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938B1 -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이용한 저온수분흡착제 - Google Patents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이용한 저온수분흡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938B1
KR100803938B1 KR1020060127354A KR20060127354A KR100803938B1 KR 100803938 B1 KR100803938 B1 KR 100803938B1 KR 1020060127354 A KR1020060127354 A KR 1020060127354A KR 20060127354 A KR20060127354 A KR 20060127354A KR 100803938 B1 KR100803938 B1 KR 100803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a
adsorbent
water
mesoporous body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산
황영규
정성화
황진수
김덕규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27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57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 B01J20/28064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being in the range 500-1000 m2/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69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 B01J20/28073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being in the range 0.5-1.0 ml/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69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 B01J20/28076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being more than 1.0 ml/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28Granulating, agglomerating or aggreg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조 크기의 세공을 갖는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이용한 흡착제, 특히 수분의 흡착제에 관한 것이며 흡탈착이 100 ℃ 이하에서도 용이하고 흡착제의 중량당 흡착량은 물론 흡착 속도 및 탈착 속도가 높아 가습기, 제습기 및 냉난방기에 적용 가능한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습도 조절 기술에 관한 것이다.
흡착제, 수분, 흡탈착, 메조세공 실리카, 저온수분탈착

Description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이용한 저온수분흡착제{Mesoporous silica material for adsorbent of water in low temperature }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실리카 메조세공체의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도 1a는 메조세공 실리카를 2,000배로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1b는 메조세공 실리카의 단결정을 30,000배로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실리카 메조세공체의 X-선 회절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 의해 얻어진 실리카 메조세공체의 질소 흡착 결과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실리카 메조세공체 및 나트륨 Y 제올라이트의 수분 흡착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의해 얻어진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이용한 흡착제의 탈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100 ℃ 이내의 저온에서도 흡탈착이 용이하며 흡착 조건에서의 흡착량과 탈착조건에서의 흡착량의 차이가 큰 흡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조크기의 세공을 갖고 표면적 및 세공부피가 매우 큰 특징을 갖는 메조세공 실리카를 이용한 흡착제에 관한 것이다.
수분을 용이하게 흡착 및 탈착하는 흡착제는 다양한 용도를 갖고 있다. 예를 들자면, 제습기는 저온에서 수분을 흡착 후 고온으로 가열하면 탈착되는 특성을 갖는 흡착제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냉난방기에 흡착제를 활용하면 난방시에는 낮은 온도의 실외의 습기를 흡착한 후 실내로 유입하여 고온의 실내에서 탈착하여 가습기 역할을 대신할 수도 있고 냉방 시에는 낮은 온도의 실내의 습기를 흡착하여 높은 온도의 실외에서 탈착하여 실외로 보낼 수도 있어 쾌적한 실내 분위기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을 적용한 에어컨 및 습도조절기가 US 6978635, 6959875, 6675601 등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 사용된 흡착제에 대해 자세한 언급은 없으며 실리카 겔, 제올라이트, 이온 교환수지를 사용한다고만 언급되어 있거나 흡착제를 사용한다고만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흡착제의 경우, 흡착량이 낮을 뿐만 아니라 탈착에도 150 ℃ 이상의 고온이 요구되는 등 운전 비용의 상승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저온에서도 탈착 가능하고 흡착량 및 탈착량의 차이가 큰 흡착제의 개발이 매우 필요하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흡착량이 크면 흡착에너지가 커서 수분제거가 힘들 수 있어 탈착이 어렵고 흡착량이 적을 경우에는 흡착량과 탈착량의 차이가 적은 문제가 항상 존재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표면적이 매우 큰 메조세공 실 리카를 수분의 흡착제로 사용했을 때 큰 흡착량은 물론이고 낮은 온도에서 흡착된 수분의 대부분이 100 ℃ 이하의 온도에서 탈착되며 탈착 속도가 높은 것을 발견하고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수분 흡착제로 사용된 메조세공 실리카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메조 세공을 가지는 실리카로 정의될 수 있으며, 실리콘이 골격구조를 형성함으로 인해 메조 세공을 가지는 결정형 메조세공 실리카를 의미한다. 이러한 물질에 대한 연구는 이 물질들은 고표면적과 분자크기 또는 메조크기의 세공을 갖고 있어 센서 및 촉매물질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조되며 대표적으로는 실온 근방에서 용매확산(solvent diffusion)을 이용하거나 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고온에서 반응시키는 수열 합성(hydrothermal synthesis) 혹은 유기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용매열 합성(solvothermal synthesis) 방법을 통해 제조되어 왔다(Microporous Mesoporous Mater., 68, 21, 2004; Chemical Physics Letters, 382, 496, 2003).
메조세공 실리카의 합성은 제올라이트나 마이크로세공체와 같은 무기 다공성 물질의 합성과 유사하게 물이나 적당한 유기물을 용매로 사용하고 일반적으로 용매나 혼합용액의 비점 이상의 합성온도에서의 자연 증기압(autogeneous pressure) 하에서 결정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즉, 반응물을 압력 반응기에 넣고 밀폐시킨 후 고온에서 보통 하루 정도의 결정화 시간이 경과한 후 얻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실리카 흡착제는 흡착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표면적 및 세공부피 얻을 수 없으며, 수분 흡착량 및 흡착속도가 낮고 100 ℃ 이하의 온도에서 탈착속도가 낮아 가습 및 제습을 통한 습도 조절용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표면적 및 큰 세공부피를 가져 단위 중량당 수분 흡착량이 많을 뿐만아니라 수분 흡착 및 100℃ 이하의 온도에서 탈착 속도가 높은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이용한 수분흡착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분 흡착 및 100℃ 이하의 온도에서 탈착 속도가 높은 실리카 메조세공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분 흡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조 크기의 세공을 갖는 다공성의 실리카(mesoporous silica를 활용한 흡착제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온에서도 탈착이 용이하고 저온 흡착량과 고온 흡착량과의 차이가 큰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를 이용한 흡착제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는 800 m2/g 보다 큰 표면적 및 0.7 mL/g 보다 큰 세공부피를 가지며 실리카(-O-Si-O-)를 골격의 구성 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면적 및 세공 부피는 상기의 값보다 작은 경우 수분 흡착제로서의 효과가 크지 않으며, 표면적 및 세공 부피는 크면 클수록 좋지만 제조 방법상 실질적으로 실현 가능한 범위는 표면적의 경우의 상한은 10000 m2/g 정도 이고, 세공 부피의 상한은 10 mL/g 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카 메조세공체는 800 ~ 1100m2/g의 표면적 및 0.7 ~ 1.0 mL/g 세공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리카 메조세공체는 탈착온도에서 안정적이며 흡착제 단위 중량당 수분흡착 속도가 높다. 예를 들어 60~80℃에서 10~30분 건조한 후 상대습도 60~80% 조건에서 5분 경과후 수분흡착량은 흡착제 중량당 0.06 ~ 0.12g/g이다. 또한, 종래의 흡착제의 경우 실온의 수분 흡착량에 대한 100 ℃에서의 수분 흡착량의 비가 0.5 ~ 1 정도의 값으로, 100 ℃ 이하의 온도에서는 흡착된 수분의 50 % 이하가 탈착되어 저온에서의 탈착 특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의 경우에는 100 ℃이하의 온도에서 흡착된 수분의 80% 이상이 탈착되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탈착되는 속도가 높아 60~80℃의 온도에서 수분을 탈착하는 경우 초기 3분 이내에 탈착가능한 수분의 8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 탈착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실리카 메조세공체의 골격에 유기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탈착속도가 더욱 빠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100℃ 이하의 저온에서의 탈착속도가 빠른 것은 이를 이용한 가습 또는 제습에 활용하여 습도를 조절하는 경우 운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습도 조절이 보다 용이한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로 사용되는 실리카 메조세공체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로 사용되는 메조세공 실리카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1)실리카전구체, 블록공중합체 및 산을 증류수에 첨가 및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상기 혼합물을 수열반응시켜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상기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소성하는 단계.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메조세공 실리카는 메조 크기의 세공을 가지고 입자 크기 분포가 균일하다. 상기 실리카전구체로는 소듐메타실리케이트, 테트라메톡시실란(TMOS),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또는 하기 화학식 1의 유기실란 화합물을 사용한다. 상기 소듐메타실리케이트, 테트라메톡시실란(TMOS), 테트라에톡시실란(TEOS)를 사용하는 경우 실리카골격의 메조세공체가 얻어지고, 하기 화학식 1의 유기실란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실리카 골격에 유기성분이 도입된 유-무기 실리카 메조세공체가 얻어진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92433652-pat00001
(상기 R1 내지 R3는 독립적으로 C1~C5의 알킬기이고, R4는 C1~C10의 알킬, C3~C10의 알케닐, 페닐 또는 비닐기에서 선택된다.)
상기 화학식 1의 유기 실란 화합물로는 1,2-비스트리에톡시실릴에탄, 1,4-비 스트리에톡시시릴벤젠, 트리에톡시비닐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1,2-비스트리에톡시실릴에탄을 사용하는 것이 수분 흡착제로서의 특성이 우수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블록공중합체는 구조지지체로서 제조되는 실리카 메조세공체의 세공부피를 증가시켜 주는 역할도 하며, 폴리에틸렌옥시드-폴리프로필렌옥시드-폴리에틸렌옥시드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공중합체의 사용량은 실리카전구체에 대하여 0.0001 내지 0.1 몰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산은 반응 촉매로서 사용되며 질산, 황산, 염산 등의 무기산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열 반응은 전기가열 또는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100-20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 열원으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경우 주파수가 대략 300 MHz - 300 GHz의 어떠한 마이크로파를 반응물을 가열하는 데 이용할 수 있으나 공업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2.45 GHz, 0.915 GHz의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것이 간편하고 효율적이다.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방법은 전기가열을 이용한 방법에 비해 반응시간이 짧고 제조되는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의 입자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으며 비표면적 값이 높아 수분흡착제로서의 특성이 보다 우수하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3)단계는 제조된 실리카 메조세공체의 동공에 존재하는 블록공중합체를 제거하기 위한 소성 단계로서 소성 조건은 300 ~ 600 ℃에서 5~24 시간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록공중합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소성 전에 용매추출법에 의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더 진행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경우 반응은 매우 빠른 속도로 일어나므로 반응물의 균일성을 높이거나 용해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결정핵이 일부 생성되도록 전처리가 된 상태에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것이 좋다. 전처리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이크로파에 의한 반응을 바로 시작하면 반응이 느리거나 불순물이 혼입되거나 입자 크기의 균일도가 낮아지기 쉬우나 공정이 간편해진다. 전처리는 반응물을 격렬하게 교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전처리 온도는 45 oC 온도가 바람직하다. 온도가 너무 낮으면 전처리 효과가 미약하고 너무 높으면 불순물이 생성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전처리 설비가 복잡해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전처리 시간은 12 시간 이상 24 시간 이내가 적합하며 교반 처리할 경우는 12 시간이 적합하다. 상기 전처리 시간이 너무 짧은 경우 전처리 효과가 미약하고 너무 오래 전처리를 하면 전처리 효율도 낮아진다. 전처리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수행함이 전처리 시간과 반응물의 균일성에서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른 실리카 메조세공체는 분말상이거나, 후막, 박막 또는 멤브레인 형태일 수 있다.
박막 또는 멤브레인 형태의 실리카 메조세공체는 상기 반응물 혼합액에 기판을 침지한 후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가열하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아래의 비제한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마이크로파 가열 방법에 의한 메조세공 실리카의 제조
Pluronic F-127(EO20PO70EO20)과 소듐 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silicate) (Na2SiO3 .9H2O)를 45 ℃의 증류수에 넣고 균일한 수용액이 될 때까지 교반하여 주었다. 이 용액에 염산(37.6 %)을 첨가한 후 용액이 투명한 색을 나타낼때까지 교반하여 주었다. 이 용액의 최종적인 몰비는 1.0 Si : 3.1710-4 F-127 : 6.68 HCl : 137.9 H2O 가 되도록 하였다. 혼합된 반응물을 45 ℃에서 하루 동안 교반하여 주어 최대한 균일한 반응물이 되도록 핵 형성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전처리된 반응물을 함유한 테프론 반응기를 마이크로파 반응기(CEM사, 모델 Mars-5)에 장착하고 2.45 GHz의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3분에 걸쳐 100 ℃로 승온시켰다. 그 후 100 ℃에서 1 시간 유지하여 반응을 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 후 필터를 실시하였다. 이 생성된 메조세공 실리카 결정은 증류수를 이용하여 필터를 실시한 후 550 ℃에서 6 시간동안 소성한다. 제조된 메조세공 실리카의 X-선 회절 분석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2θ값이 대략 0.78, 1.10, 및 1.32 에서 특징적인 회절 피크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로부터 입방정의 결정성 메조세공 실리카를 얻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 얻어진 메조세공 실리카 결정의 전자 현미경 사진은 도 1에 나타나 있으며 1.5-2.0μm 정도의 매우 균일한 입자로 구성됨을 보여 주고 있다. 이로써 반응물의 전처리를 수행하고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합성함으로써 매우 짧은 시간에 매우 효과적으로 메조세공 실리카 결정이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실시예에서 제조된 메조세공 실리카 결정의 표면적과 세공 부피는 각각 1,020 m2/g 및 0.91 mL/g이었다.
실시예 2. 수열 합성 방법에 의한 메조세공 실리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조세공 실리카를 제조하였으나, 열원으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대신에 일반적인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을 이용한 전기히팅방식으로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메조세공 실리카를 제조하였다. X-선 회절 형태로부터 실시예1과 동일한 구조의 물질이 얻어졌고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부터 1.5-2.0μm 정도의 균일한 특성을 갖는 메조세공 실리카 결정이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 150 ℃의 진공에서 탈수 후 액체 질소 온도에서 측정한 질소 흡착량(도 3 참조)은 질소 상대압 0.5(P/P0=0.5)에서 520 mL/g(23.23 mmol/g)로 높게 나타났다. 본 실시예에서 제조된 메조세공 실리카 결정의 표면적과 세공 부피는 각각 950 m2/g 및 0.83 mL/g이었다.
실시예 3. 에틸렌기를 구조내에 갖 유-무기 메조세공체 촉매 제조
증류수 105.8g에 35% 염산 2.92 ml을 혼합한 후 상기의 용액에 블록공중합체 P123(알드리치, 분자량 5200) 2.65g을 넣은 후 녹을 때 까지 교반한다. 마지막으로 1,2-비스트리에톡시실릴에탄(BTEE) 10.9 ml을 넣은 후 1시간 교반한다. 상기 혼합물은 폴리프로필렌재질의 테이프론 반응기에 반응시킨다. 반응물의 몰비는 각각 BTEE:P123:HCl:H2O = 1:0.02:1.2:210이다. 교반이 끝난 후 60℃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을 시킨 후 마이크로파 반응기(CEM사, 모델 Mars-5)에 장착하고 2.45 GHz의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3분에 걸쳐 100 ℃로 승온시켰다. 그 후 100 ℃에서 1 시간 유지하여 반응을 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 후 필터를 실시하였다. 상기에 제조된 메조구조체의 동공 내에 존재하는 블록공중합체를 제거하기 위해서 에탄올 150ml에 35% 염산 3ml를 섞은 용액에 상기 메조구조체를 넣고 6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여 제거하였으며, 상기 제조된 유-무기 메조세공체의 구조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400℃에서 6시간 동안 소성한 후 최종 다공성 유-무기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유-무기 실리카 메조세공체의 SAXS(small angle x-ray scattering) 측정결과 동공의 규칙성이 매우 뛰어난 메조세공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메조세공체의 벽이 유기에틸렌기와 실리콘으로 연결되었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해서 IR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에틸렌의 스트레칭 및 벤딩 특성 진동모드가 1400 cm-1 와 2800-3000 cm-1에서 관측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제조된 메조세공 실리카 결정의 표면적과 세공 부피는 각각 850 m2/g 및 0.80 mL/g이었다.
시험예 1. 수분흡착 테스트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흡착제를 70 ℃에서 30분 진공건조 한 후 수분의 흡착 실험을 중량법으로 수행하였다(도 4). 상대 습도 68 % 에서도 흡착제 중량당 수분 흡착량을 측정하였다. 상업용 수분흡착제로 사용되는 나트륨 제올라이트 Y(알드리치 사, Si/Al = 5.6, 비표면적 = 827 m2/g, 세공부피 = 0.35 ml/g)도 동일한 조건에서 수분흡착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의 흡착제는 초기 3분 경과 후 0.075g/g, 5분 경과 후 0.1g/g, 10분 경과 후 0.135g/g 흡착량을 보인 반면 나트륨 제올라이트 Y(NaY)는 3분 경과 후 0.035g/g, 5분 경과후 0.06g/g, 10분 경과 후 0.1g/g의 흡착량을 보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흡착제는 초기 흡착 속도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수분탈착 테스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흡착제와 시험예 1에서 사용한 나트륨 제올라이트 Y(NaY)를 암모늄클로라이드 포화수용액을 담은 데시케이터 상층에 3일 유지하여 충분히 수분을 흡착하게 한 후 중량분석법으로 탈착량을 분석하였다. 탈착조건은 질소를 300cc/min 흘리면서 흡착제의 무게감소를 측정하였다. 이때 탈착온도는 실시예 1의 흡착제는 70℃, 나트륨 제올라이트 Y(NaY)는 200℃로 하였다.
도 5는 수분을 흡착한 흡착제 전체 중량을 100%로 하여 시간에 따른 때 중량 감소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중량 감소율이 더 이상 감소하지 않는 것은 탈착 가능한 수분이 모두 탈착한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의 결과를 보면 5분 경과 후 더 이상 중량이 감소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때 중량 감소율은 25중량% 정도이고 나트륨 제올라이트 Y(NaY)의 경우에는 5분 경과 후 22중량%의 중량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초기 3분 경과 후 탈착량를 비교하면 실시예 1의 경우 중량감소율이 23중량%로 탈착가능한 수분흡착량의 92%가 탈착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나트륨 제올라이트 Y(NaY)의 경우 초기 3분 경과 후 중량감소율이 10중량%에 불과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리카 메조세공체의 경우 탈착 속도가 매우 빨라 70℃의 저온 탈착 조건 하에서도 초기 3분 경과 후 탈착가능한 수분 흡착량의 90% 이상이 탈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의 유-무기 실리카 메조세공체의 경우 상기와 같이 70℃의 저온 탈착 조건 하에서 3분 경과후 탈착가능한 수분의 97%가 탈착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메조세공체의 골격에 유기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수분과의 흡착에너지가 낮아 탈착속도가 더욱 빠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는 100℃의 온도에서 수분 탈착이 용이하고 단위 중량당 수분흡착량이 높으며, 특히 초기 수분 탈착 속도가 높아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가습, 제습용 기기에 적용되어 습도 조절에 뛰어난 성능을 보일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메조세공 실리카 결정체는 수분의 흡착량이 높고 100℃ 이내의 저온에서 탈착속도가 매우 높아 흡착제를 이용한 제습기, 가습기, 냉난방기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탈착 온도가 매우 낮아 이러한 장비들의 운전 비용이 매우 크게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실리카전구체, 블록공중합체 및 산을 증류수에 첨가 및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상기 혼합물을 수열반응시켜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상기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소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이용한 수분흡착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전구체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유-무기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흡착제.
[화학식 1]
Figure 112006092433652-pat00002
(상기 R1 내지 R3는 독립적으로 C1~C5의 알킬기이고, R4는 C1~C10의 알킬, C3~C10의 알케닐, 페닐 또는 비닐기에서 선택된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전구체는 1,2-비스트리에톡시실릴에탄, 1,4-비스트리에톡시실릴벤젠 또는 트리에톡시비닐실란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흡착제.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옥시드-폴리프로필렌옥시드-폴리에틸렌옥시드 블록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흡착제.
제 1 항 내지 제 4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메조세공체는 800 m2/g 초과 10000 m2/g 미만의 표면적 및 0.7 mL/g 초과 10 mL/g 미만의 세공부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흡착제.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메조세공체는 60~80℃에서 3분 이내에 흡착된 수분의 80중량% 이상이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흡착제.
KR1020060127354A 2006-12-13 2006-12-13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이용한 저온수분흡착제 KR100803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354A KR100803938B1 (ko) 2006-12-13 2006-12-13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이용한 저온수분흡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354A KR100803938B1 (ko) 2006-12-13 2006-12-13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이용한 저온수분흡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938B1 true KR100803938B1 (ko) 2008-02-18

Family

ID=39382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354A KR100803938B1 (ko) 2006-12-13 2006-12-13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이용한 저온수분흡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9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604B1 (ko) * 2008-03-17 2011-12-13 한국화학연구원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한 거대세공 나노세공체의 제조 방법
KR20150122306A (ko) 2014-04-22 2015-11-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메조 기공 실리카를 이용한 수분 흡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612548B1 (ko) 2008-06-23 2016-04-14 니치아스 가부시키가이샤 실리카겔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0292B1 (ko) * 2015-10-07 2017-01-26 김경희 기능성 유브이 젤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185A (ko) * 2003-12-16 2005-06-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폐수처리용 고분자 전해질 담지 중형기공성 세라믹흡착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185A (ko) * 2003-12-16 2005-06-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폐수처리용 고분자 전해질 담지 중형기공성 세라믹흡착제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604B1 (ko) * 2008-03-17 2011-12-13 한국화학연구원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한 거대세공 나노세공체의 제조 방법
KR101612548B1 (ko) 2008-06-23 2016-04-14 니치아스 가부시키가이샤 실리카겔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22306A (ko) 2014-04-22 2015-11-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메조 기공 실리카를 이용한 수분 흡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700292B1 (ko) * 2015-10-07 2017-01-26 김경희 기능성 유브이 젤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141B1 (ko) 메조다공성 차바자이트 제올라이트 포함 이산화탄소 흡착제 및 그 제조 방법
US7887770B2 (en) Amorphous aluminum silicate and adsorbent each having excellent moisture adsorption/desorption characteristics in medium-humidity range
KR100803945B1 (ko) 수분의 흡착을 위한 유무기 다공성 흡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10189070A1 (en) Method of Producing Amorphous Aluminum Silicate, Amorphous Aluminum Silicate Obtained with said Method, and Adsorbent using the same
CN108380175B (zh) 一种碳酸氧镧-埃洛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7267812B2 (en) Crystalline inorganic porous material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JP2013234109A (ja) ベータ型ゼオライト及びその製造方法
EP3359546B1 (en) A rare earth-based metal-organic framework for moisture removal and control in confined spaces
Roy et al. Ultrasonic assisted synthesis of Bikitaite zeolite: A potential material for hydrogen storage application
CN105251441A (zh) 一种高性能介微双孔可控分子筛吸附剂及其制备和应用
KR100803938B1 (ko) 실리카 메조세공체를 이용한 저온수분흡착제
CN105153204B (zh) 一种CuBTC型中微双孔金属有机骨架材料及制备方法
Kim et al. Alumina-coated ordered mesoporous silica as an efficient and stable water adsorbent for adsorption heat pump
KR101659284B1 (ko) 메조 기공 실리카를 이용한 수분 흡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03964B1 (ko) 철이 포함된 다공성 유무기 혼성체 및 이를 이용한수분흡착제
CN114832791B (zh) 氮掺杂生成含有混合配体的锆基有机金属框架物吸附剂及制备方法和应用
EP1666140A1 (en) Adsorbing agent comprising zeolite for heat pump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JP5230109B2 (ja) 結晶性リン酸アルミニウム多孔質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Yue et al. ADOR zeolite with 12× 8× 8-ring pores derived from IWR germanosilicate
KR20210054745A (ko) 전자기파를 이용한 안정성이 개선된 이산화탄소 포집용 다공성 나노소재
CN111229184B (zh) 一种可控硅源修饰的介微双孔吸附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3869136B2 (ja) 調湿材料の製造方法
KR101826506B1 (ko) 알루미나가 코팅된 메조다공성 실리카 및 그 제조방법
KR101710077B1 (ko) 금속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수분흡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Lin et al. Recycling of cathode ray tubes and stone sludge for the synthesis of Al-MCM-41 grafted amine functional group and environmental humidity control material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