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422B1 -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422B1
KR100803422B1 KR1020060054192A KR20060054192A KR100803422B1 KR 100803422 B1 KR100803422 B1 KR 100803422B1 KR 1020060054192 A KR1020060054192 A KR 1020060054192A KR 20060054192 A KR20060054192 A KR 20060054192A KR 100803422 B1 KR100803422 B1 KR 100803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ne departure
departure warning
warning device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9804A (ko
Inventor
진요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422B1/ko
Publication of KR20070119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검사모듈에 장착된 상하/좌우 구동프레임이 이동함에 따라 전방 카메라의 감지영역과 겹쳐지는 스폿판의 스폿 이탈범위를 측정함으로써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상태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100)의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상태 검사를 위해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과 스폿판(114)을 구비하여 차량(100)의 전방에 설치된 검사모듈(110); 상기 차량(100)의 높이 측정과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해 검사모듈(110) 후방 바닥의 양측에 설치된 측정모듈(120); 및 상기 측정모듈(120)과 연결되어 검사모듈(110)의 스폿판(114)을 타겟으로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상태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차량(100)의 차선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가이드 드라이브 라인(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을 제시한다.
차량,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 스폿판

Description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 및 그 방법{Testing system for lane departure warning aparatus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검사모듈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이탈 경보장치 시스템의 검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차량 102: 전방 촬영부
104: 104 106: 원격제어부
108: A/V 모니터부 110: 검사모듈
112: 상하/좌우 구동프레임 114: 스폿판
120: 검사모듈 130: 가이드 드라이브 라인
본 발명은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모듈에 장착된 상하/좌우 구동프레임이 이동함에 따라 전방 카메라의 감지영역과 겹쳐지는 스폿판의 스폿 이탈범위를 측정함으로써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상태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 중 졸음운전 등으로 차선을 이탈하여 대형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였을 때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차선이탈 경고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선이탈 경보장치(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LDWS)는 차량 전방부에 탑재된 카메라로 전방영상을 촬영하고, 화상처리부를 이용하여 주행차선을 검출하여 차량의 주행차선 이탈시 부저음이나 음성안내 등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선이탈 경보장치에서는 기기의 정상적인 동작상태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일정 주기로 차량의 차선이탈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사모듈에 장착된 상하/좌우 구동프레임이 이동함에 따라 전방 카메라의 감지영역과 겹쳐지는 스폿판의 스폿 이탈범위를 측정함으로써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상태 유무를 확인하여 차량의 안정 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100)의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상태 검사를 위해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과 스폿판(114)을 구비하여 차량(100)의 전방에 설치된 검사모듈(110); 상기 차량(100)의 높이 측정과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해 검사모듈(110) 후방 바닥의 양측에 설치된 측정모듈(120); 및 상기 측정모듈(120)과 연결되어 검사모듈(110)의 스폿판(114)을 타겟으로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상태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차량(100)의 차선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가이드 드라이브 라인(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100)의 정렬작업을 거친 후 차량(100)을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의 정 위치에 셋팅하는 단계; 상기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검사모듈(110)에 설치된 상하/좌우 구동 프레임(112)을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이 좌측/우측/상측/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전방 촬영부(102)의 감지영역과 겹쳐지는 스폿판(114)의 스폿 이탈범위에 따른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에 등록된 차선이탈 패턴 데이터와의 측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동작상태를 판 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데이터가 등록된 차선이탈 패턴 데이터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차량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에서 차선이탈 경보장치가 비정상적인 동작상태임을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은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검사모듈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의 측정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이탈 경보장치 시스템의 검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은 차선이탈 경보장치가 구비된 차량(100)의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상태 검사를 위해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과 스폿판(114)을 구비하여 전방에 설치된 검사모듈(110); 상기 차량(100)의 높이 측정과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해 검사모듈(110) 후방 바닥의 양측에 설치된 측정모듈(120); 상기 측정모듈(120)과 연결되어 검사모듈(110)의 스폿판(1124)을 타겟으로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상태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차량(100)의 차선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가이드 드라이브 라인(1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드라이브 라인(130)은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상태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차량의 가이드 라인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여 판단하는데 기본적인 보조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선이탈 경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의 전방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전방 촬영부(102); 상기 전방 촬영부(102)에서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주행차선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주행차선을 기준으로 차선이탈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경보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4);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격 제어되는 원격제어부(106); 및 상기 원격제어부(106)의 인가 신호에 따라 전방의 좌우측 차선의 사각지역을 디스플레이하며, 차선 이탈을 경고하기 위한 A/V 모니터부(108);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은 검사의 대상으로 차량에 부착된 차선이탈 경보장치(전방촬영부(102), 제어부(104), 원격제어부(106), A/V 모니터부(108))를 이용하여 검사모듈(110) 및 측정모듈(120)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격적으로 차량 내에 구비된 차선이탈 경보장치로 차량이탈 여부의 데이터를 통보해 주게 된다.
상기 제어부(104)는 전방 촬영부(102)에서 촬영된 영상신호에서 차선을 검출하여 차선을 모델링하며, 상기 모델링된 차선과 차량의 주행 경로를 비교하여 차량의 주행차선 이탈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작동원리는 칼만 필터원리를 이용한다. 칼만 필터원리는 공분산과 확률을 이용한 일종의 예측 알고리즘으로서 어떤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분석하고 그것을 최대화 혹은 최소화를 통하여 정확히 어떠한 상황을 예측하는 원리를 말한다.
또한,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차량진행 중 얻어지는 데이터 변수는 차선너비, 차선곡률, 곡률변화, 차량 바깥쪽의 변위, 차량의 벗어남 정도, 피치 각도 등이 포함된다.
상기 검사모듈(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I’자 형태의 상하/좌우 구 동 프레임(112)에 스폿(spot)판(114)이 부착되며, 상기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은 검은색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스폿판(114)의 스폿은 흰색 포인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폿판(114)에는 측정영역의 수가 30개이므로 30개의 스폿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검사모듈(110)을 이용한 차량(100)의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작동 상태 판정은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이 이동함에 따라 차량(100)의 전방 촬영부(102)의 감지영역(102a)과 겹쳐지는 스폿판(114)의 스폿이 이탈된 범위의 갯수를 이용하여 차량(100)과의 통신을 통해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작동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이 좌측/우측/상측/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전방 촬영부(102)의 감지영역(102a)과 겹쳐지는 스폿판(114)의 스폿 이탈범위에 따라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 작동 유무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이 좌측/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량의 좌측차선 이탈상태 혹은 우측차선으로 이탈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이 상측/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량의 곡선도로 이탈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촬영부(102)의 감지영역(102a)과 겹쳐지는 스폿판(114)의 스폿 숫자가 5개 감소하는 경우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에서는 이들 인지하여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상태의 유무를 판단한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 작동상태 유무에 대한 검사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차량(100)의 정렬작업을 거친 후 차량(100)을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의 정위치에 셋팅하게 되면 작업시작의 신호를 받게 된다(S100).
그 상태에서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검사모듈(110)에 설치된 상하/좌우 구동 프레임(112)을 구동시킨다(S110).
그러면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이 좌측/우측/상측/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전방촬영부(102)의 감지영역(102a)과 겹쳐지는 검사모듈(110)의 스폿판(114)의 스폿 이탈범위에 따른 데이터를 측정하여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으로 전송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이 좌측/우측/상측/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전방 촬영부(102)의 감지영역(102a)과 겹쳐지는 스폿판(114)의 스폿 이탈범위 데이터를 측정하게 된다(S120).
따라서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에서는 등록된 차선이탈 패턴 데이터와의 측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상태를 판단하게 된다(S130).
만약, 상기 측정된 데이터가 등록된 차선이탈 패턴 데이터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차량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에서는 차선이탈 경보장치가 비정상적인 작동상태임을 판정하게 된다(S140).
물론, 상기 측정된 데이터가 등록된 차선이탈 패턴 데이터의 범위 이내의 경우 차선이탈 경보장치가 정상적인 작동상태임을 판정하게 된다(S15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선이탈 검사장치의 검사모듈에 장착된 상하/좌우 구동프레임이 이동함에 따라 전방 카메라의 감지영역과 겹쳐지는 스폿판의 스폿 이탈범위를 측정하여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상태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차량의 안정 운행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차량(100)의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상태 검사를 위해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과 스폿판(114)을 구비하여 차량(100)의 전방에 설치된 검사모듈(110);
    상기 차량(100)의 높이 측정과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해 검사모듈(110) 후방 바닥의 양측에 설치된 측정모듈(120); 및
    상기 측정모듈(120)과 연결되어 검사모듈(110)의 스폿판(114)을 타겟으로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동작상태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차량(100)의 차선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가이드 드라이브 라인(1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0)의 차선이탈 경보장치는
    차량(100)의 전방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전방 촬영부(102);
    상기 전방 촬영부(102)에서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주행차선을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주행차선을 기준으로 차선이탈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경보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4);
    상기 제어부(104)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격 제어되는 원격제어부(106); 및
    상기 원격제어부(106)의 인가 신호에 따라 전방의 좌우측 차선의 사각지역을 디스플레이하며, 차선 이탈을 경고하기 위한 A/V 모니터부(10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이 이동함에 따라 차량(100)의 전방 촬영부(102)의 감지영역과 겹쳐지는 스폿판(114)의 스폿 이탈범위의 갯수를 측정하여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정상적인 작동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
  4. 차량(100)의 정렬작업을 거친 후 차량(100)을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의 정 위치에 셋팅하는 단계;
    상기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검사모듈(110)에 설치된 상하/좌우 구동 프레임(112)을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이 좌측/우측/상측/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전방 촬영부(102)의 감지영역과 겹쳐지는 스폿판(114)의 스폿 이탈범위에 따른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에 등록된 차선이탈 패턴 데이터와의 측정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선이탈 경보장치의 동작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데이터가 등록된 차선이탈 패턴 데이터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차량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에서 차선이탈 경보장치가 비정상적인 동작상태임을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이 좌측/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량의 좌측차선 혹은 우측차선으로 이탈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좌우 구동프레임(112)이 상측/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량의 곡선도로 이탈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방법.
KR1020060054192A 2006-06-16 2006-06-16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03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192A KR100803422B1 (ko) 2006-06-16 2006-06-16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192A KR100803422B1 (ko) 2006-06-16 2006-06-16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804A KR20070119804A (ko) 2007-12-21
KR100803422B1 true KR100803422B1 (ko) 2008-02-14

Family

ID=39137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192A KR100803422B1 (ko) 2006-06-16 2006-06-16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3363B2 (en) 2010-02-12 2013-11-05 Snap-On Incorporated Apparatus for guiding a vehicle onto a service lift using a machine vision wheel alignment system
CN101915672B (zh) * 2010-08-24 2012-07-25 清华大学 车道偏离报警系统的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101510336B1 (ko) * 2013-11-14 2015-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검사 장치
KR101510338B1 (ko) * 2013-11-22 2015-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의 검사 장치
KR101652884B1 (ko) * 2015-04-10 2016-08-31 주식회사 제일기연 자율비상제동장치 검사 장비 및 그 방법
CN107179196B (zh) * 2016-03-11 2023-11-07 深圳市航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车道偏移模拟测试方法及测试系统
CN109591817A (zh) * 2017-09-30 2019-04-09 上海欧菲智能车联科技有限公司 车道偏离预警系统的测试装置和测试方法
KR102011663B1 (ko) * 2018-06-07 2019-08-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의 시험 평가 장치 및 방법
CN110006665B (zh) * 2019-04-22 2020-05-19 中国汽车工程研究院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虚拟车道线的室内车道偏离预警测试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6787A (ja) * 1995-04-03 1996-10-22 Suzuki Motor Corp 車載用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9990059882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차선이탈 경보장치
JP2001091984A (ja) 1999-09-22 2001-04-06 Fuji Heavy Ind Ltd 車載カメラの撮像方向の検査方法およびその検査装置、並びに車載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
JP2001307284A (ja) 2000-04-26 2001-11-02 Oki Electric Ind Co Ltd 車線逸脱防止装置の障害検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6787A (ja) * 1995-04-03 1996-10-22 Suzuki Motor Corp 車載用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9990059882A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차선이탈 경보장치
JP2001091984A (ja) 1999-09-22 2001-04-06 Fuji Heavy Ind Ltd 車載カメラの撮像方向の検査方法およびその検査装置、並びに車載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
JP2001307284A (ja) 2000-04-26 2001-11-02 Oki Electric Ind Co Ltd 車線逸脱防止装置の障害検知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804A (ko) 200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3422B1 (ko) 차량의 차선이탈 경보장치 검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96392B1 (ko) 차량 외곽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510240A (ja) 運転者通報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40019571A (ko) 후측방 경보 시스템 및 방법
JP3888166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EP0720075A2 (en) Off-lane alarm apparatus
KR20100000388A (ko) 차선이탈 경보시스템
KR101338582B1 (ko) 운전 집중도 기반의 차선유지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098883B1 (ko) 보행자 검지를 이용한 어린이보호구역 단속방법
JP5577609B2 (ja) 運転支援装置
KR101628547B1 (ko) 주행 차선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0666276B1 (ko) 소실점을 이용한 자동차의 차선이탈 경보방법
JP5020299B2 (ja) 落下物検知システム、落下物検知方法
JP2007065998A (ja) 運転支援装置
KR20150128066A (ko)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4173037A (ja) 車載カメラの光軸ずれ検出装置
KR101426797B1 (ko) 페일세이프 기능을 구비한 비전 시스템 및 그 비전 시스템의 페일세이프 방법
JP2009262738A (ja) 車両の車線逸脱警報装置
JP5045628B2 (ja) 車線逸脱防止装置
JP2007133644A (ja) 歩行者認識装置
JP2003044863A (ja) 仕切線認識装置
KR101438921B1 (ko) 차량 주변의 이동체 경보 장치 및 방법
JP2007022134A (ja) 車両用車線維持支援装置
JP2012232672A (ja) 段差警報システム
KR20080013077A (ko) 이미지 해석을 통한 실시간 3차원 형상 분석 장치 및 분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