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953B1 -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 - Google Patents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953B1
KR100802953B1 KR1020060126567A KR20060126567A KR100802953B1 KR 100802953 B1 KR100802953 B1 KR 100802953B1 KR 1020060126567 A KR1020060126567 A KR 1020060126567A KR 20060126567 A KR20060126567 A KR 20060126567A KR 100802953 B1 KR100802953 B1 KR 100802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bearing
propeller shaft
fastening
bracket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전용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6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속에 따른 리어액슬의 거동으로 발생하는 축력에 따라 센터 베어링의 높이를 가변함으로써, 엔진 및 변속기의 회전 중심축선과 리어액슬의 회전 중심축선의 상대절각(θ)의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초기 출발 시, 셔더진동의 개선 및 주행 시, 차체 진동의 개선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를 제공한다.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

Description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A CENTER BEARING MOUNTING DECIVE OF A PROPELLER SHAFT}
도 1은 일반적인 후륜 구동용 동력전달계동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 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의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속에 따른 리어액슬의 거동으로 발생하는 축력에 따라 센터 베어링의 높이를 가변함으로써, 엔진 및 변속기의 회전 중심축선과 리어액슬의 회전 중심축선의 상대절각(θ)의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초기 출발 시, 셔더진동의 개선 및 주행 시, 차체 진동의 개선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륜 구동 2WD차량은 4WD차량과는 달리 후륜 구동의 특수성 때문에 2절 프로펠러 샤프트로 구성되어 엔진의 구동력을 리어액슬로 연결하는 동력 전달축으로써, 차체 길이 방향으로 배기계의 일측방에 설치된다.
이러한 후륜 구동 2WD차량의 동력전달계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01) 및 변속기(103)와 리어액슬(105)을 2개의 프로펠러 샤프트(107,109)로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2개의 프로펠러 샤프트(107,109)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니버셜 조인트(UT))로 연결되어 엔진(101) 및 변속기(103)와 리어액슬(105)의 회전 중심축선(S1,S2)의 상대절각(θ)를 보상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107)에는 센터 베어링(111)이 설치되어 프레임 크로스 멤버(115)상에 마운팅장치(113)를 통하여 지지된다.
상기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113)는 상기 센터 베어링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마운터(121)와, 상기 프레임 크로스 멤버(115) 상의 양측에 구성되는 서포트 브라켓(123)과, 상기 양측 서포트 브라켓의 상단에 상기 마운터(121)의 양단을 각각 체결하기 위한 볼트(125) 및 상기 마운터(121)와 서포트 브라켓 사이 및 볼트 사이에 개재되어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한 러버부쉬(127)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유니버설 조인트(UT)는 회전축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도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갖지만, 유니버셜 조인트(UT)의 상대각도에 비례하여 토크 변동이 생기며, 이에 따른 구동력의 불균형에 의해 차량의 주행 성능 및 승차감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UT)의 상대각도를 최대한 작 게 설정하기 위해선 엔진(101) 및 변속기(103)의 회전 중심축선(S1)과 리어액슬(105)의 회전 중심축선(S2)의 상대절각(θ)를 최대한 작게 유지해야 한다.
특히, 2WD차량에서는 출발시 발생되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진동 감쇠부족에 의한 충격성 진동(이하, 셔더진동이라 함)이 발생되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는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107)와 리어 프로펠러 샤프트(109)의 상대절각(θ)에 의해 발생이 되며, 상대절각(θ)이 0에 가까울수록 출발 시, 셔더진동이 개선된다.
그러나 출발 시, 셔더진동을 개선하기 위해 상대절각(θ)을 0에 근접하도록 튜닝하면, 주행 시, 진동문제를 야기시키게 되며, 이는 주행 시, 리어액슬(105)의 거동에 의해(주행 시, 엔진거동에 의해 리어액슬이 전방으로 이동) 상대절각(θ)이 변경되므로써 프로펠러 샤프트의 편심에 의해 차체진동이 발생한다.(보통, 상대절각에 따라 70~90MPH속도에서 차체 진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113)는 출발 시, 셔더진동을 개선하기 위해서 상대절각(θ)을 변경함으로써 발생하는 차체진동을 감수하고 차량개발이 이루어지거나 두 가지 문제를 고려하여 적절한 범위내에서 상대절각(θ)의 튜닝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차속에 따른 리어액슬의 거동으로 발생하는 축력에 따라 센터 베어링의 높이를 가변함으로써, 엔진 및 변속기의 회전 중심축선과 리어액슬의 회전 중심축선의 상대절각(θ)의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초기 출발 시, 셔더진 동의 개선 및 주행 시, 차체 진동의 개선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는 전방의 변속기 출력축과 연결되는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와, 후방의 리어액슬의 피니언 샤프트와 연결되는 리어 프로펠러 샤프트를 회전 지지하는 센터 베어링을 차체에 지지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에 있어서, 차체의 프레임 크로스 멤버의 양측에 구성되는 서포트 브라켓;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상단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구성되며, 차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하여 경사지게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 상에는 일정구간 슬롯을 형성하는 경사 가이더; 상기 센터 베어링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양단부에는 체결 브라켓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체결 브라켓의 하단면 일측에는 상기 경사 가이더의 슬롯을 통하여 설치되어 그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는 슬롯 가이드 바를 일체로 형성하는 마운터; 상기 서포트 브라켓과 상기 마운터의 체결 브라켓 사이의 양측에 개재되는 하부 러버; 상기 마운터의 체결 브라켓 상부면에 구성되는 상부 러버; 상기 상부 러버의 상부면에 구성되는 체결부시; 상기 체결부시와 상부 러버, 체결 브라켓 및 하부 러버의 양측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서포트 브라켓에 장착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측 체결볼트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하부면에 대하여 그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되,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하부면과 너트 사이에는 지지스프링을 개재 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의 측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장치가 적용되는 동력전달계는 전방의 변속기(103; 도 1참조)의 출력축과 연결되는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107; 도 1참조)와 후방의 리어액슬(105; 도 1참조)의 피니언 샤프트와 연결되는 리어 프로펠러 샤프트(109; 도 1참조)를 센터 베어링이 회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엔진(101; 도 1참조)의 동력을 변속기(103; 도 1참조)를 통해 변속하여 리어액슬(105; 도 1참조)로 전달해 주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장치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센터 베어링(1)을 차체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차체의 프레임 크로스 멤버(미도시)의 양측에 각각 서포트 브라켓(3)이 구성된다.
상기 서포트 브라켓(3)의 상단에는 차체 전후방향으로 경사 가이더(5)가 구성되는데, 상기 경사 가이더(5)는 차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하여 경사지게 경사면(7)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7) 상에는 일정구간 슬롯(9)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 베어링(1)의 외주면에는 마운터(11)가 고정되는데, 상기 마운터(11)는 그 양단부에 체결 브라켓(13)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체결 브라켓(13)의 하단면 일측에는 상기 경사 가이더(5)의 슬롯(9)을 통하여 설치되어 그 경사면(7) 내측을 따라 안내되는 슬롯 가이드 바(15))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 브라켓(3)과 상기 마운터(11)의 체결 브라켓(13) 사이의 양측에는 하부 러버(17)가 개재되며, 상기 마운터(11)의 체결 브라켓(13) 상부면에는 상부 러버(19)가 개재되며, 상기 상부 러버(19)의 상부면에는 체결부시(21)가 배치되어 체결볼트(23)로 체결된다.
즉, 상기 체결볼트(23)는 상기 체결부시(21)와 상부 러버(19), 체결 브라켓(13) 및 하부 러버(17)의 양측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서포트 브라켓(3)에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양측 체결볼트(23)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3)의 하부면에 대하여 그 단부에 너트(25)를 체결하되, 상기 서포트 브라켓(3)의 하부면과 너트(25) 사이에는 지지스프링(27)을 개재하여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러버(19)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부 러버(17)는 원통형상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를 갖는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는, 상기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출발 시, 셔더진동을 개선하기 위해 상대절각(θ)을 0에 근접하도록 튜닝한 상태로, 주행 시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액슬의 거동에 의해(주행 시, 엔진거동에 의해 리어액슬이 전방으로 이동) 발생되는 축력에 따라 상기 센터 베어링(1)을 지지하는 마운터(11)가 전방으 로 이동하면, 상기 마운터(11)의 체결 브라켓(13)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슬롯 가이더 바(15)가 상기 경사 가이더(5)의 슬롯(9)을 통하여 설치되어 그 경사면(7) 내측을 따라 안내되어 전체 마운터(11)를 하강시켜 그 높이(h1-->h2)를 낮추게 되고, 이에 따라 상대절각(θ)은 최초 설정된 상대절각(θ)과 크게 변화없이 유지된다.
이로써,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31)와 리어 프로펠러 샤프트(미도시)의 상호간에 편심에 의해 차체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리어액슬에 의해 발생하는 축력은 차속에 비례하고,(가속시 축력은 상승하고, 감속시에는 감소) 차속이 증가함에 따라 리어액슬로부터 전방으로 발생하는 축력을 이용하여 센터 베어링(1)을 지지하는 마운터(11)의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상대절각(θ)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마운터(11)의 높이변화는 하부 러버(17)가 변형되면서 흡수하게 되고, 이에 따른 체결볼트(23)의 길이변화는 지지스프링(27)에서 흡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장치를 적용하게 되면, 차량의 출발 시, 초기에 설정된 상대절각(θ)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셔더발생을 제어하고, 가감속시에는 절각을 가변제어를 할 수 있으므로 주행 중, 차체 진동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에 의하면, 차속에 따른 리어액슬의 거동으로 발생하는 축력에 따라 센터 베어링의 높이를 가변함으로써, 엔진 및 변속기의 회전 중심축선과 리어액슬의 회전 중심 축선의 상대절각(θ)의 변화를 최소화함으로써 초기 출발 시, 셔더진동의 개선 및 주행 시, 차체 진동의 개선을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성능이 향상되며, 동력전달계의 소음 및 진동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4)

  1. 전방의 변속기 출력축과 연결되는 프론트 프로펠러 샤프트와, 후방의 리어액슬의 피니언 샤프트와 연결되는 리어 프로펠러 샤프트를 회전 지지하는 센터 베어링을 차체에 지지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에 있어서,
    차체의 프레임 크로스 멤버의 양측에 구성되는 서포트 브라켓;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상단에 차체 전후방향으로 구성되며, 차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하여 경사지게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 상에는 일정구간 슬롯을 형성하는 경사 가이더;
    상기 센터 베어링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양단부에는 체결 브라켓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체결 브라켓의 하단면 일측에는 상기 경사 가이더의 슬롯을 통하여 설치되어 그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는 슬롯 가이드 바를 일체로 형성하는 마운터;
    상기 서포트 브라켓과 상기 마운터의 체결 브라켓 사이의 양측에 개재되는 하부 러버;
    상기 마운터의 체결 브라켓 상부면에 구성되는 상부 러버;
    상기 상부 러버의 상부면에 구성되는 체결부시;
    상기 체결부시와 상부 러버, 체결 브라켓 및 하부 러버의 양측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서포트 브라켓에 장착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체결볼트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하부면에 대하여 그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되,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하부면과 너트 사이에는 지지스프링을 개재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러버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러버는 원통형상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
KR1020060126567A 2006-12-12 2006-12-12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 KR100802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567A KR100802953B1 (ko) 2006-12-12 2006-12-12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567A KR100802953B1 (ko) 2006-12-12 2006-12-12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953B1 true KR100802953B1 (ko) 2008-02-14

Family

ID=3934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567A KR100802953B1 (ko) 2006-12-12 2006-12-12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9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9725U (ja) 1983-10-20 1985-05-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プロペラシヤフト支持装置
JPS6441729U (ko) 1987-09-09 1989-03-13
JPH01128422U (ko) * 1988-02-26 1989-09-01
KR20040055067A (ko) * 2002-12-20 2004-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 마운팅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9725U (ja) 1983-10-20 1985-05-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プロペラシヤフト支持装置
JPS6441729U (ko) 1987-09-09 1989-03-13
JPH01128422U (ko) * 1988-02-26 1989-09-01
KR20040055067A (ko) * 2002-12-20 2004-06-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프로펠러샤프트 센터베어링 마운팅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810B1 (ko) Rr형 전기차의 후륜 현가장치
US10343511B2 (en) Vehicle in-wheel motor drive device
KR100897787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웜축 유격보상장치
KR100802953B1 (ko) 프로펠러 샤프트용 센터 베어링 마운팅장치
KR102451989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
KR100695450B1 (ko) 웜 기어 유격 보상 장치를 구비한 전동식 동력 보조조향장치
CN109849652A (zh) 具有外侧等速万向节的机动车辆的动力传动系统的横向驱动轴
JP3429649B2 (ja) ギヤボックスの支持装置
JP2005153559A (ja) 車両用パワーユニットの支持装置
JPS6235601Y2 (ko)
JP2006281988A (ja) 防振装置
JP2550342B2 (ja) 車両用パワ−プラント体の支持構造
JP3591210B2 (ja) 四輪駆動車のトランスファ固定装置
JPS6212418A (ja) 横置式パワ−ユニツトの支持構造
JPH11117994A (ja) ギヤボックスのマウント装置
KR20240058326A (ko) 자동차의 파워트레인 마운팅용 인슐레이터 구조
KR960007930Y1 (ko) 후륜구동 자동차의 차동기 진동 방지 구조
KR20030041515A (ko) 종감속 차동장치의 드라이브 샤프트
KR100448821B1 (ko) 자동차의 추진축용 센터 베어링
KR940007416Y1 (ko) 자동차용 진동흡수 댐퍼
JPH0517048B2 (ko)
KR20080066109A (ko) 트랜스미션 기어축 이완방지 고정 브라켓
JP2006213179A (ja) 電気自動車用吸振装置及び電気自動車
KR0184835B1 (ko) 추진축 지지 브라켓
JPH06270704A (ja) 車両の差動装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