도료용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첨가제를 포함하는 선박 방청프라이머 에폭시 도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4074B2 (en) * 2012-06-25 2017-01-03 Ppg Industries Ohio, Inc. Aqueous resinous dispersions that include a zinc (II) amidine complex and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WO2016130656A1 (en) 2015-02-10 2016-08-18 Valspar Sourcing, Inc. Novel electrodeposit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5123B1 (ko) 1996-09-02 1999-04-01 김충세 글리시돌변성 안료 분산용수지 및 이를 함유한 양이온 전착 도료조성물
KR19990072161A (ko) * 1996-02-28 1999-09-27 야마모토 카즈모토 신규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그것의 용도
KR100366471B1 (ko) * 1994-07-01 2005-01-24 솔루티아 게르마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비스무트촉매를사용하는전기영동전착피복물질의경화법
US20060211831A1 (en) 2005-03-17 2006-09-21 Kansai Paint Co. Ltd. Electrodeposition coating composition, coating method and coated art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6471B1 (ko) * 1994-07-01 2005-01-24 솔루티아 게르마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비스무트촉매를사용하는전기영동전착피복물질의경화법
KR19990072161A (ko) * 1996-02-28 1999-09-27 야마모토 카즈모토 신규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그것의 용도
KR0185123B1 (ko) 1996-09-02 1999-04-01 김충세 글리시돌변성 안료 분산용수지 및 이를 함유한 양이온 전착 도료조성물
US20060211831A1 (en) 2005-03-17 2006-09-21 Kansai Paint Co. Ltd. Electrodeposition coating composition, coating method and coated art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5520A (ko) * 2012-04-12 2013-10-22 주식회사 케이씨씨 선박 방청프라이머 에폭시 도료용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첨가제를 포함하는 선박 방청프라이머 에폭시 도료
KR101872528B1 (ko) 2012-04-12 2018-06-28 주식회사 케이씨씨 선박 방청프라이머 에폭시 도료용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첨가제를 포함하는 선박 방청프라이머 에폭시 도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95148A (zh) 2009-12-02
RU2415878C1 (ru) 2011-04-10
WO2008082175A1 (en) 2008-07-10
CN101595148B (zh) 2012-04-04
TR200904797T1 (tr) 2009-11-23
RU2009129413A (ru)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0107A (en) Cationic resin and capped polyisocyanate curing agent suitable for use in electrodeposition
KR100831205B1 (ko) 평활성, 방청성, 유연성이 우수한 고기능성 양이온전착수지 조성물
EP3491079B1 (en) Electrodepositable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1,1-di-activated vinyl compounds
CN108603070B (zh) 阳离子电沉积涂料组合物的制备方法
KR101005297B1 (ko) 방향족 술폰산 및 우레탄 관능성 레올로지 조정제를 포함하는, 내부침투성이 우수한 양이온 전착도료용 수지 조성물
EP3074474B1 (en) Curable polyurethane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0804416B1 (ko) 방청성, 경화성이 우수한 고기능성 양이온 전착수지 조성물
KR20010070437A (ko) 양이온 전착 도료 조성물
CN101583681B (zh) 用于可电沉积涂料的阳离子微凝胶的制备方法和包含由该方法制备的阳离子微凝胶的可电沉积涂料组合物
US20030138642A1 (en) Aqueous two-component polyurethane coating composition with improved adhesion and corrosion resistance
JP2007154091A (ja) 水性樹脂組成物
US7468454B2 (en) Amino-functional polyurethane prepolymer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JP4347928B2 (ja) 電着塗料用可撓性付与樹脂
EP3606975B1 (en) Coating films with reduced yellowing
KR20010070443A (ko) 가소제를 함유하는 양이온 전착 도료 조성물
JP2007314688A (ja) 水性塗料用樹脂、その製造方法及び水性塗料組成物
JPH09235495A (ja) 低鉛含有カチオン電着塗料
JPH0374709B2 (ko)
JPS58136668A (ja) 電着塗料用組成物
JPH0320425B2 (ko)
JP4582936B2 (ja) シーラー滑り防止方法及びシーラー滑り防止剤
JP4807002B2 (ja) 水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S58136667A (ja) 電着塗料用組成物
MXPA97003240A (en) Cationic resin and cured polyisocianate curing agent suitable for employment in electrodepos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