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936B1 - 펌프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리어 라미네이팅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펌프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리어 라미네이팅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936B1
KR100799936B1 KR1020060067046A KR20060067046A KR100799936B1 KR 100799936 B1 KR100799936 B1 KR 100799936B1 KR 1020060067046 A KR1020060067046 A KR 1020060067046A KR 20060067046 A KR20060067046 A KR 20060067046A KR 100799936 B1 KR100799936 B1 KR 100799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ap
container
pump dispenser
hea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864A (ko
Inventor
김남수
정근창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6006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936B1/ko
Publication of KR20080007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with doub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5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 B65D47/206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 B65D47/207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ift valve type in which the deformation raises or lowers the valve stem in which the stem is raised by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and thereby opening the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5Containers having parallel or coaxial compartments, provided with a piston or a movable bottom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글 또는 듀얼 타입의 펌프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리어 라미네이팅 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 펌프 디스펜서에 있어서, 내부 캡을 가지며 그 내부 환형벽과 실린더 블록의 외주연부 사이에 수지 필름제 또는 PBL(Plastic Barrier Laminating) 시트제 가요성 베셀을 포함하는 장착 용기의 네크를 삽입 결착하여 정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한 내부 환형벽에는 체결부가 설치되고 상기한 실린더 블록의 하단 외주연부에는 씰링이 설치되는 펌프 디스펜서가 제공되며, 본 발명의 펌프 디스펜서는 자체 지지력 및 복원력은 불충분하지만 경제성이 높은 1회용 수지 필름제 용기나 PBL 시트제 용기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다 쓴 다음에는 다시 새 것으로 교체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보다 환경 친화적이고, 이들 용기의 사용 편의성을 제고하여 수요 증대를 도모함으로써 수지제 하드 케이스 용기의 대체 효과로 인한 자원 절약 및 폐기물 처리 비용 감소 효과를 얻을 수가 있으며, 이들 용기의 단점인 사용에 따른 내용물 감소로 인한 용기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 현상을 시각적으로 차폐할 수가 있으므로 그 사용 미감이 우수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펌프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리어 라미네이팅 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펌프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리어 라미네이팅 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PUMP DISPENSER AND STANDING UPRIGHT USING METHOD FOR CONTAINER MADE OF PLASTIC BARRIER LAMINATING SHEET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의 조립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펌프 디스펜서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2c는 도 2b에서의 에어 펌프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각각 도 1의 펌프 디스펜서의 투명한 듀얼 타입 푸시 헤드에 대한 평면도, 정단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싱글 타입 푸시 헤드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싱글 타입 푸시 헤드에 대한 측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각각 도 1의 펌프 디스펜서의 실린더 상부 하우징에 대한 평면도, 정단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각각 도 1의 펌프 디스펜서의 내부 캡에 대한 평면도, 정단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각각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내부 캡의 일부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싱글 타입 푸시 헤드와 결합된 상태의 일부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도 2c의 피스톤에 대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c의 피스톤 가이드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펌프 디스펜서의 실린더 블록에 대한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펌프 디스펜서의 내부 캡과 용기 몸체, 그리고 PBL(plastic barrier laminating) 시트(sheet)제 용기의 네크(neck)와 내부 캡이 압압 결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펌프 디스펜서의 내부 캡과 용기 몸체, 그리고 PBL(plastic barrier laminating) 시트(sheet)제 용기의 네크(neck)와 내부 캡이 압압 결착된 상태를 다른 나타내는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13c는 내부 캡의 저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도 12a 및 도 12b의 (PBL 시트제) 장착 용기에 대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각각 도 1의 펌프 디스펜서의 용기 몸체에 대한 단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각각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용기 몸체와 내부 캡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
10,10a,10b,10c: 푸시 헤드(push head)
10-1, 10-2: 분할형 푸시 헤드
11: 상면 12: 노오즈(nose) 13: 토출 개구 14: 유로(流路) 14a: 가이드 개구 15: 푸시부 16: 걸림 턱 17: 개구(開口)
삭제
삭제
삭제
18: 분할 격벽 19:돌출 턱
20: 실린더 헤드
21: 제1 원형 돌출벽 22: 제2 원형 돌출벽
23: 원형 측벽 23a: 종 파형 주름
24: 플랜지(flange) 25: 고정구
26: 스프링 고정 홈 27: 헤드 공간부
27a: 하방 개구 28: 체결 홈
28a: 스톱퍼(stopper) 29: 상부 공간부
29a: 상방 개구
30,30a,30b: 내부 캡
31: 외측벽 31a: 체결 턱
31b: 파형 외주연 주름 31c: 나사부
31d: 체결턱 31e: 상향 연장부
31f: 유로 개구 31g: 헤드
32: 내측벽 32a: 내측 상벽
32b: 파형 내주연 주름 33: 내부 환형벽
34: 바닥부 35: 체결 홈
36: 환형 체결홈 37: 체결부
37a: 체결 턱 38: 내측 상방 개구 38a: 내측 상방 개구 39: 제1 공간부 39a: 제2 공간부
삭제
삭제
40: 실린더 블록
41: 측벽 42: 체결 돌출턱
43: 돌출단 44: 씰링(sealing) 삽입홈
45: 연장부 46: 상방 개구
47: 환형 개구 48: 하방 개구
49: 지지부
50: 용기 몸체
51: 본체 52: 바닥부
53: 지지각 54: 플랜지
55: 체결부 56: 개구
57: 단턱 58: 체결홈
59: 걸림부
60: 에어 펌프
610: 피스톤
611: 벽체 611a: 돌출턱
612: 상면 613: 테이퍼(taper)부
614: 돌출부 615: 씰링 삽입홈
616: 패킹(packing) 삽입홈 617: 환형 평판부
618: 피스톤 부재 618a: 외주면
619: 측면 개구 619a: 유로
620: 피스톤 가이드(guide)
621: 측벽 622,623: 돌출턱
624: 하향 절곡부 625: 씰링 삽입홈
626: 내주면 627: 확개부(擴開部)
628: 상방 개구
71,72: 평판상 고무 패킹 75,76,77: 씰링(O-링)
80: 패킹 고정핀
81: 플랜지 82: 저면
83: 중공부 84: 단턱
100: 장착 용기
101: 네크(neck) 102: 체결부
102a: 경사 돌출 턱 102b:체결 홈
103: 쇼올더(should)
104: 리지드 부재(rigid member)
105: (수지필름 또는 PBL시트제) 가요성(可橈性:flexible) 베셀(vessel)
106: 융착부
본 발명은 싱글(single) 또는 듀얼(dual) 타입의 펌프 디스펜서(pump dispenser)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리어 라미네이팅 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자체 지지력(즉, 지내력(支耐力)) 및 복원력은 불충분하지만 경제성이 높은 1회용 수지 필름제 용기나 PBL(plastic barrier laminating) 시트(sheet)제 용기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내용물을 모두 소비한 다음에는 다시 새 것으로 교체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보다 환경 친화적이고, 수지 필름제 또는 PBL 시트제 용기의 사용 편의성을 현저히 제고하게 되므로 그 수요 증대를 도모함으로써 수지제 하드 케이스 용기의 대체 효과로 인한 자원 절약 및 폐기물 처리 비용 감소 효과를 얻을 수가 있으며, 수지 필름제 또는 PBL 시트제 용기의 단점인 사용에 따른 내용물 감소로 인한 용기 변형(찌그러짐) 현상을 시각적으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차폐할 수가 있으므로 그 사용 미감이 우수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펌프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리어 라미네이팅 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펌프 디스펜서는 일반 화장품이나 욕실용 세정 화장품, 주방 세제 등과 같은 다양한 액상 또는 젤상 제품의 정량 취출(取出)용 용기(container) 또는 베셀(vessel)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어 왔다.
상기한 펌프 디스펜서는 용기 또는 베셀을 이루는 몸체(또는 본체)가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성형된 지내력 있는 솔리드 또는 하드(solid or hard) 용기로 제작됨이 통상적이며, 심미감 및 고급감이 중시되는 고급 화장품의 경우에는 종종 유리 또는 크리스탈 용기로 제작되어 왔다.
또한, 에어 펌프 부분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수지로 제작됨이 통상적이다. 에어 펌프는 푸시 헤드 부분을 눌러 용기 내를 가압하면 밸브 경로가 개방되고 대기압과의 압력 차에 의해 일정량의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취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이다.
한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SA), 폴리우레탄(PU) 등을 진공 성형(vacuum forming)이나 압압 성형(press forming), 또는 사출 성형(injection forming)에 의해 제작되는 합성수지제 용기는 우수한 재질 특성 및 경제성으로 인하여 각종 산업 및 생활용품 자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산업발전과 생활수준이 향상될수록 그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나, 생활계 합성수지 용기 등은 당해연도 사용량의 약 70%가 1년 이내에 폐기물로 즉시 배출되며, 이 중 약 25.7% 만이 재활용되고 있을 뿐이다.
그런데 2002년 11월 우리나라가 기후 협약(교토 의정서)에 가입함에 따라 향후 정해진 온실 가스 배출권(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있는 각국 마다 할당된 온실가스 배출 허용량)을 준수하여야 할 의무가 발생하고, 할당량을 초과하여 배출하는 양에 대해서는 그에 대한 별도의 부담금을 물거나 제재를 피할 수 없으며, 온실 가스 발생량의 감축 문제는 모든 국가 및 기업의 활동이나 운영에 있어 심각히 고려하여야 하는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인구의 80% 이상이 도시 생활을 하고 있어 도시형 생활양식에서 비롯되는 포장 용기 폐기물 등 유통, 소비 관련 폐기물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포장 용기 폐기물은 생활 폐기물중 중량기준으로 32%, 부피기준으로 50%를 차지하고 있고, 앞으로 연평균 0.7%의 인구 증가와 제품 수명의 단축, 경제규모의 확대와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 포장 용기 폐기물의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이러한 포장 용기 폐기물 발생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매립시설과 소각시설 등 폐기물 처리시설의 확충은 시민단체 및 민간부문의 참여와 영향력 증대로 인하여 더욱 곤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합성수지 용기 폐기물은 그 재질 특성상 난분해성이고 종류가 다양하며 중량에 비해 부피가 큰 특성으로 인해 재활용에 과도한 사회적 비용 부담이 수반되고, 매립 시에는 부피가 큰 특성으로 인해 과다한 매립용적을 차지하고 매립지 안정화를 저해하는 등 매립지 건설 및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환경호르몬의 발생원이라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특히 PVC의 경우에는 소각 처리 시에는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을 다량 발생시켜 환경오염을 유발하므로 주민들의 소각장 건설 반대를 심화 시키는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정부 폐기물 정책에는 자원 순환형 폐기물 관리 개념이 도입되어, 미래 세대와의 공유 자원인 환경의 잠재력을 최대한 보전하기 위하여 발생된 폐기물의 처리뿐만 아니라 폐기물의 발생 이전 단계부터 발생 이후 최종 소멸까지의 전 과정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정책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은 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폐기물의 발생억제, 자원의 절약 및 재활용 촉진을 통한 자원 순환형 폐기물 관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합성수지 포장 용기 폐기물과 관련하여, 정부는 첫째 1회용품 사용 규제, 둘째 포장 재질 규제, 셋째 포장 공간 비율 및 포장 횟수 규제, 넷째 포장재 연차별 감량화, 다섯째 생산자 책인 재활용 의무 부여, 여섯째 재활용 의무량 및 재활용 부과금 부여 정책을 강력히 시행하고 있다.
또한 각종 시민단체나 사회단체는 재활용(Recycle), 재사용(Reuse), 절약(Reduce)운동 등 '3R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합성수지제 솔리드 용기의 사용량을 줄이고 일반소비자의 구매 비용 경감을 목적으로 합성수지제 필름으로 된 리필(refill)용 패키지가 널리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필용 패키지는 개봉 후 펌프 디스펜서 등과 같은 용기를 열고 리필하는 과정 중에 내용물을 쏟거나 흘리기 쉽고 이 경우 닦아 내는 작업이 여간 번거로운 것이 아니며, 리필용 패키지에 잔량이 존재하는 경우 패키지 자체의 지내력이 불충분하므로 이를 별도로 잘 보관하기가 상당히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종래 합성수지제 솔리드 용기의 사용량을 줄이고 일반소비자의 구매 비용 경감을 목적으로 수지 필름 상에 금속, 특히 알루미늄 박막을 증착시킴으로써 수분, 광, 공기 불투과성으로 만든 PBL 시트(Plastic Barrier Laminating Sheet)로 제작된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PBL 시트제 용기는 우수한 품질 특성과 위생성 및 경제성에도 불구하고, 자체 지내력이 불충하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바로 세워 둔 상태로 사용하는 정립형(正立型) 용기로 제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뉘여 진 형태로 사용하는 와형(臥型) 용기로 제작하거나 또는 뚜껑 부분을 리지드(rigid)한 소재로 된 넓은 평판 형태로 제조하여 뒤집어 세워 두는 도립형(倒立型) 용기(예컨대, 애경산업주식회사의 도립형 2080(상품명) 치약 등)로 제작할 수밖에 없으므로 그 적용 용도에 상당한 제약이 뒤따랐다.
더욱이, 상기한 합성수지 필름이나 PBL 시트로 된 용기는 솔리드 또는 리지드 타입이 아니므로, 내용물을 사용하여 소진함에 따라 점차로 용기가 찌그러져 변형된 상태가 되며 그 변형 정도는 내용물의 소진량에 따라 더욱 심해지게 되고 외관미도 점점 더 불량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화장대나 씽크대, 또는 세면대 등에 그대로 방치하기 곤란하다는 미관상의 이유로 일반소비자들이 이들 용기의 사용을 기피하게 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자체 지내력이 불충분한 합성수지 필름제 용기, 특히 우수한 품질 특성 및 위생성과 경제성을 갖는 PBL 시트제 용기를 정립형으로 사용하는 것은 그 장점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자체 지내력이 불충분한 합성수지 필름제 용기, 특히 우수한 품질 특성 및 위생성과 경제성을 갖는 PBL 시트제 용기를 정립 상태로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들 용기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킨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목적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에 있어서 토출 유로에 잔류하는 내용물이 건조되어 굳어 버려서 유로를 폐색시킬 우려를 불식시킨 높은 사용 편의성을 갖는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과 더불어, 수지제 하드 케이스 용기 대신에 PBL 시트제 용기를 적용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교체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궁극적으로 자원 절약 및 폐기물 처리 비용 감소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목적에 더하여, 수지 필름제 또는 PBL 시트제 용기의 단점인 사용에 따른 내용물 감소로 인한 용기 변형(찌그러짐) 현상을 시각적으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차폐할 수가 있어서 그 사용 미감이 우수한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전술한 모든 목적에 더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목적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리어 라미네이팅 시트제 용기의 효과적인 정립 사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에어 펌프 디스펜서에 있어서, 에어 펌프가 내측 상방 개구를 가지며 환형 외측벽이 용기 몸체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내부 캡에 고정되는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과, 상기한 실린더 헤드 및 상기한 내측 상방 개구를 관통하는 실린더 블록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피스톤 가이드, 그리고 상기한 피스톤 가이드 내에 수용되는 피스톤과 이에 연결되며 유로를 갖는 푸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한 내부 캡의 전면에 헤드 및 유로 개구를 갖는 상향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푸시 헤드의 노오즈에 유로와 직교하는 가이드 개구를 가지고, 상기한 푸시 헤드의 상향 위치에서는 상기한 헤드가 상기한 가이드 개구를 통하여 푸시 헤드의 유로를 폐쇄시키며 상기한 푸시 헤드의 압압에 의한 하향 위치에서는 상기한 유로 개구와 유로가 상호 연통되고, 상기한 내부 캡의 내부 환형벽과 상기한 실린더 블록의 하단 외주연부 사이에 수지 필름제 또는 PBL(Plastic Barrier Laminating) 시트제 가요성 베셀과 쇼올더 및 네크로 이루어지는 장착 용기의 상기한 네크가 삽입 결착되어 정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한 내부 환형벽에는 체결부가 설치되고 상기한 실린더 블록의 하단 외주연부에는 씰링이 설치되는 펌프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A) 상기한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한 펌프 디스펜서의 내부 캡으로부터 용기 몸체를 분리하는 단계; (C) PBL 시트제 장착 용기를 정립시킨 상태에서 네크를 내부 캡에 체결함과 동시에, 실린더 블록과 네크 내주연부를 기밀 및 수밀 상태로 체결하는 단계; (D) 분리된 용기 몸체를 상기한 PBL 시트제 장착 용기가 체결되어 있는 정립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부 캡에 다시 체결하는 단계; 및 (E) 푸시 헤드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에어 펌프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정량 취출함과 동시에, 상기한 장착 용기 내의 내용물을 실린더 블록 내로 감압 흡입하여 재충진하는 단계로 구성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한 단계 (E)의 반복 적용에 의해 상기한 장착 용기 내의 내용물이 소진되면, (F) 상기한 펌프 디스펜서의 내부 캡으로부터 용기 몸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G) 내부 캡과 실린 블록으로부터 내용물이 소진된 장착 용기의 네크를 분리 제거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한 다음, 상기한 단계 (C) 내지 (E)를 다시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 용기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펌프 디스펜서를 이용한 PBL 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삭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리지드 또는 솔리드 부재(rigid or solid member)'라는 용어는 수지제 또는 금속제로 제작되며 악력(握力)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견고성을 갖는 부재(部材)를 의미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적으로는 용기의 네크부와 쇼올더부가 합쳐진 구성부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PBL 시트(plastic barrier laminating sheet)'라는 용어는 적어도 1종의 적어도 1매의 수지필름 상에 적어도 1층의 금속 또는 그 산화물 박막이나 무기물 박막이 적층된 시트를 의미하며, 용기의 리지드 또는 솔리드 부재 부분을 제외한 베셀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수지필름의 종류 및 수효와 금속층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한 수지 종류로서는 LLDPE, (Leaner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EVOH(Ethylene Vinyl Alcohol),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E(Polyethylene), NY(Nylon)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수지 필름 중 적어도 1종이 1~10층, 바람직하게는 3~7층이 적층된 것일 수 있고, 상기한 임의의 수지층 중간에 알루미늄 증착 필름, 또는 예컨대 SiOx(여기서, x는 2 또는 4의 정수임) 등과 같은 세라믹 증착 필름이 1~3개층 적층된 복합 시트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1)의 조립 분해 사시도로서, 푸시 헤드(10a), 실린더 헤드(20), 내부 캡(30), 피스톤(610), 실린더 블록(40)과, 용기 몸체(50)로 구성된다.
여기서, 내부 캡(30)은 용기 몸체(5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에어 펌프는(도면부호 미부여; 도 2c에서 도면부호 60 참조)는 푸시 헤드(10a), 실린더 헤드(20), 피스톤(610), 실린더 블록(40) 등으로 구성되고, 내부 캡(30)에는 교체 사 용될 수 있는 장착 용기(도 14a 및 도 14b 등에서의 도면부호 100 참조)의 리지드 부재(103)가 압압 결착식 또는 나사 체결식 등과 같은 적절한 결합 방식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한 장착 용기의 리지드 부재(103)의 하방에는 수지필름 또는 PBL시트제 가요성(可橈性:flexible) 베셀(vessel)(도 14a 및 도 14b 등에서의 도면부호 105 참조)이 결합되어 있음은 물론이나, 도시의 편의를 위해 이는 생략한 상태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1 및 72는 중앙에 개구(미도시)가 형성된 평판상 고무 패킹이며, 미설명 부호 75,76,77은 씰링, 예컨대, O-링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의 펌프 디스펜서(1)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2c는 도 2b에서의 에어 펌프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로서, 편의상 이들을 함께 설명하기로 하며,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그 주요 구성부인 푸시 헤드(10: 단, 도 1에서의 도면부호 10a와 유사 구조인 도 3a 내지 도 3d의 도면부호 10으로 대체하여 설명하기로 함), 실린더 헤드(20), 내부 캡(30), 피스톤(610) 및 피스톤 가이드(620), 실린더 블록(40)과, 용기 몸체(5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할 때 그에 각각 대응하는 도 3a 내지 도 4b(푸시 헤드); 도 6a 내지 도 6d(실린더 헤드); 도 7a 내지 도 7d(내부 캡); 도 9a 및 도 9b(피스톤)와 도 10(피스톤 가이드)과 도 11(실린더 블록); 도 12a, 도 12b, 도 15a 내지 도 16b(용기 몸체)를 필요할 때 함께 불러들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에서 좌측부 및 도 2b에서 탄발 스프링(90)의 도시를 생략한 것은 오로지 다른 구성부의 식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이점 참조하기 바란다.
에어 펌프(60)는 푸시 헤드(10), 실린더 헤드(20), 피스톤(610) 및 피스톤 가이드(620), 실린더 블록(40)으로 구성되며, 용기 몸체(50)에 내부 캡(30)이 체결되고, 이어서 상기한 내부 캡(30)의 상방 및 하방으로 실린더 헤드(20)와 실린더 블록(40)이 장착되며, 상기한 실린더 헤드(20) 내에는 푸시 헤드(10)에 연결된 피스톤(610)이 피스톤 가이드(620) 내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한 피스톤 가이드(620)는 다시 실린더 블록(40)에 협지 고정되며, 상기한 실린더 블록(40) 하방에는 패킹 고정핀(80)이 설치되고, 푸시 헤드(10)는 상기한 피스톤(610)에 체결됨과 동시에 내부 캡(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일구체예에 따른 내부 캡(3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7a 내지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도 8a 내지 도 8d, 도 12a 및 도 12b, 도 13a 내지 도 13c, 또는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양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펌프 디스펜서(1)의 내부 캡(30)에 대한 평면도, 정단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여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내부 캡(30)은 제1 공간부를 형성하는 원형의 외측벽(31)과, 그 하방의 제2 공간부(39a)를 형성하도록 외측벽(31)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다음 다시 하방으로 연장되는 내측벽(32), 그리고 내측벽(32)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고 내측 상방 개구(38) 및 하방 개구(38a)를 각각 형성하는 두 개의 내부 환형벽(33)이 형성된 바닥부(34)로 구성된다. 도시된 예는 바닥부(34)에 내부 환형 벽(33)이 두 개 형성되는 듀얼(dual) 타입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싱글(single) 타입인 경우도 포함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한 내부 환형벽(33)에는 나사부 또는 압압 결착을 위한 돌출턱 및 오목부로 형성될 수 있는 체결부(37)가 형성되어 있어서, 예컨대,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착 용기(100)의 네크(101)에 형성되는 체결부(102)와 체결하는 것에 의해 자체 지내력이 불충분한 수지 필름제 또는 PBL 시트제 가요성 베셀을 포함하는 장착 용기(100)를 정립 상태로 장착한다.
또한 상기한 바닥부(34)에는 실린더 헤드(20)의 고정구(25)가 관통 삽입되어 이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홈(3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외측벽(31)의 하부와 내측벽(32)의 상부 사이에는 환형 체결홈(3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벽(31)의 하부 내측 또는 내측벽(32)의 상부 외측에는 나사부((31c)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용기 몸체(50)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부(55)가 상기한 환형 체결홈(36) 내에 삽입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 외에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벽(31)의 외주연부에 체결턱(31d)을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임은 물론이다.
또한 조립 및 분해 편의성을 도모하고자, 조립 및 분해 시 마찰력 증대를 위한 파형(波形) 외주연 주름(31b)을 외측벽(31)의 외주연에 종 방향으로 형성하거나 파형 내주연 주름(32b)을 내측벽(32)의 제2 공간부(39a)를 이루는 상벽(32a)의 내주연에 종 방향으로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31a는 푸시 헤드(10)의 하단 외주연 하단부에 외측으로 형성되는 돌출 턱(19)(도 3c 등 참조)과 대응하여 내부 캡(30)으로부터 푸시 헤드(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외측벽(31)의 내주연 상단부에 내측으로 형성된 체결턱이다.
따라서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캡(30)의 외측벽(31)과 내측벽(32) 사이의 환형 체결홈(36)에는 용기 몸체(50)가 체결 고정되며, 그 바닥부(34)에는 체결 홈(35)을 통하여 실린더 헤드(20)가 고정되는 한편, 내부 캡(30)의 외측벽(31) 상단 주연부 내에는 푸시 헤드(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수납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일구체예에 따른 실린더 헤드(20)의 평면도, 정단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부분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린더 헤드(20)는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며 헤드 공간부(27)를 형성하는 환형의 제1 돌출벽(21)과, 그로부터 다시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한 헤드 공간부(27) 보다 작은 직경의 상부 공간부(29)를 형성하는 제2 돌출벽과, 상기한 제1 돌출벽(21)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4)와, 상기한 플랜지(24)의 외주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형 측벽(23)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1 돌출벽(21)의 하단 외주연부에 인접한 플랜지(24)에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푸시 헤드(10)의 하향 압압 및 탄발 상승이 가능하도록 스프링(90)의 하단부가 수용 고정되는 스프링 고정홈(26)이 형성되는 한편, 그 저면에는 내부 캡(30)과의 고정을 위한 고정구(25)가 형성된다.
또한 원형 측벽(23)의 외주연부에는 조립 및 분해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종 파형 주름(23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헤드 공간부(27) 내에는 하방 개구(27a)를 통하여 피스톤(610) 및 피스톤 가이드(620)와 실린더 블록(40)이 위치하며, 상부 공간부(27)에는 피스톤(610) 및 피스톤 가이드(620)의 상부가 위치함과 아울러 그 상방 개구(29a)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게 위치한다.
한편, 상기한 실린더 헤드(20)의 제1 원형 돌출벽(21)의 하단 내주연부에는 실린더 블록(40)의 체결 돌출턱(42)과 계합함으로써 실린더 블록(4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 홈(28)이 형성되며, 그 상단 내주연부에는 실린더 블록(40) 상단 외주연면과 당접(堂接)하는 복수개의 스톱퍼(28a)가 설치된다.
이어서 도 2c에서 실린더 헤드(20) 내에 수용되는 피스톤(610)과 피스톤 가이드(62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도 2c의 피스톤(610)에 대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2c의 피스톤 가이드(620)에 대한 단면도로서, 편의상 도 2c에 대해 설명하면서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먼저 피스톤 가이드(620)에 대하여 설명하면, 피스톤 가이드(620)는 원통상 측벽(621)을 가지며, 그 외주면 하부에는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환형 돌출턱(622,623)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도 1 및 도 2c에서의 씰링(76)이 위치하게 되는 씰링 삽입홈(625)이 형성되며, 돌출턱(623)의 외주연 단부 저면에는 하향 절곡부(624)가 형성되어 그 내측에 확개부(627)를 형성하며, 확개부(627)는 상방 개 구(628)와 연통되어 있다.
한편, 피스톤(610)은 그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를 나타내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돌출턱(611a)을 가지며, 대략 중앙부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외부 쪽으로 두터워지는 테이퍼부(613)와 이를 경유하여 연장되는 돌출부(614)와 피스톤 부재(618)를 가지며 이들 사이에는 도 1 및 도 2c에서의 씰링(75)이 위치하게 되는 씰링 삽입홈(615)이 형성되고, 상기한 피스톤 부재(618)에 인접한 하방에는 중앙이 천공된 평판상 고무 패킹(71)이 끼워지는 패킹 삽입홈(616)이 형성되고 다시 그에 인접한 하방에는 환형 평판부(617)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한 돌출턱(611a), 테이퍼부(613), 돌출부(614), 피스톤 부재(618), 씰링 삽입홈(615)을 상방으로부터 차례로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벽체(611)는 상기한 환형 평판부(617)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한 벽체(611) 내부에는 유로(619a)가 형성되고 유로(619a)는 상기한 피스톤 부재(618)의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측면 개구(619)와 연통된다.
따라서 피스톤 가이드(620)의 외주면은 씰링 삽입홈(625) 내에 위치하는 씰링(76)에 의해 실린더 블록(40)의 내주면과 밀착된 기밀 내지 수밀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통상의 비사용 상태에서는 피스톤 가이드(620)의 하향 절곡부(624)에 의해 형성되는 확개부(627) 공간이 피스톤(610)의 패킹 삽입홈(616)에 협지된 평판상 고무 패킹(71)에 의해 점유되며 이 평판상 고무 패킹(71)은 도 2a에서의 스프링(90)의 탄발력에 의해 환형 평판부(617)에 밀착되어 기밀 및 수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피스톤(610)의 피스톤 부재(618)의 외주면(618a)은 피스톤 가이드(620)의 내주면(626)과 당접한 상태로 상하 활주 운동 가능하게 되며, 피스톤(610)의 씰링 삽입홈(625)에 협지된 씰링(75)에 의하여 활주 시에도 피스톤 부재(618)의 외주면(618a)과 피스톤 가이드(620)의 내주면(626)은 기밀 및 수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펌프 디스펜서(1)의 실린더 블록(40)에 대한 단면도 및 저면도를 나타내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린더 블록(40)은 원통상 측벽(41)을 가지며, 그 외주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실린더 헤드(20)의 체결 홈(28)과 체결하기 위한 환형 체결 돌출턱(42)이 형성되고, 다시 그에 인접한 하방에는 한 쌍의 상호 평행한 환형 돌출단(43)이 형성되며, 상기한 한 쌍의 돌출단(43) 사이에는 도 1 및 도 2c 에서의 씰링(77)이 삽입되는 씰링 삽입홈(44)이 형성된다.
실린더 블록(40)의 측벽(41) 하단에는 복수개의 지지부(49)를 경유하여 하방 개구(48)를 형성하는 연장부(45)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한 연장부(45)와 측벽(41) 사이, 정확하게는 상기한 복수개의 지지부(49) 사이에는 복수개의 환형 개구(47)가 형성된다.
따라서 실린더 블록(40)은 그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 돌출턱(42)에 의하여 실린더 헤드(20)에 고정되며, 실린더 헤드(20)에 함께 고정되는 내부 캡(30)의 내부 환형벽(33)은 실린더 블록(40)의 하단 외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이러한 이격 거리는 도 1 및 도 14a 및 도 14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용기(100)의 네크(101) 두께에 대응하며, 네크(10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 결부(102)는 내부 캡(30)의 내부 환형벽(33)에 형성되는 체결부(37)와 체결된다).
이와 동시에, 실린더 블록(40) 하단부의 한 쌍의 상기한 환형 돌출단(43) 사이에 형성되는 씰링 삽입홈(44)에 삽입된 씰링(77)은 도 1 및 도 14a 및 도 14b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착 용기(100)의 네크(101)의 내주면과 당접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실린더 블록(40)의 복수의 환형 개구(47) 상에는 도 1 및 도 2c 등에서의 평판상 고무 패킹(72)이 위치하며, 상기한 평판상 고무 패킹(72) 중앙부의 천공부(도면부호 미부여)에는 패킹 고정핀(80)이 끼워진다. 상기한 패킹 고정핀(80)은 플랜지(81)를 가지며 단턱(84)을 경유하여 하방으로 연장된 다음 저면(82)에 의해 막혀 있으며, 연장되는 부분의 중앙에는 중량 감소를 위한 중공부(83)가 형성된다. 따라서 패킹 고정핀(80)의 연장되는 부분(도면부호 미부여)은 실린더 블록(40의 연장부(45) 내의 하방 개구(48)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 다음에는, 에어 펌프(60)를 구성하는 마지막 구성 요소인 푸시 헤드(1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에에 따른 푸시 헤드(10)의 평면도, 정단면도, 측단면도 및, 저면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푸시 헤드(10)는 누름 노즐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도시된 예는 노즐 2개가 분할형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분할형 푸시 헤드(10-1 또는 10-2)는 각각 상면(11)과, 토출 개구(13)가 형성된 노오즈(12)와, 개구(17)가 형성되고 말단부 내측에 걸림턱(16)을 갖는 푸시부(15)와, 상기한 개구(17)와 토출 개구(13)를 연통 하는 유로(14)로 구성된다.
상기한 분할형 푸시 헤드(10-1)와 (10-2)분할형 푸시 헤드는 상호 인접한 평면을 가지며, 각각의 분할 격벽(18)에 의해 분리되어 있어서, 어느 하나의 분할형 푸시 헤드(10-1 또는 10-2) 만을 압압하거나 또는 동시에 두 개를 압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푸시부(15)의 말단부는 전술한 피스톤 가이드(620)의 내주면(626)에 당접하여 삽입되며, 상기한 푸시부(15)의 말단부 내측의 걸림턱(16)은 피스톤(610)의 벽체(611) 상부에 형성되는 환형 돌출턱(611a)에 상호 체결된 상태로 테이퍼부(613)에 의하여 확실하게 삽지 고정되며, 각각의 푸시부(15)의 상단 외주연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한 위치에는 스프링 고정홈(도면부호 미부여)이 설치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9는 내부 캡(30)과의 이탈 방지를 위한 돌출 턱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이미 언급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구체에에 따른 푸시 헤드(10a)의 평면도인 도 4a에 대하여 설명하면, 푸시 헤드(10a)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한 번의 푸시 동작에 의하여 동시에 두 개의 토출 개구(13)를 통하여 내용물이 취출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a에 도시한 예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구체에에 따른 푸시 헤드(10b)의 평면도인 도 4b에 대하여 설명하면, 푸시 헤드(10b)의 노오즈(12)에 형성되는 토출 개구(13)가 합류하여 합쳐져 하나로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a에 도시한 예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전히 또 다른 바람직한 일구체에에 따른 푸시 헤드(10c)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인 도 5a 및 도 5b에 대하여 설명하면, 푸시 헤드(10c)의 노오즈(12)의 내측 단부에 약간 환형의 가이드 개구(14a)가 형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4a에 도시한 예와 본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나머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가이드 개구(14a)에 대해서는, 도 8a 내지 도 8d는 각각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내부 캡(30a)의 일부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그리고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싱글 타입 푸시 헤드(10c)와 결합된 상태의 일부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내부 캡(30a)은 외측벽(31)의 전단부에 상향 연장부(31e)가 형성되고 상기한 상향 연장부(31e)에는 푸시 헤드(10c)를 압압하여 하강시킬 때 유로(14)와 연통되는 유로 개구(31f)와 헤드(31g)를 갖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예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c 및 도 8d를 참조하여 상기한 내부 캡(30a)과 푸시 헤드(10c)의 작동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푸시 헤드(10c)가 압압되어 하강하지 않은 도시된 상태에서는 내부 캡(30a)의 상향 연장부(31e)의 헤드(31g)가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푸시 헤드(10c)의 가이드 개구(14a)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푸시 헤드(10c)의 유로(14)에 잔류할 수 있는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하여 굳어져서 상기한 유로(14)를 폐색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푸시 헤드(10c)를 압압하여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한 내부 캡(30a)의 상향 연장부(31e)의 헤드(31g) 부분이 푸시 헤드(10c)의 상면(11)에 형성된 가이드 개구(14a)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내부 캡(30a)의 상향 연장부(31e)에 형성된 유로 개구(31f)와 푸시 헤드(10c)의 유로(14)가 상호 연통되어 개방된다.
따라서 미사용 시에는 푸시 헤드(10c)의 유로(14)와 연통된 가이드 개구(14a)가 내부 캡(30a)의 상향 연장부(31e)의 헤드(31g)에 의해 닫혀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내용물이 마르거나 또는 굳어버려서 유로(14)를 폐색시킬 염려가 없게 된다(즉,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푸시 헤드(10c)의 가이드 개구(14a)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푸시 헤드(10c)의 유로(14)에 잔류할 수 있는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하여 굳어져서 상기한 유로(14)를 폐색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지금부터는 도 2c를 참조하여 에어 펌프(60)의 작동 관계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c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탄발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9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으나, 실린더 헤드(20)의 스프링 고정 홈(26)과 푸시 헤드(10)의 스프링 고정 홈(도면부호 미부여) 사이에 스프링(90)이 끼워져 있다는 점을 상기하기 바란다.
도 2c는 스프링(90)이 이완되어 푸시 헤드(10)가 상방으로 치켜져 있는 상태 를 도시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을 위하여 장착 용기(100)로부터 일정량의 내용물을 정량 취출하기 위하여 푸시 헤드(10)를 하방으로 압압하면, 푸시 헤드(10)의 푸시부(15) 내부의 걸림턱(16)과 체결되어 있는 피스톤(610)이 기밀 내지 수밀 상태에서 피스톤 가이드(620)의 내주면(626)을 활주하여 하방으로 향하게 되고, 이 때 환형 평판부(617)에 의해 실린더 블록(40) 내부의 밀폐 공간의 체적이 감소하므로 가압된 상태가 됨과 아울러, 피스톤(610)의 위치가 하방으로 내려옴에 따라 평판상 고무 패킹(616) 중앙의 개구(도면부호 미부여)가 열리게 됨과 동시에, 피스톤(610)의 측면 개구(619) 및 유로(619a)와, 푸시 헤드(10)의 푸시부(15)의 개구(17), 유로(14) 및, 토출 개구(13)가 연통되므로, 이미 실린더 블록(40) 내에 채워져 있던 내용물은 대기압 보다 가압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한 경로를 따라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패킹 고정핀(80)에 의해 고정된 평판상 고무 패킹(72)은 가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압압되므로 장착 용기(100) 내부와는 차단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작에 의하여 실린더 블록(40) 내에 채워져 있던 내용물이 푸시 헤드(10)의 노오즈(12)에 형성된 토출 개구(13)를 통하여 토출된 다음, 손을 제거하여 푸시 헤드(10)에 대한 압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스프링(90)의 탄발 복원력에 의하여 푸시 헤드(1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따라서 실린더 블록(40) 내부의 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그 내부는 감압 상태로 전환되며, 이에 따라 패킹 고정핀(80)이 상방으로 들려지고 그에 따라 평판상 고무 패킹(72)도 밀착 상태에서 벗어나 열려지게 되므로 압력 차이에 의하여 장착 용기(100) 내의 내용물이 실린더 블록(40) 내로 갑압 흡입되게 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펌프 디스펜서(1)의 내부 캡(30)과 용기 몸체(50), 그리고 PBL(plastic barrier laminating) 시트(sheet)제 장착 용기(100)의 네크(101)와 내부 캡(30)이 압압 결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로서, 그 기본 결착 구성은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언급하기로 한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예에서는 이미 간략히 언급한 바 있기는 하나 다시 부연하면, 내부 캡(30)과 용기 몸체(50)를 나사 체결하는 방식이 아니라, 내부 캡(30)의 외측벽(31)의 외주연부에 체결턱(31d)을 형성시키고, 용기 몸체(50)의 상단 주연부에 단턱(57)과 체결홈(58) 및, 걸림턱(59)을 형성시킴으로써, 내부 캡(30)의 체결턱(31d)이 상기한 용기 몸체(50)의 상단 주연부의 단턱(57)을 경유하여 걸림턱(59)에 의해 정지되어 체결홈(58) 내에 안착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내부 캡(30)의 내부 환형벽(33)에는 나사부 또는 압압 결착을 위한 돌출턱 및 오목부로 형성될 수 있는 체결부(37)가 형성되어 있어서, 예컨대,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착 용기(100)의 네크(101)에 형성되는 체결부(102)와 체결하는 것에 의해 자체 지내력이 불충분한 수지 필름제 또는 PBL 시트제 가요성 베셀을 포함하는 장착 용기(100)를 정립 상태로 장착한다. 이러한 체결 방식은 내부 캡(30)의 내부 환형벽(33)의 상단부에는 체결부(37), 즉 단 턱 및 요 홈을 형성시키는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주연 말단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절취된 홈 부(미도시)를 형성시켜 둠으로써 장착 용기(100)의 네크(101) 부분이 삽입될 때 탄력적으로 네크(101) 하부를 협지할 수 있게 된다(언더 컷 방식에 의한 압압 체결).
한편,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펌프 디스펜서(1)의 내부 캡(30)과 용기 몸체(50), 그리고 PBL(plastic barrier laminating) 시트(sheet)제 장착 용기(100)의 네크(101)와 내부 캡(30)이 압압 결착된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로서, 그 기본 결착 구성은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언급하기로 한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예에서는 전술한 도 2c에 나타낸 예와 마찬가지로 내부 캡(30b)과 용기 몸체(50)는 나사 체결 방식에 의해 고정되나, 내부 캡(30b)과 장착 용기(100)의 체결은 내부 캡(30b)의 내부 환형벽(33)의 연장 말단부의 돌출 턱(37a)이 압압(壓壓: push)에 의해 장착 용기(일부 생략)의 네크(101)에 형성된 경사 돌출 턱(102a)을 경유하여 체결 홈(102b)에 안착시키는 것에 의해 협지된다(푸쉬 폰 캡 체결 방식에 의한 압압 체결).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도 12a 및 도 12b의 (PBL 시트제) 장착 용기(100)에 대한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하면, 상기한 장착 용기(100)는 네크(101)와 쇼올더(103)로 구성되는 리지드 부재(103)와 그 하단 주연부에 접합되는 자체 지내력이 불충분한 수지 필름제 또는 PBL 시트제 가요성 베셀(105)로 구성된다.
상기한 네크(101)의 외주연부에는 내부 캡(30)과의 체결을 위한 나사부 또는 요 홈이나 걸림 턱과 같은 체결부(102)가 형성되며, 수지 필름제 또는 PBL 시트제 가요성 베셀(105)의 하단부 일자형의 열융착부(106)를 형성하거나 또는 접합부가 존재하지 않는 쉬쓰(sheath)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리지드 또는 솔리드 부재' 및 'PBL 시트'라는 용어에 대해서는 앞서 정의한 바 있으며, 그 정의된 바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적층 구조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중복 부연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a 및 도 15b는 각각 펌프 디스펜서(1)의 용기 몸체(50)에 대한 단면도 및 정면도로서, 용기 몸체(50)의 상단부에 플랜지(54)가 형성되고 그에 인접한 상단 외주연부에 나사부로서의 체결부(55)가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그 내주연부에 나사부로서의 체결부(55)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용기 몸체(50)는 본체(51)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환형 지지각(53)을 갖는 바닥부(52)를 가진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6은 개구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각각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용기 몸체(50)와 내부 캡(30)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하면, 그 기본 결착 구성은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언급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내부 캡(30)의 외측벽(31)이 길게 하방으로 연장되어 장착 용기(100) 길이의 대략 상반부를 수용한다. 이에 따라 용기 몸체(50)는 장착 용기(100)의 대략 하반부를 수용할 정도의 높이 만을 가진다. 또한 내부 캡(30)의 외측벽(31) 단부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부가 도 2c의 경우에는 내향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외향 형성되어 잇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그 구성은 전술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이 영역 내이다.
또한 앞에서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실린더 블록(40)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장부(45)의 외주연 또는 내주연에는 장착 용기(100)의 저면부 까지 길게 연장되는 튜브를 설치함은 에어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당업계 주지의 사실이며, 실린더 블록(40)의 내부 공간을 반원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둘로 나누고 각각에 대하여 별도의 피스톤(610) 및 피스톤 가이드(620)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임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펌프 디스펜서(1)를 구성하는 푸시 헤드(10), 실린더 헤드(20), 내부 캡(30), 실린더 블록(40), 용기 몸체(50) 등의 일부 또는 전부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푸시 헤드(10) 및 용기 몸체(50)에 다양한 평각, 음각, 양각의 문양이나, 인쇄층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1)를 이용한 PBL 시트제 용기의 효과적인 정립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1) 제공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푸시 헤드(10a), 실린더 헤드(20), 내부 캡(30), 피스톤(610), 피스톤 가이드(620), 실린더 블록(40)과, 용기 몸체(50)로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1)를 제공한다.
(B) 내부 캡(30)으로부터 용기 몸체(50)의 분리 단계:
펌프 디스펜서(1)의 내부 캡으로부터 용기 몸체(50)의 결착을 풀어 분리한 다.
(C) PBL 시트제 장착 용기(100) 체결 단계:
PBL 시트제 장착 용기(100)의 네크(101)를 정립시킨 상태에서 내부 캡(30)에 체결함과 동시에, 실린더 블록(40)과 네크(101) 내주연부를 기밀 및 수밀 상태로 체결한다.
(D) 용기 몸체(50)의 내부 캡(30)에의 체결 단계:
분리된 용기 몸체(50)를 PBL 시트제 장착 용기(100)가 체결되어 있는 정립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부 캡(30)에 다시 체결한다.
(E) 장착 용기(100)로부터의 내용물 정량 취출 단계:
푸시 헤드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에어 펌프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정량 취출함과 동시에, 장착 용기(100) 내의 내용물을 실린더 블록(40) 내로 감압 흡입하여 재충진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싱글 또는 듀얼 타입의 펌프 디스펜서는 자체 지지력 및 복원력은 불충분하지만 경제성이 높은 1회용 수지 필름제 용기나 PBL 시트제 용기를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으로 장착하여 사용하고 내용물을 모두 소비한 다음에는 다시 간단하고 용이한 조작을 통하여 새 것으로 교체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보다 환경 친화적이고, 수지 필름제 또는 PBL 시트제 용기의 사용 편의성을 현저히 제고시킴과 아울러, 유로 내 잔류 내용물의 굳음으로 인한 유로 폐색의 우려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므로 그 수요 증대 도모를 통한 수지제 하드 케 이스 용기의 대체 효과에 따른 자원 절약 및 폐기물 처리 비용 감소 효과를 얻을 수가 있음과 아울러, 수지 필름제 또는 PBL 시트제 용기의 단점인 사용에 따른 내용물 감소로 인한 용기 변형(찌그러짐) 현상을 시각적으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차폐할 수가 있으므로 그 사용 미감이 우수하며, 더욱이 본 발명의 펌프 디스펜서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Claims (17)

  1. 에어 펌프 디스펜서(air pump dispenser)에 있어서,
    에어 펌프가 내측 상방 개구를 가지며 환형 외측벽이 용기 몸체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내부 캡에 고정되는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과, 상기한 실린더 헤드 및 상기한 내측 상방 개구를 관통하는 실린더 블록에 의해 한정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피스톤 가이드, 그리고 상기한 피스톤 가이드 내에 수용되는 피스톤과 이에 연결되며 유로가 형성된 푸시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한 내부 캡의 전면에 헤드 및 유로 개구를 갖는 상향 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푸시 헤드가 유로와 직교하는 가이드 개구를 가지고, 상기한 푸시 헤드의 상향 위치에서는 상기한 내부 캡의 헤드가 상기한 푸시 헤드의 가이드 개구를 통하여 푸시 헤드의 유로를 폐쇄시키며, 상기한 푸시 헤드의 압압에 의한 하향 위치에서는 상기한 내부 캡의 유로 개구와 푸시 헤드의 유로가 상호 연통되고,
    상기한 내부 캡의 내부 환형벽과 상기한 실린더 블록의 하단 외주연부 사이에 수지 필름제 또는 PBL(Plastic Barrier Laminating) 시트제 가요성(可橈性: flexible) 베셀(vessel)과 쇼올더 및 네크로 이루어지는 장착 용기의 상기한 네크가 삽입 결착되어 정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한 내부 환형벽에는 체결부가 설치되고 상기한 실린더 블록의 하단 외주연부에는 씰링이 설치되는
    펌프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부 캡의 내측 상방 개구가 2개 존재하며, 그에 따라 실린더 블록도 2개 존재하는 듀얼(dual) 타입인 펌프 디스펜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부 캡의 환형 외측벽과 용기 몸체의 체결이 나사 체결 또는 요 홈 및 걸림 턱에 의한 압압 체결에 의한 것이고, 상기한 내부 캡의 내부 환형벽과 장착 용기의 네트의 삽입 결착이 나사 체결 또는 요 홈 및 걸림 턱에 의한 압압 체결에 의한 것인 펌프 디스펜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부 캡의 외측벽 외주연에 종 방향의 파형 외주연 주름이 형성되고, 상기한 내부 캡의 내측 상벽 내주연에 종 방향의 파형 외주연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한 실린더 헤드의 원형 측벽 외주연부에 종 파형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펌프 디스펜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부 캡과 실린더 헤드의 체결 고정이 체결 홈 및 이를 관통하는 고정구에 의한 것인 펌프 디스펜서.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린더 헤드가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며 헤드 공간부를 형성하는 환형의 제1 돌출벽과, 그로부터 다시 상방으로 돌출 연장되며 상기한 헤드 공간부 보다 작은 직경의 상부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 돌출벽과, 상기한 제1 돌출벽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한 헤드 공간부 내에는 하방 개구를 통하여 피스톤 및 피스톤 가이드와 실린더 블록이 위치하며, 상부 공간부에는 상기한 피스톤 및 피스톤 가이드의 상부가 위치함과 아울러 상방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게 위치하는 펌프 디스펜서.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푸시 헤드가 하나의 합류된 토출 개구를 갖는 펌프 디스펜서.
  11. 삭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부 캡의 외측벽이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장착 용기의 상반부를 수용하며, 상기한 용기 몸체는 장착 용기의 하반부를 수용하는 펌프 디스펜서.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내부 캡의 내부 환형턱과 실린더 블록의 하단 외주연 사이에 체결되는 장착 용기 베셀이 LLDPE(Leaner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EVOH(Ethylene Vinyl Alcohol),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PE(Polyethylene), NY(Nylon) 및, EVA(Ethylene Vinyl Acetat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가 3~7층 적층되고, Al 증착 필름 또는 SiOx(여기서, x는 2 또는 4의 정수임)의 세라믹 증착 필름이 중간에 1~3층 박막 적층된 복합 시트로서의 PBL 시트(plastic barrier laminating sheet)로 형성되는 펌프 디스펜서.
  14. 삭제
  15. 삭제
  16.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펌프 디스펜서를 이용한 PBL 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
    (A) 상기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펌프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한 펌프 디스펜서의 내부 캡으로부터 용기 몸체를 분리하는 단계;
    (C) 상기한 제10항에 따른 PBL 시트제 장착 용기를 정립시킨 상태에서 네크를 내부 캡에 체결함과 동시에, 실린더 블록과 네크 내주연부를 기밀 및 수밀 상태로 체결하는 단계;
    (D) 분리된 용기 몸체를 상기한 PBL 시트제 장착 용기가 체결되어 있는 정립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부 캡에 다시 체결하는 단계;
    (E) 푸시 헤드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에어 펌프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정량 취출함과 동시에, 상기한 장착 용기 내의 내용물을 실린더 블록 내로 감압 흡입하여 재충진하는 단계;
    (F) 상기한 단계 (E)의 반복 적용에 의해 상기한 장착 용기 내의 내용물이 소진되면, 상기한 펌프 디스펜서의 내부 캡으로부터 용기 몸체를 분리하는 단계; (G) 내부 캡과 실린 블록으로부터 내용물이 소진된 장착 용기의 네크를 분리 제거하는 단계; 및
    (H) 상기한 단계 (C) 내지 (E)를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 용기를 교체하여 사용하는 단계.
  17. 삭제
KR1020060067046A 2006-07-18 2006-07-18 펌프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리어 라미네이팅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 KR100799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046A KR100799936B1 (ko) 2006-07-18 2006-07-18 펌프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리어 라미네이팅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046A KR100799936B1 (ko) 2006-07-18 2006-07-18 펌프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리어 라미네이팅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864A KR20080007864A (ko) 2008-01-23
KR100799936B1 true KR100799936B1 (ko) 2008-01-31

Family

ID=3922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046A KR100799936B1 (ko) 2006-07-18 2006-07-18 펌프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리어 라미네이팅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9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119B1 (ko) * 2020-06-22 2021-10-20 주식회사 하나 3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20210136574A (ko) *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하나 3종 내용물 토출용기
KR102468405B1 (ko) 2021-10-01 2022-11-18 주식회사 프리아이디어 리필용 모션인식 자동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4471A (zh) * 2014-01-27 2014-04-30 上海洁诺德塑胶制品有限公司 自动泵压式牙膏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1354A (ja) 1996-09-04 1998-03-31 Toyo Aerosol Kogyo Kk ディスペンサー容器
WO1999064319A1 (en) 1998-06-12 1999-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ual piston, dual product pump dispenser with lightweight reinforced post design
JP2003252338A (ja) 2002-02-28 2003-09-10 Yoshino Kogyosho Co Ltd 詰め替え容器と、この詰め替え容器を装填する収納容器
JP2004161287A (ja) 2002-11-11 2004-06-10 Shiseido Co Ltd 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20060040638A (ko) * 2006-04-19 2006-05-10 백은경 펌프 디스펜서의 용기 결속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1354A (ja) 1996-09-04 1998-03-31 Toyo Aerosol Kogyo Kk ディスペンサー容器
WO1999064319A1 (en) 1998-06-12 1999-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ual piston, dual product pump dispenser with lightweight reinforced post design
JP2003252338A (ja) 2002-02-28 2003-09-10 Yoshino Kogyosho Co Ltd 詰め替え容器と、この詰め替え容器を装填する収納容器
JP2004161287A (ja) 2002-11-11 2004-06-10 Shiseido Co Ltd 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20060040638A (ko) * 2006-04-19 2006-05-10 백은경 펌프 디스펜서의 용기 결속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574A (ko) * 2020-05-08 2021-11-17 주식회사 하나 3종 내용물 토출용기
KR102342567B1 (ko) * 2020-05-08 2021-12-23 주식회사 하나 3종 내용물 토출용기
KR102315119B1 (ko) * 2020-06-22 2021-10-20 주식회사 하나 3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2468405B1 (ko) 2021-10-01 2022-11-18 주식회사 프리아이디어 리필용 모션인식 자동 디스펜서
KR20230047939A (ko) 2021-10-01 2023-04-10 주식회사 프리아이디어 리필용 모션인식 자동 디스펜서
KR20230047938A (ko) 2021-10-01 2023-04-10 주식회사 프리아이디어 리필용 모션인식 자동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864A (ko)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936B1 (ko) 펌프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리어 라미네이팅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
CN106573721B (zh) 重新填装容器
CN100453420C (zh) 用于再填充、运输和存储产品的方法
US20100200615A1 (en) Bellows foam dispenser
CN102046485A (zh) 具有盖及可滑动闩锁系统的密封件
CN1269765A (zh) 双液流液体分配装置
BR0303219B1 (pt) recipiente, especialmente recipiente retornÁvel, com paredes laterais retrÁteis
KR200437734Y1 (ko) 디스펜서
CN1251940C (zh) 流体制品分配器
WO1997046465A1 (en) Flexible pouch packaging system
JP2006327751A (ja) 分別式ごみ箱
JP2009149324A (ja) スクイズ容器
KR200438460Y1 (ko) 에어 펌프 디스펜서용 장착 용기
KR102558564B1 (ko) 우유팩형 개봉부를 갖는 용기의 핸드 펌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유팩형 펌핑 용기
JP2004106939A (ja) 二重容器
JP5012114B2 (ja) ディスペンサー付き包装袋
WO2022047527A1 (en) A fluid dispensing container with reloadable bag
KR100530422B1 (ko)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JP3101529U (ja) 両端にキャップ付の口を有するチューブ容器
JP2000296888A (ja) 吐出口付き二重容器
CN216469739U (zh) 一种便于拆卸的快递包装箱
KR100816288B1 (ko) 디스펜서
KR20230006353A (ko) 옷걸이 화장품
JP2006069596A (ja) 薄肉の液体注出容器
Pietroni et al. Sustainable design of a trigger sprayer suitable to e-commerce market. A case study of design for material reduction, disassembling and recyc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