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731B1 -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 Google Patents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731B1
KR100803731B1 KR1020060112857A KR20060112857A KR100803731B1 KR 100803731 B1 KR100803731 B1 KR 100803731B1 KR 1020060112857 A KR1020060112857 A KR 1020060112857A KR 20060112857 A KR20060112857 A KR 20060112857A KR 100803731 B1 KR100803731 B1 KR 100803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lux
tundish
molten
mold
preheat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12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7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8Feeding additives, pow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5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with heating or cooling means
    • B22D41/01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주조기의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턴디쉬와, 상기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에 그 일부가 침지되도록 턴디쉬에 설치되고 용융 몰드 플럭스를 임시 저장하는 예열관을 포함하는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서 용융 몰드 플럭스를 주형에 공급할 때 소정의 온도로 주형에 공급되도록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에서 부가하여 가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턴디쉬 바닥면으로부터 용융 몰드 플럭스가 주형에 공급되기 때문에 항상 적정한 위치로 용융 몰드 플럭스를 주형에 공급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용융 몰드 플럭스, 턴디쉬, 예열관, 연속주조

Description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MOLTEN MOLD FLUX PREHEATER AND CONTINUOUS CASTING METHOD}
도 1은 종래의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열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열관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 턴디쉬 20 : 침지 노즐
30 : 주형 40 : 용융 몰드 플럭스
50, 100 :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102 : 철피 104 : 내화재질
112 : 출강구 120 :덮개
122 : 개구부 130, 140, 150 : 예열관
132, 142, 152 : 깔때기 144 : 신축관
146 : 침지관
본 발명은 연속주조기의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몰드 플럭스 용해로에서 주형으로 용융 몰드 플럭스가 공급될 때 상기 용융 몰드 플럭스의 온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연속주조기의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장치에서 제조되는 주편은, 래들(ladle)로부터 용융된 용강을 공급받아 이를 턴디쉬(tundish)에 임시로 저장했다가 주형에 공급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주형의 벽면 내부에는 냉각수가 흘러 상기 주형 내측벽과 맞닿는 용강의 열을 빼앗아 응고쉘을 형성시키고 상기 응고쉘이 형성된 상태로 주형의 하부로 인발시켜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에 상기 용강이 완전히 응고되면서 상기 주형의 크기 및 형상과 부합하는 주편이 제조된다.
이렇게, 주형에 용강이 공급될 때 상기 주형에는 용강뿐만 아니라 부자재인 몰드 플럭스도 공급되는데, 상기 몰드 플럭스는 주형으로부터 용강을 인발시킬 때 상기 용강이 주형에서 수월히 빠져나갈 수 있도록 윤활과, 용강의 열이 주형의 상방으로 방출되어 응고되지 않도록 단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주형에서의 윤활작용을 위해 공급되는 몰드 플럭스는 경우에 따라서 용융된 상태로 주형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말 혹은 과립과 같은 고상의 몰드 플럭스를 도가니에 장입시킨 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액상으로 용융시킨 뒤 주형에 공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50)는 크게 분말 내지 과립상태의 몰드 플럭스(M)가 장입되고 장입된 몰드 플럭스(M)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마련된 몰드 플럭스 용해로(52)와, 상기 용해로(52)에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를 주형(30)에 공급하도록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52)와 연결되고 주형(30) 내부에 인입되는 도관(54) 및 상기 도관(54) 상에 용융 몰드 플럭스(40)의 토출량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개폐용 밸브(5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수단은 전류의 공급에 따라 발열되는 열선(58)이 몰드 플럭스 용해로(52) 둘레에 권선된다. 그리고,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50)의 저면에는 주행휠(51)과 같은 이동수단이 마련되어 분말 내지 과립상태의 몰드 플럭스(M)가 적재된 저장소와 연속주조장치 사이를 운행하면서 몰드 플럭스 용해로(52)에 몰드 플럭스(M)를 충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50)에 의한 용융 몰드 플럭스(40)가 공급되는 연속주조를 살펴보면, 턴디쉬(10)에 수강된 용강이 침지 노즐(20)을 통해 주형(30)에 공급될 때 몰드 플럭스 용해로(52)에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가 도관(54)을 따라 주형(30)에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50)는, 주형(30)과 거리를 두고 설치되기 때문에 용융 몰드 플럭스(40)를 주형(30)으로 공급하기 위한 도관(54)의 길이가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52)와 주형(30)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특히 상기 몰드 플럭스 용해로(52)와 주형(30)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도관(54)의 길이도 비례하여 연장되기 때문에 몰드 플럭스 용해로(52)에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의 유동거리도 그만큼 증가하게 되는 바, 이는 도관(54)을 따라 유동하는 용융 몰드 플럭스(40)와 대기의 접촉시간을 증가시키고 결국 용융 몰드 플럭스(40)의 온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용융 몰드 플럭스(40)의 온도 저하는 연속주조 시 제품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고자 몰드 플럭스 용해로(54)에서는 용융 몰드 플럭스(40)가 주형(30)에 공급되기 위한 적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몰드 플럭스 용해로(52)의 가열수단을 가동하기 위한 에너지(전력) 소비가 증가하게 되고 특히, 상기 도관(52)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가열수단의 에너지 소비는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50)는, 연속주조 도중 몰드 플럭스 용해로(52)에 장입된 몰드 플럭스(M)가 모두 소진되는 경우 몰드 플럭스 저장소로 이동하여 몰드 플럭스(M)를 재충전해야 하기 때문에 몰드 플럭스 충전 시마다 주형(30) 내에서 적정하게 용융 몰드 플럭스(40)가 공급될 도관(54)의 위치를 재설정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도관(54) 위치의 재설정은 적정한 시기의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을 방해하게 되어 제품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형에 공급될 용융 몰드 플럭스를 예열 및 보온하여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연속주조 도중 몰드 플럭스가 소진되어 재충전을 받고난 뒤에 주형 내의 적정한 위치로 용융 몰드 플럭스가 공급될 수 있는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턴디쉬와, 상기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에 그 일부가 침지되도록 턴디쉬에 설치되고 용융 몰드 플럭스를 임시 저장하는 예열관을 포함하는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예열관은, 상기 턴디쉬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턴디쉬 하부에 설치된 침지 노즐과 평행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열관의 상부는, 턴디쉬 상방으로 노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열관 상부에 깔때기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열관의 하부는, 턴디쉬 하방으로 노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예열관 하부에 용융 몰드 플럭스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개폐수단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열관 중 용강에 침지되지 않는 부분은, 턴디쉬의 상방으로 신축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열관 중 용강에 침지된 부분은, 용강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열관은,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의 온도에 견딜 수 있는 내화재질로 축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으로는,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을 주형에 공급하는 연속주조방법으로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를 턴디쉬에 마련된 예열관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예열관에서 주형으로 용융 몰드 플럭스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주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예열관에 공급된 용융 몰드 플럭스가, 적정 온도로 주형에 공급될 수 있도록 임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예열관에 공급된 용융 몰드 플럭스가, 주조상태에 따라 적정 양만큼 주형에 공급될 수 있도록 토출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를 나타낸 부분 단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100)는 턴디쉬(110)와 용융 몰드 플럭스가 턴디쉬(110)에 수강된 용강을 경유하여 주형에 공급되도록 턴디쉬(110) 내부에 설치된 예열관(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턴디쉬(110)는 레이들(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용강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도록 소정의 용적을 갖으며, 주조시 턴디쉬(110)를 보호하기 위하여 턴디쉬(110) 철피(102) 내측으로는 내장 연와와 영구 연와와 같은 내화재질(104)로 축조되어 용강에서 발산되는 열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턴디쉬(110)의 바닥면 중앙에는, 출강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출강구(112)는 주형에 용강을 공급하도록 상기 주형에 인입된 침지 노즐(미도시)과 연결된다. 상기 침지 노즐에는 용강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슬라이딩 게이트가 설치되는 바, 상기 슬라이딩 게이트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 로드의 신축에 따라 침지 노즐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상기 턴디쉬(110)의 상부로는 레이들 및 레이들 노즐(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레이들의 용강을 레이들 노즐을 통해 턴디쉬(1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개방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턴디쉬(110)의 상면에 덮개(120)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120)에 개구부(122)를 마련하여 레이들 노즐이 상기 개구부(122)로 인입되어 레이들의 용강을 턴디쉬(110)로 공급할 때 외부 대기와 용강이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산화 및 응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턴디쉬(110)에는 주형에 공급되는 용융 몰드 플럭스를 예열 및 보온하도록 예열관(130)이 설치된다. 상기 예열관(130)은 그 내부에 용융 몰드 플럭스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마련되며 턴디쉬(110)에 수강되는 용강에 그 일부가 침지될 수 있도록 턴디쉬(110)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예열관(130)은 턴디쉬(110) 내부를 대략 수직되게 관통설치하여 예 열관(130) 상부에서 공급된 용융 몰드 플럭스를 예열관(130) 하부로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예열관(130)은, 턴디쉬(110)에 수강된 용강의 온도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화재질로 축조된다.
특히 턴디쉬(110)에 설치되는 예열관(130)의 위치는, 턴디쉬(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출강구(112)와 인접한 영역에서 턴디쉬(110)의 출강구(112)와 연결된 침지 노즐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예열관(130) 상부에는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용융 몰드 플럭스가 원활히 예열관(130)에 주입될 수 있도록 깔때기(132)가 마련되는데, 상기 턴디쉬(110)의 상면에 덮개(120)가 설치될 경우 상기 예열관(130)의 상부가 덮개(120)를 관통하여 예열관(130)의 상부에 마련된 깔때기(132)가 턴디쉬 상방으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예열관(130) 하부는, 턴디쉬(110) 바닥면을 관통하여 그 일부가 턴디쉬(110) 하방로 노출되고 노출된 예열관(130) 하부에 주형으로 공급되는 용융 몰드 플럭스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전자밸브와 같은 개폐수단(미도시)이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100)는 주형(30)의 상방에 위치하여 레이들로부터 공급되는 용강을 턴디쉬(110)에 수강하게 된다. 그리고, 몰드 플럭스 용해로(52)에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가 도관(54)을 통해 예열관(130) 상부의 깔때기(132)로 주입된다.
특히 상기 깔때기(132)의 형상은 용해로(52)의 몰드 플럭스(M)가 소진되어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50)가 몰드 플럭스 저장소로 운행하여 몰드 플럭스(M)를 재충전하고 턴디쉬(110)의 상방으로 복귀할 때 도관(54)이 위치하는 오차 범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방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레이들에서 턴디쉬(110)에 공급되는 용강의 온도는 대략 1560℃ 이상이고, 상기와 같은 고온의 용강(S)이 턴디쉬 내부에 설치된 예열관(130)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예열관(130)을 가열하게 되어 예열관(130)의 내부 온도가 대략 1520℃ 이상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예열관(130)이 용강(S)에 의해 가열되면 상기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50)에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가 예열관(130)에 공급된다. 즉, 몰드 플럭스 용해로(52)에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는 몰드 플럭스 용해로(52)와 연결된 도관(54)을 통해 예열관(130) 상부에 마련된 깔때기(132)로 공급된다. 상기 깔때기(132)를 통해 공급된 용융 몰드 플럭스(40)는 용강(S)에 의해 가열된 예열관(130)에 마련된 유로를 따라 예열관(130) 하부로 흐르게 되어 주형(30)으로 공급된다.
경우 따라서는 상기 예열관(130)이 용강(S)에 의해 가열되기 전에 용융 몰드 플럭스(40)가 예열관(130)에 공급될 수도 있다. 즉, 주조 초기에는 턴디쉬(110) 내부를 버너(미도시)로 가열하고 난 뒤에 레이들의 용강이 턴디쉬(110)에 공급되는데, 만약 턴디쉬(110) 내부의 표면온도가 용강(S)의 온도에 비해 매우 낮은 경우 상기 용강(S)이 턴디쉬(110) 내부 표면과 접촉하면서 그 온도를 빼앗겨 용강(S)과 턴디쉬(110) 내부 표면의 경계로 응고층을 형성하게 되어 주형(30)으로의 용강 공급이 원활치 않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턴디쉬(110) 내부를 버너로 가열하게 되는 바, 상기 턴디쉬(110) 내부가 가열될 때 예열관(130)도 함께 가열된다. 이때 상기 턴디쉬(110) 내부 온도는 대략 1310℃이상이고, 예열관(130) 내부 온도는 대략 1260℃이상 가열된다. 이렇게 상기 예열관(130) 내부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용강(S)이 먼저 턴디쉬(110)에 공급될 필요 없이 용융 몰드 플럭스(40)가 예열관(130)에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턴디쉬(110)와 예열관(130)에 각각 용강(S)과 용융 몰드 플럭스(40)가 공급되면 주조가 개시되는데, 턴디쉬(110)에 수강된 용강(S)이 침지 노즐(20)을 통해 주형(30)으로 공급되고, 상기 주형(30)에 공급된 용강의 주조상태에 따라 예열관(130)의 하부에 설치된 개폐수단을 제어하여 용융 몰드 플럭스(40)를 주형(30)에 공급하게 된다.
특히, 턴디쉬(110)에 수강된 용강(S)이 주형(30)으로 공급되는 출강구(112)와 인접하고 상기 출강구(112)에 연결된 침지 노즐(20)과 평행하게 예열관(130)이 설치됨으로써, 주형(30)에 공급되는 용융 몰드 플럭스(40)의 공급 위치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용융 몰드 플럭스(40)를 주형(30)으로 안내하기 위한 도관(54)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용융 몰드 플럭스(40)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치 않게 된다.
부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100)는, 상기 예열관(130)의 몰드 플럭스 및 용융 몰드 플럭스가 소진된 경우 턴디쉬(110) 상부에 노출된 깔때기(132)를 통해 용융 몰드 플럭스(40)가 예열관(130)에 공급되고, 공급된 용융 몰드 플럭스(40)는 예열관(130)의 하부로 흐르면서 예열 및 보온하게 된다. 그리고, 예열 및 보온되어 주형(30)에 공급하기 적정한 온도로 제어된 용융 몰드 플럭스(40)가 침지 노즐(20)을 통해 주형에 공급되는 용강(S)과 항상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종래의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은, 몰드 플럭스 용해로(52)에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M)가 소진된 경우 용해로(52)에 몰드 플럭스(M)를 재충전하기 위해 몰드 플럭스 저장소로 운행 후 턴디쉬의 상방으로 복귀하게 되므로 몰드 플럭스 충전 시마다 주형 내에서 적정하게 용융 몰드 플럭스가 공급될 도관의 위치를 재설정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열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턴디쉬(110) 내부에 설치되는 예열관(140)이 턴디쉬(110) 상방으로 신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예열관(140)은 용강에 그 일부가 침지되는 침지관(146)과, 상기 침지관(146)에 형성된 유로에 인입되어 활주하게 되는 신축관(144)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침지관(146)의 하부는 턴디쉬(110) 바닥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신축관(144)의 상부에는 깔때기(142)가 마련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예열관(140)은, 그 내부에 용융 몰드 플럭스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고, 턴디쉬(110)에 수강된 용강에 일부가 침지되도록 턴디쉬(110) 바닥면을 관통하는 침지관(146)과, 상기 침지관(146) 상부의 유로에 삽입되고, 턴디쉬(110)의 상부로 신축되는 신축관(144)으로 구성된다. 상기 턴디 쉬(110) 바닥면을 관통한 침지관(146)의 하부에는 용융 몰드 플럭스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개폐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침지관(146)의 높이(h2)는, 턴디쉬(110)에 수강된 용강의 수위보다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침지관(146)의 높이(h2)가 턴디쉬(110)에 수강된 용강의 수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침지관(146)과 신축관(144)이 접하는 사이로 용강이 스며들어 응고되거나 예열관(140) 유로의 폐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신축관(144)의 높이(h1)는, 턴디쉬(110) 상부로 신축되는 길이에 따라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의 도관과 예열관 상부의 거리가 달라지는 경우에 상기 신축관(142)을 침지관(146)의 유로에서 인출하거나 인입시켜 도관과 깔때기(142)의 거리가 적정하도록 조절하여 예열관(140)에 용융 몰드 플럭스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열관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예열관(150) 중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에 침지되는 일부(156)를 지그재그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하여 상기 용강과 상기 용강에 침지된 예열관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예열관(150)이 턴디쉬 바닥면을 관통하여 일직선으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예열관에 안내되는 주형으로 공급되는 용융 몰드 플럭스의 체류시간이 짧아져 용융 몰드 플럭스의 예열 및 보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예열관(150) 중 용강에 침지되는 일부(156)의 형상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용강에 침지되는 예열관의 면적이 증대되어 예열관(150)에서의 용융 몰드 플럭스 체류시간이 길어져 예열관을 흐르는 용융 몰드 플럭스의 예열 및 보온에 필요한 온도의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예열관에 공급된 용융 몰드 플럭스의 온도가 주형에 공급되기 위한 적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예열관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예열관은 침지관과 신축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침지관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은, 용강이 수강된 턴디쉬 내부를 관통하여 예열관이 설치됨으로써 몰드 플럭스 용해로에서 용융 몰드 플럭스가 소정의 온도로 주형에 공급되도록 부가하여 가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턴디쉬 바닥면으로부터 용융 몰드 플럭스가 주형에 공급되기 때문에 항상 적정한 위치로 용융 몰드 플럭스를 주형에 공급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턴디쉬와,
    상기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에 그 일부가 침지되도록 턴디쉬에 설치되고 용융 몰드 플럭스를 임시 저장하는 예열관을 포함하는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열관은, 상기 턴디쉬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턴디쉬 하부에 설치된 침지 노즐과 평행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예열관의 상부는, 턴디쉬 상방으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예열관 상부에 깔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예열관의 하부는, 턴디쉬 하방으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예열관 하부에 용융 몰드 플럭스의 토출량을 제어하 는 개폐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열관 중 용강에 침지되지 않는 부분은, 턴디쉬의 상방으로 신축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열관 중 용강에 침지된 부분은, 용강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관은,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의 온도에 견딜 수 있는 내화재질로 축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10. 턴디쉬에 수강된 용강을 주형에 공급하는 연속주조방법으로서,
    용융된 몰드 플럭스를 턴디쉬에 마련된 예열관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예열관에서 주형으로 용융 몰드 플럭스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주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예열관에 공급된 용융 몰드 플럭스가, 적정 온도로 주형에 공급될 수 있도록 임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주조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예열관에 공급된 용융 몰드 플럭스가, 주조상태에 따라 적정 양만큼 주형에 공급될 수 있도록 토출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주조방법.
KR1020060112857A 2006-11-15 2006-11-15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KR100803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857A KR100803731B1 (ko) 2006-11-15 2006-11-15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857A KR100803731B1 (ko) 2006-11-15 2006-11-15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731B1 true KR100803731B1 (ko) 2008-02-15

Family

ID=3934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857A KR100803731B1 (ko) 2006-11-15 2006-11-15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73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4748A (ja) 1985-11-15 1987-05-26 Sumitomo Heavy Ind Ltd 連続鋳造設備用レ−ドル、及びタンデイツシユ用ストツパ−ロツド
JPH0531568A (ja) * 1991-07-26 1993-02-09 Kobe Steel Ltd プラズマ溶解鋳造方法
JPH0679419A (ja) * 1992-01-30 1994-03-22 Kawasaki Steel Corp 連鋳操業におけるパウダーの添加方法
JPH1043845A (ja) 1996-07-31 1998-02-17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の連続鋳造方法
KR100226941B1 (ko) 1995-12-30 1999-10-15 이구택 극저탄소강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KR100244647B1 (ko) 1995-12-30 2000-03-02 이구택 연속주조용 용융형 몰드 플럭스 제조방법
JP2001001116A (ja) * 1999-06-25 2001-01-09 Kawasaki Steel Corp 溶鋼へのBi添加方法
KR100749026B1 (ko) 2006-06-23 2007-08-13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 몰드플럭스를 이용한 연속 주조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4748A (ja) 1985-11-15 1987-05-26 Sumitomo Heavy Ind Ltd 連続鋳造設備用レ−ドル、及びタンデイツシユ用ストツパ−ロツド
JPH0531568A (ja) * 1991-07-26 1993-02-09 Kobe Steel Ltd プラズマ溶解鋳造方法
JPH0679419A (ja) * 1992-01-30 1994-03-22 Kawasaki Steel Corp 連鋳操業におけるパウダーの添加方法
KR100226941B1 (ko) 1995-12-30 1999-10-15 이구택 극저탄소강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KR100244647B1 (ko) 1995-12-30 2000-03-02 이구택 연속주조용 용융형 몰드 플럭스 제조방법
JPH1043845A (ja) 1996-07-31 1998-02-17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の連続鋳造方法
JP2001001116A (ja) * 1999-06-25 2001-01-09 Kawasaki Steel Corp 溶鋼へのBi添加方法
KR100749026B1 (ko) 2006-06-23 2007-08-13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 몰드플럭스를 이용한 연속 주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422B1 (ko)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및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방법
JP3948750B2 (ja) 連続鋳造機の金属供給システム
RU2007117643A (ru) Непрерывное литье хим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металл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теклянной оболочки
SU502595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лить под низким давлением
KR100813194B1 (ko) 연속주조장치의 턴디쉬
KR100803731B1 (ko) 용융 몰드 플럭스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KR100802477B1 (ko) 연속주조장치 및 방법
KR100829907B1 (ko) 연속주조시 초기응고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412542B1 (ko) 침지노즐 예열장치
KR100810735B1 (ko) 몰드 플럭스 용해로
KR100773833B1 (ko) 용융 몰드 플럭스용 침지 노즐
ES2327646T3 (es) Procedimiento de colada secuencial para la fabricacion de una barra de metal colada de elevada pureza.
KR100920219B1 (ko) 용융 몰드 플럭스용 호퍼
KR101221994B1 (ko) 연속주조장치의 턴디시
JPH0371971A (ja) 溶融金属用容器における介在物滞留装置
CN215392452U (zh) 炼钢炉用中间包结构
KR101204935B1 (ko) 침지 노즐 예열 버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지 노즐 예열 방법
KR101121572B1 (ko) 침지 노즐 예열 장치 및 방법
KR101545982B1 (ko) 연속주조장치
KR101140608B1 (ko) 용강의 초기 비산 제어형 침지 노즐 및 그를 이용한 초기 비산 제어 방법
KR20080037383A (ko) 몰드 플럭스 용해유닛
KR101356909B1 (ko) 고청정 용강 정련장치 및 고청정 용강 제조방법
KR101207332B1 (ko) 플럭스 용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럭스 용해 방법
KR100775084B1 (ko) 턴디쉬용 단열장치
JP5076693B2 (ja) 連続鋳造用タンディッシュ及び鋼の連続鋳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