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256B1 - 혼합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혼합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256B1
KR102238256B1 KR1020190169782A KR20190169782A KR102238256B1 KR 102238256 B1 KR102238256 B1 KR 102238256B1 KR 1020190169782 A KR1020190169782 A KR 1020190169782A KR 20190169782 A KR20190169782 A KR 20190169782A KR 102238256 B1 KR102238256 B1 KR 102238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discharge
bas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건
강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
Priority to KR1020190169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256B1/ko
Priority to CN201922397569.7U priority patent/CN212630190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54Cartridges, i.e. containers specially designed for easy attachment to or easy removal from the rest of the spray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2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lipstick holders or with other toiletry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A45D40/0075Jars with dispe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7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being opened by deformation of a sealing element made of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e.g. flaps, skirts, duck-bil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81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 B05B11/1084Arrangements for pumping several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everal containers, e.g. for mixing them at the moment of pumping ea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pumped by a separate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83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 B65D81/3288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composed of two or more separate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혼합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혼합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충진되는 내용물용기와, 복수 개의 내용물용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용기베이스를 구비하고, 용기베이스는 내용물용기 각각에 대응해서 구비되는 배출펌프와, 배출펌프 각각에 대응해서 구비되고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을 구비하며, 내용물은 배출홀을 통해서 혼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시에 토출된다.

Description

혼합 화장품 용기{MIXING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각각 토출시켜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혼합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을 하나의 용기에 분리해서 수납한 후 사용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내용물이 화장품인 경우 겔(gel) 형상의 베이스와 파우더를 혼합되지 않게 각각 보관한 후 사용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혼합용기가 제조 및 판매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혼합용기는,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이 사용 이전에 혼합되는 경우 장시간의 유통 과정에서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그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두 종류 이상의 내용물을 혼합해서 사용함으로써 기능상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23306호에는 이종 물질을 혼합할 수 있는 혼합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혼합용기는 두 개의 펌프를 구비하고, 두 종류의 내용물을 각각의 펌프에 의해서 동시에 배출해서 혼합한 후 용기 외부로 토출 직전에 혼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이종 물질 혼합 용기는 부품수가 많아서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이종 물질 혼합 용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내용물을 교체하거나 또는 리필해서 사용할 수 없고, 서로 다른 물질 간의 혼합 비율을 정확하게 조정하는 것이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정확한 비율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혼합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필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혼합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혼합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충진되는 내용물용기와, 복수 개의 내용물용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용기베이스를 구비하고, 용기베이스는 내용물용기 각각에 대응해서 구비되는 배출펌프와, 배출펌프 각각에 대응해서 구비되고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을 구비하며, 내용물은 배출홀을 통해서 혼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시에 토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혼합 화장품 용기는 상면을 갖는 가압버튼을 구비하고, 상면에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버튼의 하향 가압에 의해서 배출펌프가 동시에 작동해서 내용물이 배출홀을 통해서 상면에 배출될 수 있다.
용기베이스는 내용물용기가 결합되는 용기결합부를 구비하고, 용기결합부는 가압버튼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내용물은 내용물용기의 하부로 배출되어 용기베이스로 유입되고, 용기베이스에는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경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용물은 이동경로를 통해서 배출펌프로 유입된 후 배출될 수 있다.
내용물용기는 용기베이스와 결합하는 하면을 구비하고, 하면에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주입돌기와, 용기베이스에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용기베이스는 주입돌기가 삽입되는 주입구와,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동경로와 유입공간은 배출통로를 통해서 연통되고, 배출통로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펌프의 상부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내용물용기의 상부에는 용기커버가 결합하고, 용기커버에는 커버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홀의 하부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용기베이스는 상향 돌출된 베이스돌기를 구비하고, 배출펌프는 베이스돌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가압버튼은 베이스돌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용기베이스는 펌프돌기를 구비하고, 배출펌프는 그 일부가 펌프돌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배출펌프의 일부는 펌프돌기와 접촉하면서 하강이 제한될 수 있다.
상면에는 상부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홀은 상부이동통로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면에 노출될 수 있다.
내용물용기의 상면과 가압버튼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교체해서 사용할 수 있고 리필이 용이한 혼합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내용물을 정확한 비율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고 혼합비를 조정할 수 있는 혼합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보관량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혼합 화장품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에서 내용물용기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내용물용기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화장품 용기의 용기베이스 및 배출펌프를 예시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화장품 용기에서 내용물용기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혼합 화장품 용기의 대기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상태에서 내용물이 토출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상태에서 유입 공간의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되는 과정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C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혼합 화장품 용기의 평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를 예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내용물용기(200)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내용물용기(200)가 분해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는 용기베이스(100)에 다수 개의 내용물용기(2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내용물용기(200)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내용물(10)이 충진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베이스(100)에는 각각의 내용물용기(200)에 대응하는 배출펌프가 구비되어 있고, 용기베이스(100)의 중앙에는 가압버튼(180)이 구비되어 있다. 가압버튼(180)의 하향 이동에 의해서 각각의 배출펌프가 동시에 작동하면서 동일하거나 상이한 내용물(10)이 배출홀(188)을 통해서 동시에 배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가압버튼(180)의 상면에 배출된 동일하거나 상이한 내용물(10)을 퍼프(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해서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내용물(10)이 내용물용기(200)에 별도로 수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내용물용기(200)는 용기베이스(11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내용물(10)이 충진된 내용물용기(200)를 용기베이스(110)에 삽입한 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조합의 혼합물을 생성 및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용물용기(200)의 내용물(10)을 모두 소진한 경우 용이하게 이를 분리한 후 새 것으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리필이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상이한 내용물(10)이 혼합 이전에는 각각의 내용물용기(200)에 의해서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내용물(10)의 사전 혼합으로 인한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는 하나의 용기베이스(110)와 복수 개의 내용물용기(200)를 구비한다. 용기베이스(110)의 중앙에는 가압버튼(180)이 구비되어 있고, 가압버튼(180)의 내부에는 추후 설명하는 배출펌프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버튼(180)의 둘레에 내용물용기(200)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에서 용기베이스(100)는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네 개의 내용물용기(200)가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각각의 내용물용기(200)는 모두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네 개의 내용물용기(200)는 가압버튼(180)의 둘레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내용물용기(200)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내용물(10)이 충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는 원형이고 네 개의 내용물용기(200)를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화장품용기의 평면 형상 및 내용물(10)용기의 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는 타원형이거나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또는 기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내용물용기(200)를 구비할 수 있다. 내용물용기(200)가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 내용물용기(200)는 링(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용기베이스(110)의 중앙에는 가압버튼(180)이 구비되어 있다. 가압버튼(180)은 사용자에 의해서 가압되는 부분으로서, 그 하부에는 내용물(10) 배출을 위한 배출펌프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버튼(180)의 상면은 원형으로서 외부로 노출되고, 상면에는 네 개의 배출홀(188)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홀(188)을 통해서 내용물용기(200)에서 공급되는 각각의 내용물(10)이 상면으로 배출된다. 배출홀(188)은 내용물용기(200)의 개수 및 배치 방향에 대응해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버튼(180)의 원형의 상면은 그 중심을 향해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출홀(188)을 통해서 배출된 내용물(10)이 상면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중앙으로 집중될 수 있다.
가압버튼(180)의 둘레에는 커버(190)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190)는 용기베이스(110)의 베이스돌기(120)의 상단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커버(190)의 중앙에는 가압버튼(180)의 상면에 대응하는 홀(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홀을 통해서 가압버튼(18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커버(190)의 둘레에는 커버돌기(192)가 외향 돌출되어 있다. 커버돌기(192)는 베이스돌기(120)의 상단부에 걸리게 된다.
커버(190)의 하단부는 베이스돌기(120)의 내측으로 다소 돌출된다. 이로 인해, 가압버튼(180)의 커버둘레면(186)이 커버(190)의 단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가압버튼(180)의 상승이 제한된다.
용기베이스(110)에서 가압버튼(180)의 둘레에는 내용물용기(200)가 결합하는 용기결합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결합부(108)는 90도 간격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결합부(108)에는 하나의 주입구(122)와 두 개의 결합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주입구(122)는 내용물용기(200)와 연통되는 부분으로서, 이를 통해서 내용물용기(200)에 충진된 내용물(10)이 용기베이스(11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홈(124)은 주입구(122)의 양 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으로, 내용물용기(20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돌기(212)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내용물용기(200)에 대응해서 하나의 주입구(122)와 두 개의 결합홈(124)이 형성될 수 있고, 용기베이스(110)에는 이와 같은 하나의 주입구(122) 및 두 개의 결합홈(124) 세트가 총 4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용기베이스(110)는 네 개의 주입구(122)가 90도 각도를 갖고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는데, 여기에는 네 개의 내용물용기(200)는 물론 두 개 또는 하나의 내용물(10)용기가 결합될 수 있다.
내용물용기(200)는 원호 형상의 평면을 갖고 그 내부에는 내용물(10)을 충진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용물용기(200)의 개방된 상부에는 용기커버(204)가 결합되고 용기커버(204)의 중앙에는 커버홀(20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홀(206)의 하부에는 체크밸브(208)가 구비되어 있다.
체크밸브(208)는 내용물(10)이 내용물용기(200)에서 유입공간(118)으로 유입될 때 내용물용기(200) 내부의 압력 강하(예를 들면, 대기압 이하)에 의해서 개방된다. 이로 인해 내용물용기(200) 외부의 대기압이 내부의 내용물(10)에 작용해서 용기배출홀(202)을 통해서 내용물(10)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체크밸브(208)는 유입공간(118)의 내부에 내용물(10)이 일정 정도 충진된 경우 폐쇄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용물용기(2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한다.
내용물용기(200)가 용기베이스(110)에 결합된 경우, 용기커버(204)의 높이는 가압버튼(180) 상면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는 공간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전체적인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용기베이스(110), 가압버튼(180) 및 내용물용기(200)의 외부에는 별도의 케이스(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이들을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가압버튼(180)의 상부에는 퍼프(도시하지 않음) 등이 올려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화장품 용기(100)의 용기베이스(110) 및 배출펌프를 예시하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용기베이스(110)는 원형의 평면을 갖고 그 중앙에는 원형의 베이스돌기(120)가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베이스돌기(120)의 중앙에는 내용물용기(200)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출펌프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돌기(120)의 외부 둘레에는 내용물용기(200)가 일정한 간격을 갖고 결합될 수 있는 용기결합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용물용기(200)는 베이스돌기(120)를 중앙으로 그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용기결합부(108)에는 주입구(122)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입구(122)에는 내용물용기(200)의 주입돌기(210)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내용물용기(200)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10)은 주입구(122)를 통해서 용기베이스(110)의 이동경로(140)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주입구(122)와 이동경로(140)는 연통되어 있다.
이동경로(140)는 용기결합부(108)의 하부에 형성되는 직선의 연결 통로에 해당한다. 이동경로(140)는 하부커버(130)의 결합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주입구(122)의 하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배출통로(116)의 하부까지 연장된다.
베이스돌기(12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고 그 상부는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베이스돌기(120)는 일정한 높이를 갖고 그 내부에는 배출펌프 및 가압버튼(18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돌기(120)의 개방된 상부에는 가압버튼(180)이 그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베이스돌기(120)의 상단부에는 커버(190)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돌기(120)는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돌기는 용기베이스(110)의 평면 형상과 무관하게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은 물론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출펌프는 가압버튼(180)의 이동에 의해서 내용물(10)을 가압버튼(180)의 상면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펌프는 피스톤돌기(114), 체크밸브(170), 실링(150), 피스톤(160) 및 체크밸브(16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돌기(120)의 내부에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 피스톤돌기(114)가 결합하는 내용물용기(200)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해서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돌기(114)의 내부에는 내용물용기(200)에서 유입된 내용물(10)이 일시 저장되는 유입공간(118)이 형성된다. 그리고 피스톤돌기(114)의 내부에는 실링(15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피스톤돌기(114)의 바닥면에는 배출통로(116)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통로(116)의 상부에는 체크밸브(170)가 구비되어 있다.
체크밸브(170)는 내용물용기(200)의 내부에서 유입공간(118)의 내부로 내용물(10)이 유입될 때 체크밸브(208)와 함께 개방되어 내용물(10)이 유입공간(118)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실링(150)은 베이스돌기(120)의 내부 공간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으로 그 중앙에는 실링홀(15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에는 흡착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실링홀(152)을 통해서 유입공간(118)에 유입된 내용물(10)이 배출홀(188) 방향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흡착부(154)는 피스톤돌기(114)의 내주면에 밀착되어서 유입공간(118)에 있는 내용물(10)이 실링홀(152)을 통해서만 외부로 유출되도록 한다.
실링(150)은 베이스돌기(120) 내주면에 대한 흡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고무, 실리콘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실링(150)의 상부에는 피스톤(160)이 결합되고, 양자는 일체로 승하강 한다. 피스톤(160)은 중공의 원통 형상의 피스톤바디(166)와, 피스톤바디(166)의 상부에 형성된 피스톤헤드(162)를 구비한다.
피스톤바디(166)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피스톤바디(166)의 개방된 상단부는 피스톤홀(164)에 해당한다. 피스톤바디(166)의 내부에는 실링(150)이 압입된다.
피스톤헤드(162)는 피스톤바디(166)의 상부에 위치하고 더 큰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피스톤헤드(162)의 상단부는 개방되어 있고 하부는 피스톤바디(166)와 연통된다. 그리고 피스톤헤드(162)의 내부에는 체크밸브(168)가 결합되어 있다.
체크밸브(168)는 가압버튼(180)이 하향 가압되어 유입공간(118)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개방되는데, 이로 인해 피스톤홀(164)를 통해서 내용물(10)이 가압버튼(180)의 상면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체크밸브(168, 170, 208)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체크밸브(168, 170, 208)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75847호에 기재되어 있는 디스크에 해당할 수 있다.
가압버튼(180)은 사용자에 의해서 하향 가압되는 부분으로서, 센터돌기(182), 내부돌기(184) 및 커버둘레면(186)을 포함한다.
센터돌기(182)는 가압버튼(180)의 하부 중앙에 하향 돌출된 것으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센터돌기(182)는 네 개가 배치된 피스톤돌기(114)의 사이에 형성된 센터공간(112)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가압버튼(180)의 상하 이동이 안정적이게 된다.
내부돌기(184)는 센터돌기(182)에 비해 더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된 것으로, 커버둘레면(186)의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커버둘레면(186)은 ㄱ 형상의 단면을 갖고 외향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가압버튼(180)이 상승할 때 커버둘레면(186)의 상면은 커버(190)의 하부에 걸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가압버튼(180)의 상승이 제한된다.
가압버튼(180)의 상면에는 네 개의 배출홀(188)이 형성된다. 배출홀(188)은 배출펌프에 의해서 토출된 내용물(10)이 최종적으로 화장품용기(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에 해당한다. 따라서 배출홀(188)은 주입구(122), 이동경로(140), 배출통로(116) 및 피스톤홀(164)과 연통된다. 그리고 배출홀(188)은 배출통로(116) 및 피스톤홀(164)과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버튼(180)의 하부는 탄성부재(142)에 의해서 지지된다. 따라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가압버튼(180)은 상승한 상태(도 4 참조)에 있다.
가압버튼(180)의 상면은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금속제의 가압버튼(180) 상면은 내용물(10)에 의해서 플라스틱 재질이 변색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위생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커버(130)는 용기베이스(110)의 하부에 결합해서 이동경로(140)를 형성한다. 하부커버(130)의 상면에는 커버돌기(132, 13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커버돌기(132, 134)는 용기베이스(1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돌기(126, 128)와 맞물려서 이동경로(140)를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화장품 용기(100)에서 내용물용기(200)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내용물용기(200)는 링(ring)을 균등하게 4등분한 형상을 갖는다. 내용물용기(200)의 하면에는 중앙에 주입돌기(2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입돌기(210)의 내부에는 용기배출홀(202)이 형성되어 있다. 주입돌기(210)는 용기베이스(110)의 주입구(122)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데, 이로 인해 내용물(10)이 용기배출홀(202)을 통해서 이동경로(140)로 유입된다. 또한, 내용물용기(200)의 하면에서 주입돌기(210)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하나의 결합돌기(212)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212)는 용기결합부(108)에 형성된 결합홈(124)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내용물용기(200)의 내부에는 별도의 함침부재(스펀지 또는 우레탄 등)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내용물(10)의 충진량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용기(200)에서 내용물(10)이 배출되는 통로에 해당하는 용기배출홀(202)이 내용물용기(20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10)의 잔량을 최대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내용물용기(200)는 용기베이스(110)에서 쉽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용기(200) 자체를 재활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혼합 화장품 용기(100)의 대기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는 좌우 대칭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우측 부분에서 내용물(10)은 화살표만으로 나타내기로 한다(도 9 및 도 11 동일).
도 7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화장품 용기(100)가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 가압버튼(180)의 상면은 내용물용기(200)의 용기커버(204)와 동일한 높이에 있고, 이때 커버둘레면(186)의 상면은 커버(190)의 하단부에 걸려 있다. 그리고 내용물(10)은 유입공간(118) 및 실링(150)의 실링홀(152)에 충진되어 있고, 이동경로(140)에도 충진된 상태에 있다. 이때, 유입공간(118)에는 압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체크밸브(168, 170)은 폐쇄된 상태에 있다. 이로 인해, 배출통로(116)를 통해서 유입공간(118)으로 내용물(10)이 추가적으로 유입되지 않고, 또한 피스톤홀(164)을 통해서 내용물(10)이 가압버튼(180)의 상면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또한, 내용물용기(200)의 용기커버(204)에 구비된 체크밸브(208)도 폐쇄된 상태에 있다.
도 7 내지 도 8과 같은 대기 상태는 가압버튼(180)이 최대로 상승한 상태로서, 실링(150) 및 피스톤(160)도 최대 상승 위치에 있다.
도 9는 도 7의 상태에서 내용물(10)이 토출되는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가압버튼(180)이 하강하면 피스톤(160) 및 실링(150)도 함께 하강 하면서 실링(150)이 유입공간(118)의 내부로 더욱 삽입된다. 이로 인해 유입공간(118)의 부피가 줄어들면서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이와 같은 압력 증가에 의해서 체크밸브(168)가 개방되면서 피스톤홀(164)이 개방되어 내용물(10)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화살표 표시).
내용물(10)이 배출홀(188)을 통해서 배출될 때, 유입공간(118) 내부의 압력이 높기 때문에 체크밸브(170)는 개방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는 가압버튼(180)을 중심으로 좌우 및 상하 대칭인 구조를 갖기 때문에, 가압버튼(180)의 가압에 의해서 네 개의 배출펌프가 동시에 작동해서 동일한 양의 내용물(10)을 각각의 배출홀(188)을 통해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내용물용기(200)에 충진된 내용물(10)의 배출량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혼합시 그 혼합비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네 개의 내용물용기(200)에 충진된 내용물(10)의 종류가 모두 상이한 경우, 가압버튼(180)의 하향에 의해서 내용물(10)은 1:1:1:1의 비율로 배출되어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네 개의 내용물용기(200) 중에서 두 개가 동일하고 나머지 두 개가 각각 상이한 경우 내용물(10)은 2:1:1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네 개의 내용물용기(200) 중에서 세 개가 동일하고 나머지 하나가 상이한 경우 3:1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고, 두 개가 동일하고 나머지 두 개도 동일한 경우 1:1 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는 리필이 용이한 내용물용기(200)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혼합비 및 조합을 갖는 혼합물을 편리하게 생성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용물용기(200)에 충진된 내용물(10)이 색조화장품인 경우 혼합비율을 조정함으로써 밝은 살색, 어두운 살색, 밝은 살색 및 펄(pearl) 색상의 조합 등 다양한 조합으로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내용물(10)의 혼합 비율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물(10)들 사이의 혼합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상태에서 유입공간(118)의 내부에 내용물(10)이 충진되는 과정을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C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가압버튼(180)에 대한 가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42)에 의해서 가압버튼(180)이 상승해서 도 7 내지 도 8의 위치로 상승한다. 가압버튼(180)의 상승과 함께 피스톤(160) 및 실링(150)도 함께 상승한다. 이때, 유입공간(118) 내부에 충진된 내용물(10)이 유출된 상태에서 실링(150)의 상승으로 인해서 유입공간(118) 내부의 부피가 증가하면서 내부 압력이 하강한다. 따라서 유입공간(118) 내부의 압력이 외부압력(대기압)에 비해서 작아지면서 내용물용기(200)의 체크밸브(208) 및 배출통로(116)에 구비된 체크밸브(170)가 개방된다. 또한, 유입공간(118) 내부의 압력이 외부에 비해서 낮기 때문에, 피스톤홀(164)에 구비된 체크밸브(168)는 폐쇄된다.
이와 같은 체크밸브(208, 170)의 개방에 의해서 내용물용기(200)에 충진된 내용물(10)이 이동경로(140)를 통해서 유입공간(118)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피스톤홀(164)에 위치하는 체크밸브(168)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공간(118)으로 내용물(10)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혼합 화장품용기(300)의 평면도 및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3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용기(100)와 구조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다만 가압버튼(380)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홀(388)의 위치가 가압버튼(380)의 중앙으로 더욱 집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가압버튼(380)의 상면에는 내용물(10)의 이동을 위한 상부이동경로(39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300: 화장품용기
110: 용기베이스
130: 하부커버
150: 실링
160: 피스톤
180: 가압버튼
190: 커버
200: 내용물용기

Claims (12)

  1. 내용물이 충진되는 내용물용기; 및
    복수 개의 상기 내용물용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용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베이스는 상기 내용물용기 각각에 대응해서 구비되는 배출펌프와, 상기 배출펌프 각각에 대응해서 구비되고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홀을 구비하며,
    내용물은 상기 배출홀을 통해서 혼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시에 토출되고,
    상면을 갖는 가압버튼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상면에는 상기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으며,상기 가압버튼의 하향 가압에 의해서 상기 배출펌프가 동시에 작동해서 내용물이 상기 배출홀을 통해서 상기 상면에 배출되고,
    상기 용기베이스는 상기 내용물용기가 결합되는 용기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결합부는 상기 가압버튼의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내용물은 상기 내용물용기의 하부로 배출되어 상기 용기베이스로 유입되고,
    상기 용기베이스에는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경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용물은 상기 이동경로를 통해서 상기 배출펌프로 유입된 후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베이스는 내용물이 일시 저장되는 유입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경로와 상기 유입공간은 배출통로를 통해서 연통되며,
    상기 배출통로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화장품 용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펌프의 상부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화장품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용기의 상부에는 용기커버가 결합하고, 상기 용기커버에는 커버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홀의 하부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화장품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베이스는 상향 돌출된 베이스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펌프는 상기 베이스돌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가압버튼은 상기 베이스돌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화장품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베이스는 펌프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펌프는 그 일부가 상기 펌프돌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배출펌프의 일부는 상기 펌프돌기와 접촉하면서 하강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화장품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는 상부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상부이동통로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화장품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용기의 상면과 상기 가압버튼의 상면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화장품 용기.
KR1020190169782A 2019-12-18 2019-12-18 혼합 화장품 용기 KR102238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782A KR102238256B1 (ko) 2019-12-18 2019-12-18 혼합 화장품 용기
CN201922397569.7U CN212630190U (zh) 2019-12-18 2019-12-27 混合化妆品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782A KR102238256B1 (ko) 2019-12-18 2019-12-18 혼합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256B1 true KR102238256B1 (ko) 2021-04-09

Family

ID=7476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782A KR102238256B1 (ko) 2019-12-18 2019-12-18 혼합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8256B1 (ko)
CN (1) CN21263019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8652A1 (fr) * 2021-05-12 2022-11-17 Aptar France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2580Y2 (ja) * 1991-11-29 1997-10-29 ぺんてる株式会社 液状化粧料収納用コンパクト容器
KR101420128B1 (ko) * 2013-06-17 2014-07-17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571851B1 (ko) * 2014-05-22 2015-11-25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이종 내용물 용기
KR20160093352A (ko) * 2015-01-29 2016-08-08 주식회사 케이알 펌프식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2580Y2 (ja) * 1991-11-29 1997-10-29 ぺんてる株式会社 液状化粧料収納用コンパクト容器
KR101420128B1 (ko) * 2013-06-17 2014-07-17 (주)연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571851B1 (ko) * 2014-05-22 2015-11-25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이종 내용물 용기
KR20160093352A (ko) * 2015-01-29 2016-08-08 주식회사 케이알 펌프식 화장품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8652A1 (fr) * 2021-05-12 2022-11-17 Aptar France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FR3122841A1 (fr) * 2021-05-12 2022-11-18 Aptar France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2630190U (zh) 202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79584A1 (en) Mixing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
US20160286932A1 (en)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mixing and discharging two kinds of contents
KR101711180B1 (ko)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KR200475351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101730441B1 (ko)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와 링버튼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US20180295967A1 (en) Cosmetic container
US20180263359A1 (en) Rotary Discharge Type Dye Container
KR101125511B1 (ko) 액체 용기용 포밍 펌프 장치
KR200469033Y1 (ko) 복수의 에어리스 화장품 용기를 갖는 내용물 혼합 배출 용기
KR102157834B1 (ko) 복수의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조립체
KR102148690B1 (ko) 복수의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조립체
US20230013434A1 (en) Double container
KR102238256B1 (ko) 혼합 화장품 용기
KR102164743B1 (ko) 복수의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조립체
KR200477732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102176512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KR101729277B1 (ko) 공기 펌프식 화장품 용기
KR200465757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2403988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200475887Y1 (ko) 액상 립스틱 용기
JP7196191B2 (ja) 化粧品容器
KR20160084348A (ko) 행정거리가 짧은 펌프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JP2016222294A (ja) 泡吐出容器
KR102643135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636711B1 (ko) 가압 토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