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132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모드 신호선이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모드 신호선이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132B1
KR100800132B1 KR1020010056499A KR20010056499A KR100800132B1 KR 100800132 B1 KR100800132 B1 KR 100800132B1 KR 1020010056499 A KR1020010056499 A KR 1020010056499A KR 20010056499 A KR20010056499 A KR 20010056499A KR 100800132 B1 KR100800132 B1 KR 100800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mode
address
memory device
semiconductor memory
decod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3337A (ko
Inventor
이재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56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132B1/ko
Publication of KR20030023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9/08Functional testing, e.g. testing during refresh, power-on self testing [POST] or distributed testing
    • G11C29/12Built-in arrangements for testing, e.g. built-in self testing [BIST] or interconnection details
    • G11C29/14Implementation of control logic, e.g. test mode 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10Aspects relating to interfaces of memory device to external buses
    • G11C2207/105Aspects related to pads, pins or terminals

Landscapes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entry)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모드(test mode) 신호선의 배치에 관한 것으로, 소수의 디코딩 어드레스로 테스트모드를 결정하여 칩 전역에 걸쳐서 배치된 테스트모드용 글로벌 배선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모드(test mode) 신호선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모드 신호선의 배치는, 클럭에 동기화 되어 파워업시 초기값을 지정하는 모드 레지스터 셋팅(MRS)과 상기 모드 레지스터 셋팅에 동기되면서 특정 어드레스값이 적어도 2번 이상 인가되면 테스트 모드로 엔트리(entry)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entry) 방법에 있어서, 어드레스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각각 특정된 두 개의 어드레스값들을 상기 특정 어드레스값에 각각 동기하여 테스트 모드 레지스터 셋팅을 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 엔트리시 상기 각각 특정된 두 개의 어드레스값들을 조합하여 상기 테스트 모드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모드 신호선의 배치{TEST MODE ENTRY METHOD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ISPOSITION OF TEST MODE LINE USING IT}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2는 도 1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을 이용한 테스트모드의 신호선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4는 도 3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을 이용한 테스트모드의 신호선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어드레스 패드
200 : 입출력 패드
300 : 제1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
350 : 어드레스 신호선
400 : 제2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
500 : 테스트모드 신호선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entry)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모드(test mode) 신호선의 배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SDRAM(Synchronous DRAM)의 칩 제조후 테스트 모드를 통하여 테스팅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종래 기술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순서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같이, 클럭(CLK)의 상승 에지에서 명령어 신호(CMD), 예컨대 라스바 신호(/RAS), 카스바 신호(/CAS), 칩셀렉트바 신호(/CS) 및 라이트 인에이블바 신호(/WE)가 동시에 '로우'레벨인 경우 SDRAM의 다양한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타를 프로그램하는 모드 레지스터 셋팅(이하, MRS)을 하게된다.
이러한 MRS 상태에서, 특정주소, 예컨대 A7 ~ A10의 어드레스값이 특정되면 테스트 모드 레지스터 셋팅(이하, TSR)이 되는데, 이러한 TSR이 순서대로 3번이 실행되면 테스트 모드로 엔트리(entry)되면서 TSET 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엔트리되는 테스트모드(TMODE)는 특정주소, 예컨대 A0 ~ A5의 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결정되어진다. 여기서, 선택될 수 있는 테스트 모드의 수는 26개로 64개가 가능하다.
도 2는 상기 테스트 모드로 엔트리되는 방법을 이용한 테스트모드 디코딩회 로와, 테스트모드의 신호선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뱅크 0 내지 뱅크 3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뱅크 0와 뱅크 1 사이에는 어드레스 입력패드(10)가 배치되며 뱅크 2와 뱅크 3 사이에는 입출력 패드(20)가 배치된다. 상기 어드레스 입력패드(10) 쪽으로는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30)가 배치되며, 이러한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30)로부터 뱅크 0 ~ 뱅크 3 사이의 주변회로를 테스트하기 위해 테스트모드의 신호선(40)이 배치된다. 이때, 어드레스 입력패드(10) 쪽으로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30)를 배치하는 이유는 다른 편에 디코딩회로를 배치하면 어드레스 입력패드(10)로부터의 신호들을 연결하여야 하므로 글로벌(Global) 배선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메모리 반도체의 집적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칩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주변회로의 트랜지스터가 차지하는 면적보다 글로벌 배선이 차지하는 면적이 더 중요한데,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뱅크 0와 뱅크 1 사이에 배치된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30)로부터의 신호선(40)이 집중되어 있어 글로벌 배선이 차지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수의 디코딩 어드레스로 테스트모드를 결정하여 칩 전역에 걸쳐서 배치된 테스트모드용 글로벌 배선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모드(test mode) 신호선의 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모드 신호선의 배치는, 클럭에 동기화 되어 파워업시 초기값을 지정하는 모드 레지스터 셋팅(MRS)과 상기 모드 레지스터 셋팅에 동기되면서 특정 어드레스값이 적어도 2번 이상 인가되면 테스트 모드로 엔트리(entry)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entry) 방법에 있어서, 어드레스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각각 특정된 두 개의 어드레스값들을 상기 특정 어드레스값에 각각 동기하여 테스트 모드 레지스터 셋팅을 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 엔트리시 상기 각각 특정된 두 개의 어드레스값들을 조합하여 상기 테스트 모드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스트 모드의 엔트리 방법을 이용한 테스트모드 신호선의 배치는 상기 어드레스 패드에 인접하여 두 개의 어드레스값을 인가받는 제1 디코딩 회로와, 상기 제1 디코딩 회로와 일정 간격을 가지며 상기 두 개의 어드레스값을 동시에 인가받는 제N 디코딩 회로와, 상기 테스트 모드 엔트리(entry)시 상기 제1 디코딩 회로와 상기 제N 디코딩 회로의 디코딩된 값들을 수반하는 신호선을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각각 배치하여 테스팅(testing)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entry)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을 이용한 테스트모드 신호선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클럭(CLK)의 상승에지에서 명령어 신호(CMD), 예컨대 라스바 신호(/RAS), 카스바 신호(/CAS), 칩셀렉트바 신호(/CS) 및 라이트 인에이블바 신호(/WE)가 동시에 '로우'레벨인 경우 SDRAM의 다양한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타를 프로그램하는 모드 레지스터 셋팅(이하, MRS)을 하게된다.
이러한 MRS 상태에서, 특정주소, 예컨대 A7 ~ A10의 어드레스값이 특정되면 테스트 모드 레지스터 셋팅(이하, TSR)이 되는데, 이러한 TSR이 순서대로 3번이 반복되어 실행되면 테스트 모드로 엔트리(entry)된다.
여기서, 엔트리되는 테스트 모드는 특정주소, 예컨대 A0, A1의 어드레스값을 디코딩하여 결정되어지는데, 어드레스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각각 특정된 A0, A1의 어드레스값들을 상기 클럭(CLK)에 각각 동기하여 테스트 모드 레지스터 셋팅(이하, TSR)을 한다. 이러한 각 TSR 명령어마다 현재 외부 명령어가 TSR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TSET 신호가 매 클럭(CLK)마다 발생하게 되며, 이 신호에 맞추어 테스트 모드 디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 엔트리시 각각 특정된 A0와 A1의 어드레스값들을 조합하여 상기 테스트 모드의 동작을 활성화한다.
예를들어, 첫번째 클럭에서 A0와 A1의 어드레스 값이 0, 1이고, 두번째 클럭에서 A0와 A1의 어드레스 값이 1, 0이며, 세번째 클럭에서 A0와 A1의 어드레스 값이 0, 0이면, 테스트 모드 엔트리시 011000의 특정된 어드레스값에 대한 테스트 모드의 동작을 활성화하게 된다.
도 4는 도 3에서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을 이용한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와, 테스트모드의 신호선의 배치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뱅크 0 내지 뱅크 3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뱅크 0와 뱅크 1 사이에는 어드레스 입력패드(100)가 배치되며 뱅크 2와 뱅크 3 사이에는 입출력 패드(200)가 배치된다. 상기 어드레스 입력패드(100) 쪽으로는 A0, A1의 어드레스값을 인가받는 제1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300)가 배치되며, 제1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300)와 일정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A0, A1의 어드레스값을 동시에 인가받는 제2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400)를 배치한다. 여기서, 종래에는 6 개의 어드레스 신호선을 이용하여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에 연결하였지만, 본 발명에는 2 개의 어드레스 신호선(350)만을 이용하므로 제1, 제2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300)(400)의 배치가 자유롭다.
이러한 제1, 제2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300)(400)로부터 뱅크 0 ~ 뱅크 3 사이의 주변회로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모드의 신호선(500)이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같이, 제1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300)에서의 신호선을 뱅크 0와 뱅크 1 사이 및 뱅크 2와 뱅크 3 사이에 각각 배치하여 테스팅하고, 제2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400)에서의 신호선을 뱅크 0와 뱅크 2 사이 및 뱅크 1과 뱅크 3사에에 각각 배치하여 테스팅을 실시한다. 따라서, 종래에서의 글로벌 배선의 집중을 방지함으로써 전체 글로벌 배선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300)(400)를 배치하였지만, 상기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테스트모드 디코 딩회로를 배치하여 글로벌 배선의 집중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entry)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모드(test mode) 신호선의 배치에 의하면, 테스트 모드들을 A0, A1 어드레스 입력의 3단의 계층구조로 분류하여 종래기술에 비해 요구되는 테스트모드 디코딩 어드레스 수가 더 작다. 이에따라,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의 배치를 어드레스 패드의 인접한 곳에 제한받지 않고,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테스트모드 디코딩회로를 각 영역에 배치할 수 있어 칩의 크기를 결정하는 어드레스 패드쪽의 글로벌 배선 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클럭에 동기화 되어 파워업시 초기값을 지정하는 모드 레지스터 셋팅(MRS)과 상기 모드 레지스터 셋팅에 동기되면서 특정 어드레스값이 적어도 2번 이상 인가되면 테스트 모드로 엔트리(entry)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entry) 방법에 있어서,
    어드레스 패드로부터 입력되는 각각 특정된 두 개의 어드레스값들을 상기 특정 어드레스값에 각각 동기하여 테스트 모드 레지스터 셋팅을 하고, 상기 테스트 모드 엔트리시 상기 각각 특정된 두 개의 어드레스값들을 조합하여 상기 테스트 모드의 동작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어드레스값은 어드레스 패드로부터의 각각 4 개의 어드레스값들의 조합에 의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
  3. 제 1항에 의한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을 이용하는 테스트 모드 신호선이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패드에 인접하여 두 개의 어드레스값을 인가받는 제1 디코딩 회로와,
    상기 제1 디코딩 회로와 일정 간격을 가지며 상기 두 개의 어드레스값을 동시에 인가받는 제N 디코딩 회로와,
    상기 테스트 모드 엔트리(entry)시 상기 제1 디코딩 회로와 상기 제N 디코딩 회로의 디코딩된 값들을 수반하는 신호선이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N 디코딩 회로는 서로 일정간격을 가지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디코딩 회로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010056499A 2001-09-13 2001-09-13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모드 신호선이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800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499A KR100800132B1 (ko) 2001-09-13 2001-09-13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모드 신호선이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499A KR100800132B1 (ko) 2001-09-13 2001-09-13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모드 신호선이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337A KR20030023337A (ko) 2003-03-19
KR100800132B1 true KR100800132B1 (ko) 2008-02-01

Family

ID=2772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499A KR100800132B1 (ko) 2001-09-13 2001-09-13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모드 신호선이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61B1 (ko) * 2003-09-30 2010-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핀수를 줄일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855271B1 (ko) * 2007-02-15 2008-09-0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테스트 모드 회로
KR100891304B1 (ko) * 2007-09-10 2009-04-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테스트 모드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6537A (en) * 1993-07-14 1997-01-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miconductor device test circuit having test enable circuitry and test mode-entry circuitry
JPH11144498A (ja) * 1997-11-12 1999-05-28 Nec Corp 半導体装置の試験回路
KR19990073874A (ko) * 1998-03-04 1999-10-05 김영환 테스트 모드를 셋업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
JP2000011697A (ja) * 1998-06-26 2000-01-14 Ne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20000034911A (ko) * 1998-11-09 2000-06-26 아끼구사 나오유끼 반도체 기억 장치
KR20010039687A (ko) * 1999-10-29 2001-05-1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테스트 모드 판정 회로를 갖는 반도체 기억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6537A (en) * 1993-07-14 1997-01-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miconductor device test circuit having test enable circuitry and test mode-entry circuitry
JPH11144498A (ja) * 1997-11-12 1999-05-28 Nec Corp 半導体装置の試験回路
KR19990073874A (ko) * 1998-03-04 1999-10-05 김영환 테스트 모드를 셋업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
JPH11312398A (ja) * 1998-03-04 1999-11-09 Lg Semicon Co Ltd テストモ―ドセットアップ回路
JP2000011697A (ja) * 1998-06-26 2000-01-14 Nec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20000034911A (ko) * 1998-11-09 2000-06-26 아끼구사 나오유끼 반도체 기억 장치
US6256240B1 (en) * 1998-11-09 2001-07-03 Fujitsu Limited Semiconductor memory circuit
KR20010039687A (ko) * 1999-10-29 2001-05-1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테스트 모드 판정 회로를 갖는 반도체 기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337A (ko)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491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944737B2 (en) Memory modules and methods having a buffer clock that operates at different clock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operating mode
US20060294443A1 (en) On-chip address generation
JP3883087B2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メモリ回路
US20090316508A1 (en) PRECISE tRCD MEASUREMENT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80014005A (ko) 고속 테스팅 및 교정을 허용하는 데이터 바이패스 경로를갖는 메모리 디바이스 및 방법
KR19990007406A (ko) 동기식 반도체 기억장치
US20020146025A1 (en) Arbiter device for multi-port memory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0474985B1 (ko) 메모리로직복합반도체장치
CN112530490B (zh) 执行隐式预充电操作的半导体装置
KR10080013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테스트 모드 엔트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테스트 모드 신호선이 배치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6671788B2 (e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burst mode for improving efficiency of using the data bus
US5982685A (en) Semiconductor device for test mode setup
KR100310715B1 (ko) 동기형반도체기억장치
US638510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test mode decision circuit
US6876564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different types of signals to internal circuit via one pin
KR19990006007A (ko) 동기식 기억장치
US838685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4279404B2 (ja)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この半導体記憶装置の試験方法
JPH1092175A (ja) シンクロナスdramのcas信号発生器
KR100668828B1 (ko) 메모리 장치의 어드레스 버퍼 회로
JP2001243797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試験方法
US6751130B2 (en) Integrated memory device, method of operating an integrated memory, and memory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integrated memories
JPWO2006008796A1 (ja) 半導体記憶装置
JP2004022014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テス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