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599B1 - 방범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범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599B1
KR100802599B1 KR1020070003147A KR20070003147A KR100802599B1 KR 100802599 B1 KR100802599 B1 KR 100802599B1 KR 1020070003147 A KR1020070003147 A KR 1020070003147A KR 20070003147 A KR20070003147 A KR 20070003147A KR 100802599 B1 KR100802599 B1 KR 100802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tmf
communication module
sensor
slav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07000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00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 G08B1/08Systems for signalling characterised solely by the form of transmission of the signal using electric transmission ; transformation of alarm signals to electrical signals from a different medium, e.g. transmission of an electric alarm signal upon detection of an audible alarm sign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DTMF 통신 기능이 있는 제1 센서, 제1 센서의 신호를 감지 및 제어하는 방범 컨트롤러, 제1 센서와 방범 컨트롤러간에 연결되어, 제1 센서로 전원을 공급하고, 제1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제1 라인 및 제1 센서의 정보를 방범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제2 라인을 포함한다.
DTMF, 센서 통신 모듈, 어드레스, 감지 신호

Description

방범 시스템 및 제어방법 {CRIME PREVEN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도 1은 종래 방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방범 컨트롤러와 센서 간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aster DTMF 통신 모듈로부터 발생하는 리셋펄스 및 제어 펄스와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의 응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의 제2 센서 감지 상태에 따른 DTMF 신호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방범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센서의 정보 전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범 시스템은 특정 공간, 예를 들어 사무실이나 일반 가정 등의 건물 내부에 외부적인 침입을 감지 할 수 있는 센서와 이를 통해 감지된 신호를 모아서 방범을 대행하는 관제소로 전달 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갖춘 기기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방범 시스템에서는 방범 컨트롤러가 직접 전원 라인을 통해 센서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 경우, 방범 시스템을 설치 할 때, 전원 라인 및 별도의 신호 라인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 비용이 비싸다.
종래 방범 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방범 시스템 내의 방범 컨트롤러(100)의 루프(Loop)단 감지 방법을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종래의 방범 시스템은 방범 컨트롤러(100), B단(101), M단(102), 센서(10,20,30) 및 종단 저항(40)을 포함한다. 센서(10, 20)은 경계 시 쇼트(short)되어 있고, 센서(30)는 오픈(open)되어 있어, 센서(10), 센선(20) 및 종단 저항(40)으로 이루어지는 루프(Loop)를 형성한다. 이 때, 쇼트(short) 상태인 센서(10, 20)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쇼트(short)신호라 하고, 오픈(open) 상태인 센서(30)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오픈(open)신호라 한다. 방범 지역에 이상이 감지되면, 센서(10) 및 센서(20)는 오픈(open) 되고, 센서(30)는 쇼트(short) 된다. 종단 저항(40)은 센서(30)에 병렬 연결되며, 정상 상태의 기준 전압 레벨을 제공한다.
방범 컨트롤러(100)는 센서(10,20,30)에서 발생 하는 접점 신호와 종단 저항(40)의 조합을 이용하여 B단(101)에 전압을 공급 시 M단(102)에 인가되는 전압 레벨을 이용하여 루프(Loop)단에 연결된 센서(10, 20, 30) 출력의 상태를 인식한다. 루프(Loop)단에 설치 된 센서(10, 20, 30)는 경계 시에 종단 저항(40) 및 M단(102) 내부에 구성된 감지 회로의 임피던스에 의해서 일정 전압 레벨을 유지 하 고 있다. 여기서 센서(10)가 변화를 감지 하면, 센서(10, 20)의 상태는 오픈(open)이 되어 B단(101)과 M단(102) 루프(Loop)간의 전압 공급이 중단되어 M단(102)에 전압 변동이 일어난다. 그러면, 방범 컨트롤러(100)는 전압 변동이 일어난 신호를 오픈(open)으로 감지 한다. 또한, 센서(30)는 변화를 감지하면, 쇼트(short)되어, B단(101)과 M단(102) 사이에 전압 변동이 일어난다. 그러면, 방범 컨트롤러(100)는 전압 변동을 감지 하여 신호를 쇼트(short)로 감지 한다.
이처럼 루프(Loop)단을 이용한 신호 감지 방법은 센서(10, 20, 30)의 단순한 감지 유무 상태만을 인식 할 수 있으며, 방범 컨트롤러(100)가 센서(10, 20, 30)에 제어 및 자동 감도 설정 등의 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 그러면 루프(Loop)단을 이용한 신호 감지 방법은 다양한 설치 환경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경보 신호에 대응이 미흡하다. 그리고, 센서(10, 20, 30)의 이상 상태 등과 같이 방범 시스템에 발생할 수 있는 이상 여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다.
이와 같이, 기존의 방범 시스템에서 방범 컨트롤러(100)와 센서의 연결 방법은 한 개의 루프(Loop)단에 여러 개의 센서가 연결되어 있어, 어떤 센서에서 경보 신호가 발생 하였는지 감지하기 어려우며, 적어도 두 개의 센서에서 동시에 경보 신호가 발생 할 경우 어떤 센서에서 경보 신호가 발생하였는지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정확하게 센서의 다양한 정보를 인식 할 수 있고, 다양한 설치 환경에 의한 잘못된 경보 신호의 발생을 방지 할 수 있는 방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방범 시스템은 DTMF 통신 기능이 있는 제1 센서, 상기 제1 센서의 신호를 감지 및 제어하는 방범 컨트롤러,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방범 컨트롤러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서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제1 라인 및 상기 제1 센서의 정보를 상기 방범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제2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방범 컨트롤러는 상기 DTMF 신호를 감지하는 Master DTMF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Master DTMF 통신 모듈은,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 시키는 제어 신호 발생기 및 상기 DTMF 신호를 인식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제2 센서, 상기 복수의 제2 센서와 상기 Master DTMF 통신 모듈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범 컨트롤러와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1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제3라인을 더 포함한다.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제어 신호를 인식하는 인식회로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의 정보를 DTMF 신호로 보내는 DTMF 신호 발생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Master DTMF 통신 모듈은, 상기 제어신호는 리셋 펄스 및 제어 펄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이 발생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의 개수 및 어드레스를 인식한다.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리셋 펄스 인식 후에, 상기 제 어 펄스를 인식 및 카운터 하여,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어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센서의 정보를 상기 Master DTMF 통신 모듈로 송신하고, 상기 방범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제2 센서의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센서가 정상 상태 이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자신의 어드레스에 따라 제1 응답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정상 상태에서 이상 상태를 감지 하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자신의 어드레스에 따라 제2 응답 신호를 소정의 수만큼 연속 송출하며, 상기 이상 상태에서 상기 정상 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자신의 어드레스에 따라 제1 응답 신호를 소정의 수만큼 송출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응답 신호는 DTMF 신호 방식의 신호이다. 상기 이상 상태를 감지 한 후, 이상 상태가 유지되면, 상기 제2 응답 신호를 1회 송출한다. 또한, 상기 이상 상태에서 상기 정상 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제1 응답 신호를 소정의 수만큼 송출하고, 다음 어드레스에 따라 다시 제1 응답 신호를 1회 송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적어도 두 개의 제1 센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 및 Master DTMF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의 개수 및 어드레스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의 개수 및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 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센서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범 시스템은 제 1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인을 통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라인을 통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로 상기 제어 신호를 공급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이 상기 제1 센서가 정상 상태이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자신의 어드레스에 따라 제1 응답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정상 상태에서 이상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자신의 어드레스에 따라 제2 응답 신호를 소정의 수만큼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상태에서 상기 정상 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자신의 어드레스에 따라 제1 응답 신호를 소정의 수만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상 상태를 감지 한 후, 이상 상태를 유지되면, 제2 응답 신호를 1회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상 상태에서 상기 정상 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제1 응답 신호를 소정의 수만큼 송출하고, 다음 어드레스에 따라 다시 제1 응답 신호를 1회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에 연결된 Master DTMF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방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Master DTMF 통신 모듈이 상기 제1 센서의 어드레스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Master DTMF 통신 모듈이 상기 제1 센서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 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센서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Master DTMF 통신 모듈로 전달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센서는 DTMF 통신 기능이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의 방범 컨트롤러와 센서간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범 시스템은 방범 컨트롤러(100), Master DTMF 통신 모듈(110), 전원 및 신호 라인(200), 복수의 제1 센서(300_1~300_n),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 제2 센서(500_1, 500_2, 500_3)를 포함한다.
먼저, 방범 컨트롤러(100)는 복수의 제1 센서(300_1~300_n)에 연결되어, 복수의 제1 센서(300_1~300_n)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복수의 제1 센서(300_1~300_n)를 제어 한다. 그리고 방범 컨트롤러(100)는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에 연결되어 있으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은 복수의 제2 센 서(500_1, 500_2, 500_3)에 연결되어 복수의 제2 센서(500_1, 500_2, 500_3)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복수의 제2 센서(500_1, 500_2, 500_3)를 제어한다. 이 때, 방범 컨트롤러(100)는 Master DTMF 통신 모듈(110)을 포함하며, Master DTMF 통신 모듈(110)을 이용하여 복수의 제1 센서(300_1~300_n) 및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를 전달 한다.
방범 시스템은 전원 및 신호 라인(200)을 통해 방범 컨트롤러(100)와 복수의 제1 센서(300_1~300_n) 및 방범 컨트롤러(100)와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사이를 연결하고, 전원 및 신호 라인(200)을 통해 복수의 제1 센서(300_1~300_n) 및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에 전원이 공급되며, 전원과 함께 복수의 제1 센서(300_1~300_n) 및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로 제어 신호가 전달 된다. 이때, 방범 컨트롤러(100)가 포함하는 Master DTMF 통신 모듈(110)이 전원 및 신호 라인(200)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며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그리고 신호라인(210)은 복수의 제1 센서(300_1~300_n) 및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의 감지 정보를 DTMF 신호를 이용하여 방범 컨트롤러(100)로 전달한다.
Master DTMF 통신 모듈(110)은 제어 펄스 신호 발생기(111)와 DTMF 신호를 인식 하는 수신기(112)를 포함한다. 제어 펄스 신호 발생기(111)는 제어 신호를 발생 시켜 센서의 상태를 구분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서, 방범 컨트롤러(100)는 제어 펄스 신호 발생기(111)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원 및 신호 라인(200)을 통해 복수의 제1 센서(300_1~300_n)에 전달한다. 그러면 복수의 제1 센서(300_1~300_n) 및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은 신호 라인(210)을 통해 감지 정보를 DTMF 신호를 이용하여 방범 컨트롤러(100)에 전달한다. 여기서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는 저주파수 및 고주파수로 서로 다른 두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전송하는 신호 방식이다.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은 펄스 신호를 인식 하는 인식회로(401), 복수의 제2 센서(500_1, 500_2, 500_3)의 정보를 DTMF 신호로 보내는 DTMF 신호 발생기(402)를 포함한다. 제2 센서(500_1, 500_2, 500_3)는 오픈(open), 쇼트(short)신호 만을 출력할 수 있는 접점 신호 전달 방식의 센서 이다.
복수의 제2 센서(500_1, 500_2, 500_3) 각각의 센싱 정보는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을 통해 Master DTMF 통신 모듈(110)로 전달 한다.
아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Master DTMF 통신 모듈(100)로부터 발생하는 제어 펄스와 방범 컨트롤러가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의 응답 상태를 판단하는 것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aster DTMF 통신 모듈(100)로부터 발생하는 리셋 펄스 및 제어 펄스와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의 응답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은, 1개의 Master DTMF 통신 모듈(110)에 1번부터 5번까지 어드레스가 설정된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설정한다. 방범 컨트롤러(100)가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로 전원을 공급한다.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에 전원이 공급 된 후에, 제어 펄스 신호 발생기(111)는 리셋 펄스(t1) 및 복수의 제어 펄스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 때, 복수의 제어 펄스의 개수는 Master DTMF 통신 모듈(100)에 연결되어 동작 할 수 있는 최대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의 개수와 일치한다. 제어 펄스는 센서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온(on)펄스(t2) 및 오프(off)펄스(t3)를 포함한다. 이때 리셋 펄스(t1), 온 펄스(t2), 및 오프 펄스(t3)는 펄스 폭의 시간으로 구분된다.
그러면, Master DTMF 통신 모듈(110)은 DTMF 신호를 수신하여 몇 번째 순서에서 어떤 신호를 수신하였는지에 따라 몇 번째 어드레스의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이 연결 되어 있는지 감지 한다. 그러면 방범 컨트롤러(100)는 Master DTMF 통신 모듈(110)에 연결되어 있는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의 개수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펄스 신호 발생기(111)는 복수의 제어펄스(1-15)를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에 전달한다.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은 자신의 어드레스 순서에 입력된 제어 펄스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 '0'을 생성하여, Master DTMF 통신 모듈(100)로 전달한다. 어드레스는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 각각에 고유의 순서를 설정한 값을 의미한다. Master DTMF 통신 모듈(100)은 응답 신호 '0'을 수신하고, 방범 컨트롤러(100)는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의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설치되어 있는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의 어드레스 및 개수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은,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을 5개로 설정하였으므로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에서는 5번째 제어 펄스까지 Master DTMF 통신 모듈(110)에서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 '0'이 있고 다음 펄스에는 응답 신호가 없다. 그러면, 방범 컨트롤러(100)는 Master DTMF 통신 모듈(110)의 최대 설치 가능 개수 15개까지 제어 펄스를 발생 시켜, 연결된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의 어드레스 및 개수를 확인한 후, 다음 번 제어 신호는 리셋 펄스 후, 인식된 어드레스 및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의 구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부터 5번의 어드레스에 각각 대응하는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에만 제어 펄스를 송신한다. 리셋 펄스 후에, 어드레스가 4인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은 제어 펄스 3개를 감지 한 후, 그 다음 온(on) 펄스에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에 연결된 복수의 제2 센서들의 센싱 정보를 DTMF 신호를 이용하여 Master DTMF 통신 모듈(110)로 송신한다. 즉, 리셋 펄스 발생 후 5개의 제어 펄스를 발생 하고 다시 리셋 펄스를 발생 시키는 순서로 동작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은 최대 설치 가능한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의 개수를 15개로 설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 되지 않으며, 최대 설치 가능한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개수는 소비 전류 등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설정 한다.
도 4는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의 제2 센서(500_1, 500_2, 500_3) 감지 상태에 따른 DTMF 신호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은 1개의 Master DTMF 통신 모듈(110)은 1개의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이 연결 되고, 어드레스는 1번으로 설정 한다.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 해, 하나의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만이 동작 하는 것을 설명 하였으나, 복수의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이 연결되어 동작 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1 센서(300_1~300_n) 각각은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과 동일하게 동작 한다.
예를 들면, 구간 T11에서,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은 제2 센서(500_1, 500_2, 500_3)가 정상 상태이면, 자신의 어드레스 순서에 입력된 제어 펄스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 '0'을 송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의 정상 상태는 센서의 감지 대상 영역에 감지되는 이상 징후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구간 T12에서,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은 제2 센서(500_1, 500_2, 500_3)가 이상을 감지하여 정상 상태에서 이상 상태로 변경되면, 응답 신호 '1'의신호를 3회 연속 송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센서(500_1, 500_2, 500_3)의 이상 상태는 센서의 감지 대상 영역에 감지되는 이상 징후를 감지한 상태를 의미한다.
그 후에 구간 T13 및 구간 T14에서, 제2 센서(500_1, 500_2, 500_3)가 이상 상태를 유지 하는 경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은 자신의 어드레스 순서에 계속해서 응답 신호 '1'을 1회씩 송출한다.
구간 T15에서, 제2 센서(500_1, 500_2, 500_3)의 상태가 이상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전환 된 후,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은 자신의 어드레스 순서가 되었을 때 응답 신호 '0'을 2회 송출한다.
그 후 구간 T16에서,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은 제2 센서(500_1, 500_2, 500_3)가 정상 상태인 경우, 자신의 어드레스 순서에서 다시 응답 신호 '0'을 1회 송출 한다. 그러나 다시 이상 상태가 되면, 구간 T16에서 응답 신호 '1'을 연속적으로 3번 방범 컨트롤러(100)로 송출한다. 그러면, 정상 상태 또는 이상 상태로의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 할 수 있다. 또한, DTMF 신호는 16개의 정보 표현이 가능하며, 방범 컨트롤러(100)는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은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제2 센서(500_1, 500_2, 500_3)의 여러 가지 상태 정보를 방범 컨트롤러(100)로 전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에서, 복수의 제1 센서(300_1~300_n)는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과 같이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상태 정보를 방범 컨트롤러(100)로 전달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300_1~300_n) 및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400)은 단지 정상 및 이상의 2가지 상태를 '0', '1'의 응답 신호로 표현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센서(300_1~300_n) 및 제2 센서(500_1, 500_2, 500_3)의 여러 가지 상태 정보로서, 센서의 감지 동작 이외의 정보, 자기 진단 이상, 탈락 정보 등을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방범 시스템의 컨트롤러와 센서간의 통신 방식에서 센서의 전원 공급과 통신 라인을 공유하여 센서를 제어 및 정보를 전달 함으로써 공사상 설치 라인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DTMF 신호를 이용하여 감지 및 무 감지 이외의 다양한 센서의 정보를 컨트롤러에 전달 할 수 있다.
그리고, 방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은 정확한 센서의 상태를 파악 할 수 있으므로 잘못된 경보 신호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최적의 방범 서비스를 제공한다.

Claims (19)

  1. DTMF 통신 기능이 있는 제1 센서;
    상기 제1 센서의 신호를 감지 및 제어하는 방범 컨트롤러;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방범 컨트롤러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센서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1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제1 라인; 및
    상기 제1 센서의 정보를 상기 방범 컨트롤러로 전달하는 제2 라인
    을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 컨트롤러는
    상기 DTMF 신호를 감지하는 Master DTMF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Master DTMF 통신 모듈은,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 신호 발생기; 및
    상기 DTMF 신호를 인식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2 센서;
    상기 복수의 제2 센서와 상기 Master DTMF 통신 모듈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범 컨트롤러와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1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제3라인을 더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제어 신호를 인식하는 인식회로; 및
    상기 복수의 제2 센서의 정보를 DTMF 신호로 보내는 DTMF 신호 발생기
    를 더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aster DTMF 통신 모듈은,
    상기 제어신호는 리셋 펄스 및 제어 펄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이 발생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의 개수 및 어드레스를 인식하는 방범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리셋 펄스 인식 후에, 상기 제어 펄스를 인식 및 카운터 하여,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어 펄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제2 센서의 정보를 상기 Master DTMF 통신 모듈로 송신하고,
    상기 방범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제2 센서의 상태를 감지하는 방범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센서가 정상 상태 이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자신의 어드레스에 따라 제1 응답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정상 상태에서 이상 상태를 감지 하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자신의 어드레스에 따라 제2 응답 신호를 소정의 수만큼 연속 송출하며,
    상기 이상 상태에서 상기 정상 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자신의 어드레스에 따라 제1 응답 신호를 소정의 수만큼 송출하는 방범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응답 신호는 DTMF 신호 방식의 신호인 방범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태를 감지 한 후, 이상 상태가 유지되면,
    상기 제2 응답 신호를 1회 송출하는 방범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태에서 상기 정상 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제1 응답 신호를 소정의 수만큼 송출하고, 다음 어드레스에 따라 다시 제1 응답 신호를 1회 송출하는 방범 시스템.
  12. 적어도 두 개의 제1 센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 및 Master DTMF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의 개수 및 어드레스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의 개수 및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 하여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센서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의 제어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1 센서는 한 개의 루프 단을 구성하는 방범 시스템의 제어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범 시스템은 제 1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라인을 통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라인을 통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로 상기 제어 신호를 공급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의 제어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이
    상기 제1 센서가 정상 상태 이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자신의 어드레스에 따라 제1 응답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정상 상태에서 이상 상태를 감지 하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자신의 어드레스에 따라 제2 응답 신호를 소정의 수만큼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상태에서 상기 정상 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Slave DTMF 센서 통신 모듈은 상기 자신의 어드레스에 따라 제1 응답 신호를 소정의 수만큼 송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의 제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태를 감지 한 후, 이상 상태를 유지되면,
    제2 응답 신호를 1회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의 제어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상태에서 상기 정상 상태로 복귀하면,
    상기 제1 응답 신호를 소정의 수만큼 송출하고, 다음 어드레스에 따라 다시 제1 응답 신호를 1회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의 제어 방법.
  18. 적어도 하나의 제1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에 연결된 Master DTMF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방법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Master DTMF 통신 모듈이 상기 제1 센서의 어드레스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Master DTMF 통신 모듈이 상기 제1 센서의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센서가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센서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Master DTMF 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범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DTMF 통신 기능이 있는 방범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070003147A 2007-01-11 2007-01-11 방범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0802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147A KR100802599B1 (ko) 2007-01-11 2007-01-11 방범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147A KR100802599B1 (ko) 2007-01-11 2007-01-11 방범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599B1 true KR100802599B1 (ko) 2008-02-13

Family

ID=39342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147A KR100802599B1 (ko) 2007-01-11 2007-01-11 방범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59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361A (ja) 1999-04-05 2000-10-20 Nitsuko Corp データ集配信端末の伝送方式
JP2003060658A (ja) 2001-08-16 2003-02-28 Nec Miyagi Ltd オーダーワイヤ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障害検出方法
JP2005242614A (ja) 2004-02-26 2005-09-08 Hochiki Corp 火災報知システム
JP2006065552A (ja) 2004-08-26 2006-03-09 Hochiki Corp 火災報知システム
KR20060078229A (ko) * 2004-12-30 2006-07-05 주식회사 케이티 무인 방범 장치의 센서 배선 방법
JP2006285501A (ja) 2005-03-31 2006-10-19 Nohmi Bosai Ltd 火災感知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361A (ja) 1999-04-05 2000-10-20 Nitsuko Corp データ集配信端末の伝送方式
JP2003060658A (ja) 2001-08-16 2003-02-28 Nec Miyagi Ltd オーダーワイヤ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障害検出方法
JP2005242614A (ja) 2004-02-26 2005-09-08 Hochiki Corp 火災報知システム
JP2006065552A (ja) 2004-08-26 2006-03-09 Hochiki Corp 火災報知システム
KR20060078229A (ko) * 2004-12-30 2006-07-05 주식회사 케이티 무인 방범 장치의 센서 배선 방법
JP2006285501A (ja) 2005-03-31 2006-10-19 Nohmi Bosai Ltd 火災感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0861B1 (en) Industrial field devic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KR101526413B1 (ko) 트랜시버 ic 및 그 동작 방법
US7911967B2 (en) Control and monitor signal transmission system
KR101932892B1 (ko) 다중 리크 및 화재 감지 장치
US9454892B2 (en) Device to monitor a sound generator, in particular an alarm sound generator, and a corresponding sound generator, and a related method
JP2013143145A (ja) トランスミッタの監視方法および対応するトランスミッタ
KR101718222B1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US11169491B2 (en) Safety switch
CA2250675C (en) On/off control device for power source unit
US20100145478A1 (en) Field device
KR100802599B1 (ko) 방범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70122483A (ko) 통신 네트워크 감지 시스템
JP6205357B2 (ja) 設定および/または問合せの目的のための通信方法ならびにそれを実装するシステム
CA2665937C (en) System and method of double address detection
JP5606376B2 (ja) 火災報知設備
EP1149370B1 (en) Dual mode panel
EP3404928B1 (en) Improved electronic unit for controlling fire sensors
KR20110101014A (ko) P형 화재수신기용 중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p형 화재수신기의 신호 전달방법
JPH10122900A (ja) 断線検知機能を有する信号処理装置
KR102656034B1 (ko) 주차 관제용 구역제어기 고장방지장치
KR20110058984A (ko) 선박의 무선 화재 관리시스템 장치
KR20190018365A (ko) 2선 무극선 통신시스템
JP5507413B2 (ja) 感知器ベースおよび監視システム
GB2476587A (en) Control system with extended control signal
JPS636697A (ja) 環境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