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567B1 - 3종 내용물 토출용기 - Google Patents

3종 내용물 토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567B1
KR102342567B1 KR1020200055005A KR20200055005A KR102342567B1 KR 102342567 B1 KR102342567 B1 KR 102342567B1 KR 1020200055005 A KR1020200055005 A KR 1020200055005A KR 20200055005 A KR20200055005 A KR 20200055005A KR 102342567 B1 KR102342567 B1 KR 102342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ontents
pump body
container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6574A (ko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 강성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
Priority to KR1020200055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567B1/ko
Publication of KR20210136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2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lipstick holders or with other toiletry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8Inner container disposed in an outer shell or outer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6Containers with an additional opening for filling or re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78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 B05B11/0081Arrangements for separately storing several components and for mixing the components in a common container as a mixture ready for use before discharging the l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1084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 B05B11/3043
    • B05B11/3084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종 내용물 토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세 개의 내용기(10)를 상부걸림턱(21)에 안착시키는 외용기(20)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내부 중간에 수평으로 형성된 중간 격벽(31)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격벽(31)에 세 개의 펌프체(40)가 각각 상부로부터 삽입 결합되는 세 개의 원형홀(32)이 형성되며, 상기 외용기(20)의 상부개구부(22)에 끼움 결합되는 숄더부재(30)와; 상기 펌프체(4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숄더부재(30)의 세 개의 원형홀(32)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펌프체(40)의 피스톤(41) 선단에 끼워져 누름으로써 세 개의 펌프체(40)를 작동시켜 내용기(10) 내의 서로 다른 내용물을 외부로 동시에 토출시키는 누름버튼부재(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외용기 내에 세 개의 내용기를 삽입 장착하고, 한 번의 펌핑으로 세 개의 내용기에 충전된 내용물을 동시에 동일한 용량을 토출시키도록 하여 다양한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여 효과적인 화장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3종 내용물 토출용기{DISCHARGING CONTAINER OF THREE KINDS OF CONTENTS}
본 발명은 3종 내용물 토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용기 내에 세 개의 내용기를 삽입 장착하고, 한 번의 펌핑으로 세 개의 내용기 내의 내용물을 동시에 동일한 용량을 토출시키도록 한 3종 내용물 토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성분이 다른 두 가지 물질(화장품 등)을 미리 혼합하게 되면 혼합 상태에서의 화학적인 반응 등으로 인하여 변질되거나 또는 성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가 있고, 두 개의 용기를 준비하여 따로 저장한 후 사용자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물질을 하나의 용기에서 분리 저장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두 가지 물질이 혼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이종물질 토출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발명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19-4621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종물질혼합용기는,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종물질혼합용기는, 화장품 내용물을 담는 외용기(10)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외용기(10)의 상부개구부(11)에 나사 결합되는 숄더부재(20)와; 상기 숄더부재(20)의 내주연에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부재로서, 제1펌프세트(30)와 제2펌프세트(40)를 나란히 결합시키는 펌프 결합부재(50)와; 상기 펌프 결합부재(50)의 하부면과 상기 외용기(10)의 상부개구부(11)의 상면 사이에 그 상면 플렌지(61)가 걸쳐지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1 및 제2 펌프세트(30, 40)가 상부로부터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공간부(62, 63)가 구획되고, 상기 제1 공간부(62)의 하부는 개구되며, 상기 제2 공간부(63)의 하부는 폐쇄된 내용기(60)와; 상기 숄더부재(20)의 상부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하부 내부에 상기 제1 및 제2 펌프세트(30, 40)를 수용하면서 누름으로써 이들을 작동시켜 화장품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결합된 버튼부재(70)와; 상기 버튼부재(70)의 상부에서 이를 덮도록 상기 숄더부재(20)의 상부 외주연에 결합되는 커버부재(80)와; 상기 내용기(60) 내의 하부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상기 제1 및 제2 펌프세트(30, 40)에 의해 펌핑시 내용기(60) 내의 화장품 내용물을 위로 올려 완전 소진되도록 하는 내용기 내부피스톤(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 결합부재(50)는, 상기 제1 펌프세트(30)가 안착 결합되도록 상부 일측에 형성된 안착홀(51)과, 상기 제2 펌프세트(40)의 원통형의 제2 펌프하우징(41)이 하부에 결합되도록 상부 타측에 형성된 결합홀(52)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이종물질혼합용기에 따르면, 버튼부재(70)를 한 번 누름으로 두 종류의 내용물을 동시에 펌핑하기는 쉽지만(내용기(10)을 원점에 대하여 대칭되게 배치함으로써 동시에 펌핑된다), 3개의 내용기를 외용기 내에 배치할 때 누름부재를 누름으로써 세 개의 내용기 내의 내용물을 동시에 토출시키도록 구성하기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내용기를 3개 배치하여 한 번의 펌핑으로 3종류의 서로 동일한 양의 내용물을 동시에 토출시키는 구성이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외용기 내에 세 개의 내용기를 삽입 장착하고, 한 번의 펌핑으로 세 개의 내용기에 충전된 내용물을 동시에 동일한 용량을 토출시키도록 한 3종 내용물 혼합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종 내용물 토출용기는, 동일한 용량의 세 개의 내용기를 상부걸림턱에 안착시키는 외용기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내부 중간에 수평으로 형성된 중간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격벽에 세 개의 펌프체가 각각 상부로부터 삽입 결합되는 세 개의 원형홀이 형성되며, 상기 외용기의 상부개구부에 끼움 결합되는 숄더부재와; 상기 펌프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숄더부재의 세 개의 원형홀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펌프체의 피스톤 선단에 끼워져 누름으로써 세 개의 펌프체를 작동시켜 내용기 내의 서로 다른 내용물을 외부로 동시에 토출시키는 누름버튼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누름버튼부재는, 상부 일측에 수평되게 나란히 동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세 개의 토출구와; 상기 세 개의 토출구 중 중앙토출구로 내용물을 배출시키도록 연결 형성된 중앙유로부와; 상기 세 개의 토출구 중 양측토출구로 내용물을 배출시키도록 서로 대칭되게 연결 형성된 양측유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3종 내용물 토출용기에 의하면, 외용기 내에 세 개의 내용기를 삽입 장착하고, 한 번의 펌핑으로 세 개의 내용기에 충전된 내용물을 동시에 동일한 용량을 토출시키도록 하여 다양한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여 효과적인 화장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3종 내용물 토출용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3종 내용물 토출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3종 내용물 토출용기의 동시 토출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3종 내용물 토출용기의 동시 토출부재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B-B 단면도이며,
도 7은 종래의 이종물질혼합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종래의 이종물질혼합용기를 도시한 조립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 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3종 내용물 토출용기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3종 내용물 토출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3종 내용물 토출용기의 동시 토출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3종 내용물 토출용기의 동시 토출부재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B-B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종 내용물 토출용기는, 세 개의 내용기(10)를 상부걸림턱(21)에 안착시키는 외용기(20)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내부 중간에 수평으로 형성된 중간 격벽(31)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격벽(31)에 세 개의 펌프체(40)가 각각 상부로부터 삽입 결합되는 세 개의 원형홀(32)이 형성되며, 상기 외용기(20)의 상부개구부(22)에 끼움 결합되는 숄더부재(30)와; 상기 펌프체(4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숄더부재(30)의 세 개의 원형홀(32)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펌프체(40)의 피스톤(41) 선단에 끼워져 누름으로써 세 개의 펌프체(40)를 작동시켜 내용기(10) 내의 서로 다른 내용물을 외부로 동시에 토출시키는 누름버튼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버튼부재(50)는, 상부 일측에 수평되게 나란히 동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세 개의 토출구(51, 52, 53)와, 상기 세 개의 토출구 중 중앙토출구(52)로 내용물을 배출시키도록 연결 형성된 중앙유로부(54)와, 상기 세 개의 토출구 중 양측토출구(51, 53)로 내용물을 배출시키도록 서로 대칭되게 연결 형성된 양측유로부(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유로부(54)는, 상기 중앙토출구(52)와 수평으로 연통되는 상부유로(54a)와, 상기 상부유로(54a)의 중앙 내측부에 수직으로 관통형성된 중간수직유로(54b)와, 상기 중간수직유로(54b)의 하부로 연통되고 수평으로 형성되는 유로로서, 상기 중앙유로부(54)의 하부에 펌프체 연결부재(56)가 결합되어서 상기 상부유로(54a)의 토출 방향과 역방향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유로(54c)와, 상기 하부유로(54c)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통된 펌프체 연결부재(56)의 펌프체 연결유로(54d)로 이루어진다(도 5 참조).
상기 양측유로부(55)는 상기 양측토출구(51, 53)의 수평선상에 연통되고, 일정 곡률을 가지고 형성된 곡면유로(55a)와, 상기 곡면유로(55a)와 수직으로 연통되고 상기 펌프체(40)가 결합되는 부분인 수직유로(55b)로 이루어진다(도 6 참조).
상기 세 개의 내용기(1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누름버튼부재(50)를 한 번 누름으로써 동일한 양의 내용물이 동시에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중앙유로부(54)인 상부유로(54a)와 중간수직유로(54b)와 하부유로(54c) 및 펌프체 연결부재(56)의 펌프체 연결유로(54d)의 체적(V1)과, 상기 양측유로부(55) 중의 하나인 곡면유로(55a)와 펌프체(40)가 연결되는 수직유로(55b)의 체적(V2)이 동일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중앙유로부(54)의 내용물이 이동하는 유로인 상부유로(54a)와 중간수직유로(54b)와 하부유로(54c) 및 펌프체 연결부재(56)의 펌프체 연결유로(54d)의 중심을 잇는 선(L1, 2점쇄선으로 도시함)과, 상기 양측유로부(55)의 내용물이 이동하는 유로인 곡면유로(55a)와 펌프체(40)가 연결되는 수직유로(55b)의 중심을 잇는 선(L2, 2점쇄선으로 도시함)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외용기(20) 내에는 세 개가 일체로 된 내용기(10)가 상기 외용기(20)의 상부걸림턱(21)에 안착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60은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캡이고, 70은 상기 외용기(20)의 하부를 커버하는 하부캡이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3종 내용물 토출용기의 조립과정,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그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내용물이 충전된 세 개의 내용기(10)를 외용기(20)의 상부 걸림턱(21)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외용기(20)의 상부개구부(22)에 세 개의 펌프체(40)가 결합되어 있는 숄더부재(30)를 하부로 눌러결합한다. 이 때 세 개의 펌프체(40)는 상기 세 개의 내용기(10)의 상부개구부(11)로 삽입된다.
상기 세 개의 펌프체(40)의 피스톤(41)의 선단에 펌프체 연결부재(56)누름버튼부재(50)를 결합한다. 외용기(20)의 하부에는 하부캡(70)을 결합하여 그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3종 내용물 토출 용기를 사용하게 되는바, 누름버튼부재(50)를 누르게 되면, 세 개의 펌프체(40)가 동시에 작동하고, 내용기(10) 내의 내용물을 각각 세 개의 토출구(51, 52, 53)로 토출시키게 된다.
상기 중앙토출구(52)로 토출되는 내용물은 세 개의 펌프체 중 하나의 펌프체(40)가 연결된 펌프체 연결부재(60)의 펌프체 연결유로(54d)를 거쳐 하부유로(54c)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흐르고, 중간수직유로(54b)에서 상승하여 수평의 상부유로(54a)로 흘러 상기 중앙토출구(52)로 토출된다.
그리고, 양측토출구(51, 53)로 토출되는 각각 다른 내용물은 펌프체(40)가 연결되는 수직유로(55b)로 흘러 상승한 후 곡면유로(55a)로 수평으로 양측토출구(51, 53)를 향해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중앙유로부(54)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과 양측유로부(55)를 통해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이 서로 동일한바, 이는 중앙유로부(54)의 체적(V1)과 양측유로부(55)의 체적(V2)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토출되는 양이 동일하고, 토출되는 시간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3종의 내용물을 한번의 펌핑으로 동일한 양과 동일 시간에 토출시켜 사용하게 됨으로써 효과적인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0 : 내용기 11, 22 : 상부개구부
20 : 외용기 21 : 상부걸림턱
30 : 숄더부재 31 : 중간 격벽
32 : 세 개의 원형홀 40 : 펌프체
41 : 피스톤 50 : 누름버튼부재
51, 53 : 양측토출구 52 : 중앙토출구
54 : 중앙유로부 54a : 상부유로
54b : 중간수직유로 54c : 하부유로
54d : 펌프체 연결유로 55 : 양측유로부
55a : 곡면유로 55b : 수직유로
56 : 펌프체 연결부재 60, 70 : 상부캡 및 하부캡

Claims (8)

  1. 세 개의 내용기(10)를 상부걸림턱(21)에 안착시키는 외용기(20)와;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내부 중간에 수평으로 형성된 중간 격벽(31)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 격벽(31)에 세 개의 펌프체(40)가 각각 상부로부터 삽입 결합되는 세 개의 원형홀(32)이 형성되며, 상기 외용기(20)의 상부개구부(22)에 끼움 결합되는 숄더부재(30)와; 상기 펌프체(4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숄더부재(30)의 세 개의 원형홀(32)에 각각 삽입되어 있는 펌프체(40)의 피스톤(41) 선단에 끼워져 누름으로써 세 개의 펌프체(40)를 작동시켜 내용기(10) 내의 서로 다른 내용물을 외부로 동시에 토출시키고, 상부 일측에 수평되게 나란히 동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세 개의 토출구(51, 52, 53)와, 상기 세 개의 토출구 중 중앙토출구(52)로 내용물을 배출시키도록 연결 형성된 중앙유로부(54)와, 상기 세 개의 토출구 중 양측토출구(51, 53)로 내용물을 배출시키도록 서로 대칭되게 연결 형성된 양측유로부(55)로 이루어진 누름버튼부재(50):를 포함하는 3종 내용물 토출용기.
    상기 중앙유로부(54)는, 상기 중앙토출구(52)와 수평으로 연통되는 상부유로(54a)와;
    상부유로(54a)의 중앙 내측부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중간수직유로(54b)와;
    상기 중간수직유로(54b)의 하부로 연통되고 수평으로 형성되는 유로로서, 상기 중앙유로부(54)의 하부에 펌프체 연결부재(56)가 결합되어서 상기 상부유로(54a)의 토출 방향과 역방향의 유로를 형성하는 하부유로(54c)와;
    상기 하부유로(54c)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통된 펌프체 연결부재(56)의 펌프체 연결유로(54d)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측유로부(55)는 상기 양측토출구(51, 53)의 수평선상에 연통되고, 일정 곡률을 가지고 형성된 곡면유로(55a)와;
    상기 곡면유로(55a)와 수직으로 연통되고 상기 펌프체(40)가 결합되는 부분인 수직유로(55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종 내용물 토출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유로부(54)인 상부유로(54a)와 중간수직유로(54b)와 하부유로(54c) 및 펌프체 연결부재(56)의 펌프체 연결유로(54d)의 체적(V1)과, 상기 양측유로부(55) 중의 하나인 곡면유로(55a)와 펌프체(40)가 연결되는 수직유로(55b)의 체적(V2)이 동일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종 내용물 토출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앙유로부(54)의 내용물이 이동하는 유로인 상부유로(54a)와 중간수직유로(54b)와 하부유로(54c) 및 펌프체 연결부재(56)의 펌프체 연결유로(54d)의 중심을 잇는 선(L1)과, 상기 양측유로부(55)의 내용물이 이동하는 유로인 곡면유로(55a)와 펌프체(40)가 연결되는 수직유로(55b)의 중심을 잇는 선(L2)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종 내용물 토출용기.
  7. 삭제
  8. 삭제
KR1020200055005A 2020-05-08 2020-05-08 3종 내용물 토출용기 KR102342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005A KR102342567B1 (ko) 2020-05-08 2020-05-08 3종 내용물 토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005A KR102342567B1 (ko) 2020-05-08 2020-05-08 3종 내용물 토출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574A KR20210136574A (ko) 2021-11-17
KR102342567B1 true KR102342567B1 (ko) 2021-12-23

Family

ID=78702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005A KR102342567B1 (ko) 2020-05-08 2020-05-08 3종 내용물 토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5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936B1 (ko) * 2006-07-18 2008-01-31 애경산업(주) 펌프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리어 라미네이팅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
JP2010005537A (ja) * 2008-06-26 2010-01-14 Saburo Ito 2つ以上の内容物を選択した比率で噴出する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US20120279990A1 (en) 2011-05-02 2012-11-08 Mouse Trap Design, Llc Mixing and dispensing device
KR200469033Y1 (ko) 2011-12-20 2013-09-12 (주)아모레퍼시픽 복수의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를 갖는 내용물 혼합 배출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936B1 (ko) * 2006-07-18 2008-01-31 애경산업(주) 펌프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플라스틱 배리어 라미네이팅시트제 용기의 정립 사용 방법
JP2010005537A (ja) * 2008-06-26 2010-01-14 Saburo Ito 2つ以上の内容物を選択した比率で噴出する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US20120279990A1 (en) 2011-05-02 2012-11-08 Mouse Trap Design, Llc Mixing and dispensing device
KR200469033Y1 (ko) 2011-12-20 2013-09-12 (주)아모레퍼시픽 복수의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를 갖는 내용물 혼합 배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574A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352Y1 (ko)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200475351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US10034581B2 (en) Dual content mixing container
KR102164743B1 (ko) 복수의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조립체
EP3281883A1 (en) Mixing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
TWI754651B (zh) 泡沫噴出容器
KR102148690B1 (ko) 복수의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조립체
US9486056B2 (en)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storing and discharging two kinds of contents
KR102132301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2157834B1 (ko) 복수의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조립체
KR200469033Y1 (ko) 복수의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를 갖는 내용물 혼합 배출 용기
US9611077B2 (en) Multi-chamber container
CN111727000A (zh) 包括下降距离能够调节的按钮的滴管式化妆品容器
KR102342567B1 (ko) 3종 내용물 토출용기
KR20120140459A (ko) 화장품 용기
KR200477732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102176512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WO2014077839A1 (en) Multi-chamber container
KR102184400B1 (ko) 이종 화장품이 수납되는 듀얼 화장품용기
MXPA01011713A (es) Aspirador de botella para compresion sin aire.
KR102386630B1 (ko) 이종물질 혼합용기의 리필 장치 및 누름 버튼
KR20190105713A (ko) 주사기 형태로 이루어진 이종 화장품 혼합 장치
WO2022039307A1 (ko) 복수의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조립체
KR102238256B1 (ko) 혼합 화장품 용기
KR20190106665A (ko) 이종 화장품 혼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