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018B1 -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018B1
KR100802018B1 KR1020060065067A KR20060065067A KR100802018B1 KR 100802018 B1 KR100802018 B1 KR 100802018B1 KR 1020060065067 A KR1020060065067 A KR 1020060065067A KR 20060065067 A KR20060065067 A KR 20060065067A KR 100802018 B1 KR100802018 B1 KR 100802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load
out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212A (ko
Inventor
강홍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5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018B1/ko
Publication of KR20080006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more than one ouput with independent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02J1/102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being switch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285Single converters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이다. 이 전원 공급 장치는 복수 전기 부하 중 어느 하나의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부하 측에서 부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부하 측에 마련한 부하 저항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여 직류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 다단 출력부
30, 40 : 평활부
200 : 마이컴
210 : 제1부하 저항
220 : 제2부하 저항
230 : 전압 검출부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 출력하는 직류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 부하측에서 부하 변동이 발생하여도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전 제품과 퍼스널 컴퓨터(PC)에는 서로 다른 직류 전원을 요구하는 각종 전기 부하를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이 기기에서는 전원 공급 장치로서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서로 다른 전압의 여러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그러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도이다.
교류전원 평활부(10)는 브리지 정류기(11)와 평활 캐패시터(12)를 통하여 교류전원(AC)을 정류 및 평활한 후 다단 출력부(20)에 인가한다.
다단 출력부(20)는 정류된 전원을 인가받아 제1직류 전원(Vd1)과 제2직류 전원(Vd2)을 출력하는 트랜스(21) 및 출력 조절용 트랜지스터(25)를 구비한다. 트랜스(21)는 1차 코일(22)과 복수 2차 코일(23)(24)의 권선 수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의 제1 및 직류 전원(Vd1)(Vd2)을 출력하는데, 예를 들어 제1직류 전원(Vd1)은 12V이고 제2직류 전원(Vd2)은 5V이다. 출력 조절용 트랜지스터(25)는 1차 코일(22)에 연결되어 후술하는 PWM 제어부(50)에 의하여 on, off 스위칭하는 것으로, 제1 및 제2직류전원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단 출력부(20)의 제1 및 제2직류전원(Vd1)(Vd2)은 제1 및 제2직류전원 평활부(30)(40)에 각각 인가된다. 제1 및 제2직류전원 평활부(30)(40)는 다이오드(31, 41)와 캐패시터(32, 42)를 각각 구비하여 입력되는 각 직류 전원의 리플을 제거하여 출력한다.
제1전기부하 그룹(70)은 제1직류전원(Vd1)을 사용하는 전기부하(L1, L2, L3)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이들 전기 부하(L1, L2, L3)는 스텝핑 모터, 전기 집진 기, 이온 발생기 등이 해당한다.
제2전기부하 그룹(90)은 제2직류전원(Vd2)을 사용하는 전기부하(L4, L5)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이들 전기부하(L4, L5)는 가스 센서, LED 등이 해당한다.
마이컴(100)도 제2직류전원(Vd2)을 인가 받아 구동하며 기기 전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제1 및 제2전기부하 그룹(70)(90)은 각각 마이컴(100)에 의해 제어되는 제1 및 제2릴레이부(60)(80)를 통해 제1 및 제2직류전원(Vd1)(Vd2)을 인가받도록 되어 있다. 마이컴(100)은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운전 명령을 입력받고, 작동이 요구되는 전기 부하에 직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릴레이 구동부(110)에 제어 명령을 인가하고, 릴레이 구동부(110)는 제어 명령에 따라 제1릴레이부(60)의 제1 내지 제3릴레이(61,62,63) 또는 제2릴레이부(80)의 제3, 4릴레이(81, 82)를 선택적으로 가동하거나 복수 개를 동시에 가동시켜서 제1직류 전원(Vd1) 또는/및 제2직류전원(Vd2)을 해당 전기 부하에 공급하게 한다.
기기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00)에 인가되는 제2직류 전원(Vd2)은 신뢰성 확보를 위해 전압 변동이 매우 적게 하여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PWM 제어부(50)는 마이컴(100)에 인가되는 제2직류 전원(Vd2)이 안정화되도록 이 제2직류전원을 입력으로 하여 다단 출력부(20)의 트랜지스터(25)를 스위칭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기부하(L4, L5)의 가동으로 인하여 제2직류전원(Vd2)이 전압 강하하여 적정 전압(5V)보다 낮아지면, PWM 제어부(50)는 다단 출력부(20)의 출력이 증가하도록 출력 조절용 트랜지스터(25)의 베이스에 스위칭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턴 온 시간을 증가하도록 하고, 한편 제2직류전원(Vd2)이 전압 상승하여 적정 전압(5V)보다 높아지면, PWM 제어부(50)는 다단 출력부(20)의 출력이 감소하도록 출력 조절용 트랜지스터(25)의 베이스에 스위칭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턴 온 시간을 감소하도록 하여 제2직류 전원(Vd2)이 적정 전압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PWM 제어부(50)에 의하여 마이컴(100)에 인가되는 제2직류 전원(Vd2)은 안정화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제2직류 전원(Vd2)의 전압에 의존하여 PWM 제어부(50)가 다단 출력부(20)의 출력을 가변하기 때문에 제2직류 전원(Vd2)을 안정화시킬 수 있을 뿐 그 다단 출력부(20)에서 출력되는 제1직류 전원(Vd1)도 변화함에 따라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제2직류 전원이 전압 강하하여 PWM 제어부(50)에 의해 다단 출력부(20)의 출력을 증가하면 제2직류 전원뿐만 아니라 제1직류 전원도 출력 전압이 증가한다. 이때 전기 부하(L1, L2, L3)를 가동하지 않는 대기 모드라고 하면, 불필요하게 전압이 증가된 제1직류 전원(Vd1)을 릴레이부(60)에 인가된다. 이 때문에 릴레이부(60)의 제1 내지 제3릴레이(61, 62, 63)는 전기적인 스트레스를 받아서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어서 릴레이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다른 예로 제2직류 전원이 전압 상승하여 PWM 제어부(50)에 의해 다단 출력부(20)의 출력을 감소하면 제2직류 전원뿐만 아니라 제1직류 전원도 출력 전압이 감소한다. 그 결과 전기 부하(L1, L2, L3)를 모두 가동하여 최대 출력을 발생하고 있는 도중에 적정 전압 보다 낮은 제1직류 전원이 릴레이구동부(60)를 통하여 전기 부하에 공급되는 결과를 초래함에 따라 전기 부하를 정상 동작시킬 수 없게 되므로 기기 작동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전기 부하 중 어느 하나의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부하 측에서 부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부하 측에 마련한 부하 저항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여 직류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 전기 부하에 직류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된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서로 다른 제1 및 제2직류 전원을 출력하고, 상기 제2직류 전원의 전압에 따라 그 출력을 가변하는 출력 가변부; 상기 출력 가변부에서 출력하는 제2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을 소모하는 부하 저항부; 및 상기 제1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부하 측의 부하 변동을 판단하여 상기 출력 가변부와 상기 전기부하 사이에 상기 부하 저항부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하 저항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에 직렬 연결된 부하 저항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운전 명령에 따라 가동하는 전기 부하의 개수에 따 라 상기 전기 부하 측의 부하 변동을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부하가 모두 가동하지 않는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부하 저항부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상기 제1직류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검출부의 검출 전압에 따라 상기 전기 부하 측의 부하 변동을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부하가 모두 가동하지 않는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전압 검출부와 상기 제1직류 전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상기 출력 가변부는 1차 코일과 복수 2차 코일의 권선 수에 따라 제1 및 제2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트랜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2차 코일 중 상단 2차 코일의 권선 수는 상기 제1직류 전원의 최소 출력에 대응하여 설정하고, 하단 2차 코일의 권선 수는 상기 제2직류 전원의 최대 출력에 대응하여 설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구성도로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인용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도 1의 구성과 같이, 교류 전원(AC)을 정류 및 평활하는 교류전원 평활부(10), 다단 출력부(20), 제1 및 제2직류전원 평활부(30)(40), PWM 제어부(50), 릴레이부(60)(80), 제1 및 제2전기부하 그 룹(70)(90), 릴레이 구동부(110)를 구비한다.
상기 다단 출력부(20)는 정류된 전원을 인가받아 제1직류 전원(Vd1)과 제2직류 전원(Vd2)을 출력하는 트랜스(21) 및 출력 조절용 트랜지스터(25)를 구비하는 구성은 종전과 같다. 상기 트랜스(21)는 1차 코일(22)과 복수 2차 코일(23-1)(24)을 구성함에 있어서, 1차 코일(22)의 권선 수와 제2직류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트랜스 하단의 2차 코일(24)의 권선 수는 종전과 같게 하고 제1직류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트랜스 상단의 2차 코일(23-1)의 권선 수는 종전과 다르게 한다.
제1직류 전원이 최소 출력이 되도록 트랜스 상단의 2차 코일(23-1)의 권선 수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1직류 전원의 최소 출력은 제1전기부하 그룹(70)의 전기부하(L1, L2, L3)를 가동하지 않은 대기 모드에 사용하기에 적정한 정도로 한다.
제2직류 전원이 최대 출력이 되도록 트랜스 하단의 2차 코일(24)의 권선 수를 종전과 같이 설정하는데, 제2전기 부하그룹(90)의 전기 부하(L4, L5)를 모두 가동하기에 적정한 정도로 한다.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도 1의 구성에 더하여 제2직류 전원(Vd2)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부하 저항부(210)와 제2부하 저항부(220),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부하 저항부(210)(220)를 제어하는 마이컴(200)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부하 저항부(210)(220)는 제1직류 전원(Vd1)의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직류 전원(Vd2)을 입력받아 전력을 소모하는 부하 저항의 역할을 한다.
제1 및 제2부하 저항부(210)(220)가 부하 저항으로 작용하면 제2직류 전원에 의한 전력을 소모하고, 이에 따라 제2직류 전원이 전압 강하됨에 따라 PWM 제어부(50)로 하여금 다단 출력부(20)의 출력을 증가하는 방향으로 트랜지스터(25)를 제어하게 되도록 한다.
제1부하 저항부(210)는 상기 마이컴(200)에 의해 스위칭 제어되는 제1스위치(211), 제1스위치(211)에 직렬 연결되는 제1 및 제2부하 저항(212)(213)을 구비한다. 제2부하 저항부(220)는 상기 마이컴(200)에 의해 스위칭 제어되는 제2스위치(221), 제2스위치(221)에 직렬 연결되는 제3 및 제4부하 저항(222)(223)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스위치(211)(221)는 마이컴(200)에 베이스단이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기기에 교류 전원(AC)을 투입하면, 다단 출력부(20)는 최소 출력(예를 들어 12V)의 제1직류 전원(Vd1)과 최대 출력(예를 들어 5V)의 제2직류전원(Vd2)을 각각 출력한다. 이때 제1 및 제2스위치(211)(221)는 오프 되어 있다.
마이컴(200)은 초기화 운전을 수행하고 나서, 도시하지 않은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운전 명령에 따라 기기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마이컴(200)에 인가되는 제2직류 전원(Vd2)은 신뢰성 확보를 위해 전압 변동이 매우 적게 하여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제2직류 전원(Vd2)의 전압 강하 또는 전압 상승하면, PWM 제어부(50)는 마이컴(200)에 인가되는 제2직류 전원(Vd2)이 안정화되도록 다단 출력부(20)의 트랜지스터(25)를 스위칭 제어한다. 이때 제1직류 전원(Vd1)은 최소 출력으로 초기 설정되어 있어서 출력 전압의 변동이 있어도 릴레이부(60)에 악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 는다.
한편, 사용자의 운전 명령을 해석한 결과 제1전기부하 그룹의 전기 부하(L1, L2, L3)를 가동할 필요가 있으면, 마이컴(200)은 제1 및 제2부하 저항부(210)(220) 중 적어도 하나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가동하는 제1전기 부하 그룹의 전기 부하가 많을수록 제1직류 전원의 전압 강하가 커진다. 따라서 전압 강하가 크면 제1 및 제2부하 저항부(210)(220)를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전압 강하가 적으면 어느 하나의 부하 저항부만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운전 명령을 해석한 결과 전기 부하(L1, L2, L3)를 모두 가동하는 경우 마이컴(200)은 제1 및 제2스위치(211)(221)를 모두 턴 온시킨다. 제2직류 전원(Vd2)의 일단은 제1 및 제2부하 저항부(210)(220)에 공급된다. 제1 및 제2부하 저항부(210)(220)는 전력을 소모하는 부하 저항의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제2직류 전원(Vd2)이 대폭 전압 강하되고, PWM 제어부(50)에 의해 다단 출력부(20)의 출력이 대폭 증가한다. 그 결과 제1직류 전원(Vd1)의 출력은 가동하는 전기 부하의 개수에 적절하게 증가된다. 그런 다음 마이컴(200)은 전기 부하(L1, L2, L3)를 모두 가동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릴레이 구동부(110)에 인가하고, 릴레이 구동부(110)는 릴레이(61,62,63)를 모두 온시킨다. 출력이 증가된 제1직류 전원(Vd1)은 릴레이(61,62,63)를 통하여 전기 부하(L1, L2, L3)에 각각 공급된다.
이후 가동하는 전기부하(L1, L2, L3)의 개수를 줄이기 위한 사용자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그에 상응하여 어느 하나 즉 제1부하 저항부(210)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이컴(200)은 제1스위치(211)를 턴 오프한다. 이에 따라 제2부하 저항부(220)만 부하 저항의 역할을 한다. 그에 따른 제2직류 전원(Vd2)에 기초하여 PWM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는 다단 출력부(20)의 출력은 줄어든다. 이때 가동하는 전기 부하의 개수가 줄어든 만큼 제1직류 전원(Vd1)이 나타난다.
제1전기부하 그룹(70)의 모든 전기부하(L1, L2, L3)를 가동 정지하기 위한 대기 모드인 경우, 마이컴(200)은 제1 및 제2부하 저항부(210)(220)의 제1 및 제2스위치(211)(221)를 모두 턴 오프한다. 대기 모드에서 제1 및 제2부하 저항부(210)(20)는 부하 저항의 역할을 하지 않아서 불필요한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운전 명령을 해석하여 가동하는 전기 부하의 개수에 따라 제1직류 전원이 전압 강하되는 정도를 미리 설정해 두고 이를 토대로 하여 제1 및 제2부하 저항부(210)(220)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였으나,
전기 부하의 개수가 많은 경우 가동하는 전기 부하의 조합에 따른 유형이 여러 가지가 있고 이러한 여러 가지 유형마다 제1직류 전원의 전압 강하를 사전에 체크해 두고 이를 토대로 하여 제1 및 제2 부하 저항부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여야 하는 부담이 따른다.
후술하는 도 3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직류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이용하여 그 검출 결과에 따라 제1 및 제2부하 저항부(210)(220)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대상으로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도록 한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도 2의 구성에 더하여 제1직류전원(Vd1)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230)을 추가로 구비한다. 전압 검출부(230)는 마이컴(300)에 베이스단에 연결되는 제3스위치(231)과 제1 및 제2분압 저항(232)(233)을 구비한다. 제1분압 저항(232)과 제2분압 저항(233)의 분기점은 마이컴(300)에 연결되어 제1직류 전원(Vd1)의 검출 전압을 제공한다.
교류 전원(AC)을 투입하면 다단 출력부(20)는 최소 출력(예를 들어 12V)의 제1직류 전원(Vd1)과 최대 출력(예를 들어 5V)의 제2직류전원(Vd2)을 각각 출력한다. 이때 제1 및 제2스위치(211)(221)는 오프 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입력부를 통하여 제1전기부하 그룹(70)의 전기부하(L1, L2, L3)를 가동하기 위한 사용자의 운전 명령이 입력되면, 마이컴(300)은 제3스위치(231)를 온 시킨다. 또한 마이컴(300)은 사용자 운전 명령에 따라 제어명령을 릴레이구동부(110)에 인가하여 제1그룹의 전기 부하(L1, L2, L3)를 가동하게 된다.
전기 부하의 가동에 따라 제1직류 전원(Vd1)이 전압 강하된다. 전압 검출부(230)는 전압 강하된 검출 전압을 마이컴(300)에 인가한다. 이때 마이컴(300)은 제1직류 전원(Vd1)의 전압을 검출한 결과 전압 강하가 크면 제1 및 제2부하 저항부(210)(220) 모두 전기적 연결하고 전압 강하가 작으면 어느 하나를 전기적 연결한다.
전기부하(L1, L2, L3)를 모두 가동하지 않는 대기 모드에서 제1직류 전원이 전압 상승하고 마이컴(300)은 전압 검출부(230)를 통해 검출한 전압에 의해 이를 인식하고 제1 및 제2부하 저항부(210)(220)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기 위해 제1 및 제2스위치(211)(221)를 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제1직류 전원(Vd1)은 최소 출력으로 감소하여 대기 모드에 적정한 상태로 된다. 또한 마이컴(300)은 제3스위치(231)를 오프시켜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직류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 부하 측에 마련한 부하 저항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소모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전기 부하에 적정 전압의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직류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여 부하 변동의 크기를 판단하여 부하 저항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할 수 있어서 전기 부하에 적정 전압의 직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대기 모드에서는 부하 저항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과 아울러 직류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회로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복수 전기 부하에 직류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된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서로 다른 제1 및 제2직류 전원을 출력하고, 상기 제2직류 전원의 전압에 따라 그 출력을 가변하는 출력 가변부; 상기 출력 가변부에서 출력하는 제2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전력을 소모하는 부하 저항부; 및 상기 제1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부하 측의 부하 변동을 판단하여 상기 출력 가변부와 상기 전기부하 사이에 상기 부하 저항부를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 저항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에 직렬 연결된 부하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운전 명령에 따라 가동하는 전기 부하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전기 부하 측의 부하 변동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부하가 모두 가동하지 않는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부하 저항부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류 전원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검출부의 검출 전압에 따라 상기 전기 부하 측의 부하 변동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부하가 모두 가동하지 않는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전압 검출부와 상기 제1직류 전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가변부는 1차 코일과 복수 2차 코일의 권선 수에 따라 제1 및 제2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트랜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2차 코일 중 상단 2차 코일의 권선 수는 상기 제1직류 전원의 최소 출력에 대응하여 설정하고, 하단 2차 코일의 권선 수는 상기 제2직류 전원의 최대 출력에 대응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060065067A 2006-07-11 2006-07-11 전원 공급 장치 KR100802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067A KR100802018B1 (ko) 2006-07-11 2006-07-11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067A KR100802018B1 (ko) 2006-07-11 2006-07-11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212A KR20080006212A (ko) 2008-01-16
KR100802018B1 true KR100802018B1 (ko) 2008-02-12

Family

ID=3922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067A KR100802018B1 (ko) 2006-07-11 2006-07-11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805B1 (ko) * 2012-07-10 2018-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027A (ja) * 1994-08-25 1996-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027A (ja) * 1994-08-25 1996-03-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212A (ko)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567B1 (ko)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절전모드 구현방법
US7440295B2 (en) Switching mode power supply with active load detection function, and switching method thereof
JP523018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925804B2 (ja) 空気調和器
KR100802018B1 (ko) 전원 공급 장치
JP4375839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8923020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having shunt regulator with switchable gain
JP2002051542A (ja) 電源装置
JP6513546B2 (ja) Led電源装置
JP2013021756A (ja) 電源装置
JP200806758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7288976A (ja) 多出力コンバータ
JP6482182B2 (ja) 制御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
JP6556909B2 (ja) 制御回路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
KR20150003425A (ko) Ac-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전원공급장치
KR20060081981A (ko) 제어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
JP4821769B2 (ja) コンバータ用放電回路
KR100286308B1 (ko) 다회로스위칭전원장치
US20150180360A1 (en) Universal voltage regulator and method of bypassing a voltage regulation unit in a voltage regulation apparatus
JP200916532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5029034B2 (ja) 電源装置
JP2013005587A (ja) 電源装置
JPH1030466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11262262A (ja) 電源装置
JP200633357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