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091B1 -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091B1
KR100803091B1 KR1020060005790A KR20060005790A KR100803091B1 KR 100803091 B1 KR100803091 B1 KR 100803091B1 KR 1020060005790 A KR1020060005790 A KR 1020060005790A KR 20060005790 A KR20060005790 A KR 20060005790A KR 100803091 B1 KR100803091 B1 KR 100803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material support
acid battery
nonwoven fabric
lead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6651A (ko
Inventor
최진환
김진일
김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60005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091B1/ko
Publication of KR20070076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8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in lead-acid accumulators
    • H01M4/685Lead all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 지지체는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 및 상기 부직포 생지에 함침된 친수성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활물질 지지체는 종래의 유리섬유 또는 섬유원단 소재의 지지체에 비하여 경제적인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활물질 탈락방지 효과, 기계적 물성, 작업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하여 산업용 차량에 사용되는 튜브형 납축전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우수한 전지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튜브형 납축전지, 지지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Description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SUPPORTER FOR LEAD-LAID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물질 지지체가 부착된 양극의 사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물질 지지체를 포함하는 튜브형 납축전지의 단면 개략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양극 활물질 2: 음극 활물질
3: 튜브형 납축전지 4: 격리판
5: 활물질 지지체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지 않고, 활물질 탈락방지 효과, 기계적 물성, 작업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하여 산업용 차량에 사용되는 튜브형 납축전지에 용 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우수한 전지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납축전지는 장시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양극 활물질의 탈락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탈락된 활물질은 전해액에서 이물질로 작용하여 전지성능 및 전지수명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우수한 전지성능을 갖는 납축전지를 얻기 위해서는 양극 활물질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예로, 판상(plate)의 양극 활물질을 사용하는 일반차량용 납축전지에는 활물질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이류(pulp 소재) 또는 유리섬유 매트(mat)와 같은 다공성 물질을 극판에 접착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일반 차량에 비하여 고용량 특성이 요구되는 골프카(golf car) 및 지게차(forklift truck)와 같은 산업용 차량에는 튜브(tube) 형태의 양극 활물질을 갖는 납축전지가 사용되며, 튜브형 납축전지의 극판에도 유리섬유 매트 또는 섬유원단 소재의 지지체를 부착시켜 활물질의 탈락을 방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유리섬유 매트 지지체는 큰 공극과 양호한 습윤성을 나타내므로 극판의 활물질 탈락을 방지하면서 전해질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유리섬유는 인체에 유해하고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경도가 낮기 때문에 양극판, 격리막 및 음극판으로 구성된 단위 셀(cell)을 패킹(packing)하는 과정에서 충격 또는 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60539호는 유리섬유 대신 부직포로 이루어진 지지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부직포는 일반 차량용 판상 납축전지에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튜브형태의 납축전지용 지지체로 사용하기에는 전해액의 침투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낮은 기계적 물성으로 인해 작업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고, 활물질이 탈락되어 전지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튜브형 납축전지에 적용할 수 있고, 활물질 탈락방지 효과, 기계적 물성, 작업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튜브형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지지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폴리올레핀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로부터 제조되며, 평균섬도가 2 내지 15 데니어(De')인 필라멘트 섬유를 포함하고, 단위면적당 중량이 50 내지 200 g/㎡ 인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 및
ⅱ) 상기 부직포 생지에 함침된 친수성 수지
를 포함하는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필라멘트 섬유를 이용하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 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부직포 생지에 친수성 수지를 함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1 및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물질 지지체가 부착된 양극의 사시 개략도로서, 양극 활물질(1) 및 활물질 지지체(5)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는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 및 상기 부직포 생지에 함침된 친수성 수지를 포함한다.
먼저,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평균섬도가 3 데니어(De`)수준인 종래의 부직포와 달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는 단위 면적당 중량이 50 내지 200 g/㎡ 이고, 평균섬도가 2 내지 15 데니어(De`)로서 고강도의 성능을 나타내며, 튜브(Tube)형태의 지지체로 제조할 경우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는 필라멘트 섬유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라멘트 섬유는 폴리올레핀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라멘트 섬유의 평균섬도는 전해액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2 데니어(De')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활물질이 쉽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5 데니어(De')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활물질이 쉽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5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적절한 지지체 두께와 기공도 유지를 위하여 2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 지지체는 상기 부직포 생지에 함침된 친수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친수성 수지는 폴리비닐알콜 수지, 수용성 폴리아크릴 수지, 수용성 폴리부타디엔 수지, 수용성 초산비닐 수지, 수용성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및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수지는 부직포 생지에 친수성을 부여하고, 형태안정성(stiffness)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직포 생지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이상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성형 과정 중 부직포가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30 중량% 이하로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 및 상기 부직포 생지에 함침된 친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활물질 지지체는 다음과 같은 물성을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 지지체는 수지 결정상(dendrite)에 의한 내부 쇼 트 서킷 현상을 방지하고, 절대 황산 흡수량 및 산소 전달 사이클을 고려하여 두께가 0.1 내지 1.0 mm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6 mm 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 지지체는 튜브 형태로의 재직할 경우 및 양극 활물질을 주입할 경우 지지체에 가해지는 외력을 견디도록 하기 위하여 횡방향 인장강도가 8 내지 10 ㎏f/㎝ 이고, 종방향 인장강도(인열강도)가 6 내지 8 ㎏f/㎝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활물질 지지체는 전해액이 원활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액성(단위부피당 흡수량)이 0.5 내지 3.0 g/cc 이고, 기공도가 70 내지 9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활물질 지지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 지지체의 제조방법은
(a)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필라멘트 섬유를 이용하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부직포 생지에 친수성 수지를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먼저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스테르 원료를 연속 압출기로 녹이고, 토출량과 모세공 수를 조절하여 연속 필라멘트를 방사시킨다. 그 후, 방사되는 필라멘트를 20 내지 40 ℃의 냉각풍으로 고 화시킨 후, 고압의 공기 연신장치를 이용하여 방사속도가 4,500 내지 5,500 m/분이 되도록 연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b) 상기 (a)단계의 필라멘트 섬유를 이용하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b)단계에서는 (a)단계에서 제조된 필라멘트 섬유를 통상의 개섬법으로 연속 이동하는 금속제 네트(net)상에 웹(web) 형태로 적층시키고, 열 접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부직포 생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c) 상기 (b)단계의 부직포 생지에 친수성 수지를 함침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c)단계에서 부직포 생지에 친수성 수지를 함침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핑(dipping)법, 폼 코팅(Foam Coating)법 및 그라비아 가공법이 있고, 그 중에서 폼 코팅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밖에도 상기 수지 함침법 이외에 플라즈마 처리 및 코로나 처리 등을 이용하여 부직포 생지에 친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활물질 지지체를 포함하는 튜브형 납축전지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물질 지지체를 포함하는 튜브형 납축전지의 단면 개략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 지지체(5)는 양극 활물질(1) 또는 음극 활물질(2)을 각각 감싸는 형태로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이들 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
원료로 고융점(26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75 중량%, 및 저융점(21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 25 중량%를 사용하였다.
상기 PET 수지를 방사온도 288 ℃에서 연속 압출기를 이용하여 녹인 다음, 연신 후 제조되는 섬유의 평균섬도가 2 내지 15 데니어(De') 수준이 되도록 토출량과 구금의 모세공 수를 조절하였다. 이어서, 모세공에서 방출된 연속 필라멘트를 25 ℃의 냉각풍으로 고화시킨 후, 고압의 공기 연신장치를 이용하여 방사속도가 5,000 m/분이 되도록 충분히 연신시켜 평균섬도가 3 데니어(De')인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하였다.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의 제조)
이어서 통상의 개섬법에 의해 연속 이동하는 금속제 네트(net)상에 웹(web)의 형태로 적층시켰다. 상기 적층된 필라멘트 섬유를 205 ℃의 온도에서 열접착 하여 단위면적당 중량이 100 g/㎡ 인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를 제조하였다.
(활물질 지지체의 제조)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를 205 ℃의 캘린더 롤(calender roll)을 이용하여 열 융착 시킨 후, 폼 코팅(Foam Coating) 방법으로 수용성 아크릴계 바인더(BASF사, 제품명: Acronal S계)를 부직포 생지에 대하여 20 중량% 로 도포시켜 두 께가 0.3 mm 인 활물질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
필라멘트 섬유의 평균섬도가 9 데니어(De')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직포 생지를 제조하였다.
(활물질 지지체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활물질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하였다.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의 제조)
부직포 생지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120 g/㎡ 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활물질 지지체의 제조)
지지체의 두께를 0.4 mm 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
필라멘트 섬유의 평균섬도가 9 데니어(De')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의 제조)
부직포 생지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120 g/㎡ 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활물질 지지체의 제조)
지지체의 두께를 0.4 mm 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
원료로 폴리프로필렌(PP)을 사용하고, 평균섬도가 9 데니어(De')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의 제조)
부직포 생지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120 g/㎡ 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활물질 지지체의 제조)
지지체의 두께를 0.4 mm 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비교예 ]
비교예 1
단위 면적당 중량이 150 g/㎡ 이고, 두께가 0.4 mm 인 직물 형태의 납축전지용 극판 활물질 지지체('세방전지'사 제품)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
(필라멘트 섬유의 제조)
원료로 나일론 6(Nylon 6)을 사용하고, 평균섬도가 9 데니어(De')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의 제조)
부직포 생지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120 g/㎡ 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활물질 지지체의 제조)
지지체의 두께를 0.4 mm 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활물질 지지체의 구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부직포 재질 필라멘트 평균섬도 (De) 부직포 생지 중량 (g/㎡) 함침 수지 수지 함침량 (중량부) 지지체 두께 (mm)
실시예 1 PET 3 100 Acrylic 10 0.3
실시예 2 PET 9 100 Acrylic 10 0.3
실시예 3 PET 3 120 Acrylic 12 0.4
실시예 4 PET 9 120 Acrylic 12 0.4
실시예 5 PP 9 120 Acrylic 12 0.4
비교예 1 PET 9 150 Acrylic 15 0.4
비교예 2 Nylon 6 9 120 Acrylic 12 0.4
[ 실험예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지지체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기공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통기도, 흡수속도, 내산성 및 보액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기공도(%)
수은 침투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은을 공극률 분석기(Autopore IV9500)를 사용하여 수은에 가해지는 압력을 변화시켜 상이한 공극에 주입한다. 폴리머층의 미세공극의 크기는 공극을 형성하기 전에 측정한다.
실험예 2: 인장강도
KS K 0520 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가로× 세로 = 20㎝× 5㎝ 크기의 시편을 INSTRON사의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인장속도 200 mm/min 로 측정하였다.
실험예 3: 인열강력
KS K 0536 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가로× 세로 = 7.8㎝× 20㎝ 크기의 시편을 INSTRON사의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인장속도 300 mm/min 로 측정하였다.
실험예 4: 통기도
ASTM D 737법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38 ㎠ 크기의 시편으로 공기 압력 125 pa에서 측정 하였다.
실험예 5: 흡수속도 (㎜/초)
(폭 2.5)× (길이 20) ㎝ 시편의 밑부분 5 ㎜ 를 황산 수용액(37%)에 수직으로 침지시킨 후, 시편을 통해 상승한 황산 수용액의 높이가 120 ㎜ 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실험예 6: 내산성
(폭 100)× (길이 100) mm 의 시편을 황산(비중: 1.300/25℃, 200cc, 온도 90℃, 37%)에서 3일간 방치하여 중량 감소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7: 보액성 (단위부피당 흡수량)
(폭 15)× (길이 70) mm 의 시편을 황산(비중: 1.3000/25℃)에 30초간 침지시키고, 45 ℃의 PVC판에서 5분간 유지한 후, 하기 식 1에 따라 보액성을 계산 하였다.
[식 1]
Figure 112006004032751-pat00001
상기 식에서, W1은 시험 전 중량이고, W2는 시험 후 중량이며,
L은 시편의 길이(mm), W는 시편의 폭(mm), T는 시편의 두께(mm)이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지 지 체 기공도(%) 86 85 82 86 79 81 85
인장강도(MD) 67 74 71 78 66 98 80
인열강도(CD) 30 36 33 39 27 87 42
통기도 170 350 116 275 245 427 278
납 축 전 지 흡수속도(mm) 40.0 41.0 36.0 38.5 25.5 34.0 용해
내산성 (중량감소량) × × × × × × 용해
보액성 2.68 2.73 2.58 2.61 2.55 2.84 -
전체 성능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 지지체는 친수성 수지를 함침시킨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를 사용함에 따라, 종래의 유리섬유 또는 섬유원단 소재의 지지체에 비하여 경제적인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활물질 탈락방지 효과, 기계적 물성, 작업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 지지체는 산업용 차량에 사용되는 튜브형 납축전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우수한 전지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Claims (9)

  1. ⅰ) 폴리올레핀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로부터 제조되며, 평균섬도가 2 내지 15 데니어(De')인 필라멘트 섬유를 포함하고, 단위면적당 중량이 50 내지 200 g/㎡ 인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 및
    ⅱ) 상기 부직포 생지에 함침된 친수성 수지
    를 포함하는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나프탈렌테레프탈레이트(PEN)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ⅱ) 친수성 수지는 폴리비닐알콜 수지, 수용성 폴리아크릴 수지, 수용성 폴리부타디엔 수지, 수용성 초산비닐 수지, 수용성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및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ⅱ) 친수성 수지의 함침량은 상기 ⅰ) 부직포 생지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 인 것인 튜브형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는 횡방향 인장강도가 8 내지 10 kgf/cm 이고, 종방향 인장강도가 6 내지 8 kgf/cm 인 것인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는 보액성이 0.5 내지 3.0 g/cc 인 것인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는 기공도가 70 내지 90 % 인 것인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8. (a) 폴리올레핀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수지로부터 제조되며, 평균섬도가 2 내지 15 데니어(De')인 필라멘트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필라멘트 섬유를 이용하여 단위면적당 중량이 50 내지 200 g/㎡ 인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생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부직포 생지에 친수성 수지를 함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활물질 지지체를 포함하는 튜브형 납축전지.
KR1020060005790A 2006-01-19 2006-01-19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03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790A KR100803091B1 (ko) 2006-01-19 2006-01-19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790A KR100803091B1 (ko) 2006-01-19 2006-01-19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651A KR20070076651A (ko) 2007-07-25
KR100803091B1 true KR100803091B1 (ko) 2008-02-13

Family

ID=3850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790A KR100803091B1 (ko) 2006-01-19 2006-01-19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0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62765A1 (de) 2008-12-18 2010-07-01 Vb Autobatterie Gmbh & Co. Kgaa Textiles flächiges Material für eine Batterieelektrode
US8846252B2 (en) 2009-02-26 2014-09-3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305192B1 (ko) * 2020-06-09 2021-09-28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표면에 깊은 홈을 가진 폴리에스터 화이버 첨가에 따른 활물질간 접착력을 향상시킨 납축전지의 활물질 제조방법
KR102424565B1 (ko) * 2020-09-28 2022-07-25 한국앤컴퍼니 주식회사 이중층 셀룰로오스계 부직포를 적용한 납축전지 극판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3050A (ja) * 1990-12-26 1992-08-12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密閉形鉛蓄電池
KR20030005759A (ko) * 2001-07-10 2003-01-23 한국전지주식회사 연축전지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41594A (ko) * 2003-10-31 2005-05-04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연축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KR20070029944A (ko) * 2005-09-12 2007-03-15 주식회사 코오롱 납축전지용 극판 활물질 지지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23050A (ja) * 1990-12-26 1992-08-12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密閉形鉛蓄電池
KR20030005759A (ko) * 2001-07-10 2003-01-23 한국전지주식회사 연축전지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41594A (ko) * 2003-10-31 2005-05-04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연축전지 전극의 제조방법
KR20070029944A (ko) * 2005-09-12 2007-03-15 주식회사 코오롱 납축전지용 극판 활물질 지지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651A (ko) 200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63232T3 (es) Separador de baterias de fibra ablandada por soplado.
KR101510972B1 (ko) 적층 다공성 필름,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전지
KR100927570B1 (ko) 적층 다공성 필름 및 전지용 세퍼레이터
EP2160778B1 (en) Batteries with permanently wet-able fine fiber separators
JP5798962B2 (ja) 液式鉛蓄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液式鉛蓄電池
CN106574071B (zh) 微孔片材产品及其制备和使用方法
KR101676688B1 (ko) 미세 다공성 복합 분리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한 전기화학소자
KR101646101B1 (ko)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KR100803091B1 (ko)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4538B1 (ko) 단일 배향성 고밀도 탄소나노섬유펠트, 상기 탄소나노섬유펠트 제조방법 및 상기 탄소나노섬유펠트를 포함하는 탄소나노섬유펠트 응용제품
ITTO940999A1 (it) Separatore per batteria
KR101447565B1 (ko) 무기 코팅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다공성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11749844B2 (en) Instantaneously wettable polymer fiber sheet
KR101470696B1 (ko) 리튬이차전지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분리막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차전지
JPH0284507A (ja) 非中空微孔性ファイバ又はフイラメント、その形成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不織布ウェブ、湿式堆積ペーパー、織物並びに電池隔離板
KR101832055B1 (ko) 일방향성 투습방수 다층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
JP4670580B2 (ja) 高強度熱融着性複合繊維
KR20180055277A (ko) 다공성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층을 가지는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23677B1 (ko) 납축전지용 극판 활물질 지지체
KR20070001331A (ko) 납축전지용 극판 활물질 지지체 및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섬유기재
KR101718468B1 (ko)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79660B1 (ko) 배터리용 스펀본드 부직포 격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077273B1 (ko) 납축전지용 활물질 지지체
KR101023678B1 (ko) 납축전지용 극판 활물질 지지체
JP3219800B2 (ja) 電池用セパレー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